한국학자료센터 사업의 성과와 전망

Download Report

Transcript 한국학자료센터 사업의 성과와 전망

지역문화교류재단 학술포럼
호남학의 현황 및 발전 방안
- 한국학자료센터 사업의 성과와 전망을 중심으로 -
2012.9.25.화
金景淑 (조선대학교 사학과)
<목
차>
1. 한국학자료센터 구축 사업
2.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사업
1)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2) 조선대 한국학자료센터
3. 호남학의 발전방안
1) 한국학자료센터 사업의 한계와 전망
2) 호남학의 발전 방안
1. 한국학자료센터 구축사업
1) 연구사업 개요
○ 고서, 고문서 등 국내외 각종 역사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 정리, 분석하고 표준화된 형
식으로 가공, 집적하여 한국학 지식콘텐츠를 구축
○ 특히 의궤, 일기, 호적, 토지대장․치부기록․지리지 등에 내재된 각종 학술정보를 DB 구축
하여 한국학 연구의 토대자료로 활용
○ 전통시대 기록유산에 대한 일반 대중의 관심을 촉진하여 연구자와 대중 모두 활용할 수
있는 통합 네트워크 구축
2) 연구 기간
: 2008년 11월부터 총 3단계 10년 사업
1단계 3년 2008.11 - 2011.6
2단계 3년 2011.7 - 2014.6
3단계 4년 2014.11 - 2018.6
1. 한국학자료센터 구축사업
3) 참여 기관 및 특화 콘텐츠

중앙 허브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학술정보관 자료정보화실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지리지, 의궤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왕실족보(조선왕실 계보와 인물)
의궤(조선왕조 국가행사와 의례문화)
일기(조선시대 일상과 기록)
謄錄(관청행정기록의 보존과 정리)

영남권역센터(한국국학진흥원 컨소시엄) : 영남의 일기와 고문서
토지조사부와 토지매매명문
영남의 서원, 향교자료

호남권역센터(전북대 전라문화연구소 컨소시엄) : 인구정보(호적)
물가정보(토지매매문기)
인물정보(座目類)

해외권역센터(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 해외소장 한국본 고서
1. 한국학자료센터 구축사업
4) 웹 서비스 : http://www.kostma.net(한국학자료센터)

문헌정보 : 사실정보, 안내정보, 상세정보, 원문이미지, 원문텍스트, 특화 콘텐츠 등

통합검색 : 한국학중앙연구원 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국립중앙도서관 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
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료총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
자료센터 DB와 연계하여 통합 검색 가능

한국고문서자료관 : 유형, 주제, 소장처, 지역, 시기, 책별

한국학자료포털 : 고서, 고문서, 의궤, 족보, 일기, 호적, 明文, 書簡

인물관계 정보 : 270여 가문의 인물정보를 집대성한 종합 족보

전자 연표 : 문헌연표, 자료 속 사건을 연대순으로 구성한 주제별 연표

전자 지도 : 고지도(동여도), 현대지도(구글맵)에서 지명 위치 검색

문화콘텐츠 리뷰 : 그 이야기 속의 사실과 허구( 대상 : 역사스페셜, 동이, 추노)
2.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사업
1)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 연구 사업의 개요

훼손, 멸실 위기에 처한 호남 지역학 자료의 체계적 수집, 정리, 디지털화
기존 수집 자료에 대한 체계적 관리 및 공유화 방안 모색

심층적 지역학 연구의 토대를 위한 지역 고문서 종합정보망의 구축
학계, 향토사 연구단체, 지자체 및 지역민들의 상호유기적 연결을 위한 종합정보망

조사 대상
자료 : 호남권역 내 미발굴 한국학 자료
기존 발굴자료에 대한 종합정리 및 DB구축
지역 : 광주, 전라남도, 전라북도, 제주 지역
2.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사업
1)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 참여기관 및 역할 구분

전북대 전라문화연구소(주관기관), 박물관 : 전라북도 지역 14개 시군

조선대 고전연구원 : 광주, 전라남도 동부 내륙지역
(담양, 장성, 화순, 곡성, 구례, 여수, 광양, 순천, 나주, 함평, 영암 등 11개 시군)
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원 : 전라남도 서남해 도서연안지역
(신안, 강진, 장흥, 목포, 무안, 진도, 해남, 완도, 영암, 함평, 영광 등 11개 시군)

제주대 박물관 : 제주도
2.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사업
1)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 1단계 연구사업의 성과
전북대
조선대
목포대
제주대
구분
계획
성과
기본 및 상세서지
6,104건
6,331건
원문이미지
6,104건
6,331건 11,323컷
전자텍스트(단순입력)
285,000자
434,383자
전자텍스트(탈초입력)
206,000자
554,711자
안내정보
4,624건
4,772건
사실정보
5,760건
8,952건
:
:
:
:
정읍
보성
신안
제주
동학농민혁명기념관, 부안 우반동 부안김씨가, 전주 남안재, 원광대 박물관
죽산안씨가, 나주 밀양박씨가, 화순 하백원가, 옥과미술관, 장성 행주기씨가, 광주 김해김씨가
하의도 김해김씨가 및 제주양씨가, 영암 미암 창녕조씨가, 영암 밀양김씨가, 영암 죽정서원
대포리 호적 중초
2.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사업
1)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 연구 사업 내용(웹서비스)
: http://www.kostma.net/sub/Special_Honam.aspx?lang=ko
: http://203.254.129.108/service/

문헌정보 DB 구축 : 기본정보, 상세정보, 안내정보, 사실정보, 원문이미지, 원문텍스트

특화콘텐츠 DB 구축 : 인구정보DB : 戶籍
물가정보DB : 토지매매문기
인물정보DB : 청금록, 좌목, 문인록 등 각종 명단류

학술연구 활동 : 자료집 및 연구서 출판, 전시회, 학술대회 등 추진
2.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사업
2) 조선대 한국학자료센터
○ 연구 사업의 성과
소장처
조사․정리 현황
웹서비스
나주 밀양박씨가
고문서 436건
436
보성 죽산안씨가
고문서 434건
434
화순 하백원가
고문서 112건
112
옥과미술관
고문서 72건
70
광주 김해김씨가
고문서 87건
87
1단계
장성 행주기씨가
364
고문서 5,485건, 고서 684건
장성 행주기씨가
2단계
579
무안 박기종가
고문서 100건, 고서 50책
56
화순 도암면
고문서 200건, 고서 400책
66
홍주송씨가
고문서 26건
기타
합계
100
고문서 6,952건, 고서 1,134책
2,304건
2.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사업
2) 조선대 한국학자료센터
○학술 연구 활동

간행사업 : 2009, 호남권역고문서자료집성 1 -보성죽산안씨고문서
2011, 호남권한국학자료센터 학술총서 1 - 조선후기 호남의 사회와 경제

학술대회 : 2010, 고문서를 통해 본 조선후기 호남의 경제와 사회
2010, 문중고문서를 통해 본 호남지역의 사회와 문화
2010, 전의이씨 석탄 이신의가의 학문과 생활

전시회 : 조선대 박물관과 연계하여 ‘옛기록으로 본 호남명가의 학문과 삶’ 연속 기획
2010, 선비 안방준 도를 묻고 의를 행하다(보성 죽산안씨가 소장 유물전)
2012, 학문의 씨를 뿌리고 문장의 베를 짜다(장성 행주기씨가 소장 유물전)
3. 호남학의 발전방안
1) 한국학자료센터 사업의 한계와 전망
○古文書 집중 사업



고서 및 필사본 자료도 조사 대상에 포함되어 있지만 고문서의 비중이 절대적.
연구사업의 특성화라는 측면에서는 장점이지만, 자료소장자가 소장하고 있는 자료를 종
합적으로 조사해야 하는 기본 원칙에서는 벗어남
다른 연구팀과의 역할 분담 및 상호협력 관계 구축이 필요함
○ Web - Upload 사업


조사 정리된 자료 가운데 업로드 되지 않은 자료의 처리문제
자료집 출판 등 아날로그식 자료 처리 및 보존에 한계성
○ 소규모 연구 인력 및 예산





자료
자료
자료
자료
인접
조사량에 비하여 턱없이 부족한 연구 인력(전임연구원 1, 연구원 1, 연구보조원 1)
소장처에 대한 정보 수집의 한계
조사 대상 지역의 편중
보존 시설을 갖추지 못함 : 기탁, 기증의 어려움, 나아가 자료조사에도 영향
학문 전공자 및 기관의 관심 및 협력 관계 부족
3. 호남학의 발전방안
2) 호남학의 발전 방안
○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 시스템 구축

호남학 자료의 종합적인 조사,수집,정리,연구,활용을 감당할 수 있는 Center 구축

Center를 중심으로 지역 내 연구팀들의 유기적이고 체계적인 협력시스템 구축

다양한 한국학 전공자들의 交流場 확보 및 학제간 융복합 연구사업의 활성화 모색

정보 공유, 사업의 중복성을 피하고, 결과물의 활용도 증대

호남학을 대표하는 종합 Website 제공
○ 자료 보존 시설의 구축

훼손, 멸실 위기에 처해있는 지역학 자료의 보존 실태의 심각성

소장자들이 믿고 맡길 수 있는 자료 보존 시설의 절박함

안동 국학진흥원 Bench-marking
3. 호남학의 발전방안
2) 호남학의 발전 방안
○ 호남학에 대한 관심 증대 및 학문 후속 세대의 양성

한국학에 대한 학생 및 일반인의 거리감을 좁힐 수 있는 방안 모색

자료의 단순 정리 단계에서 나아가 각종 활용 방안 모색

디지털에 친숙한 현대인의 감각에 부합하는 다양한 콘텐츠 개발

지역학 자료를 다루고 연구할 수 있는 신진 인력 양성의 시급함

Center를 중심으로 신진 인력 및 일반인을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