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강훈, 박상현 2011. 3.31. SD 세미나 발표자료
Download
Report
Transcript 김강훈, 박상현 2011. 3.31. SD 세미나 발표자료
SD 세미나 발표자료
인과지도를 활용한
웹 2.0 세대의 정치적 무관심과
정치참여 행태 분석
김강훈, 박상현
2011. 3.31.
목차
2/2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Huntington, 1991; Lipset, 1994; Shine et al., 2005)
지난 20년 동안 민주주의의 공고화와 시민들의 적극적
정치참여(지병근 외, 2008)
국민들의 정치적 무관심과 투표율의 하락문제 대두(Kim,
2009, 2010).
20-30대 젊은 유권자들의 정치적 무관심과 저조한 투표
참여
3/2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전 세계적 현상
정치적 이슈의 부제와 정치적 기대감의 감소
정책과 정책과정의 문제
정치참여행태의 변화
사적영역의 문제
기존의 다양한 이론들과 정치적 담론의 한계점을 지적
인과지도분석을 이용한 접근의 필요성
4/21
한국 민주주의와 웹2.0 세대의 정치 참여 행태
대통령 직접선거
대표성과 책임성을 제고한 국회의원 선거제도
권위주의 법률의 개폐
국민기본권의 신장
군부의 정치개입배제
지방자치제도 시행
시민단체의 정부와 의회에 대한 감시와 견제
정치자금과 정치부패관련 입법의 강화
5/21
한국 민주주의와 웹2.0 세대의 정치 참여 행태
• 다수의 지배로 정의되고 참여와 경쟁과 대표를 원리
• 시민의 자치(self-rule)에 의한 정부
• 시민들은 다양한 정치개입형태요구
• 투표율 하락의 문제점:
다양한 선호들이 잘 반영되지못함
정치적 대표성과 정통성이 상대적으로 취약
대의제 민주주의의 근간을 위협
투표율은 민주주의의 건강함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6/21
한국 민주주의와 웹2.0 세대의 정치 참여 행태
7/21
한국 민주주의와 웹2.0 세대의 정치 참여 행태
8/21
한국 민주주의와 웹2.0 세대의 정치 참여 행태
민주화 이후 민주 대 반민주주의 균열을 대치할 수 있는 새
로운 쟁점부재: 과거 권위주의 정권 하에서 선거는 일반 국
민들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최장집, 2002;
마인섭, 2002)
투표는 안정적인 사회변화와 정치 개혁을 만들어내지 못함
민주화 이후 4번의 정권 교체를 거치면서 지속적인 문제
(예, 경제문제, 청년실업문제, 사교육문제, 주택문제)
디지털 세대들은 점점 정부에 대한 기대감이 감소
9/21
한국 민주주의와 웹2.0 세대의 정치 참여 행태
10/21
한국 민주주의와 웹2.0 세대의 정치 참여 행태
정부의 잘못된 정책 (Lawrence,1997; Nye, 1997)
국민들의 정책의 선호와 정부의 실질적 정책들과 차이
정책결정과정 (Funk, 2001; Hibbing and Theiss-Morse,
2001, 2002; Kim, 2009, 2010)
정치인들의 부정부패, 끝임 없는 정치인들 간의 흠집내기식 정치
행위, 그리고 이기적인 정치적 행위
11/21
한국 민주주의와 웹2.0 세대의 정치 참여 행태
12/21
한국 민주주의와 웹2.0 세대의 정치 참여 행태
13/21
한국 민주주의와 웹2.0 세대의 정치 참여 행태
투표행위, 선거활동과 같은 관습적 청치참여-> 정치집회
참가, 인터넷 토론 및 공직자 접촉과 같은 비관습적인 정
치참여 (예, Dalton and Wattenberg, 1993; Dalton,
2008; 박찬욱, 2005; 김형준, 2004)
온라인 정치참여 증가
무능한 정치권에 대한 극단적 불신
기존의 보수언론이 주도하는 담론생산의 장에 대한 대항
개인주의적 정치성향이 독특한 문화의식 구조와 결합
14/21
한국 민주주의와 웹2.0 세대의 정치 참여 행태
15/21
한국 민주주의와 웹2.0 세대의 정치 참여 행태
개인주의 확산의 결과
사회 전체의 공익과 국가의 미래에 대한 걱정-> 현시점에
당면해있는 사적인 영역(예, 취업, 진로, 병역, 이성)
(변희재․여원동, 2008)
자신들의 스펙 쌓기에 더 많은 관심
16/21
한국 민주주의와 웹2.0 세대의 정치 참여 행태
17/21
종합인과지도 분석
이념 갈등
정당별 정책
차별성
S
O
O O
S
사회 통합
S
지역주의
S
S
O
S
S
정치 신뢰
S S S
정치적 관심
O
O
정치적 이슈
민주화
O
S 보수언론 신뢰
세대 갈등
O
S
정책 만족도
정책 신뢰도
S
S
선거율
S
O O
S
개인주의
O
정치 참여 채널
S O
O
S
S
O
S
군사 독재
O
표현의 자유
O
소셜 미디어
개인 현안
이슈
S
스텔스
민주주의
O
국민 현안
해결 능력
비관습적
정치참여
S
S
S
18/21
종합 인과지도 분석
민주화 진전과 정치 이슈 부재
정치 신뢰 문제
정책 만족도
이념 갈등
정당별 정책
차별성
O
O O
S
S
사회 통합
정책 신뢰도
S
S
S
S
S
정치 신뢰
O
S
지역주의
S
S
O
S
S
S
O
O
정치적 이슈
민주화
현안
국민 현안
해결 능력
O
소셜 미디어
정치적 관심 S
O
S 보수언론 신뢰
개인
세대 갈등
선거율
S
O O
개인주의
O
O
개인 현안
이슈
S
스텔스
민주주의
정치 참여 채널
S O
S
S
O
S
표현의 자유
군사 독재
O
비관습적
정치참여
S
S
S
O
정치 참여 방식 변화
19/21
결론 및 시사점
디지털 세대의 낮은 선거율은 단순히 정치적 무관심,
개인주의적 성향, 비관습적인 정치참여, 민주화의 진전
등의 개별적인 원인에 의한 현상이기 보다는 이들간의
복합적인 동태적 행태 변화에 기인
비관습적인 정치참여는 관습적 정치참여에 대한 거부
반응으로 작용
관습적 정치참여 방식인 선거보다 비관습적 정치참여
가 활성화 될 경우 세대 갈등, 스텔스 민주주의 확산,
사회통합 장애 등이 발생하여 그간 노력해온 민주화가
역행
20/21
결론 및 시사점
비관습적 정치 참여 활동이 궁극적으로 선거라는 관습적
정치 참여로 이어질 수 있는 정책 대안필요
정치 신뢰 회복을 위한 노력이 선행되어야 함
스텔스 민주주의 확산과 개인주의 확산은 자기강화적 피
드백에 따른 악순환이 발생할 수 있음
따라서 이에 대한 대책으로 전체적인 행태가 안정된 균
형 루프를 갖출 수 있도록 시스템적 보완을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필요
2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