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cript chap10(1)
제10장 감염병관리 각론
1. 급성감염병
2. 만성감염병
I. 급성감염병(1)
• 감염병
– 급성감염병 : 발생률 높고 유병률 낮음
• 소화기계 감염병 : 장티푸스, 콜레라, 세균성이질,
폴리오, 유행성간염 등
• 호흡기계 감염병 : 디프테리아, 홍역, 성홍열, 유행
성이하선염, 풍진 등
• 절족동물 매개감염병 : 페스트, 발진티푸스, 말라리
아, 유행성일본뇌염 등
• 동물 매개감염병 : 공수병, 렙토스피라증, 탄저 등
– 만성감염병 : 발생률 낮고 유병률 높음
1
I. 급성감염병(2)
• 참고
– WHO가 공식적으로 지구상에서 박멸되었다고
선언한 감염병
• 천연두(두창)생물테러감염병
2
I. 급성감염병(3)
• 1. 소화기계 감염병
– 수인성 감염병
• 분변으로 배설된 병원체음식물 또는 물 오염경
구적 침입
• 공기(X)
– 종류
• 장티푸스, 콜레라, 세균성이질, 폴리오, 유행성간염,
파라티푸스 등
3
I. 급성감염병(4)
• 1) 장티푸스(typhoid fever)
– 특징
• 세계적으로 분포
• 우리나라에 상주(원발성)하는 전형적인 여름철 수
인성감염병의 대표적인 질병
• 제1군감염병
– 임상증상
• 지속적인 고열, 불쾌감, 식욕감퇴, 서맥, 림프절 종
창, 피부발진(장미진), 변비 등
• 급성 열성전신질환 감염병
4
I. 급성감염병(5)
– 전파
• 환자나 보균자의 대소변에 오염된 음식물이나 물에
의해 전파
• 병원소 : 사람사람간의 전파경로만 차단
– 예방접종
• 질병에 걸릴 가능성이 높은 사람이나 장티푸스에
걸려 타인에게 감염시킬 위험이 높은 사람
• 항생제 남용으로 비전형적인 감염과 보균자가 늘고
있음
– 환자의 진단
• 혈청검사 : widal test
5
I. 급성감염병(6)
– 병원체
• Salmonella typhi(티푸스균)
• 그람음성이며 아포 및 협막이 없는 간상균
– 병원소 및 감염원
• 병원소 : 환자와 보균자
• 감염원 : 환자나 보균자의 대소변
6
I. 급성감염병(7)
– 전파
• 감염자의 대소변식품이나 물 오염
• 잠복기 : 1~3주
• 균배출 : 치료하지 않는 경우 약 10%의 환자는 발병
후 3개월까지 균을 배출하고 2~5%는 영구보균자
• 감염 부위 : 장의 림프조직, 담낭 및 신장 등
– 감수성
•
•
•
•
7
전반적으로 높음
회복시 일반적으로 영구면역
화학요법으로 치료한 경우는 영구면역 안됨
인공능동면역 :사균 vaccine 사용
I. 급성감염병(8)
– 예방대책
•
•
•
•
8
환경위생의 관리 및 보균자의 색출(가장 중요)
환자 및 보균자 관리 철저
보건교육 및 예방접종의 강화
예방접종으로 질병을 감소시킬 수는 있으나 근절은
못함
I. 급성감염병(9)
– 장티푸스 관리 상 감염원에 대한 대책
•
•
•
•
환자의 담낭절제 수술
환자나 보균자 색출
환자 격리
환자 치료
• 파리나 바퀴의 구제
환경요인으로 감염경로의 차단대책이며 감염원에
대한 대책은 아님
9
I. 급성감염병(10)
• 2) 콜레라(cholera)
– 임상 증상
•
•
•
•
•
심한 설사로 탈수상태, 사망
위경련을 동반하는 불안 증세, 의식불명상태
보통 열이 없음
복통은 없음
제1군감염병
– 검역감염병
• 인도, 방글라데시, 동남아 일대에 상재
10
I. 급성감염병(11)
– 진단
• 대변이나 직장도말검사
– 병원체
• Vibrio cholerae
• 한 개의 편모를 가지고 있는 단간균
– 병원소 및 감염원
• 병원소 : 환자
• 감염원 : 환자의 배설물(대변, 구토물(토사물) 등)
11
I. 급성감염병(12)
– 전파
• 오염된 물오염된 식품(식기, 손, 파리 등)
• 잠복기 : 12~18시간, 최장 5일
– 감수성
• 전반적으로 높음
• 병이 회복된 후에는 수년간의 면역
• 인공능동면역 : 사균 vaccine
12
I. 급성감염병(13)
– 예방대책
•
•
•
•
•
•
13
해외 유입감염병으로 검역 철저
중증 탈수환자는 정맥주사를 통한 수액 공급
환자의 신속한 보고 및 격리
환경위생의 강화(대변, 물의 소독, 파리의 구제 등)
식품의 가열 후 섭취 / 식기의 관리
보건교육의 강화와 예방접종 실시
I. 급성감염병(14)
• 3) 세균성이질(bacillary dysentery)
– 이질의 종류(원인체에 따라)
• 세균성 이질 제1군감염병
• 아메바성 이질
• 바이러스성 이질
– 임상증상
• 고열과 구역질, 경련성 복통, 배변 후 불편감을 동반
한 설사, 점액이나 혈액이 혼입된 혈변
• 대장의 점막에 심한 궤양 형성
• 대․소장의 급성세균성감염
• 어린이들에게는 전신적 경련
14
I. 급성감염병(15)
– 병원체
• Shigella dysenteriae(A아군), S. flexneri(B아군), S.
boydii(C아군), S. sonnei(D아군)
• A아군 : 가장 심함
• D아군 : 경증이며 점액성 혈변이 없음
– 병원소 및 감염원
• 병원소 : 환자
• 감염원 : 환자의 분변
• 잠복기 : 2~7일
15
I. 급성감염병(16)
– 감수성
• 성인<소아, 질병 회복 후의 면역은 불확실
– 전파
• 분변으로 탈출하여 파리나 불결한 손을 통하여 식
품 등으로 경구적 침입
– 예방대책
• 장티푸스와 동일한 관리
• 예방접종은 실시되지 않음
– 예방접종 백신은 개발이 시도되었으나 아직 유용한 백신
은 없음
• 배변 후 손씻기
16
I. 급성감염병(17)
• 4) 폴리오(poliomyelitis:급성회백수염)
– 특징
• 소아마비, 제2군감염병
• 중추신경계의 손상으로 영구적인 마비를 일으키는
급성 감염병
• 세계적으로 골고루 분포
• 6~9월에 많이 발생(늦은 여름과 초봄에 다발)
•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환자 발생이 거의 없음
17
I. 급성감염병(18)
– 병원체
• 폴리오바이러스
• 종류 : I형, II형, III형I형이 마비형 폴리오와 관계
가 있음
– 병원소 및 감염원
• 병원소 : 환자 및 불현성 감염자
• 감염원 : 환자 및 불현성 감염자의 호흡기계 분비물
과 분변
18
I. 급성감염병(19)
– 전파
•
•
•
•
환자 및 불현성 감염자와의 직접 접촉
비말감염 전파
식품이나 물에 의한 전파는 드물며 증거 불충분
오염된 하수오물을 통한 전파가 많음
– 감수성
• 미감염자는 연령에 관계없이 감염보통은 불현성
감염
• 일반적으로 소아기에 면역을 획득
• 잠복기 : 7~12일
19
I. 급성감염병(20)
– 예방대책
• 예방접종이 가장 중요하며 효과가 확실
• 혼합형 sabin vaccine(생백신)을 경구 투여
• 경구 투여가 불가능한 경우 주사용 salk vaccine을
사용
• 생후 2개월에서 2개월 간격으로 3회 기본접종을 하
고 추가접종은 생후 18개월에 실시
20
I. 급성감염병(21)
• 5) 유행성 간염(infectious hepatitis)
– 특징
• 주로 어린 연령층에서 급성간염을 일으키며 대부분
회복
– 간염의 종류
• A형, B형, C형(nonA nonB), delta형
• 유행성 간염(감염성 감염)은 A형에 의해서 발생
– 제1군감염병
21
I. 급성감염병(22)
– 병원체
• A형 바이러스
– 병원소 및 감염원
• 병원소 : 환자
• 감염원 : 환자의 분변
– 전파
• 환자의 분변탈출식품 등에 오염경구로 침입
• 오염된 손을 통해 경구로 침입
22
I. 급성감염병(23)
– 감수성
• 어린 연령층에서 감수성이 높으며 급성감염을 일으
키나 대부분이 회복되며 병이 회복된 후 다소의 면
역력이 생김
• 잠복기 : 15~40일
– 예방대책
• 환경위생의 강화
• 식품의 위생적인 취급
23
I. 급성감염병(24)
• 6) 파라티푸스(paratyphoid fever)
– 특징(장티푸스와 비교)
• 장티푸스와 비슷한 증세
• 기간이 짧고 증세가 미약
• 제1군전염병
– 임상증상
• 위장염을 일으키기도 하여 식중독과 구별하기 힘듬
• 주로 여름철에 많이 발생
24
I. 급성감염병(25)
– 병원체
• Salmonella paratyphi A․B․C형의 세 종류
• 우리나라는 B형이 가장 많음
– 병원소 및 감염원
• 병원소 : 환자와 보균자
• 감염원 : 환자와 보균자의 대소변
– 전파
• 환자 또는 보균자의 배설물에 오염된 식품 등에 의
하여 경구 침입
• 오염된 손 등에 의하여 직접 감염
25
I. 급성감염병(26)
– 감수성
• 보편적이고 질병이 완쾌된 후 면역성이 수년간 생
성
• 잠복기 : 1~2주, 침입균량이 많을 때 1~10일
– 장티푸스의 잠복기 는 1~3주이므로 잠복기가 장티푸스보
다 짧음
– 예방대책
• 장티푸스와 동일
26
I. 급성감염병(27)
• 2. 호흡기계 감염병
– 직접전파
• 비말(droplet) 전파
– 공기전파
• 비말핵(droplet nuclei), 먼지
– 대책
• 환경개선으로 효과를 보기 어려움
• 감염원 및 감수성 보유자의 관리가 특히 중요
– 호흡기계 감염병 질병
27
• 디프테리아, 백일해, 홍역, 성홍열,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인플루엔자 등
I. 급성감염병(28)
• 1) 디프테리아(diphtheria)
– 특징
• 인후, 코 등의 상피조직에 국소적 염증
• 장기조직에 장애
• 체외독소를 분비하여 혈류를 통해 신체 각 부위에
운반
• 겨울과 봄에 많음
• 우리나라는 10세 이하, 특히 1~4세 층이 전 환자의
60%를 차지
• 10세 이상에는 급격히 발생이 감소
• 호흡장애와 심장마비가 사망원인
28
I. 급성감염병(29)
– 병원체
• Corynebacterium diphtheriae
• 그람양성간상균이며 아포를 형성하지 음
– 병원소 및 감염원
• 병원소 : 환자 및 보균자, 보균자에 의한 전파 많음
• 감염원 : 환자 및 보균자의 콧물, 인후 분비물, 기침
등에 발생하는 비말 및 비말핵
– 전파
• 비말이나 비말핵이 호흡기나 피부 상처 등을 통하
여 전파
• 잠복기 : 2~5일간
29
I. 급성감염병(30)
– 감수성
•
•
•
•
생후 6개월간은 모체로부터 받은 면역 유효
감수성지수 : 10%
회복된 후 약한 면역
병후보균자의 감염력이 큼(디프테리아&장티푸스)
– 예방대책
• 예방접종이 중요
• 환자가 발생된 경우 격리와 소독 필요
• 예방접종은 순화독소(toxoid)가 이용
제2군감염병
• 감염이 의심될 때에는 항독소(antitoxin)가 이용
30
I. 급성감염병(31)
• 2) 백일해(pertussis)
– 특징
•
•
•
•
•
•
•
•
31
전 세계적으로 유행
겨울에서 봄까지 유행
기관지와 모세기관지에 주 병변이 생겨 심한 기침
9세까지의 발생이 높고, 특히 1~5세에 많이 발생
1세 이하에는 치명률이 높음
초기에는 감기와 비슷한 증상
약 2주 동안 격렬한 기침과 경련성 발작
우리나라는 4~7월에 많이 발생
I. 급성감염병(32)
– 병원체
• Bordetella pertussis
• 운동성이 없는 그람음성균, 아포나 편모는 없음
– 병원소 및 감염원
• 병원소 : 환자
• 잠복기 : 1주일 전후
– 전파
• 감염자와 직접 접촉 감염
• 비말감염, (객담오염) 또는 오염된 물품
32
I. 급성감염병(33)
– 감수성
• 모체로부터 받는 수동면역이 없음
• 7세 이하에서 발생률 높음
• 회복된 후 영구면역
– 예방대책
• 조기 예방접종이 중요(사균백신)
제2군감염병
• DTP접종 : 디프테리아, 백일해, 파상풍
• 환자가 발생 시 격리와 소독
33
I. 급성감염병(34)
• 3) 홍역(measles)
– 특징
• 법정감염병 중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던 감염병
• 세계 전 지역에서 거의 아이들에게만 발생하는 감
염력이 가장 강한 감염병(1~2세)
• 주기적으로서 1~5(2~3)년 간격으로 유행
• 3~6월에 많이 발생
• 열과 전신에 발진, 이염(耳炎), 폐렴의 합병증
• 항생제의 발달로 큰 문제가 되지는 않음
34
I. 급성감염병(35)
– 병원체
• Measle 바이러스
– 병원소 및 감염원
• 병원소 : 환자
• 감염원 : 환자의 상기도 분비물
– 전파
• 비말감염 또는 환자와의 직접 접촉이나 오염된 물
건을 통하여 전파
• 잠복기 : 8~13일, 발진 14일
• 초기 증상 : 고열, 기침, Koplik 반점
35
I. 급성감염병(36)
– 감수성
• 이환된 후 영구면역 획득
• 생후 6개월까지는 모체로부터 받은 항체로 감염이
되지 않음
• 선천면역(X)
• 발진기보다 전구기가 감염의 위험이 가장 큼
– 예방대책
• 예방접종이 가장 중요
제2군감염병
• 예방접종을 할 시간적 여유가 없으면 감마글로블린
을 사용하여 예방 또는 경증화
36
I. 급성감염병(37)
• 4) 성홍열(scarlet fever)
– 특징
• 피부발진을 일으키는 용혈성(hemolysis) 구균질환
의 일종
– 용혈성 : 적혈구를 파괴하는 성질
• 온대지방에 많이 유행(우리나라 5월 전후)
• 진단법 : dick test 방법
• 갑자기 시작되는 발열, 두통, 구토, 복통, 오한, 인후
염
• 발진은 주 증상이 있은 후 12~48시간 뒤에 선홍색
의 작은 구진이 목, 겨드랑이, 사타구니에서 생겨 몸
통이나 사지로 퍼져나감
37
I. 급성감염병(38)
– 병원체
• 화농연쇄상구균(Streptococcus pyogenes) 중 일명
Dick’s toxin이라는 발적독을 생성 분비하는 균
– 병원소 및 감염원
• 병원소 : 환자나 보균자
• 감염원 : 환자나 보균자의 상기도나 중이부 등 감염
부위에서 나오는 분비물
– 전파
• 환자의 분비물이 호흡기나 외상 부위로 침입
• 잠복기 : 3일 전후
38
I. 급성감염병(39)
– 감수성
• 보통
– 예방대책
• 환경위생의 강화
• 환자의 발견 및 격리
39
I. 급성감염병(40)
• 5) 유행성이하선염(mumps):볼거리
– 특징
• 이하선(귀밑샘)을 침범하여 종창, 오한, 미열, 두통
이 계속되다가 이하선이나 고환, 난소, 젖샘 등에 감
염되는 것
• 특히 생식선의 감염에 주의
• 어린아이에게서 많이 발생
• 평균잠복기간 : 18일
• 발열, 두통, 근육통, 식욕부진, 구토 등
• 체내 여러 부분으로 침투할 수도 있음
40
I. 급성감염병(41)
• 오래 지속되지는 않지만 몇 가지 합병증이 나타날
수도 있음
• 임신 초기(4개월 이내)에 임산부가 감염되면 기형아
를 출산할 수도 있음
• 어린 시절 청각장애의 주요한 원인
41
I. 급성감염병(42)
– 병원체
• Mumps 바이러스
– 병원소 및 감염원
• 병원소 : 환자
• 감염원 : 환자의 침에 섞여 나오는 비말이나 비말핵
– 전파
• 환자의 비말에 의한 직접전파
• 비말핵에 의한 간접전파
• 잠복기 : 2~4주
42
I. 급성감염병(43)
– 감수성
• 보통이며 이환(현성감염) 및 불현성감염시 영구면
역을 획득
– 대책
• 환자의 격리가 중요
• 환자의 분비물에 오염된 물건의 소독
• 예방접종
제2군감염병
43
I. 급성감염병(44)
• 6) 풍진(German measles:rubella)
– 특징
•
•
•
•
•
홍역보다 증상이 가벼우나 감염력이 강함
열이 나고 목 뒤의 림프절이 커지면서 발진이 생김
임신 초기에 이환되면 태아에 영향을 줌
잠복기 : 14~21일(약 16일)
열과 발진이 있을 때에는 격리 필요
– 병원체
• Rubella 바이러스
44
I. 급성감염병(45)
– 병원소 및 감염원
• 병원소 : 환자
• 감염원 : 환자의 인두에서 배출되는 비말이나 비말
핵
– 전파
• 비말이나 비말핵(유행성이하선염과 동일)
• 잠복기 : 2~3주
– 감수성
• 감수성이 높으며 출생 후 몇 개월은 면역성이 있고,
이환 후 영구면역을 획득
45
I. 급성감염병(46)
– 예방대책
• 예방접종 실시(임산부에게는 예방접종을 금함)
제2군감염병
• 임신 초기에 이환되었을 때는 감마글로블린 주사
• 환자의 격리
46
I. 급성감염병(47)
• 7) 인플루엔자(influenza)
– 특징
• 유행성 감기 또는 독감
• 갑작스런 발열(38~40℃), 오한, 두통, 근육통 및 전
신쇠약
• 범세계적으로 유행 / 감염력이 매우 강함제3군
• 발열기간은 약 2주이며 40세 이상 환자는 사망가능
• rickettsia가 혈액을 통하여 전신에 퍼져, 특히 뇌, 심
근 및 모세혈관에 혈전과 괴사가 생길 수 있음
• 발병 후 5~6일에 발진이 배와 목에 나타나 전신에
퍼지나 얼굴에는 생기지 않음
47
I. 급성감염병(48)
– 병원체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형, B형, C형
• 해마다 유행하는 유형은 일정하지 않음
– 병원소 및 감염원
• 병원소 : 환자
• 감염원 : 환자의 비말
– 전파
•
•
•
•
48
비말에 의한 직접전파
오염된 물건에 의한 간접전파
잠복기 : 24~72시간
감염기간 : 환자의 임상적 증상 후 3일까지
I. 급성감염병(49)
– 감수성
• 어린 학령기 아동의 감수성이 높음
• 이환 후에는 유행하는 바이러스균에 대하여는 면역
– 예방대책
• 유행시에는 대중이 많이 밀집한 장소 금지
• 예방접종 : A형과 B형을 혼합한 vaccine
• 다른 유형의 균이라면 면역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움
49
I. 급성감염병(50)
• 8) 중증 급성호흡기증후군(SARS,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
– 특징
• 전세계적 신종 감염병/ 우리나라 검역감염병
• 2~7일이 지나면 가래가 없는 마른기침
• 혈중 산소 포화도가 낮아지면서 대부분의 환자는
회복이 되지만, 10~20%의 환자에게서는 호흡부진
이 나타나고, 인공호흡이 필요해지는 질환
– 병원체
• 사스 코로나바이러스(SARS Corona virus)
50
I. 급성감염병(51)
– 병원소 및 감염원
• 병원소 : 환자
• 매개체 : 사향고양이인수공통감염병, 제4군감염
병
• 감염원 : 환자의 비말
– 전파
• 환자가 기침․재채기․말할 때 배출되는 호흡기 비말
• 잠복기 : 5일(2~10일)
51
I. 급성감염병(52)
– 감수성
• 감수성은 높으며, 처음에는 인플루엔자 의사증상이
발생
• 대부분의 80~90%의 환자에게서는 6~7일째 증상이
호전되나 10~20% 정도의 환자는 중증으로 발전
• 사망률은 3~4%
– 예방대책
• 백신이나 예방약이 개발되어 있지 않음
• 감염위험지역으로 여행 자제
• 손 씻기를 철저히 하여 직접 접촉으로 인한 감염예
방
52
I. 급성감염병(53)
• 신종인플루엔자 A(H1N1)
– 병원체
• 돼지인플루엔자(Swine influenza)에서 생긴 새로운
형태의 H1N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 제4군감염병
– 잠복기
• 2~3일, 최장 7일
– 증상
• 발열(37.8℃ 이상),기침, 콧물, 목 통증
– 예방대책
53
• 백신이 개발됨, 치료는 항바이러스제 투여
I. 급성감염병(54)
• 3. 절족동물 매개 감염병
– 페스트, 발진티푸스, 말라리아, 유행성 일본뇌
염, 신증후군출혈, 쯔쯔가무시증 등
54
I. 급성감염병(55)
• 1) 페스트(pest)
– 특징
•
•
•
•
•
•
•
55
흑사병
고도의 치명률
림프선종 또는 폐렴을 일으킴
선페스트(림프선형) : 패혈증
폐페스트(폐렴형)
북․중남미, 중앙 및 남부 아프리카, 중앙아시아
고열과 맥박이 약해지며 패혈증
I. 급성감염병(56)
– 병원체
• Pasteurella pestis, 그람음성균
– 병원소
• 사람, 야생설치류, 특히 쥐
– 전파
• 선페스트 : 쥐벼룩(쥐쥐 / 쥐사람)
• 폐페스트 : 비말감염(사람사람)
• 잠복기 : 선페스트 2~4일, 폐페스트 2~6일
– 감수성
• 이환 후 일시적 면역 인정
56
I. 급성감염병(57)
– 예방대책
• 예방접종은 사균 vaccine을 이용
• 백신은 예방효과가 불충분
– 페스트균에 위험 노출성이 많은 실험실 요원과 페스트 감
염 위험직업에 종사하는 자에게 권장
• 검역 철저히제4군감염병
• 서식의 확인 및 구제
• 환자의 격리와 즉각적인 소독
57
I. 급성감염병(58)
• 2) 발진티푸스(epidemic typhus)
– 특징
• 발열, 근통, 전신신경증상, 발진(장미진) : 출혈성
• 제3군감염병
– 병원체
• Rickettsia prowazeki(리케차 프로바제키)
– 병원소
• 환자
58
I. 급성감염병(59)
– 전파
• 환자로부터 이의 흡혈이의 장관 내 증식배설물 탈
출사람의 피부 찰과상이나 상처
• 먼지를 통하여 호흡기계로 감염
• 잠복기 : 1~14일, 보통 12일
– 감수성
• 이환 후 영구면역 형성
– 예방대책
• 발생보고의 신속
• 환자의 격리
• 이의 구제 및 예방접종
59
I. 급성감염병(60)
• 3) 말라리아(malaria)
– 특징
•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이환되는 급성전염병 중의
하나/우리나라는 중부지역(경기북부) 주로 발생
• 학질, 전형적인 오한, 고열 및 체온 감소
• Plasmodium속 원충이 적혈구와 간 세포 내에 기생
• 급성 열성감염증
• 인체의 적혈구 내에 기생하면서 적혈구가 파괴되어
주기적인 열발작, 빈혈, 비종대 등
• WHO가 선정한 6대 열대병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질환
60
I. 급성감염병(61)
– 병원체
• 기생충 중 원충류로서 Plasmodium vivax(3일열 말
라리아), P. falciparum(열대성 말라리아) 등
– 병원소
• 환자 및 보균자
– 전파
•
•
•
•
61
모기에 의해서 매개전파
인체 내 : 무성생식, 중간숙주
모기 체내 : 유성생식, 종말숙주
잠복기 : 3일열 말라리아 13~15일
I. 급성감염병(62)
– 감수성
• 면역은 형성되지 않는 것으로 보임
– 예방대책
•
•
•
•
중국얼룩날개모기(Anopheles sinensis)의 구제
환자의 절대안정
모기유충 및 성충의 박멸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해야 함
– 참고) 말라리아 종류
• 3일열, 4일열, 난형열, 열대성 말라리아
62
I. 급성감염병(63)
• 4) 유행성 일본뇌염(Japanese
encephalitis)
– 특징
•
•
•
•
8~10월에 많이 발생
뇌에 염증을 일으키며 치명률은 40% 정도
고열과 빠른 맥박, 환자의 90%가 두통을 호소
오심, 구토의 증상, 신경증상
– 병원체
• 일본뇌염 바이러스
– 병원소
63
• 돼지
I. 급성감염병(64)
– 전파
• 바이러스혈증을 일으키고 있는 돼지를 흡혈한 일본
뇌염모기(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us)
가 사람을 흡혈할 때 전파
• 감염자 1,000명 중에 1~2명만이 현성감염
대부분 불현성환자
• 잠복기간 : 5~14일
64
I. 급성감염병(65)
– 감수성
• 3~15세의 어린이가 감수성이 높음
• 이환 후 면역이 형성
• 4세 이하의 어린이에게서 경련증상을 보이며 치명
률이 높음
– 예방대책
• 모기의 구제와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함
• 예방접종 실시
제2군감염병
• 환자격리(X)
65
I. 급성감염병(66)
• 5) 신증후군 출혈열(epidemic hemorrhagic
fever:유행성출혈열)
– 특징
• 늦봄(5~6월)과 늦가을(10~11월), 특히 주로 가을에
발생하는 급성감염병
• 증상 : 고열, 결막 충혈, 구토 등
• 1976년 이호왕 교수에 의해 원인균이 규명
• 연령, 성별에 관계없이 누구에게나 발생
• 가을철 열성(발열)질환 : 유행성출혈열, 쯔쯔가무시
병, 렙토스피라증 중의 하나
• 제3군감염병
66
I. 급성감염병(67)
– 병원체
• 한탄바이러스
– 병원소
• 등줄쥐
– 전파
• 등줄쥐의 배설물과 등줄쥐에 기생하는 좀진드기
• 잠복기 : 9~35일
– 감수성
• 상습 발생지역에 새로 이주하는 사람은 일정한 감
수성이 있음
67
I. 급성감염병(68)
– 예방대책
• 들쥐 구제
• 들쥐의 배설물, 진드기에 접촉되지 않도록 들에서
의 피부 노출을 금지
• 현재 예방접종약 개발됨
68
I. 급성감염병(69)
• 7) 쯔쯔가무시증(양충병)
– 특징
• 털진드기의 유충이 사람을 물어서 걸림
• 급성 발열성질환으로 주로 가을철 야외활동시 털진
드기에 물려 감염
• 사람간 감염이 되지 않아 격리 및 소독이 필요 없음
• 제3군감염병
• 전신 피부에 홍반
– 병원체
• Rickettsia tsutsugamushi(리케치아 쯔쯔가무시)
69
I. 급성감염병(70)
– 병원소
• 들쥐 및 털진드기(양충)
– 전파
• 병원체를 보유한 털진드기가 사람에게 전파
• 잠복기 : 약 10일
– 예방대책
•
•
•
•
70
산림지역, 목초지 등에서 피부 노출을 금지
유행시기에 관목 숲이나 유행지역에 피할 것
긴 옷을 입을 것
야외활동 후 귀가시 먼지를 털고 목욕
I. 급성감염병(71)
• 4. 동물매개 감염병:인수공통감염병(zoonosis)
– 특징
• 동물과 사람 사이에 상호전파되는 병원체에 의하여
발생되는 감염병
•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일본뇌염, 브루셀라증, 탄
저, 공수병, 동물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 중증 급성
호흡기증후군(SARS), 변종 크로이츠펠트-야콥병
(vCJD), 렙토스피라증 등
71
I. 급성감염병(72)
• 1) 장출혈성 대장균 감염증
– 특징
•
•
•
•
출혈성 장염
주로 출혈을 동반한 수양성 설사
주로 6~9월에 걸쳐 많이 발생
제1군감염병, 인수공통감염병
– 원인균
•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 주요 원인균은 O157:H7이며, 그 외 O17:H18,
O26:H11, O11:H8 등
72
I. 급성감염병(73)
– 전파
• 균에 오염된 햄버거 등 갈은 고기를 섭취한 경우
• 충분히 멸균되지 않은 우유, 주스, 균에 오염된 야채
또는 샐러드
• 가축배설물로 오염된 물 섭취
– 예방대책
• 물은 반드시 끓여서 섭취
• 육류제품은 충분히 익혀서 섭취
• 야채류는 염소처리한 청결한 물로 잘 씻어서 섭취
73
I. 급성감염병(74)
• 2) 브루셀라증
– 특징
• 브루셀라속 세균에 의해 감염된 동물로부터 사람이
감염되어 발생
• 제3군감염병, 인수공통감염병
– 병원체
• 그람음성간구균으로 Brucella abortus(소), Brucella
melitensis(염소, 양), B. suis(돼지), B. canis(개)
– 병원소
• 브루셀라균에 의해 감염된 동물
74
I. 급성감염병(75)
– 전파
• 감염동물과의 접촉이나 감염된 육류제품의 섭취
– 예방대책
• 가축에 대한 예방접종
• 유제품의 살균
• 육류는 익혀 먹음
75
I. 급성감염병(76)
• 3) 탄저(anthrax)
– 특징
• 소, 말, 양, 산양 등의 가축에 급성패혈증
• 동물의 치명률은 75~100%
– 병원체
• bacillus anthracis로 포자를 형성하므로 외계에서도
저항력이 강함
– 병원소
• 소, 말, 산양, 양 등
76
I. 급성감염병(77)
– 전파
• 가축 : 오염된 사료를 통해 경구 감염
• 사람 : 피부 감염과 기도로 감염, 오염된 육류를 섭
취하여 장 탄저 발생
– 감수성
• 사람은 자연면역이 잘 안되나 개, 고양이, 조류는 면
역력이 있음
– 예방대책
77
• 가축은 약독화된 vaccine 접종
• 감염동물은 도살
• 가축과 접촉이 많은 경우 청결 유지와 감염 의심시
세균학적 진단 실시
I. 급성감염병(78)
• 4) 공수병(rabis)
– 특징
• 광견병
• 음식이나 물을 보기만 해도 근육(특히 목의 근육)에
경련침을 많이 흘리고얼굴에 바람이 스치기만
해도 인후 및 경부근육에 경련
• 임상증상 : 근육 마비, 혼수상태 등으로 거의 100%
사망하는 정확한 치료법이 없는 질병
치명률 아주 높음
– 병원체
• rabis 바이러스
78
I. 급성감염병(79)
– 병원소
• 감염동물의 침
– 전파
• 감염된 동물에 물렸을 때 감염
• 잠복기 : 보통 2~8주
– 감수성
• 온혈동물은 모두 감수성이 있음
79
I. 급성감염병(80)
– 예방대책
• 개에 대한 예방접종의 실시 및 야생견의 도살
• 동물 수입시 검역
• 감염이 의심되는 개에 물린 경우 10일간 관찰하여
백신접종 여부를 결정
80
I. 급성감염병(81)
• 5) 동물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
– 특징
• 급성 호흡기감염병으로 발열, 기침, 근육통 등 전형
적인 인플루엔자 유사증상(Influenza-like illness)
• 안구감염, 폐렴, 급성호흡기부전 등 중증호흡기 질
환
• 잠복기 : 7일(3~10일)
– 병원체
• AI 바이러스
– 병원소
• 조류
81
I. 급성감염병(82)
– 전파
• 감염된 가금류(닭, 오리, 칠면조 등)와의 접촉
• 감염된 조류의 배설․분비물에 오염된 사물과의 접
촉
• 매우 드물게 사람 간의 전파가 발생
– 예방대책
•
•
•
•
82
예방접종 실시-제4군, 인수공통
개인위생 강화
의료인의 경우 개인보호구 착용
치료 : 항바이러스제 복용
I. 급성감염병(83)
• 6) 크로이츠펠트-야콥병(CJD) 및 변종 크로
이츠펠트-야콥병(vCJD)
– 특징
• 크로이츠펠트-야콥병(CJD)
– 쇠고기의 섭취와 상관이 없으며, 세계적으로 인종, 문화,
경제적 수준 등에 무관하게 일정한 수준으로 발병
– 발생률 : 백만 명당 0.5~2명
• 변종 크로이츠펠트-야콥병(vCJD)
– 우해면양뇌병증(BSE, 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광우병)에 걸린 쇠고기의 특정 위험부
위를 먹고 걸리는 병
83
I. 급성감염병(84)
– 병원체
• 우해면양뇌병증 병원체(BSE agent)
– 병원소
• BSE 병원체에 감염된 소
– 전파
• 우해면양뇌병증에 걸린 쇠고기, 특히 변형 프리온
단백질이 많이 들어 있는 부위인 특정위험물질
(SRM, Specified Risk Material)을 섭취할 때 발생
– 예방대책
• 쇠고기를 수입할 때 검역을 강화
• 소의 특정위험물질(SRM)이 수입되지 않도록 할 것
84
I. 급성감염병(85)
• 7) 렙토스피라증(leptospirosis)
– 특징
전 세계적으로 발생
주요 발생 국가 : 벼농사 지역(극동 및 동남아시아)
초기증상으로는 고열, 오한, 두통, 구토 등
다리에 힘이 없고 폐에서 출혈
스피로헤타(spirocheta)균에 의해 일어나는 급성전
신 감염증
• 9~10월에 주로 발생
• 제3군감염병
•
•
•
•
•
85
I. 급성감염병(86)
– 병원체
• Leptosira icterohaemorrhagiae
– 병원소
• 특히 들쥐, 감염된 동물의 배설물
– 전파
• 감염된 들쥐의 배설물을 통해 배출된 후 논에 고여
있는 물이나 습기있는 조건에서 증식한 후 사람의
피부 상처를 통해 감염
• 잠복기 : 10일 전후
86
I. 급성감염병(87)
– 감수성
• 연령적으로 논밭에서 일할 수 있는 20~60세의 연령
층에서 많이 발생
– 예방대책
•
•
•
•
87
들쥐의 구제
논과 밭 등에서 작업을 할 때는 피부 보호
작업 후에는 손발을 깨끗이
농부들, 하수도 종사자들은 흙이나 물과의 직접적
인 접촉을 피하기 위하여 장화 등을 사용
II. 만성감염병(1)
• 1) 결핵(tuberculosis)
– 특징
•
•
•
•
•
•
88
신체의 모든 장기에 감염 / 급성 또는 만성질환
문제가 되는 것은 주로 폐결핵
Koch(1882년) : 결핵균(Tubercle bacillus) 발견
1920년대 : 결핵 예방 백신 개발
1940년대 : 스트렙토마이신과 파스
1950년 이후 : 아이나 등의 약제의 개발로 치료효율
향상
II. 만성감염병(2)
• 만국병 : 우리나라의 경우 감염병 중 가장 많이 걸리
는 질병의 하나
• 1980년 중반부터 빠른 속도로 환자가 감소
• 법정감염병(제3군) 중 발생률과 사망률 1위
89
II. 만성감염병(3)
• 문제점
– 무분별한 약물의 남용으로 난치성의 내성균을 보유한 환
자
• 결핵 관리의 어려운 점
– 치료기간이 오래 걸리고 치료 도중 치료를 중단하게 되면
균에 내성이 생겨 치료에 어려움이 많음
• 결핵감염 증상
– 피로감, 발열, 체중 감소 등
– 기침, 흉통, 객혈 등
90
II. 만성감염병(4)
– 병원체
•
•
•
•
•
•
Mycobacterium tuberculosis
항산성 간균으로 그람양성
주위환경이나 소독제에 강함
직사광선 하에서도 20~30시간 생존이 가능
열에 약하여 70℃에서 5분 안에 사멸
종류 : 인형, 우형, 조형, 파충형
인체감염이 되는 것은 인형과 우형(드뭄)
– 병원소
• 사람, 드물게 소
91
II. 만성감염병(5)
– 전파
• 폐결핵 : 객담이나 비말, 감염이 문제가 되는 것의
대부분
• 신장결핵 : 소변
• 장결핵 : 분변
• 소 : 우유, 담, 분변
• 인체감염 : 비말감염, 우유로 인한 감염, 균에 의해
오염된 식기나 식품
– 감수성
• 유병률 : 도시>농촌
남자>여자 (약 2배)
92
II. 만성감염병(6)
– 예방대책
•
•
•
•
•
93
인공능동면역
평상시 건강을 관리하여 숙주의 저항력을 키움
조기진단 및 조기치료로 중증화 예방
감염성환자는 개인위생 및 가족의 검진 필수
전파를 최소화
II. 만성감염병(7)
– 결핵관리사업
• 환자 발견(성인)
– X선 간촬X선 직촬(환자 확정)객담검사(등록관리)
• 예방접종사업
– 생후 4주의 영아에게 BCG(Bacille de Calmette et Guerin)
접종 실시
• 학령기 아동(초 1~6)
– Tuberculin test(결핵검사)
– PPD(purified protein derivates:순화단백제) 사용
– PPD 0.1%를 피내에 접종하여 48시간 후 관찰로서 발적
부위에 따라 판단 및 조치
» PPD 반응검사결과 음성인 경우 : BCG 접종
» 양성인 경우는 X선 간촬X선 직촬객담검사
94
II. 만성감염병(8)
• PPD 접종결과의 판정결핵감염여부 진단
–
–
–
–
4mm 이내:음성(-):결핵균에 접촉 없었음:BCG 접종
5~9mm:의양성(±):결핵균에 접촉 의심:X선 간촬
10mm 이상:양성(+):결핵균에 접촉:X선 간촬
2중발적․경결:강양성(++):결핵균에 강한 접촉:X선 간
촬
• 개방성 결핵환자에 폭로된 후 Tuberculin test에 민
감하게 반응하는 시기
– 3주일 이내
95
II. 만성감염병(9)
• 2) 한센병(나병, leprosy)
– 특징
•
•
•
•
•
잠복기 : 몇 개월~40년
10~20대, 남성(2배)이 발병률 높음
1940년대 효과적인 치료약제 개발, 현재 발생 드뭄
증상 : 피부말초신경의 손상
진단방법
– Bargher에 의하여 고안된 lepromin반응 검사
• 한센병 유형
– 나종형, 유결핵형 및 중간형
– 나종형은 점차 중증으로 진행되어 결절이 생기고 곧 결절
부분이 파괴
96
II. 만성감염병(10)
– 병원체
• Mycobacterium leprae, 항산성 간균
– 병원소 : 환자
– 전파
• 간접 전파 : 감염환자의 배설물, 분비물 등
• 직접 전파
– 감수성
• 균의 전파력이 약한 편으로 사람에게 접촉은 긴 기
간의 접촉으로 감염
• 잠복기 : 2~10년
• 미감아(未感兒) : 부모가 환자이며 증상 없는 어린이
97
II. 만성감염병(11)
• 예방대책
– 환자발견, 감염성 환자의 격리․치료
– 환자와의 접촉자에 대한 검진
– 대한나관리협회에서 나병에 대한 검사, 계몽, 치료 등의
업무를 수행
98
II. 만성감염병(12)
• 감염병에 대한 검사방법
– 한센병 : lepromin test
– 결핵 : Tuberculin test
– 장티푸스 : widal test
– 디프테리아 : Schick test
– 성홍열 : Dick test
99
II. 만성감염병(13)
• 3) 성병(venereal diease)
– 특징
• STD(sexually transmitted disease) : 성행위전파질
병(WHO)
• 예방 및 관리가 간단
• 균 내성이 생기는 경우 치료학적 문제
100
II. 만성감염병(14)
– (1) 매독(syphilis)
• 특징
– 1차적 증상 : 성기의 구진, 무통성하감 등
– 2차적 증상 : 피부발진 등
– 3차적 증상 : 장기간의 잠재기를 지나서 심맥관계와 중추
신경계에 병변
– 모태를 통하여 감염된 태아 : 유산이나 사산, 선천성 매독
• 병원체
– Treponema pallidum, 혐기성 세균
• 병원소:환자
• 전파
– 성적 접촉
– 초기 매독환자의 혈액
101
II. 만성감염병(15)
– 감수성
• 전반적으로 높으며 면역의 형성은 없음
– 예방대책
•
•
•
•
102
환자의 색출
환자의 진단
환자의 관리
보건교육 등
II. 만성감염병(16)
– (2) 임질(gonorrhea)
• 특징
– 성행위전파질병 중 비임균성요도염과 함께 가장 많이 발
생하는 질병
– 남성 : 소변시 통증을 동반하며 요도 고름, 부고환염 등
– 여성 : 요도염과 약한 자궁경관염, 자궁내막염, 난관염 등
불임의 원인
– 성인의 비뇨생식기에 감염전신감염
– 출생시 눈에 감염된 신생아는 심각한 안질환1% 질산은
(AgNO3) 용액으로 눈씻기
• 병원체
– Neisseria gonorrhea, 그람음성쌍구균
103
II. 만성감염병(17)
• 병원소
– 환자
• 전파
– 성행위시 성기의 접촉
– 모성 환자로 인한 출산시 신생아 결막염
• 감수성
– 전반적으로 감수성이 높고 면역이 되지 않아 반복감염
104
II. 만성감염병(18)
• 4) B형간염(hepatitis B)
– 특징
• 종류 : A형, B형, C형 및 delta형
– A형 : 급성감염병(유행성간염), 제1군감염병
– B형 : 만성으로 이환되며 치사율이 높음, 제2군감염병
– C형 : 지정감염병
• 증상
– 피로감, 식욕감퇴, 발열, 오한, 황달 등
– 병원체
• B형간염 virus(DNA virus)
105
II. 만성감염병(19)
– 병원소
• 환자 및 보균자
– 전파
• 환자의 혈액ㆍ침ㆍ정액ㆍ질 분비물 등에 오염된 주
사기나 면도날 등
• 성 접촉 등
• 모체로부터 수직감염
• 잠복기 : 평균 2~3개월
• 급성, 만성, 건강 보균자도 감염력이 있음
106
II. 만성감염병(20)
– 감수성
• 혈액취급의료종사자, 혈액제제 수혈자, 남성동성연
애자, 약물중독자 및 수용소나 집단생활자 등은 특
히 감염의 기회가 많음
• 자연감염 후 면역력 획득
– 예방대책
• B형간염은 특별한 치료제가 개발되어 있지 않음
• 예방접종
• 항원ㆍ항체검사
– 산모는 반드시 출산 전에 항원(HBsAg) 양성인지 확인
• 조기치료 / 개인위생관리
107
II. 만성감염병(21)
• 4)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 특징
•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HIV)에 사람이 감염되어 체
내 면역체계가 파괴되는 것
• 이환된 후 치료 방법이 아직까지 개발되지 않음
• 임상증상 : 미열, 피로감, 체중 감소, 부스럼, 림프절
비대와 함께 폐렴과 카포시육종이 합병
• 후천성면역결핍증 예방법 제정(1987년)
• 제3군감염병
108
II. 만성감염병(22)
109
II. 만성감염병(23)
– 병원체
•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 병원소
• 환자 및 감염자(보균자:HIV양성자)
• 환자 : 감염된 상태에서 면역결핍증상인 주폐포자
층 폐렴, 카포시육종 등의 증상을 보이는 자
– 전파
• 환자 및 감염자와의 성적 접촉, 수혈, 주사기 등
• 남자 동성연애자들만 걸린다.(X)
• 감염원 : 환자나 감염자의 혈액, 타액, 정액, 눈물, 모
유, 소변 등
110
II. 만성감염병(24)
– 감수성
• 성별 : 남자, 연령별 : 20~49세의 중년층, 인종별 :
백인종
• 잠복기 : 6개월에서 7년
• HIV가 백혈구에 침입하여 면역기능을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없앰
– 예방대책
111
•
•
•
•
•
건전한 성생활(가장 중요)
보건교육의 강화
수혈에 사용되는 혈액에 관한 철저한 검사
환자와 감염자의 관리와 추구관리
환자의 혈액 및 분비물에 대한 소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