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라이드 1

Download Report

Transcript 슬라이드 1

제8장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 일반함수모형
 개요(introduction)
- 편도함수의 정의는 독립변수들 간에 어떤 함수관계도
존재하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함(즉, 상호독립적).
- 그러나 일반함수형태가 모형에 포함되면, 어떤 명시적
축약형의 해를 얻을 수 없을 경우에는, 그러한 편리한
방법은 기대할 수 없음.
- 예를 들어, 단순한 국민소득모형에서
Y=C+I0+G0
C=C(Y, T0)
[여기서 T0는 외생변수로서의 조세]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 일반함수모형
- 앞의 두 모형은 Y*를 구하기 위해 하나의 단일방정식
(하나의 균형조건)으로 다음과 같이 축약할 수 있음.
Y=C(Y, T0)+I0+G0
- 그러나 소비함수 C가 일반함수형태로 주어져 있어서
명시적인 해를 얻는 것은 불가능함.
- 균형해 Y*를 외생변수 I0, G0, T0의 미분가능함수라면,
Y*=Y*(I0, G0, T0) 또는 Y*C(Y*, T0)+I0+G0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 일반함수모형
- 만일 앞의 식에서 ∂Y*/∂T0를 구하고자 한다면, 함수
C에 포함된 두 변수는 서로 독립적이지 않음.
- 왜냐하면, 이 경우 T0는 직접적으로 C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Y*에 대해서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침.
- 따라서 편미분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 수 없음.
- 결과적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미분
(total differentiation)이라는 편미분의 대비 개념이
필요함.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 일반함수모형
- 전미분의 과정은 전도함수(total derivative)의 개념과
관련됨.
- 전도함수는 C(Y*, T0)와 같은 함수에서 독립변수 T0가
다른 독립변수 Y*에 영향을 줄 때, 변수 T0에 관한
그 함수의 변화율의 정도를 나타냄.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 미분(differentials)
 미분과 도함수(differentials and derivatives)
- 도함수 dy/dx=f(x)는 차분몫의 극한임.
dy
lim ⊿y
=f(x)= ⊿x0
dx
⊿x
- 따라서 ⊿y/⊿x 그 자체는 (⊿x0의 규정없이) dy/dx와
같지 않음.
- 여기서 이 두 몫의 불일치를 로 나타내면,
⊿y dy
⊿y dy
= 또는
=
+ [단, ⊿x0에 따라 0]
⊿x dx
⊿x dx
- ⊿x가 0에 무한접근하면, 불일치항 도 0에 무한접근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 미분(differentials)
 미분과 도함수(differentials and derivatives)
- 앞의 식을 양변에 ⊿x를 곱하면 다음과 같음.
dy
⊿y=
⊿x+⊿x 또는 ⊿y=f(x)⊿x+⊿x
dx
- 이 식은 ⊿x의 특정변화로 인한 y의 변화(⊿y)를 나타냄.
- 여기서 ⊿x가 충분히 작은 수이면 도 충분히 작은 수가
되고, ⊿x는 더욱 작은 수가 됨.
- 따라서 f(x)⊿x는 y의 증분 ⊿y의 근사값으로 사용할 수
있음.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 미분(differentials)
 미분과 도함수(differentials and derivatives)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 미분(differentials)
 미분과 도함수(differentials and derivatives)
- [그림 8.1]의 x0에서 x0+⊿x로 변하면, y=f(x) graph에서
점 A에서 점 B로 이동함.
- 이때 ⊿y는 CB이고, 두 거리의 비율(=기울기)은 CB/AC=
⊿y/⊿x임.
- 이를 수식으로 다시 정리하면,
CB
⊿y
⊿y=
⊿x=
AC=CB
AC
⊿x
dy
CD
dy=
dx=
AC=CD
dx
AC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 미분(differentials)
 미분과 도함수(differentials and derivatives)
- 여기서 점 A를 지나는 접선을 그리고, CB 대신 CD를
⊿y의 근사값으로 사용하면, 불일치 또는 근사값 오차는
DB가 됨.
- AD의 기울기는 f(x0)이므로, ⊿x가 감소함에 따라(⊿x0)
점 B에서 점 A로 이동함. 이에 따라 불일치를 줄이고
f(x0), 즉 dy/dx를 ⊿y/⊿x에 더 가까운 근사값으로 만듬.
- 따라서 ⊿x가 감소함에 따라 dy와 ⊿y의 차이도 0에
접근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 미분(differentials)
 미분과 도함수(differentials and derivatives)
- [그림 8.1]에서 접선 AD의 기울기는 dy/dx가 됨.
- 따라서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음.
dy
=접선 AD의 기울기=f(x)
dx
- 위 식의 양변을 dx로 곱하면,
dy=f(x)dx
따라서 dx의 어떤 특정한 값이 주어지면, 그것에 f(x)를
곱함으로써 ⊿y의 근사값으로서의 dy를 구할 수 있음.
- 변화량 dy와 dx를 각각 x와 y의 미분(differential)이라 함.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 미분(differentials)
 미분과 점탄력성(differentials and point elasticity)
- 수요함수 Q=f(P)의 가격탄력성은 (⊿Q/Q)/(⊿P/P)로
정의됨.
- 위 식에서 근사값을 사용하면, 독립적 변화 ⊿P와 종속
적 변화 ⊿Q는 dP와 dQ로 바꿀 수 있음.
- 따라서 d(elasticity를 나타내는 그리스 문자 epsilon)
로 표현되는 수요의 점탄력성(point elasticity)이라는
근사값으로서의 탄력성측도를 얻음.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 미분(differentials)
 미분과 점탄력성(differentials and point elasticity)
- 수요의 점탄력성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음.
dQ/Q dQ/dP 한계함수(marginal function)
d=
=
=
Q/P
평균함수(average function)
dP/P
- 수요의 점탄력성은 평균함수에 대한 한계함수의 비율
- 위 식에서
=
완전탄력적(perfectly elastic)
1
탄력적(elastic)
d =1 일 때 수요는 단위탄력적(unitary elastic)
1
비탄력적(inelastic)
=0
완전비탄력적(perfectly inelastic)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 미분(differentials)
 미분과 점탄력성(differentials and point elasticity)
- 수요함수 Q=100-2P일 때 수요의 점탄력성(d)?
Q 100-2P
dQ
=-2 및
=
P
P
dP
- 평균함수에 대한 한계함수의 비율인 점탄력성은
dQ/dP
100-2P
-P
d=
=-2/
=
P
Q/P
50-P
- 이처럼 탄력성은 P의 함수로 주어짐. 따라서 특정한
가격이 선택되면 점탄력성의 크기가 결정됨.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 미분(differentials)
 미분과 점탄력성(differentials and point elasticity)
- 예를 들어, P=25일 때 d=-1 또는 d=1이므로 수요는
이 가격(점)에서 단위탄력적임.
- P=30일 때 d =1.5이므로 수요는 이 가격에서 탄력적임.
- 만약 25P50일 때 d1이므로 수요는 탄력적이고,
0P25일 때 d1이므로 수요는 비탄력적임.
- 여기서 만약 P=50이라면 d=(완전탄력적)가 되고,
P=0라면 d=0(완전비탄력적)이 됨.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 미분(differentials)
 미분과 점탄력성(differentials and point elasticity)
- 공급함수 Q=P2+7P일 때 공급의 점탄력성(s)?
Q
P2+7P
dQ
=2P+7 및
=
=P+7
P
P
dP
- 평균함수에 대한 한계함수의 비율인 점탄력성은
dQ/dP 2P+7
s=
=
P+7
Q/P
- 여기서 P=2일 때, 공급탄력성의 값은 11/9(1)임.
따라서 공급은 P=2에서 탄력적(elastic)임.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 미분(differentials)
 미분과 점탄력성(differentials and point elasticity)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 미분(differentials)
 미분과 점탄력성(differentials and point elasticity)
- 앞의 [그림 8.2]에서 두 경우 모두 곡선상의 점 A에서
(또는 정의역 x=x0에서) 한계함수의 값은 접선 AB의
기울기로 측정됨.
- 한편, 평균함수의 값은 직선 OA(원점에서 곡선상의
점 A를 연결한 직선)의 기울기로 측정됨.
- 따라서 점 A에서 점탄력성은 평균함수와 한계함수의
기울기 수치의 비교로 알 수 있음.
- 점 A에서 ⒜의 경우 비탄력적, ⒝의 경우 탄력적임.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 미분(differentials)
 미분과 점탄력성(differentials and point elasticity)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 미분(differentials)
 미분과 점탄력성(differentials and point elasticity)
- 점탄력성은 두 기울기 수치의 비교로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비교되는 두 기울기는 두 각(m과 a; 하첨자
m과 a는 한계와 평균을 의미)의 크기에 의존함.
- 따라서 두 기울기를 비교하는 대신에 이에 상응하는
두 각을 비교해도 무방함.
- [그림 8.2]⒜는 (ma) 비탄력적, ⒝는 (ma) 탄력적
- [그림 8.3]에서는 ⒜와 ⒝ 기울기의 두 각이 모두 같음
(m=a). 즉, 주어진 곡선상의 점 C에서 단위탄력적임.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 미분(differentials)
 미분과 점탄력성(differentials and point elasticity)
- 지금까지 살펴본 기하학적 방법은 함수 y=f(x)의 종속
변수 y가 세로축에 표시되고 있음을 유의해야 함
(왜냐하면, 경제학에서는 정반대로 표시하기 때문).
- 따라서 수요와 공급의 점탄력성을 구하고자 할 때,
종속변수인 수요(Qd)와 공급(Qs)이 가로축에 위치하면
점탄력성을 구하는 방법은 정반대로 수정되어야 함.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 미분(differentials)
 전미분(total differentials)의 개요
- 미분의 개념은 독립변수가 둘 이상인 다변수함수에
대해서도 확장할 수 있음.
- 함수 z=f(x, y)에서 x와 y의 증분을 각각 ⊿x, ⊿y라면,
⊿z=f(x+⊿x, y+⊿y)-f(x, y)
- 위 식의 우변에서 f(x, y+⊿y)를 빼고 더하면,
⊿z=[f(x+⊿x, y+⊿y)-f(x, y+⊿y)]+[f(x, y+⊿y)-f(x, y)]
- 첫 번째 대괄호 안에서 x는 변하고 y는 고정되어 있고,
두 번째 대괄호 안에서 y는 변하고 x는 고정되어 있음.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 전미분(total differentials)
 전미분(total differentials)의 개요
- 한편, 앞의 식은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함.
f(x+⊿x, y+⊿y)-f(x, y+⊿y)
=fx(x, y)+1
⊿x
f(x, y+⊿y)-f(x, y)
=fy(x, y)+2
⊿y
- 여기서 각각 ⊿x, ⊿y를 양변에 곱하고,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남.
⊿z=fx(x, y)⊿x+fy(x, y)⊿y+1⊿x+2⊿y
- 위에서 fx와 fy는 각각의 편도함수(partial derivatives)임.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 전미분(total differentials)
 전미분(total differentials)의 개요
- 한편, 앞의 식에서 ⊿x와 ⊿y가 각각 0에 무한접근하면,
각각의 불일치항인 1과 1도 0에 무한접근함.
- 따라서 1⊿x와 1⊿y도 더욱 더 작은 수가 되므로, z의
총변화(dz)는 근사값으로 다음과 같이 미분됨.
∂z
∂z
dz=
dx+
dy 또는 dz=fx(x, y)dx+fy(x, y)dy
∂x
∂y
- 위 식에서 dz는 두 원천으로부터 발생하는 변화의 합
이기 때문에, 이것을 dz의 전미분이라 함.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 전미분(total differentials)
 전미분(total differentials)
- 예를 들어, 저축함수 S=S(Y, i); 여기서 S는 저축, Y는
국민소득, i는 이자율임.
- 여기서 각각의 편도함수 ∂S/∂Y는 한계저축성향(MPS),
∂S/∂i는 한계이자율성향(MPI)을 나타냄.
- 따라서 Y의 미소변화 dy에 따른 S의 변화는 근사값
(∂S/∂Y)dy로, i의 미소변화 di에 기인하는 S의 변화는
근사값 (∂S/∂i)di로 나타낼 수 있음.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 전미분(total differentials)
 전미분(total differentials)
- 그러면, 저축 S의 총변화는 다음과 같이 미분으로 근사
할 수 있음.
∂S
∂S
dS=
dY+
di 또는 dS=SYdY+Sidi
∂Y
∂i
- 만약 i는 일정한데 Y만 변한다면, 이 경우 di=0이 되고,
전미분은 dS=(∂S/∂Y)dY로 되고, 양변을 dY로 나누면
∂S dS
=
∂Y dY
- 따라서 편도함수 ∂S/∂Y는 독립변수 i가 일정하다는 전제
하에 두 미분 dS와 dY의 비율과 같음.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 전미분(total differentials)
 전미분(total differentials)
- n개의 독립변수로 구성된 일반함수형태의 효용함수
U=U(x1, x2,, xn)
- 위 함수의 전미분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음.
∂U
∂U
∂U
dU=
dx1+
dx2++
dxn
∂x1
∂x2
∂xn
또는 dU=U1dx1+U2dx2++Undxn=Uidxi
- 위 식에서 우변의 각 항은 어떤 하나의 독립변수가
미소변화할 때 초래되는 총효용변화의 근사값임.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 전미분(total differentials)
 전미분(total differentials)
- 다른 함수와 마찬가지로 점탄력성을 구할 수 있음.
- 그러나 각 탄력성은 여러 개의 독립변수 중 오직 어떤
하나의 독립변수 변화에 대한 종속변수 변화로 정의됨.
- 따라서 앞서 저축함수는 두 개의 탄력성이 정의될 수
있고, 효용함수는 n개의 탄력성이 정의될 수 있음.
- 이 때, 각각의 독립변수 변화에 대한 종속변수 변화는
편도함수가 되고, 이들의 탄력성을 편탄력성(partial
elasticity)이라 함.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 전미분(total differentials)
 전미분(total differentials)
- 앞에서의 저축함수에 대한 편탄력성은 다음과 같음.
∂S/∂Y ∂S Y
∂S/∂i ∂S i
SY=
=
Si=
=
S/Y
∂Y S
S/i
∂i S
- 효용함수에 대한 n개의 편탄력성은 다음과 같음.
∂U/∂xi ∂U xi
Uxi=
=
(i=1, 2,, n)
U/xi
∂xi U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 전미분(total differentials)
 전미분(total differentials)
- 예 1 : U(x1, x2)=ax1+bx2 (여기서 a, b0)
∂U
∂U
=U1=a
=U2=b
∂x1
∂x2
dU=U1dx1+U2dx2=adx1+bdx2
- 예 2 : U(x1, x2)=x12+x23+x1x2 (여기서 a, b0)
∂U
∂U
=U1=2x1+x2
=U2=3x22+x1
∂x2
∂x1
dU=U1dx1+U2dx2=(2x1+x2)dx1+(3x22+x1)dx2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 전미분(total differentials)
 전미분(total differentials)
- 예 3 : U(x1, x2)=x1ax2b (여기서 a, b0)
ax b
∂U
ax
1
2
=U1=ax1a-1x2b=
∂x1
x1
ax b
∂U
bx
1 2
=U2=bx1ax2b-1=
∂x2
x2
ax1ax2b
bx1ax2b
dU=U1dx1+U2dx2=(
)dx1+(
)dx2
x1
x2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 전미분(total differentials)
 전미분(total differentials)
- 예 4 : z=2x+5xy+y
∂z
∂z
=z1=2+5y
=z2=5x+1
∂x
∂y
dz=z1dx+z2dy=(2+5y)dx+(5x+1)dy
- 예 5 : z=2x2+y2
∂z
∂z
=z1=4x
=z2=2y
∂y
∂x
dz=z1dx+z2dy=4xdx+2ydy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 전미분(total differentials)
 전미분(total differentials)
- 예 6 : u=xy2z3
∂u
∂u
∂u
2
3
3
=u1=y z
=u2=2xyz
=u3=3xy2z2
∂x
∂y
∂z
du=u1dx+u2dy+u3dz=y2z3dx+2xyz3dy+3xy2z2dz
x1
- 예 7 : y=
x1+x2
∂y
x2
∂y
-x1
=y1=
=y2=
2
∂x1
(x1+x2)
∂x2
(x1+x2)2
x2
-x1
dy=y1dx1+y2dx2=
dx1+
dx2
2
2
(x1+x2)
(x1+x2)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 미분연산법칙(rules of differentials)
 함수 y=f(x1, x2)의 전미분 dy를 구하는 간단한 방법은
편도함수 f1과 f2를 구하고, 다음 식에 대입하는 것임.
dy=f1dx1+f2dx2
- 그러나 다음과 같은 미분법칙을 적용하는 것이 편리함.
- 여기서 k는 상수이고, u, v는 변수 x1, x2의 함수임.
 [법칙 1] dk=0
(상수함수의 법칙)
 [법칙 2] d(cun)=cnun-1du
(멱함수의 법칙)
 [법칙 3] d(uv)=dudv
(합과 차의 법칙)
 [법칙 4] d(uv)=vdu+udv
(곱의 법칙)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 미분연산법칙(rules of differentials)
u
1
 [법칙 5] d(
)= 2 (vdu-udv) (몫의 법칙)
v
v
 [법칙 6] d(uvw)=dudvdw
 [법칙 7] d(uvw)=vwdu+uwdv+uvdw
 이상의 법칙들이 응용되는 실례를 살펴보기로 함.
- 예 1 : y=5x12+3x2
이 함수의 편도함수 f1=10x1 및 f2=3이므로 구하고자
하는 미분은 dy=f1dx1+f2dx2=10x1dx1+3dx2
그러나 u=5x12과 v=3x2로 놓고, 미분법칙을 적용하면,
dy=d(5x12)+d(3x2)=10x1dx1+3dx2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 미분연산법칙(rules of differentials)
- 예 2 : y=3x12+x1x22
편도함수 f1=6x1+x22와 f2=2x1x2이므로 구하고자 하는
미분은 dy=f1dx1+f2dx2=(6x1+x22)dx1+2x1x2dx2
u=3x12과 v=x1x22로 놓고, 미분법칙을 적용하면,
dy=d(3x12)+d(x1x22)=6x1dx1+x22dx1+x1d(x22)
=(6x1+x22)dx1+2x1x2dx2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 미분연산법칙(rules of differentials)
x1+x2
- 예 3 : y=
2x12
-(x1+2x2)
1
편도함수 f1=
와 f 2=
이므로 구하고자
3
2
2x1
2x1
-(x1+2x2)
1
하는 미분은 dy=f1dx1+f2dx2=
dx1+
dx2
3
2
2x1
2x1
u=x1+x2와 v=2x12으로 놓고, 미분법칙을 적용하면,
dy=(1/4x14)[2x12d(x1+x2)-(x1+x2)d(2x12)]
=(1/4x14)[2x12(dx1+dx2)-(x1+x2)4x1dx1]
=(1/4x14)[-2x1(x1+2x2)dx1+2x12dx2]
-(x1+2x2)
1
=
dx1+
dx2
3
2
2x1
2x1
 일반함수모형의 비교정태분석
 미분연산법칙(rules of differentials)
- 예 3 : y=3x1(2x2-1)(x3+5)
위 식의 편도함수 f1=3(2x2-1)(x3+5), f2=2(3x1)(x3+5),
f3=3x1(2x2-1)이므로 구하고자 하는 미분은
dy=f1dx1+f2dx2+f3dx3=3(2x2-1)(x3+5)dx1
+2(3x1)(x3+5)dx2+3x1(2x2-1)dx3
u=3x1, v=2x2-1, w=x3+5으로 놓고, 미분법칙을 적용
dy=(2x2-1)(x3+5)d(3x1)+3x1(x3+5)d(2x2-1)
+3x1(2x2-1)d(x3+5)
=3(2x2-1)(x3+5)dx1+2(3x1)(x3+5)dx2+3x1(2x2-1)dx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