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교육-정경운_교수-_0(1MByte)

Download Report

Transcript 문화예술교육-정경운_교수-_0(1MByte)

문화예술교육 성격 및 정책
2011. 09. 16.
전남대 문화전문대학원
정경운
100_문화예술교육이란?
1. 몇 가지 고민해야 할 지점
1) 정책용어로서의 문화예술교육을 넘어서기 위해 어떤 내용을 구축해야 할 것인가?
2) 현재 우리 시대나 교육상황을 어떻게 인식할 것인가?
3) 문화예술을 위한 교육인가? 문화예술을 통한 교육인가?
문화예술적 삶을 위한 교육인가?
4) 문화예술교육은 삶의 모순을 돌파할 힘이 있는가?
5) 문화예술교육은 궁극적으로 무엇을 지향하는가?
1
100_문화예술교육이란?
2. 문화예술교육의 일반적 의미
- 지식교육과 대비되는 의미의 감성교육
- 활자교육과 대비되는 의미의 체험교육
- 경쟁교육과 대비되는 의미의 소통을 위한 교육
3. 문화예술교육의 확산적 의미
- 정서적, 신체적 왜곡에 대한 교육적 대응
- 일상과 주변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위한 교육
=> 문화예술을 기초로 지식과 체험을 확장하고 교육하는 차원을 넘어섬.
인간의 존재성에 뿌리를 두고 개인과 공동체의 삶의 근본에 관계된 활동으로
삶의 전 과정 자체를 조직하는 교육.
(*최근 화두 : 인문성, 공동체성, 지역성)
2
110_문화예술교육 사례
* 경기도 양평군 ‘세월초등학교’
- 4년 전부터 교사들이 문화예술교육으로 학교와 마을에 활기를 불어넣고자 시작
- 교사와 학생 주도, 마을주민과 학부모 전문가 협력, 1년간의 장기 프로젝트,
교과연계, 마을축제연계
1학년 <그림 책 속에서 마을 만나기>
2학년 <마을 속 자연탐사>
학년별 교과연계
3학년 <마을풍경 그리기>
프로그램
4학년 <마을지도 그리기>
5학년 <마을 표지판 만들기>
6학년 <다큐 영화 만들기>
학년간 통합 프로그램
지역주민 연계 프로젝트
<빈집 프로젝트> : 마을 폐가를 하나의 미술작품으로 구상, 친숙한 집으로 탈바꿈하는 작업
지역공동체연극, 마을영화만들기, 타일벽화만들기, 마을사진전
3
- 마을은 집과 세계의 중간으로서,
그 둘을 연결하는 매개역할
- 세상을 대하는 자신의 관점이 마
을에서부터 형성
4
200_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형성 과정
1. 정책의 추진 배경
1) 1990년대 : 지자체 실시 이후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문예회관, 문화의 집 등
문화기반시설 건립 확대
2) 1998년 : 전국 1,200여 개 문화기반시설에 대한 평가를 통해 운영체계, 프로
그램 콘텐츠 부문까지 확장. 지역단위 매개기관의 역할 강화
2. 정책의 형성 과정
1) 2002년 : 한국예술경영학회(문화예술교육진흥 법안 마련)
2) 2003년 : 문화행정혁신위원회를 통해 문화예술교육 정책 제안
6월 : 문화부 내 문화예술교육 TF 설치
정책 기본 방향 수립 : ‘지역사회 문화기반시설과 학교 간 연계체계
구축을 통한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추진계획’(문광부/교육인적자원부)
3) 2004년 : 문광부 내 문화예술교육과 설치(‘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종합계획’ 발표)
4) 2005년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설립(문화예술교육지원법 제정)
5
300_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의의와 지향
점
1. ‘문화예술교육정책’의 의의
1) 개념
: 문화예술교육 서비스에 대한 국민의 수요를 파악하고 개발하여 그에 적합한
문화예술교육 서비스 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하는 것을 말함
2) 방향 : 체험적 교육을 중심
3) 지원법
① 문화예술교육 : 문화예술, 문화산업, 문화재를 교육내용으로 하거나 교육과정
에 활용하는 교육
② 범주 : 학교문화예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육
6
300_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의의와 지향
점
∙ 학교문화예술교육 : 보육시설, 유치원, 학교에서 교육과정의 일환으로 행해지는
문화예술교육
∙ 사회문화예술교육 : 문화예술교육시설, 문화예술교육단체, 각종 시설 및 단체
등에서 행하는(학교문화예술교육 외의 모든 형태의)
문화예술교육
2. 지향점
- 모든 국민의 문화예술 향유와 창조력 함양을 위한 교육 지향
- 모든 국민은 나이, 성별, 장애, 사회적 신분, 경제적 여건, 신체적 조건,
거주지역 등에 관계없이 자신의 관심과 적성에 따라 평생에 걸쳐
문화예술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기회를 균등하게 보장
7
400_ 학교문화예술교육
1. 비전
: 학생들이 일상의 삶 속에서 문화예술을 경험하고 이를 통해 창의적 자아표현,
통합적 사고, 다양성의 이해, 타인에 대한 이해 및 소통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들이 미래사회를 위한 문화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함
2. 정책 방향
: 학생의 자발적인 경험을 중시하는 과정 중심의 교육 내용 운영
8
400_ 학교문화예술교육
3. 내용
사업
내용
- 국악, 연극, 영화, 무용, 만화애니, 디자인, 공예, 사진
예술강사 방문교육 지원
(현재 전국 5,772개학교에 4,164명 강사 출강)
- 문학, 뮤지컬 분야 시범사업 실시
예술꽃씨학교 지원
문화기반시설 연계 창의적
체험활동 지원
기타
- 전국 소규모 초교를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 거점학교 육성(현재 26개교 운영)
-문예회관, 박물관, 미술관, 문화원, 문화의집 등 전국의 문화기반시설과 함께 프로
그램 개발 및 운영
- 학교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
- 교육위원회 및 강사협의회 운영
- 예술강사 교육활동 평가
- 특별강사제도 운영
4. 분석
- 초중고교, 특히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교 안에서 이루어지는 교과수
업, 방과 후 수업 등에 예술 강사를 파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짐
- 학교문화예술교육은 학교 체계가 제도화되어 있기 때문에 교과부와의 협력
에 의해 비교적 빠른 속도로 성장해 온 것으로 평가
9
410_새로운 정책 방향
* <창의성과 인성 함양을 위한 초중등 예술교육 활성화 기본 방안>
(문광부/교과부, 2010.7.8)
1. 교과활동에서의 예술교육 강화
: 예술 수업모델 개발∙보급 및 예술교과교실 등 예술교육 환경조성을 통해
일반학교에서의 교과활동을 통한 예술교육 강화
1) 교육과정
: 다양한 예술수업모델 보급.적용 및 예술교과의 시수 확대 유도
- 음악∙미술 등 정규예술교과의 시수 확대 유도, 예술수업모델 적용
(소리입히기, 이야기만들기, 이미지 만들기, 손으로 보기 등)
- 일반교과에도 해당 교과 특성과 부합하는 예술수업 기법 적극 활용
(국어+연극, 영어+미술 등)
10
410_새로운 정책 방향
2) 시설
: 1학교 1예술실 사업, 예술교과 교실제 추진
- 각 학교 예술교실 확보와 현대화
- 예술교과교실제 : 예술중점학교 등 예술교육을 전문으로 하는 중고등교에
예술고 수준의 전용교과 교실 설치
3) 인력
: 초중등 예술강사 파견 확대
- 현재 4,150명에서 2012년까지 총 7,000명 규모 파견
초등학생의 예술강사 수혜율 : 현재 35% → 50% 확대
- 정규예술교과수업 및 일반교과 등에서의 활용 확대
4) 우선 적용
: 예술교육선도학교 지정(’11년 320개교 지정 → ’12년 680개교 추가 지정)
11
410_새로운 정책 방향
2. 학교-지역사회 연계를 통한 예술교육 강화
: 박물관, 도서관 등 문화시설을 통한 창의적 예술체험 활동 지원
대학생 문화봉사제도 확대
1) 프로그램 개발
: 문화예술교육자원지도 개발
- 전국 문화기반시설의 예술교육 목록화, 프로그램의 체계적 조사.수록
- 문화기반시설을 활용한 다양한 체험프로그램 개발.제공 병행
- ‘창의체험자원지도’와 연계해 창의적 체험 활동 수업 및 방과후학교 수업 활용
2) 프로그램 질 관리
: 문화예술체험 ‘프로그램 인증제’ 도입을 통한 명품교육 브랜드 정립
12
410_새로운 정책 방향
3) 대학생 봉사
- 대학생 문화봉사제도 도입(학점 부여 등)
문화예술소외/취약계층의 현장과 연결
3. 예술.체육중점학교 활성화 및 확대
: 기 지정 예술.체육중점학교(30개교) 조기 정착 및 추가 지정
(’12년 총 100개교 운영 목표)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