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통일 신라의 조직

Download Report

Transcript 3)통일 신라의 조직

081980 황다혜

1. 삼국시대
1)
2)
3)
4)
신라의 형성
신라의 발전
신라의 비약
신라의 조직



중앙정치제도
지방제도
군사, 사회체제
2. 남북조 시대
1) 신라의 삼국통일
2) 통일신라의 발전
3) 통일신라의 조직



중앙정치제도
지방제도
군사제도
4) 통일신라의 사회
변동(멸망 이유)
상대
•박혁거세(B.C57)~
진덕여왕(654)
•소국가에서 고대
국가로 발전 팽창
•고구려 백제와 양
립
중대
•태종무열왕(654)
~ 혜공왕(785)
•백제와 고구려
가 멸망한 직후
•신라 문화의 황
금기
하대
•선덕왕(780)~
경순왕(935)
•왕위계승싸움
으로 혼란해져
가는 시기





진한 12개국 가운데 경주평야에 자리잡은 국장국가
인 사로국에서 출발(사로국에는 6촌이 있었음)
북쪽의 유이민들로부터 선진적인 문화를 받아들이
고 낙랑군과 교역하여 낙랑의 무기와 농구를 들여다
가 선진사회를 이루는데 성공
인접 소국을 병합하여 기원 후 1세기 후엽에 국가의
형태를 갖춤
이후 동해안으로 들어온 석탈해 집단이 등장하면서
박, 석, 김의 세 가문이 교대로 왕위를 차지
유력 집단의 우두머리는 이사금(군주)으로 추대되
었고, 주요 집단들은 독자적인 세력 기반을 유지
삼국사기 – B.C 57년
박혁거세가 사로국
의 6대 촌장의 추대
를 받아 나라 건설
 사로국은 이웃의
여러 소국을 정복하
여 A.D 1세기 말 경
에 초기 국가의 단
계로 넘어감


유리왕 (A.D9년)

내물왕

눌지왕(417~ 458)

◦ 이웃의 여러 소국을 병합하여 영토국가를 이룩
◦ 낙동강 유역까지 영토 확장
◦ 고구려가 백제를 공격하자 백제와 공수동맹을 맺고
백제에 원병을 보냄
◦ 신라는 고구려의 압박을 벗어날 수 있게 되어 자주
적인 발전 이룩
지증왕(500~514)
◦ 농업생산력의 급격한 상승이 신라사회의 비약적 발
전의 토대
중앙집권국가로 나아가는 과정의 조직
 6부의 개편 17 관등을 설치

◦ 중앙집권화 시작, 지방제도도 지역적인 행정구역으
로 개편되는 시기


왕권의 확립
◦ 박, 석, 김 의 3성교립의 체제가 없어지고 김씨가
왕위를 독점
◦ 마립간(마루한 麻立干:대수장의 뜻)이라는 왕호를
사용
왕권의 강화
◦ 부자상속제의 확립
◦ 왕 4년(503)에 국호를 신라로 정함
◦ 왕호는 마립간에서 중국식인 왕(王)으로 바꿈

법흥왕(514~540)
고대 왕국의 체제 확립
법제적 체제 - 율령(律令)을 공포하고(520)
백관의 공복(公服)을 제정하였으며(528)
불교를 공인 - 사상적 통일 을 이룸
연호를 사용 - 법흥왕 23년을 건원(建元)원년(536)
병부(兵部)와 상대등(上大等) 등 새로운 관제를 설치
하여 중앙집권적 귀족국가를 이룩하였다
◦ 대외적으로는 중국 남조(南朝)의 양(梁)나라에 사신
을 보냄
◦ 532년에는 본가야(本伽倻:金官國)를 병합하여 낙동
강 유역까지 진출하였다
◦
◦
◦
◦
◦
◦

진흥왕(540~576)
◦ 삼국 통일 기반 구축
◦ 국가 정신 양양('국사'편찬, 불교 장려)
◦ 영토확장(한강, 낙동강유역 확보, 함흥평야 진출)
◦ 역사상 최대의 판도 형성
◦ 진흥왕의 정복사업 - 단양의 적성비, 창녕 북한산
황초령 마운령에 세워진 순수관경비
◦ 한강유역의 점령은 삼국통일을 위한 중요한 발
판마련 – 확보된 한강을 유역으로 중국과 직접교류





한강 유역은 인적 물적 자원이 풍부하고 전략적인 요
충지 였음
삼국은 한강유역 차지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함
백제는 한강유역을 중심으로 황해를 통해 중국과 교
류-문화의 발전
5세기중엽 고구려의 장수왐이 이 지역을 차지하고
중국의 남북조와 각각 통교하면서 크게 번영
신라 진흥왕(6세기)에 한강유역을 빼앗김으로서 고
구려는 한반도 주도권을 신라에게 넘겨줌


진덕여왕(?~654)
중앙관제를 정비 개편 - 품주(稟主)를 집사부(執事
部)와 창부(倉部)로 분리하고 좌 ·우 이방부(左右理
方部)를 설치
◦ 집사부 – 최고 행정관부 , 창부 – 재정 담당 관부
◦ 좌우이방부 – 법률제정과 집행에 관한 사무

화백회의(和白會議)의 의장인 상대등(上大等)을 상
징적인 위치로 바꾸고 집사부의 장관인 시중(侍中)
의 권력을 강화 →이에 따라 귀족층에 의한 관직독점
이 배제되는 등 권력구조에 변혁이 일어나 귀족연합
정치가 무너지고 전제왕권이 성장하게 되었다.
김씨왕족이 왕위를 세습하고 왕권을 강화
 귀족들은 성골, 진골 등 소위 골품의 패쇄적
인 신분제에 의해서 정치적, 사회적 특권을
독점
 골품제

◦ 혈연에 따라 관직 진출(17등급), 복색(4가지)·혼
인·가옥규모 등 사회생활 전반에 걸쳐 규제를 한
신분제도

신라의 관등조직은 골품제도와 관련을 맺고
편성




진골은 제1관등인 이
벌찬까지 승진
6두품은 아찬까지
5두품은 대나마까지
4두품은 대사까지 승
진할 수 있었음
병부(兵部) – 정무와 군사를 나누어 관장
 상대등 – 국사를 총괄하기 위해 설치 , 이는
행정적인 기능보다도 진골귀족 출신의 대신
인 대등(大等)들의 대표자, 귀족회의 주재,
귀족세력 대변

◦ 국왕권이 강화되어감에 따라 상대등과 국왕권과
의 조화가 이루어지됨

품주(稟主)-정무의 중심기관
5주 2소경
 전국에는 小京(소경)과 州(주),郡(군),村(촌),
의 제도를 실시

◦ 소경- 지방의 특수행정구역으로 정치적, 문화적
중심지의 성격이 강하였다.

5주 – 장관을 군주(軍主)라고 칭한것으로 보
아 행정 구획이기 보다 군사적 성격을 띄었
음
군사조직 - 지방제도와 연결
 사회체제 - 골품제도, 엄격한 신분사회

◦ 화백(和白)회의:대등들이 합좌하여 국가의 중대
한 일을 결정하는 모임 , 만장일치의 원칙 적용,
회의의 주재자가 상대등,
 상대등과 화백제도의 존재는 왕권의 전제화가
진행되면서 꾸준히 귀족연합적인 정치가 이루
어짐을 알 수 있음
◦ 화랑도 – 진골귀족을 중심으로 청소년집단, 귀족
을 보호하는 제도


(1)삼국의 대외관계
수나라와 고구려 전쟁
◦ 을지문덕의 살수대첩 대승(612년)

당나라와 고구려 전쟁
◦ 안시성 전투 (645년)


고구려가 수와 당의 침략을 막아주어 민족의 방파제
역할을 함
백제와 신라의 전쟁(642년)
◦ 김춘추 - 고구려에 도움 요청 - 연개소문의 거절- 당과 나*당
연합군을 결성 = 삼국을 통일 할 수 있었던 원인이 됨, 외세
에 의존하는 모습

백제의 멸망
◦ 황산벌 전투의 패배(계백장군)
◦ 나*당 연합군에 의해 사비성 함락(660년)

고구려의 멸망
◦ 연개소문이 사후 지도층의 사이에서 내분이 발생
◦ 계속된 전쟁으로 인한 국력쇠퇴
◦ 나․당 연합군에 의해 평양성 함락(668년)
당의 한반도에 대한 야욕
◦ 신라에 계림도독부 설치.
◦ 고구려 멸망하자 평양도독부 설치, 이는 백제와 고
구려 , 신라의 땅에 대한 당의 완전한 지배를 의도
하는 것
 나*당전쟁 - 이에 신라가 당군 축출을 위해 통일전
쟁을 전개함

◦ 적성 전투 (임진강)
◦ 매소성 전투(연천)
◦ 기벌포 전투(금강)

676년 , 문무왕 때 당의 수군 위축되어 한반도로부터
물러남







의의
우리나라 최초의 통일
민족의 융합
나*당 전쟁을 통한 자주적인 태도
한계
외세에 의존한 통일
완벽한 국토 자지 못함



삼국통일의 의의
비록 대동강과 원산만 이남에 한정된 불완전한
것이었지만, 혈통, 언어, 문화를 같이 하면서도
다른 국가체제 속에 들어있었던 것을 삼국 통
일로 하나의 국가 안에 통합됨으로서 민족국가
형성의 기반마련
신라가 당의 침략을 격퇴하여 반도 안에서 지
배권 쟁취한 것은 한국사의 자주적 발전을 이
룩하는 원동력이 되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해
야 할 것이다.


통일신라는 3배로 늘어난 영토를 조직적 ·능률적으
로 통치하기 위해 전제왕권의 확립을 위한 지배체제
의 정비 및 개편과 새로운 문화창조에 힘썼다.
태종무열왕 (김춘추,654~661)
◦ 통일 전쟁의 시작
◦ 왕통의 교체 – 성골 -> 진골

문무왕(661~681)
◦ 고구려 멸망 , 당군을 몰아내고 삼국통일의 완성

신문왕(681~692)
◦ 전제 왕권의 안정

중앙관부정비
◦ 예작부(例作府)와 공장부(工匠府)를 설치
◦ 당나라 6전(典) 조직과 비슷한 정무(政務)분담형
식의 집사부이하 14관부를 완성하여 일원적 지
배체제를 이룩

지방제도
◦ 전국을 9주(州)로 나누어 그 밑에 군(郡) ·현(縣)
을 두었으며, 요소에 5소경(小京)을 두어 이곳에
는 서울인 경주와 같이 6부제를 실시

국학 설치 - 왕권의 강화와 정치제제의 정비
를 위한 유교 정치 이념 설정
통일신라는 성덕왕(702∼737) 때 극성기(極
盛期)를 맞이함
 통일 후 120여 년 간은 문화의 황금기를 이
루어 오늘날 안압지 ·임해전 ·포석정 등이 당
시 상류사회의 호화로운 한 모습을 전하여
주고 있다.




통일 신라 때는 전제 왕권강화가 특징
왕권의 전제화 - 무열왕의 직계자손의 왕위 계
승
전제 왕권 강화
◦ 유교 정치 이념 도입, 중앙집권적 관리 정치 발달
◦ 상대등의 권한 축소 – 집사부(시중)의 권한 강화
◦ 신문왕 - 전제왕권강화를 위해 녹읍의 폐지와 9주 5
소경제의 실시
◦ 통일 후 반발하는 귀족을 제거(귀족 숙청)- 왕권강화
와 중앙 집권화 이룸
◦ 6두품 - 국왕의 정치적 조언자로서 전제 왕권 뒷받침
중앙정치기구-집사성 중심으로 확대 정비
→상대등의 권한 이 약화됨

관부명
관장사무
관부명
관장사무
집사부
국가기밀사무
사정부
관리감찰
병부
군사
예작부
토목영선
창부
재정
선부
선박
예부
의례
영객부
외빈접대
조부
공부
위화부
관리관등
승부
공부
마정
공사
좌우이방부
좌우사록부
형률
녹읍관리
685년, 신문왕 때 9주 5소경 지방제도마련
 군사적 성격→민정장관의 성격
 주밑에 郡(군), 縣(현)을 설치

◦ 삼국사기 - 전국에 120군 305현이 있었다고함
모두 중앙에서 파견된 관리
 감찰의 임무를 가진 외사정을 설치

◦ 중앙집권적 성격 더욱 강화
군사조직
 9서당

◦ 전제왕권에 밑받침이 되는 중앙군의 강화를 위
해 새로운 중앙의 군사조직

10정
◦ 9주에 하나씩, 국방상 요지인 漢州(한주)에만 2
정을 둠

①진골귀족의 자기항쟁
◦ 왕위쟁탈전 계속 - 122년간 20여명의 왕 교체
◦ 혜공왕 때 전제 왕권이 무너짐 - 전제 왕권에 눌
려 있던 진골 귀족 세력들이 96각간 대 발란을 일
으킴 →무열왕계의 전제왕권 막을 내림
◦ 정치와 사회는 혼란을 더해 갔음

②골품제의 붕괴
◦ 사회발전에 따라 더 이상 혈연적인 골품제도의 존속
을 허용하지 않음
◦ 지방호족들이 기성질서에 정면으로 도전, 진골체제
유지할 수 없었음

③호족의 대두
◦ 귀족의 권한이 약화되자, 지방개발사업으로 인
해 경제력을 가지게 된 지방호족의 세력이 강해
짐
◦ 중앙정부의 통제를 벗어나 자립하고 지방의 행
정을 장악하고 조세, 부역을 징수
◦ 진골체제를 해체하고 신라왕조를 붕괴시키는 결
정적인 역할을 담당

④농민봉기와 후삼국
◦ 진성여왕(887~897):귀족들은 정치적으로 부패하
고, 사치와 향락에 젖어 있었으며, 국가재정은 궁
핍해짐
◦ 국가 재정을 충당하기 위해 조세를 독촉하니 곳
곳에서 농민봉기가 일어나게 됨
◦ 반란군중 견훤과 궁예는 정권을 수립하게 됨
◦ 견훤은 서남지방에서 후백제왕을 칭하며 국가체
제를 갖춤
◦ 궁예는 후고구려를 건국
◦ 이러한 후삼국의 정립으로 신라는 경상도 일대
를 지배하는 것에 그침
 신라는 935년,
경
순왕때 국가를 보
건할 능력이 없고,
후백제의 위협을
받음
 군신회의의 결정
에 따라 신라가 고
려에 합병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