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의 융성기

Download Report

Transcript 백제의 융성기

071922 명 성
071971 조안나







백제의
백제의
백제의
백제의
백제의
백제의
백제의
건국
여명기
융성기
쇠퇴기
행정제도
사회/ 경제
문화/ 백제의 문화 일본전파
건국 설화
 온조는 고구려 건국자인 주몽과 졸본왕
녀 사이에서 태어남
 그 뒤 주몽의 원자인 유리가 아버지를
찾아와 태자가 되자 형 비류와 함께 남하
 비류는 미추홀에, 온조는 위례에 정착
 비류가 죽자 그를 따르던 무리들을 통합
건국 배경
 백제를 건국한 주체세력이 부여족 계통의
고구려 유민
 온조 집단은 남하한 후 처음에는 하북 위례성에 정착
하여 십제를 세움
 그 뒤 하남 위례성으로 옮기면서 국호를 백제로 개칭
 이처럼 온조계 집단이 십제에서 백제로 성장을 보게
된 배경은 청동기시대 이래 한강유역이 가지는 문화적
기반이 토대
 백제의 왕계는 온조계의 부여씨로 고정
한성시대
 고이왕 (234-286)
 중앙집권국가의 모습
백제가 중국 세력의 간섭과 침략을 물리치고 나라
의 기틀을 마련
 밖으로 마한의 중심세력인 목지국을 병합하고, 한
반도의 중부지역을 확보


마한세력과 중국군현과의 사이에서 빚어진 싸움에
서 마한이 패배한 상황을 이용하여 백제가 목지국을
병합한 것은 마한의 맹주권을 장악하는 결정적 계기
새로운 관제를 마련하고 관리의 복색과 중요한 법
령을 제정

한성시대
 고이왕 (234-286)
 직계의 사반왕을 폐위시키고 즉위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반대세력을 제거함으로써 정치적 권력
을 증대
 좌장을 설치하여 병마권을 장악하였고 나아가 좌
평을 설치하여 귀족회의를 주관하게 함으로써 왕
의 위치를 한단계 격상
 금령을 선포하고 솔계관등과 덕계관등을 만들어
16관등제의 토대를 놓는 등 지배체제의 확립을 도
모
 이로써 고대 국가령 토대를 갖추게 됨
한성시대
 근초고왕 (346-375)
 왕실지지 기반 : 당시 대표적인 귀족세력인 진씨 가문
에서 왕비를 맞아들임
 왕위의 부자상속
 대외정복활동을 전개
중국의 요서 · 산둥지방등과 해상무역뿐만 아니라 동진,
가야와 외교관계를 맺고 일본 규수 지방에 진출하여 활
동 무대를 해외로 넓힘
 남으로는 영산강 유역인 응관묘 조영 집단을 기반으로
하여 성립되어 있던 침미다례 등 마한의 잔여세력을 병
합하여 전라도지역까지 지배영역을 확대하였고, 동남으
로는 가야세력을 영향권내에 넣었으며, 북으로는 고구
려와 대결하면서 평양성 전투에서의 승리로 지금의 황
해도 신계지역까지 진출

한성시대
 근초고왕 (346-375)
 해상무역에도 힘을 기울여 요서지방에 무역
로서 백제군을 설치
 일본열도에도 진출하여 한반도를 중심으로
중국과 일본을 연결하는 고대상업의 중심부를
이룩
 왕실의 권위와 신성성.정통성을 확립

박사 고흥으로 하여금 서기를 편찬
한성시대
 침류왕 (384-385)
 불교를 공인
삼한소국시대 이래의 부족적 전통을 극복하면
서 보다 확대된 영토와 강화된 왕권을 지지하는
고대국가의 이데올로기로서 확립하여 보편적
인 세계관을 형성을 이룩

한성시대
 아신왕 (392-405)
 고구려 광개토왕의 본격적인 침공
58성.700촌을 점령당하고 왕제와 대신 10명
을 인질로 보내야 하는 궁지

 전지왕 (405-420)
 전지왕이 즉위 후 실권을 장악한 해씨세력은
상좌평을 설치하는 등 실권귀족 중심으로 정
치운영
한성시대
 개로왕 (455 ~ 475 )
 실권귀족 중심체제에 대항하여 궁실을 장려하게
하고 부왕의 능을 개수하는 등 왕실의 권위를 높
이기 위하여 노력하였으나 안으로는 귀족들의 반
발에 부딪히고, 밖으로는 고구려의 대대적인 공격
에 의해 왕도가 함락되고 전사

고구려의 팽창으로 한강 유역 빼앗김
 문주왕 (475 ~ 477)
 웅진 천도
웅진시대
 동성왕 (479-501)
 웅진천도 초기의 정치적 불안을 종식시키고 실추
된 왕권을 강화하기 위하여 노력
 신라 왕실과 혼인관계를 맺어 고구려에 대항, 남
제에 사신을 파견하여 중국과의 외교관계도 재개
 금강유역권을 지배기반으로 한 백씨 · 사씨 · 연
씨 등의 신진세력을 중앙귀족으로 등용해 한성에
서 이동해온 남래귀족과의 세력균형을 꾀해 정치
적 안정을 도모
 이 때 신진세력이 커져 이를 견제하자 그들의 불
만을 샀으며, 그 중 1명인 가림성주 좌평 백가에
게 살해
웅진시대
 무령왕 (501-523)
 가림성에 근거를 두고 저항하던 백가를 토벌
 중국 남조의 양나라에 사신을 보내 외교관계를 강화
 513년, 516년에 오경박사를 각기 일본에 보냄
 민생의 안정에도 힘써 제방을 구축하고 유식자들을 구제
해 농사를 지지
 호남지역의 적극적인 개발과 가야지역으로의 진출을 적극
추진함으로써 한강 유역의 상실로 인한 축소된 경제기반을
확대
 정국의 안정을 이룩하게 되었고 강국을 칭할 수 있는 기틀
을 다지게 됨
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호화롭고 풍부한 부장품들은 무령왕대
의 왕권의 신장과 국력의 성세를 보여주는 물적증거가 됨
사비시대
 성왕 (523-554)
 강력한 왕권강화책을 추진 위해 사비(지금의 부여)로 천도하면서 국호
를 남부여라 개칭하여 부여족의 전통을 강조, 내외의 관제를 정비하고
집권적 통치질서를 확립

22부제로 중앙관제를 정비하고 수도 5부와 지방통치조직으로서 5방.군제를
갖추어 지방 통치력을 강화
 국제관계에도 힘을 기울여 중국 남조와의 교류를 통하여 그 문물을 받아
들이고 일본과도 긴밀한 관계를 유지

특히 일본에 대해서는 달솔 · 노리사치계를 통해 불교를 전파, 의박사 · 역박
사 등의 전문가를 파견하여 선진 문물을 전수
 신라와 동맹관계를 강화하고 551년 신라군과 가야군을 동원하여, 귀족
세력의 내분에 처해 있던 고구려군을 물리치고서 백제는 한강하류를, 신
라는 한강상류를 점령
 553 년 고구려군과 은밀히 결탁한 신라의 배반으로 한강하류지역을 다
시 신라에 빼앗기고 이를 만회하기 위해 신라정벌에 나섬
 554 년 관산성 전투에서 전사하고 백제군도 대패
사비시대
 무왕 (600-641)
 왕권의 안정을 위해 신라 서쪽 변방을 빈번하
게 침공하는 한편, 고구려의 남진을 견제하기
위해 수나라에 도움을 청함
 관륵을 일본에 보내어 천문 · 지리 · 역본 등
의 서적과 불교 전파
 전제왕권 강화 : 왕권의 존엄을 과시하기 위
하여 사비궁을 중수, 제석사 및 동방 최대규모
의 미륵사를 창건, 왕궁의 남쪽에 인공호수를
만드는 등 대규모 토목사업을 시행
사비시대
 의자왕 (641-660)
 무왕대에 다져진 기반 위에서 정치개혁을 단행
642 년에는 직접 군사를 거느리고 신라를 공격,
40 여 성을 항복 시킴
 645 년에는 당 태종이 고구려를 공격하는 틈을 타
서 신라의 7 성을 빼앗음

 말년에 잦은 군사동원으로 국력을 소모 및 사치
스럽고 방탕한 생활 속에 정치질서가 문란
 660 년 나당연합군의 공격으로 수도인 사비성이
함락되자 항복
 그 결과 백제는 개국한지 678년 만에 망하고 의
자왕은 당으로 압송된 후 병으로 죽었다.
중앙행정기구
 일찍부터 중국이나 고구려의 영향으로 관제가 발달. 따라
서 부여씨를 왕족으로 하고, 사씨·해씨 등 8대 귀족을 중심
으로 비교적 일찍 관제가 분화·정비.
 6좌평과 16관등제 : 16관등의 체제를 중심으로 최고 대신
급의 좌평은 6좌평으로 내신·내두·내법·조정·위사·병관 등
의 정무를 분담. 16관품은 좌평 아래 달솔·은율 등 5개 관
등이 있고, 그 밑에 장덕·시덕 등 5개 관등이 있으며, 최하
급으로 문독 이하 5개 관등이 있음.
 상좌평 : 6좌평 위에 상좌평이 있어 수상의 직을 맡았으며,
재상급은 고구려의 대대로와 같이 3년 만에 교체(선거)됨
 22부 : 주로 궁내 사무를 담당하는 내관과 정무를 담당하
는 외관이 새로 설치되었음. 내관에는12부가 있었고, 외관
에는 10부가 있었음
6좌평과 16관등제
1
좌
평
2
달
솔
3
은
솔
4
덕
솔
5
간
솔
자의(恣意)
6
요
솔
7
나
솔
8
시
덕
9 10 11
고 계 대
덕 덕 덕
12
문
독
비의(緋依)
1
3
무
독
14 15 16
좌 진 극
군 무 우
청의(靑衣)
관 품
직 명
임 무
현 관직 대비
1품
내신좌평
왕명 출납
수 상
동상
내두좌평
재정·회계
재무장관
동상
내법좌평
위전·제사
의전장관
동상
위사좌평
숙위·군사
친위장관
동상
조정좌평
사법·치안
법무장관
동상
병관좌평
지방군사
국방장관
복 색
6좌평은
자색복장과
은화로
관 장식
백제의 중앙관서 표
내 관(궁내관부)
외 관(중앙정부관서)
부 명
임 무
부 명
임 무
비 고
전내부
궁중사무분장
사군부
지방의 병마
국방부
곡내부
양 정
사도부
교육·예의
문교부
육 부
어 선
사공부
토목·공작
건설부
내략부
창 고
사구부
형 옥
법무부
외략부
〃
점구부
호구·조세
재무부
마 부
마 정
외사부
왕의 외척
외척부
도 부
무기제조
객 부
외 교
외무부
공 부
상 훈
주 부
제 직
재무부
약 부
의 약
일관부
천문·역학
천무부
목 부
자 탄
도시부
상 업
시전부
법 부
궁내법규
후궁부
궁인관리
지방행정기구
 담로제 : 웅진 시대에는 전국의 주요지에 22개의
담로라고 하는 특별읍을 두어 왕족을 파견해 중앙
집권을 보좌하게 함
 5방제 : 사비천도 후, 수도는 5부, 지방도 역시 5
방으로 나누었고, 각 지방의 방에는 방령이란 최
고 지방관을 두었으며, 그 아래 군장을 둠
서울의 각 도에는 500명의 군대를 주둔시켰고, 또
각 방의 방령은 700∼1,200명의 군병을 거느리고
지방의 행정과 군사를 맡았으므로 삼국의 지방관제
가 갖는 본질을 알 수 있음.

군사행정기구
백제는 정복 국가이므로 상무정신을 더욱 배
양하기 위해 평상시부터 기사를 훈련시킴
 수도 : 수도의 5부에는 평상시에 각기 500인
의 병력을 배치해 부장이 관장
 지방 : 각 부에는 700 내지 1,200인의 상비
병력을 배치해 군장이 통솔
 백제인 : 토착민 세력 + 유이민 세력
 신분제 : 왕 아래 귀족·평민·천민의 3개
신분 계층이 자연스레 형성
형벌제도
 백제의 형법은 매우 가혹하였음
 살인자, 반역자, 퇴군한 자 : 사형
 부인을 범간한 자 : 노예
 뇌물을 받은 관리, 절도자 : 2배의 배상, 금고
형, 귀양
 농업 : 대표 산업으로 휴경법, 철제 농기구 사용, 우경 등
에 의한 농업 생산력 확대
 상공업 : 대개 지배층의 필요에 따른 국가 주도의 활동
 수공업 : 국가에 의해 관리됨
 대외무역
 경제 발전으로 시장의 형성 → 무역 발달
 공무역
 중국과의 조공 무역
 무역 상대 : 남중국·왜와 무역
 학문의 사상
 한자의 보급과 교육 : 교육기관 형성

5경박사와 의박사, 역박사
 역사 편찬과 유학의 보급 : 백제 고흥의「서기」
 종교
 불교의 전래

침류왕(384) 때 동진에서 들여옴

왕권의 강화에 기여/ 귀족들의 특권을 인정하는 역할/ 새로
운 문화 창조
 도교의 전래

신선 사상

산수문전/ 사신도에 그려진 네가지 동물/ 백제의 사택지적
비문
 금속 기술의 발달
 무기 외에 공예품이나 종, 금관과 같은 예술품에도 발휘
 금동 대향로 - 백제의 금도금 기술과 금속 주조 기술을 단
적으로 보여주는 금속 공예품
 칠지도 - 강철로 만들었다는 것과 함께 그 칼에 금으로 글
씨가 새겨져 있어서 제철 기술뿐만 아니라 공예 기술도 함
께 우수
 고대인의 자취와 멋
 고분과 고분 벽화
초기 백제의 무덤 양식은 고구려의 것과 비슷
 웅진으로 천도한 이후에는 굴식 돌방 무덤·벽돌 무덤으로 변
모

 건축과 탑
 건축 – 미륵사
 탑 - 미륵사지 석탑
- 정림사지 5층 석탑
 불상 조각과 공예

서산 마에 삼존불
 근초고왕 때 백제와 왜가 왕래
 일본에 한자 전파
 불교 문화의 전래
 경전 보급, 불상 제작 기술 전파
 백제의 문화 전파
 일본의 아스카 문화 유적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