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작업 및 안전관리

Download Report

Transcript 8 작업 및 안전관리

제 8 장 작업 및 안전관리
1.작업관리의 의의
2. 생산성
3. 작업관리의 방법
4. 작업일정계획
5. 안전관리
학습목표
 작업관리의 효과를 설명한다.
 생산성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 단체급식에서 사용되는 생산성지표를 열거한다.
 작업관리 방법 중 방법연구와 작업측정을 설명한다.
 급식관리 개선절차를 이해한다.
 작업일정계획을 작성할 수 있다.
 안전사고에 대한 예방법을 설명한다.
1
작업관리의 의의
• 종업원이 편리하게, 안전하게, 효율적으로 작업하도록 공정에
대한 연구, 작업의 경제성과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 요인
을 분석
• 작업환경, 작업방법, 종업원 배치를 변화시키거나 종업원을 훈
련시키는 방법으로 인간이 관여하는 모든 작업공정을 보다 효율
적,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관리분
야
• 최종목적: 작업관리를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종업원의 만족
도를 높이는 것
1
작업관리의 의의
• 의의
– 작업할 때 쉽고 안전하여 쾌적감을 느끼고 피로와 스트레스 감소
– 작업시간도 감소
– 오류도 줄어들어 생산량은 증가하고 품질이 개선
– 작업만족도가 증가하고 생산성이 증가하여 작업생활의 질(QWL:
quality of work life)이 향상
• 테일러(Taylor): 시간 연구를 통해 공정별 표준시간을 설정
• 길브레스(Gilbreth) 부부
: 동작과 미세동작에 대한 연구를 통해 작업하기에 가장 쉽고 최소한
의 피로를 느끼게 하는 동작으로 구성된 최적의 작업 방법 고안
: 인간의 생리적인 요소와 심리적인 요소에도 중점을 두어 피로에 관
한 연구, 단조로움에 대한 실험
:작업여건, 작업대의 배치, 작업의 주위환경을 개선함으로써 작업 능
률이 제고되도록
1
작업관리의 의의
단체급식소에서 작업관리의 효과
• 급식 종사자의 만족을 통해 급식품질 향상
• 기존 작업을 잘 파악하여 급식소의 비효율적인 부분을 분석
• 생산계획이나 통제에 필요한 생산성 기준을 정확하게 설정
• 비용절약효과
2
생산성
• 힘은 덜 들이면서 더 효과적으로 작업을 하여(working smarter, not
harder) 생산성을 높이는 것
• 종업원의 작업생활의 질을 높임으로써 생산성을 증진
– 협동, 참여, 존중, 친밀함, 개방의 개념이 포함
– 안전한 작업환경에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즐겁게 일
할 수 있을 때 생산성 향상
2
생산성
2.1 생산성의 개념
• 생산성은 투입된 자원에 대한 생산품의 비율
• 단체 급식의 경우
– 투입물은 인적자원, 기기 설비, 그리고 재정적인 자원 등
– 산출물은 생산되어지는 제품과 제공되는 서비스
• 인간의 노력을 적게 사용하여 종업원을 만족시키면서 양적으로 질
적으로 우수하고 고객을 만족시킬 수 있는 생산품이 나올 수 있을 때
생산성이 높음
• 생산성 비교는 질적인 측면(맛과 위생 등)에 관한 표준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의미가 있다.
2
생산성
2.1 생산성의 개념
• 생산성 = 산출(output) ÷투입(input)
• 종류: 노동생산성, 토지생산성, 자본생산성 등
• 보통 노동생산성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 노동 집약성의 특성을 갖고 있는 단체급식의 경우에도 노동 생산성
을 생산성측정도구로 사용
2
생산성
2.2 생산성 지표
• 생산성의 비교를 위해서는 생산성 지표 측정이 필요
• 급식산업에서 많이 사용되는 생산성 지표인 노동생산성 지표는 생산
에 소요되는 노동시간을 투입된 자원으로, 제공되는 식사수를 생산
품으로 하여 계산 또는 역으로 계산하여 지표를 산출
• 작업시간당 식수, 1식당 작업시간, 1식당 인건비 등
• 식수: 식당량(meal equivalent)으로 대체하거나 카페테리아의 경우
에는 서빙수로 대체할 수 있다.
• 식당량
기준 음식을 1로 하고 다른 음식을 이에 대한 비로 나타내는 것.
예를 들어 한 급식소에서 밥류와 면류를 급식할 때 면류는 밥을 1로
할 때 0.6에 해당된다고 한다면 전체 식당량은 밥류 판매수에 면류
판매수의 60%를 더하여 계산.
생산성 지표
1) 작업시간당 식수(meals
labor hours)
1일 또는per
일정기간
= 1일 제공한 총 식수 ÷ 1일 총 노동시간(시간)
작업시간에 차이가 있는 2개 이상의 급식이 제공되는 경우
작업시간당 식당량(meal equivalents per labor hours)
= 1일 제공한 총 식당량 ÷ 1일 총 노동시간(시간)
카페테리아의 경우
작업시간당 서빙수(servings per labor hours)
= 1일 제공한 총 서빙수 ÷ 1일 총 노동시간(시간)
2) 1식당 작업시간(minutes per meal)
= 1일 총 노동시간(분) ÷ 1일 제공한 총 식수
3) 1식당 지불급료=1일 지불급료 ÷ 1일 제공한 총 식수
1일 지불급료=∑각 종업원의 시간당 지불급료×각 종업원의 근무시간
4) 1식당 인건비(labor cost per meal)
= 1일 인건비 ÷ 1일 제공한 총 식수
1일 인건비=1일 지불급료+1일 총 기타직접노동비용 (연금 등도
포함)
2
생산성
2.3 급식시설별 생산성 지표
• 학교급식은 병원급식에 비해 4배의 생산성
• 패밀리 레스토랑은 고급 레스토랑에 비해 3배의 생산성
3
작업관리의 방법
3.1 작업관리 연구방법
1) 방법연구
• 방법연구: 작업의 진행방법이나 작업상의 여러 조건을 과학적으로
조사, 연구하여 최선의 작업방법을 찾아내어 이를 표준작업으로 결
정하는 기법
• 방법연구는 길브레스가 개발한 동작연구를 사용
– 많은 공정내용을 한눈에 알아보기 쉽도록 공정분석기호를 사용
하여 그린 공정도(process chart)를 자주 사용.
• 방법연구의 기법: 생산품공정분석, 작업자 공정분석 등
3
작업관리의 방법
3.1 작업관리 연구방법
1) 방법연구
① 생산품 공정분석(Product process analysis)
• 원료나 제품의 흐름의 관점에서 공정이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분석하
고 조사하는 것
• 원료나 제품을 변형시키거나 처리하는 전 과정을 분석하여 낭비나
비합리적 요소를 제거
• 급식의 경우 재료의 전처리 단계에서부터 음식의 조리가 완성되기까
지의 전 과정에서 음식의 생산을 위한 식재료가 어떻게 처리되고 변
형되는지 분석
• 생산 작업체계의 향상 혹은 단순화, 생산품 공정 중에 필요한 변화의
진단, 새로운 작업장이나 시설설비의 디자인과 작업장 배치 등에 활
용
3
작업관리의 방법
3.1 작업관리 연구방법
1) 방법연구
② 작업자 공정분석(Worker process analysis)
• 작업자를 주체로 하여 작업동작이 일어나는 순서를 차례로 기록한
것을 활용하여 작업자의 작업방법 및 활동을 중심으로 하여 분석한
것
• 통합할 수 있거나 불필요하여 제거될 수 있는 과정을 확인하거나 수
행되는 작업과정의 순서를 바꾸는 작업순서개선 및 작업동작 개선,
작업자의 이동거리나 위치 등을 파악하여 비효율적인 부분을 재 정
렬하는 작업장의 배치 개선 등에 활용
3
작업관리의 방법
3.1 작업관리 연구방법
3
작업관리의 방법
3.1 작업관리 연구방법
2) 작업측정
• 작업측정: 방법연구결과 개선된 작업내용을 토대로 하여 작업자가 그 작
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측정하여 표준시간을 설정
• 표준시간:
– 부과된 작업을 올바르게 수행하는데 필요한 숙련도를 지닌 작업자가
– 주어진 작업조건하에서
– 보통의 작업 속도로 작업을 하고 정상적인 피로와 지연을 수반하면서
– 규정된 질과 양의 작업을 규정된 작업방법으로 하는데 필요한 시간
3
작업관리의
작업관리의 방법
방법
3.1 작업관리 연구방법
2) 작업측정
• 작업측정 방법
– 실적자료법 -시간연구(time study)법
– 표준자료법(elemental standard data)
– PTS(Predetermined Time Standard)법
– 워크샘플링 (작업표본조사법; work sampling)법
3
작업관리의 방법
3.1 작업관리 연구방법
2) 작업측정
① 실적자료법
• 과거의 경험이나 자료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작업에 관한 실제 자료
를 이용하여 작업 단위당 기준 시간을 산정한 후 이 값을 표준으로
삼는 방법
• 주로 작업주기가 길고 작업내용에 변화요소가 많은 경우에 사용
• 시간과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지만 객관성과 신뢰성은 낮다.
• 병원에서 3일간 식수(530, 480, 520)와 총 작업시간(130, 120, 128
시간)을 측정하여 평균 1식당 작업시간을 (130+120+128)×60분
/530+480+520=14.8분으로 계산한 후 이것을 표준작업시간으로 정
할 수 있다.
3
작업관리의 방법
3.1 작업관리 연구방법
2) 작업측정
② 시간연구법:
• 스톱워치, VTR 시스템 등으로 주어진 조건하에서 한 작업을 수행하
데 요구되는 시간을 직접 측정하는 기법
• 이 기법으로 정미시간(normal time)을 구하고 정미시간에 여유시간
을 더하여 그 작업의 표준시간(standard time)을 결정
• 스톱워치를 사용하여 식기세척 작업 시간을 측정하여 식기세척 정미
시간으로 결정
3
작업관리의 방법
3.1 작업관리 연구방법
2) 작업측정
③ 표준자료법:
• 작업시간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인과 정미시간의 함수관계를 결정한
후 이 함수관계에 각 요인을 대입하여 결정
• 위 함수에서 정미시간을 구하고 정미시간에 여유시간을 더하여 표준
시간을 구한다.
• 식기세척작업의 정미시간을 y=ax+b의 회귀분석식으로 나타내고 x
를 식수로 할 때 식수에 따른 식기세척작업시간을 측정하여 표준회
귀식을 구하고 이 식을 표준자료로 하여 정미시간을 구할 수 있다.
3
작업관리의 방법
3.1 작업관리 연구방법
2) 작업측정
④ 기정시간표준법:
• 작업자가 행하는 특정작업방법의 표준시간을 측정하기 위해 이 작업
을 구성하는 기본동작의 표준시간을 합하여 결정하는 방법
• 작업의 주기가 짧고 반복적인 성격이 강한 작업의 표준시간을 결정
하는데 사용
• 예를 들어 집게를 들고 있는 상태에서 반찬 1인분을 식판에 담는데
걸리는 시간을 결정하기 위해 집게를 반찬 위로 옮기고, 반찬을 집고,
집게를 들고, 식판 위로 옮기고, 반찬을 떨어뜨리는 각 동작에 걸리
는 시간을 합하여 표준시간으로 한다.
3
작업관리의 방법
3.1 작업관리 연구방법
2) 작업측정
⑤ 워크샘플링법:
• 전체 업무 중 각 작업이 차지하는 비율을 측정하는 방법
• 작업자의 일정한 활동시간을 대상으로 미리 무작위로 정한 시점에서
연구대상을 순간적으로 관측하여 대상이 처해있는 상황을 급식작업
의 기능별 분류에 따라 기록. 관측이 모두 끝난 후 분류항목별 관측
횟수를 총 관측횟수로 나누어 그 항목이 관측 기간 동안 차지하는 비
율을 추정
• 작업주기가 길고 작업내용에 변화요소가 많거나 관측하여야 하는 대
상이나 기기설비가 많아 연속 관측을 하기에 어려운 경우에 사용하
는 기법
• 샘플이 충분히 커서 모집단과 동일한 분포를 갖는다는 확률법칙의
기초를 만족할 것
워크샘플링법 사례
• 예를 들어 전체 작업의 생산성이 4.6분/식이고 무작위적인 관측시간
에 수행된 작업을 표시하여 각 작업활동의 작업비율을 산출한 결과
조리, 세척, 운반, 배식의 비율이 각각 25.1%, 26.5%, 16.7%, 7.7%
이었다면 1식당 조리, 세척, 운반, 배식에 사용된 시간은 1.15분,
1.22분, 0.77분, 0.35분이다.
3
작업관리의 방법
3.2 작업 디자인 원칙
• 노동시간을 증가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산출을 증가시키는 방법(요양
시설 급식소에서 조리종사자를 늘리지 않고 배달급식 제공)
• 가공 식재료를 사용하거나 자동화된 식재가공기구, 로봇, 컴퓨터 등
노동력을 절약하는 기구를 사용
• 식재료, 기기, 고객만족을 고려하여 메뉴를 작성
• 셀프서비스와 자동판매기를 활용
• 일부 작업을 외부 전문업체에 위탁
• 종업원을 훈련하고 동기부여 하여 작업능력과 효율을 높임/ 종업원이
2가지 이상의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미리 계획하여 비상시에 대비
• 숙련종업원과 미숙련종업원을 적절히 배치하고, 작업량에 알맞은 인
력배치와 작업일정계획
• 편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표준화된 작업순서를 개발
• 작업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면서도 교차오염을 최소로 하는 기기 배열
• 다른 부서와 서비스를 공유
3
작업관리의 방법
3.2 작업 디자인 원칙
 재료운반관리의 원칙:
 단체급식소에서 처리되는 재료와 생산품의 운반과 저장을 효율
적으로 관리하는 원칙
 테일러의 연구에서 개발
 동작경제의 원칙:
 길브레스의 연구에서 개발
 동시성, 대칭성, 자연성, 리듬성, 습관성으로 요약
 신체활동, 작업장의 배치, 도구와 기기의 디자인 등 세가지 분야
 일하는데 필요한 노력과 힘을 줄일 수 있도록 신체를 움직이게
하며, 작업장 배치와 기기의 디자인 또한 신체 활동을 쉽게 할 수
있도록
3
작업관리의 방법
3.3 작업 개선절차
• 작업관리의 원칙:
– 신속성
– 용이성
– 경제성
– 정확성
– 안전성
3
작업관리의 방법
3.3 작업 개선절차
1) 작업개선 대상의 선정
• 종업원이 더 안전하고 노력을 적게 들이며 즐겁게 일할 수 있는 작업
• 대상작업의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
– 작업을 개선하였을 때 원가를 최소화하고 생산성을 최대화 할
수 있는 대상
• 노동의 강도가 높고 병목현상이 발생하여 생산계획에 차질을 주는
구간
• 개선대상: 위험한 작업, 경비가 많이 드는 작업, 피로도가 높은 작업,
숙련을 요하는 작업, 조건이 나쁜 작업, 병목구간의 작업, 반복적인
작업 등
3
작업관리의 방법
3.3 작업 개선절차
2) 현 작업방법의 분석
• 대상작업의 현재 방식을 분석한 후
• 그 결과를 도표나 공정도 등의 분석 도구를 이용하여 기록: 작업에
사용된 기구, 이동거리, 소요시간 등
• 작업개선이 되었을 때 비교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
3
작업관리의 방법
3.3 작업 개선절차
3) 세부적인 해결과제 검토
ECRS(Elimination, Combination, Rearrangement, Simplification)를
할 수 있는지를 평가
• 이 작업을
• 이 작업을
의 결합)?
• 이 작업의
• 이 작업을
제거 할 수 있나(불필요한 작업의 제거)?
다른 작업과 결합하면 더 나은 결과가 생길 수 있나(작업
순서를 바꾸면 좀 더 효율적인가(작업순서의 변경)?
좀 더 단순화 시킬 수 있나(작업의 단순화)?
3
작업관리의 방법
3.3 작업 개선절차
4) 개선안의 수립
자료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얻어진 결과에 따라 개선안을 작성하고 이러
한 개선안을 공정도에 기록하여 원래의 작업과 비교한다.
3
작업관리의 방법
3.3 작업 개선절차
5) 개선안의 도입
• 개선된 요소를 측정하고 기록
• 개선안에 대하여 상부에 보고하고 실무진의 이해와 협조를 얻어 기
대한 대로 잘 운영되도록 함
• 새로운 개선안 도입으로 절감되는 비용의 객관적 자료 확보
• 작업자와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통하여 새로운 개선을 위한 지식과
기술을 교육하고 훈련
• 작업자가 개선안에 대해 저항감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작업자와의
대화를 통해 작업자의 의견을 충분히 받아들이고 개선안에 의하여
얻을 수 있는 좋은 점을 설명하여 불안감을 없애준다.
4
작업일정계획
4.1. 작업일정계획의 의의
• 필요인력결정(staffing): 직무분석과 작업표준시간에 따라 수행할 작
업에 필요한 종업원의 수를 결정하는 것
• 작업일정계획(scheduling) : 각 종업원들에 의해서 수행되어질 작업
의 개요와 이러한 작업에 필요한 시간을 계획하는 것
4
작업일정계획
4.1. 작업일정계획의 의의
• 필요인력을 결정할 때
– 수요예측을 전제로 함
– 정규직 뿐 아니라 일용직, 임시직, 파견직 등을 활용할 수도 있음
을 고려
– 정규직환산수(FTEs; full-time equivalents)를 기준으로 계산
– 필요인력 산출의 편이성을 위해 단체급식소의 특성에 따라 기존
의 연구에서 조사된 생산성지표 참고
4
작업일정계획
4.1. 작업일정계획의 의의
• 예: 하루 식당량이 3,000인 학교급식소
– 생산성지표인 15식/h을 기준으로 계산하면 필요한 하루 노동시
간이 200시간(3000/15)
– 이것을 하루 근무시간인 8시간으로 나누면 25명의 정규직 필요
– 학교급식소에서는 주로 점심시간에 많은 인원이 필요하므로 15
명의 정규직(120시간)과 9시에서 2시까지 16명의 시간제 근무
자(80시간)를 채용하는 것으로 필요인력을 결정
4
작업일정계획
4.1. 작업일정계획의 의의
• 작업일정계획을 잘하여 인건비를 절감, 고객대기시간을 줄임으로써
고객만족을 높임
• 공정한 작업 분배로 일 잘 하는 사람을 힘들게 하고 게으른 사람을
놀게 하는 불공정한 작업일정이 되지 않도록 함
• 생산성 있는 종업원을 잘 배치하여 음식생산이 정확한 시간에 완료
되어 배식에 차질이 없도록 함
• 작업계획과 함께 생산되는 음식의 동질성과 작업 수행력의 향상을
위한 지침, 매뉴얼 등을 개발
• 작업계획은 종업원과 관리자의 주요한 의사소통 수단의 하나로도 작
용하며, 신입 종업원 교육 시에도 유용하게 이용
4
작업일정계획
4.2 작업일정계획의 종류
작업일정계획에는 종합작업일정표, 교대작업일정표, 세부작업일정표 등이
있다.
1) 종합작업일정표 (master schedule)
• 연중 매일 운영하는 급식소의 경우 세부적인 작업일정표를 작성하기 전
에 작성하는 것으로 전체 종업원의 근무일과 휴일 및 근무시간을 나타
낸다.
• 1주일 40시간 근무 범위 내에서 잘 계획한다면 초과근무수당(overtime)
이 지출되는 상황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시간 외 근무를 하는 경
우 일반적으로 시간당 1.5배 내지 2배의 인건비가 지급된다.
4
작업일정계획
4.2 작업일정계획의 종류
2) 교대작업일정표 (shift schedule)
• 하루 중 교대근무가 필요한 경우에 작성
• 이 때 시간에 따라 필요인력이 달라지므로 교대작업자가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하는 시차작업일정표(staggered schedule)를 작성하면 인
수 인계할 때의 정보전달에 효과적
• 교대작업일정표에는 정규직종업원이 휴가일 때 누가 그 임무를 대신
해야 하는지도 명시
4
작업일정계획
4.2 작업일정계획의 종류
3) 세부작업일정표
• 세부작업일정표(production schedule)는 생산되는 음식이 어떤 순
서에 따라 누구에 의해 처리되는지를 세부적으로 보여주는 일정표
• 작업공정의 변화나 급식업무 시스템의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수정,
보완
• 시스템에 적합하고 생산성이 높은 효율적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
도록 할 것
다음은 어떤 병원에서 밥을 담당하는 조리원의 아침 작업일정표를 나타낸
것이다.
5
안전관리
• 급식과 관련된 작업을 하는 전 과정에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
하여 안전한 작업을 보장하는 프로그램
• 작업대의 구조, 작업공간의 배열 등 작업환경을 안전하게
• 작업관련 안전수칙을 준수하도록 하는 등 안전관리 시스템 운영
5
안전관리
5.1 근골격계 부상 사고 예방
• 과도한 힘과 부자연스러운 작업자세에 의하여 목, 어깨, 허리, 팔, 다리
의 근육, 신경 및 뼈에 부상이 발생
• 예방법
① 물건을 운반하기 전에 장애물이 없는지 확인하고 장애물을 먼저 치운다.
② 너무 무거운 물건은 기구를 사용하거나 다른 사람과 같이 구령에 맞춰
움직인다.
③ 물건을 운반할 때 허리를 펴는 바른 자세 (그림 8-9)
④ 물건이 가득 찬 상자를 두 개 이상 포개어 운반하는 경우 운반자의 시야
를 가리거나 상자가 미끄러져 떨어질 수 있으므로 하나씩 운반한다.
⑤ 물건을 운반할 때 방향을 갑자기 돌리면 허리를 다침
⑥ 물건 가까이 허리를 펴고 웅크리고 앉아 무릎을 구부리고 물건을 잡은
뒤 다리 힘으로 들어올린다(그림 8-10).
⑦ 대상물을 정확하게 놓아야 할 경우 먼저 내려놓고 위치를 조정한다.
5
안전관리
5.2 화상 사고 예방
① 뜨거운 팬이나 조리기구를 옮길 때에는 젖은 행주나 앞치마를 사용
하지 말고 마른 행주나 두꺼운 장갑을 사용한다.
② 뜨거운 물이나 기름을 사용할 때에는 그릇 손잡이를 안쪽으로 향하
게 하여 지나다니다가 건드려서 쏟지 않도록 주의한다.
③ 뜨거운 솥이나 냄비의 뚜껑을 열어야 할 때에는 사람이 없는 쪽으로
김이 나가도록 열어야 한다(그림 8-11).
④ 뜨거운 음식이나 물이 넘치지 않도록 음식이나 물을 끓일 때는 솥의
70-80%만 채운다.
⑤ 손잡이가 긴 국자나 도구를 사용하도록 하고 사용한 후 국자의 자루
부분을 사람들이 다니지 않는 쪽으로 돌려놓는다.
⑥ 냄비를 옮길 때에는 미리 옮길 장소를 마련하고, 뚜껑을 열어 뜨거운
김을 뺀 후 옮긴다.
⑦ 뜨거운 기름에 물이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5
안전관리
5.3 낙상 사고 예방
① 주방 바닥은 미끄럽지 않은 재질을 사용하고, 바닥이 패이거나 부서
진 곳이 없도록 한다.
② 신발 바닥이 닳아서 미끄러우면 새것으로 교환한다.
③ 바닥에 기름기나 물기가 있거나 음식물이 떨어지면 즉시 청소해야
한다.
④ 계단과 복도는 항상 밝게 유지한다.
⑤ 바닥이나 통로에 물건, 배관, 전기줄 등이 방치되어있지 않도록 한다.
⑥ 높은 곳에 물건을 둘 때는 안정적인 위치에 보관, 높은 곳에서 물건
을 올리거나 내릴 때는 안전 사다리를 사용한다.
⑦ 앞을 볼 수 없을 정도로 물건을 많이 나르지 말고, 아무리 바빠도 작
업장에서 뛰지 않도록 한다.
5
안전관리
5.4 절단사고 예방
① 칼을 사용할 때는 항상 도마를 사용하고 도마 밑이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② 칼은 수시로 갈아서 잘 드는 것을 사용하고, 안전한 방법으로 썬다.
③ 칼을 사용할 때는 항상 칼날이 안쪽으로 향하게 하고, 바닥에 떨어지
지 않게 주의하며, 스치고 지나가면 위험하므로 조리대 끝에 두지 않
는다. 칼이 떨어질 때 손으로 잡아서는 안 된다.
④ 칼은 용도에 맞게 사용하며, 깡통을 따거나 박스를 열기 위해 칼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⑤ 절단기구에 식품을 넣을 때는 도구를 이용
⑥ 칼을 사용한 후에는 비누거품이 많은 싱크대에 넣어두지 말고 물기
없이 잘 정돈하여 정해진 보관 장소에 두어야 한다.
⑦ 스테인레스 기구의 모서리 마감에 날카로운 면이 없도록 한다.
⑧ 사기나 유리그릇이 깨졌을 때에는 손으로 줍지 말고 청소 용구를 사
용하도록 하며 반드시 종이에 싸서 버리도록 한다.
5
안전관리
5.5 화학물질 사고 예방
물질안전보건자료(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산업안전보건법 제41조에 의거하여 대상 화학물질을 취급하려는 사업
주(단체급식소)는 제공받은 MSDS를 취급 작업장 내 취급 근로자가 쉽
게 볼 수 있는 장소에 게시 혹은 비치하셔야 합니다.
물질안전보건자료: 화학물질에 관한 유해성, 위험성, 안전취급, 응급조
치 요령 등 여러 가지 정보를 담은 자료
- 취급 근로자가 쉽게 보거나 접근할 수 있는 장소에 둔다
- 각 화학물질별로 물질안전보건자료를 항상 게시 하거나 갖추어 둘
것
- 교육
5
안전관리
5.6 화재사고 예방
①
②
③
④
⑤
⑥
조리 시 느슨한 소매나 앞치마 끈에 불이 붙지 않도록 주의한다.
가열기구 근처에 가연물질을 두지 않는다.
낡은 전선이나 손상된 전선을 수리한다.
청소할 때 전기기구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지정된 장소에서만 흡연을 하고 꽁초는 재떨이에 버린다.
소화장비는 정기검사로 관리하고, 평소에 사용법을 잘 익혀두며, 눈
에 잘 뜨는 곳에 둔다.
5
안전관리
5.7 산재사고 처리
• 산업재해산업재해보상보험법
– 근로자가 업무상의 사유에 따른 부상ㆍ질병ㆍ장해 또는 사망의
재해를 당하면 보상을 받을 수 있다.
• 업무상 부상ㆍ질병ㆍ장해의 경우 필요한 급여 신청서를 의사진단서,
동료진술서 또는 목격자 진술서, 의무기록사본 등과 함께 근로복지공
단에 제출
– 요양급여, 휴업급여, 장해급여 등의 산재보상을 받도록
– 요양급여에는 진찰, 약제, 치료제 지급, 처치, 수술, 입원, 간호,
이송에 소요되는 비용 포함
조리실 안전사고 사례 : 예방법?
• 고추분쇄기에 고추를 갈다가 찌꺼기를 분쇄기에서 제거하던 중, 고
무장갑이 분쇄기 칼날에 말려들어가며 손이 낌
• 반찬을 실은 배식차를 옮기던 중, 지나가는 작업자의 발가락이 배식
차 바퀴에 낌
• 높은 위치의 선반에서 식재료가 들어있는 플라스틱 바구니 2개를 한
꺼번에 내리다가 가슴에 떨어짐
• 냉동고의 30kg 냉동고기를 꺼내다 손이 미끄러져 발가락 골절
• 얼은 식재료를 자르려고 힘을 주다 도마가 발등으로 떨어짐
• 조리실 생수통 교체를 위해 혼자 들어 올리다 어깨 부상
• 기름 두른 프라이팬에 부침개 재료를 올린 후 뒤집다가 기름이 튀어
얼굴 화상
• 국솥 고정장치가 풀려 뜨거운 끓는 물이 작업자 장화 속으로 들어감
• 조리실 바닥에 떨어진 파를 밟고 넘어짐
• 전용 세제액으로 후드를 청소하다 얼굴과 손에 세제액이 떨어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