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거 반응을

Download Report

Transcript 제거 반응을

유기반응
친핵성 치환반응
&
제거 반응
유기 반응의 종류
• 1.치환반응
– 탄소에 붙어있는 하나의 원자단이 다른 원자
단으로 바뀌는 반응.
– H, 헤테로원자가 치환됨.
유기 반응의 종류
• 2.제거반응
– 물질에서 2가지의 치환체가 같이 떨어져 나가
면서, 파이결합이 생성되는 반응.
유기 반응의 종류
• 3. 첨가반응
– 출발물질의 이중, 삼중결합에 새로운 그룹이
첨가되어 파이결합이 사라지고 새로운 시그마
결합이 생성되는 반응.
결합의 절단
균일분해
• 전자가 동등하게 분배
Homolysis
불균일분해
Heterolysis
• 전자의 상이한 분배
3종류의 반응 중간체
에너지 도표
• 반응이 얼마나 쉽게 진행되는가?
• 반응이 몇 단계를 거치는가?
• 반응물과 생성물 사이의 에너지관계는 어
떻게 되는가?
에너지 도표
에너지 도표
에너지 도표
에너지 도표
반응 속도식
할로젠화 알킬
• sp3혼성화된 탄소 원자에 결합된 할로젠 원자 X
를 포함하는 유기분자.
할로젠화 알킬
• sp2 혼성화된 탄소에 바로 결합된 X를 가진 유기
할라이드는 앞으로 설명할 반응을 진행하지 않
는다!
친핵성 치환의 일반적 특징
• R-X에 결합된 sp3혼성화된 탄소를 포함하는 알킬기 R
• X-이탈기로서 전자를 잘 수용할 수 있어야한다.
• Nu:-ㅡ친핵체로서 비공유 전자쌍 혹은 파이결합을 포함.
반드시 음이온일 필요는 없다.
이탈기
• 이탈기 X:- 가 더 안정할수록 전자쌍을 받아들이는 능력이 더
좋아진다!
• 약한 염기일수록 더 좋은 이탈기가 된다.(H2O VS OH-)
• 주기율표에서 오른쪽으로 갈수록, 아래로 가면서 염기성이 감
소한다. -> 더 좋은 이탈기이다!
이탈기
이탈기
이탈기
친핵체
• 친핵체와 염기는 구조적으로 비슷하다. : 둘다 비
공유 전자쌍이나 파이결합을 가지고있다.
• 염기는 양성자를, 친핵체는 탄소를 공격한다
친핵체
• 이탈기와는 반대로 염기성이 증가하면 친
핵성이 증가한다.
친핵체
• 친핵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No.1 : 입체장애
– 입체장애는 반응이 일어나는 자리에 부피가
큰 작용기가 존재 -> 반응성 감소
친핵체
• No.2 : 용매
– 친핵성 치환반응은 용매에 의존한다.
– 극성 양성자성 용매 (Polar Protic Solvant)
친핵체
• No.2 : 용매
– 극성 비양자성 용매
친핵성 치환반응
• SN2 메커니즘
– 결합 분해와 결합 생성이 동시에 일어나는
concerted reaction이다.
친핵성 치환반응
친핵성 치환반응
• SN2 반응의 입체화학
– 앞쪽 공격 VS 뒤쪽 공격
친핵성 치환반응
• R-X에서 R기의 특성
– R-X에서 R기가 CH3 -> 1’ -> 2’ -> 3’ 로 변화
할때 SN2반응의 속도는 어떻게 될것인가?
친핵성 치환반응
친핵성 치환반응
친핵성 치환반응
• SN1 메커니즘
– 결합 형성보다 결합 분해가 먼저 일어나는 두
단계 메커니즘이다.
친핵성 치환반응
친핵성 치환반응
• SN1 반응의 입체화학
– 2가지 물질이 생성 가능 -> Racemization.
친핵성 치환반응
• R-X에서 R기의 특성
– R-X에서 R기가 CH3 -> 1’ -> 2’ -> 3’ 로 변화
할때 SN1반응의 속도는 어떻게 될것인가?
탄소 양이온의 안정성
• 탄소양이온의 안전성은 3차 알킬이 가장
안정하다. WHY?
– 유도효과(Inductive Effect)
– Hyperconjugation.
탄소 양이온의 안정성
• 유도효과 (Inductive Effect)
– 시그마결합을 통해 일어나는 전자효과.
– 양전하를 안정시켜주기 위해서는 전자를 밀어주는 원
자단(Electrodonating group)이 필요하다
탄소 양이온의 안정성
• Hyperconjugation
– 비어있는 p궤도함수와 인접한 시그마결합과 겹침이
일어나 전하를 흩어지게 하는 것을 말한다.
Hammond 가설
• Hammond가설에 의하면 어떤 반응의 전
이상태는 에너지 차이의 차이가 작은 반응
물이나 생성물의 구조를 닮는다.
Hammond 가설과 SN1
• 전이상태의 에너지를 낮추면, 활성화에너지
가 줄어들고 반응속도는 증가한다.
• 더 안정한 생성물을 생성하는 전이상태는 에
너지가 낮고 따라서 이 반응은 빨리 일어난다.
• SN1반응에서 속도단계결정 단계는 탄소양이
온의 생성단계이고, 흡열반응이다. 따라서 하
몬드 가설에 의하면, 탄소양이온의 안정성이
반응속도를 결정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SN1 VS SN2
• R-X
– CH3X, RCH2X, R2CHX, R3CX
• 친핵체
– 센 친핵체 VS 약한 친핵체
• 이탈기
– 좋은 이탈기 VS 나쁜 이탈기
• 용매
– Protic VS Aprotic
SN1 VS SN2
• R-X
– CH3X, RCH2X, R2CHX, R3CX
3차 알킬로 갈수록 SN1반응이 우세하게, 1차알킬
로 갈수록 SN2반응이 우세하게 일어난다.
• 친핵체
– 센 친핵체 VS 약한 친핵체
SN2반응에서는 친핵체가 반응속도식에 포함되므
로 높은 농도로있을 수록 더 빨리 일어나고 SN1반
응에서는 포함되어 있지 않아 약한 친핵체도 반응
을 보낼 때 선호 된다.
SN1 VS SN2
• 이탈기
– 좋은 이탈기 VS 나쁜 이탈기
이탈기는 SN1이던지 SN2이던지 모두 좋은 이탈기
는 반응속도를 높인다.
SN1 VS SN2
• 용매
– Protic VS Aprotic
Protic한 용매는 SN1반응을 특별히 선호하며
Aprotic한 용매는 SN2반응을 선호한다.
SN1에서 중간체로 양이온과 음이온이 생기므로
Protic한용매는 두 이온을 다 잘녹이므로 반응성이
증가할 수있다.
SN2에서는 Aprotic용매는 친핵체들을 용매화 시키
지 못하고 따라서 친핵체의 친핵성들을 더 부각시
켜주어 반응성을 좋게 해준다.
잠깐!!문제
다음 물질의 생성물은 어떻게 될까요? 그 메커니즘은 어떻게 될까요?
잠깐!!문제
다음 물질의 생성물은 어떻게 될까요? 그 메커니즘은 어떻게 될까요?
제거 반응
• 할로젠화 알킬은 Bronsted-Lowry 염기에
의해 제거반응이 일어난다. H-X의 원소들
이 떨어져 나가 알켄,알카인을 형성한다.
제거 반응
• 할로젠화 수소이탈 반응의 생성물을 알아
내기 위해선 다음과 같은 과정이 필요허다
– 알파 탄소를 찾는다.
– H원자를 가진 모든 베타 탄소를 확인한다.
– 알파,베타탄소에서 H와 X원소를 제거하여 파
이결합을 만든다.
제거 반응
제거 반응
• 알켄의 안정성.
– 이중 결합 탄소에 붙어있는 기들이 서로 멀리
떨어져있으면 입체장애를 감소시켜서 트랜스
가 시스알켄보다 안정하다.
제거 반응
• E2 메커니즘
– 이분자성반응으로 2차반응속도식을 가진다.
또한 Concerted reaction으로 모든 결합이 동
시에 끊어지고 형성된다.
제거 반응
제거 반응
• E2반응에서의 염기
– E2반응속도식에서 염기가 포함된다. 따라서 염기의
세기가 증가하면 E2반응의 속도는 빨라진다.
• 이탈기
– 더 좋은 이탈기 일수록 E2반응은 더욱 빨라진다.
• 용매
– 극성 비양자성 용매는 E2반응을 증가시킨다.
– 용매때문에 염기가 숨겨지지 않아 반응이 더 잘간다.
Zaitsev 규칙
• 베타 제거에서 주생성물은 더 많이 치환된
이중결합을 가진다.
Zaitsev 규칙
• 이렇듯 두개 이상의 생성물이 가능할때,
어느 한 개의 구조 이성질체가 우세하게
얻어질때 위치 선택적반응(Regioselective
reaction)이라고 한다.
제거 반응
• E1 메커니즘
– 일분자 반응으로 1차 반응 속도식을 가진다. 파이 결
합이 형성되기 전 우선 이탈기 결합이 먼저 자체적으
로 끊어진다.
제거 반응
• E1 반응의 특성
– 이탈기가 결합된 탄소에 있는 R기의 수가 증
가할 수록 E1반응의 속도는 증가한다.
제거 반응
• E1 반응의 특성
– 속도식에 염기가 없으므로 약한 염기가 E1반
응을 선호한다.
– E1반응에서도 역시 Zatisev규칙을 따라 안정
한 알켄을 형성하는 방향으로 생성물이 형성
된다.
제거 반응
SN1, SN2, E1 그리고 E2반응은 언제
일어나는가?
• 좋은 친핵체이면서 약한 염기인 시약을 사
용하면 제거 반응보다 치환반응이 주로 일
어난다.
– I-, Br-, HS-, CN-, CH3COO-와 같은 좋은 친핵체 및 약한 염기 ->
치환반응을 선호
• Bulky하고 친핵성이 없는 염기는 치환반
응보다 제거 반응을 선호한다.
– KOC(CH3)3, DBU DBN과 같은 큰 덩치를 가진, 그리고 친핵성이 없는 염
기는 제거반응을 선호한다.
SN1, SN2, E1 그리고 E2반응은 언제
일어나는가?
SN1, SN2, E1 그리고 E2반응은 언제
일어나는가?
SN1, SN2, E1 그리고 E2반응은 언제
일어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