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6회 국내초청세미나 - 한

Download Report

Transcript 제 6회 국내초청세미나 - 한

한-중남미 녹색융합센터
21세기의 국제질서 –
기후변화와 녹색성장
한화진
2011. 1.27.
주요 내용
글로벌시대 주요 요소
기후변화 현상, 영향
기후변화 대응, 녹색성장전략
2
2
소통(communication) – 소통방법, 소통기술,
정보의 양과 질
☞ Smart, 이해당사자 참여확대, Network, 파트너십
언어
공통된 이슈 – 관심사항, 국제질서 드라이브 (예: G20 정상회의)
- 자원(에너지, 식량, 물, 광물, 생물, 인적자원 등)
- 위기관리
- 지속가능성장, 녹색성장
☞ 경제, 사회, 환경, 과학기술, 건강, 문화에의 영향
☞ 정치 이슈화
☆기후변화! –
공통이슈, 미래 경쟁력 핵심요소
- IPCC(기후변화에관한정부간패널기구),
미국 엘고어 전부통령 노벨 평화상 공동수상(2007년)
A healthy economy needs a healthy environment
- Win-win 전략: 협력
그린 파트너십(지역, 국가, 역내, 국제적)
기후변화
지구의 기후는 자연적으로 변화 – 기후변동(Climate Variability)
- 자연적 온실효과(Greenhouse effect) 현상: 지구의 적정한 기
온 유지( ~ 15 ℃)
인간의 활동에 의한 온실가스(이산화탄소 등) 배출 증가
: 강화된 온실효과, 지구 평균기온상승의 기후변화 (지구온난화)
※ Climate Change (기후변화) : 인간의 활동에 의해 야기된 인재
(지역에 따라 폭염, 한파 등 차이)
화성
지구
행성과 대기
금성
기후변화의 주요 원인과 결과 (impact-cause chain)
인간활동(에너지, 산업활동)
피드백
예: 토지이용 변화
 CO2 배출
대기중 농도
CO2, 메탄 등
복사력(반응 메커니즘)
불확실성
온실가스(CO2, 메탄 등) 배출(양)
기후변화
기타 원인
예: 도시화로 인한
표면 알베도 변화
기온, 강수량, 해수면,극한현상 등
영향
생태계, 홍수, 사회경제 등
자료: Hadley Center, UK
영향간의 상호작용
기후변화의 주요 원인과 결과
 기후변화 원인
- 온실가스 배출 (강화된 온실효과 : 이산화탄소, 메탄 등 농도 증가)
- 도시화
- 토지이용 변화 등등
※ 온실가스: 대기 중에 50-200년 오랜 기간 체류
 기후변화 현상
- 평균 기온 상승 (혹서, 열대야)
- 강수량, 강우빈도 변화 (강도, 빈도)
- 해수면 (상승효과), 해수온도 상승
- 극한기상 현상 (태풍, 호우 등 자연재해) 등
PFCs
HFCs
SF6
SF6
인간활동에 의한 비정상 대기중 농도
온실가스 증가와 기후변화
CO2 등 인위적 배출 온실가스로 인한 기후변화
ppm
CO2
℃
지구온도
CO2
300 ppm

지난 40만년간 CO2 농도가 300ppm을 넘은 것은 20세기가 처음!
12
기후변화 현상
구 분
기온 상승
(100년간)
해수온도 상승
(100년간)
해수면 상승
(‘61~’03)
전세계
0.74 ℃
0.5 ℃
1.8 mm/년
우리나라
1.5 ℃
(6대도시 평균)
1.03 ℃ (‘68~’07)
5.1 mm/년 (제주)
전지구 영향 관측:
- 북극, 남극의 식물군, 동물군의 변화
- 말라리아, 전염성 질병 확산 - 홍수, 가뭄, 열파, 혹서 등
20050824
20060824
* 북극 빙하면적 감소
기후변화 현상– 해수면
자료: 국립해양조사원, 2008.
기후변화 현상 – 강수 패턴
80 mm 이상 호우빈도
우리나라 강수 패턴
여름철 호우빈도 증가
→ 홍수피해 가능성 증가
(2010 집중호우 경험)
대설빈도
겨울철 대설 빈도 감소
→ 봄철 가뭄 발생 가능성 증가
자료출처: 국립기상연구소
기상재해, 열대야 발생일수
전국 주요 도시 8월 열대야 일수
연평균 기상재해 피해액
?
[단위: 조원]
(단위 : 일)
2.6
약 4배
증가
26
17.4
16
11
0.5
4.2
3.2
0.2
1970’s 1980’s 1990’s 2000’s
미래
서울
7
2.8 2.8
강릉
2000년 이전
자료: 환경부, 2009
10.8
8
0.7
5.4
4.2
3.2 3.2
대구
전주 서귀포
2000년 이후
2006년
16
기후변화 영향 - 2006년 기상재해
(폭우, 폭염, 태풍, 가뭄…)
중국 사막화
2004년: 면적의
27.46% 진행
(예시)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연안시설물 유실
해수온도 상승에 따른 어종 어획량 변화
1971~2001년 오징어 어획량 변
동
1971~2001년 명태 어획량 변동
어확량(t)
어확량(t)
150,000
120,000
100,000
80,000
50,000
40,000
1971
1977
1985
1993
2001
1971
1977
1985
1993
2001
자료: 환경부, 2009
20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 (부문별, 지역별)
• 자연환경에의 영향, 산업/경제, 사회/문화에의 영향 (긍정, 부정적, 상호 연계 영향)
분야
국내 관찰된 영향 (취약 내용)
육상생태
(농업, 임업)
해양생태
(수산자원)
한라산 고산식물 멸종 위기, 농작물 주산지 북상, 식물 병충해 증가
(사과, 대구→영월, 한라봉, 제주→거제)
한대성 어종(명태, 대구 등) 감소, 난대성 어종 (오징어 등) 증가
적조 발생 증가, 유해성 해파리 출몰
수자원/수질
하천수량 증가, 해수면 상승에 따른 연안지역 지하 수자원 감소,
용존 산소 부족으로 물고기 폐사 및 부영양화, 홍수, 가뭄
기상재해로 인한 도로, 철도, 항공, 해상 운송 장애
재해로 인한 건물 파손, 연안침수로 인한 가용토지면적 감소
태풍 피해, 게릴라성 집중호우 피해, 홍수 피해액 매10년 단위로
3.2배씩 증가
폭염으로 인한 초과 사망, 말라리아 환자 증가(‘94년 5명 → ‘06년
2,051명), 2007년 2006년의 5% 증가(언론 보도), 전염병 증가
연안/건설/교통
사회기반시설
기상재해
보건
에너지산업, 관
광, 레저 등
악기상에 따른 송전시설 피해
의식주 변화에 따른 관련 산업 변화, 레저 패턴 변화 등
기후변화 현상 예측 - 한반도
 금세기 말 전지구 (IPCC, 4차보고서, 2007)
. 기온: 전 지구 평균 최대 6.4 ℃ 상승 전망
. 해수면: 50cm 이상 상승
. CO2 농도: 550∼970 ppm
* 2-3℃ 상승: 생물종 20-30% 멸종 위기
• 금세기 말 우리나라 (국립기상연구소, 2007)
. 평균기온: ’71년~’00년 대비 4℃ 상승
. 강수량: 약 17% 증가 예상
. 해수면 상승: 약 50cm 이상 전망
* 해수면 1m 상승: 여의도 면적의 300배 가량 침수, 한반도 인구 2.6%
(125만 5천명) 생계 지장 우려 (기후변화대응 종합기본계획, 2008)
☞ 기상현상의 강도↑, 빈도↑
극한기상현상 (태풍, 호우 등 자연재해, 혹서, 열대야 강도↑, 빈도 ↑)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 평가
분야
육상생태
(농업, 임업)
해양생태
(수산자원)
수자원/수질
연안/건설/교통
기상재해
보건
에너지산업, 관
광, 레저 등등
미래 예측되는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 정도
?
영향? 취약 정도?
지역적 차이
지역의 관심 결정적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 예측(예)
<사과 적정재배지 면적의 변화>
• 자료: 서형호(2005)
- 사과재배면적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 예측(예)
- 산림
산림기후대 변동
현기후
2℃상승
자료: 임종환 외, 국립산림과학원, 2008.9.
4℃상승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 예측(예)

- 수자원
수자원 부문(초동 결과)
-한반도 지역 홍수와 가뭄피해가 증가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망
-미래 홍수에 대한 취약성의 유역간 분포는 현재와 유사. 한강 하류유역과 낙동강 하류
유역이 가장 취약 예측
-가뭄에 대한 취약성 유역간 분포 역시 현재와 유사. 섬진강과 영산강 권역 유역들, 특히
적응력이 약한 섬지방에서 취약성이 높음
2065년대 홍수와
가뭄 취약성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 예측(예)
작물의 생산성 악화
- 농업, 식량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
수요 증가
• 세계 인구의 증가
(2030년 80억)
• 개도국 소득증가
에 따른 수요증가
공급 감소
• 작물의 생산성 둔화
• 지구온난화로 인한
경지면적 한계
 생산성이 2000년 대비 25%까지 감소
• 물 부족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 예측(예)
우간다 지역 커피 생산면적 변화 예측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총괄)
 자연환경, 산업경제, 사회문화 등 전 방위적으로 영향
 “자원”의 변화: 지속가능성장(growth) 요소에 영향
- 에너지, 물, 식량, 광물, 생물, 인적 자원 등
 기후변화 → 1차 산업 ↔ 2차 산업 ↔ 3차 산업, 서비스 산업 등
→ 자원개발 증대, 산업구조 변화, 실생활의 의식주 변화
→ 패턴변화와 친환경 소재 및 재료의 사용 증대
 인간의 건강, 수명, 노동에의 영향
☞ 21세기, 기후변화 현상의 강도•빈도 증가
기후변화 영향(피해 및 위험) 증대, 글로벌 환경, 경제, 사회, 정치,
문화 등 → 국제질서 드라이브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
자연환경 영향
산업/경제적 영향
대기 환경
생태계
농림/수산
/해양
수리/수문
/수질
사회/문화적 영향
에너지/산업
생활(의식주)
변화/보건
제조업
금융
레저/관광
재해/보험
기후변화 대응체계

기후변화의 원인 해소(완화, mitigation) & 영향의 위험 평가•관리
(적응, adaptation) 병행

기후변화 완화대책
- 온실가스 배출 감축전략
- 흡수원 확대 (산림부문의 역할)
* 적응: 실제 혹은 예측되는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의 위험
을 최소화하고 기회를 최대화
하는 기후변화 대응 방안으로
기후변화의 위험관리(risk
management)
기후변화 적응대책
- 기후변화 피해 최소화, 기회 활용 최대화 대책
(위험평가  위험관리, 회복력 증대)
 재원
 기술개발 및 교육, 홍보 등 능력형성(capacity building)

온실가스 배출 전망
 에너지 과소비형 소비패턴
에너지 소비패턴의 갈림길
Energy per capita (TOE)
10.0
에너지 과소비형
9.0
8.0
7.0
6.0
5.0
4.0
3.0
2.0
우리나라
1.0
지속가능형
(유럽형)
0.0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35,000 40,000
GDP per capita (US$ 1990)
Korea
Japan
US
Canada
Australia
Germany
Italy
UK
France
온실가스 배출 전망
• (배출량과 에너지소비 세계 9-10위, 1990년대 CO2 증가율 세계 1위)
가정·상업
발전
산업연소
수송
산업공정
폐기물
농축산
1% 4%
12%
3% 3%
6%
8% 12%
6%
28%
12%
27%
10%
12%
26%
14%
34%
16%
27%
18%
21%
1990년
2005년
2030년(추정)
참고
(백만톤 CO2)
3안 확정
900
813
800
1
2
3 2020년 배출량
BAU 대비30%
BAU
700
642
594
600
590
(244백만 톤 감축)
569
500
400
298
300
200
100
0
1990
2005
2020
* ‘09.11.17 확정
35
온실가스 배출 감축 전략
모든 부문에서 에너지, 자원 소비를 줄인다 – 녹색생활 실천
에너지 저 소비형 산업구조로의 전환
에너지 효율 향상
화석연료 줄이고 저탄소 에너지원(신재생에너지) 비중 확대
온실가스 처리 등 녹색기술 발전
☞ 저탄소 경제, 사회구조 정착
☞ 저탄소 녹색성장전략 실천
온실가스 배출 감축 정책(예)
저탄소, 저에너지 소비형 기술 개발 촉진
에너지 효율화 기술 개발
신재생에너지 기술 선진화 및 적용 확대
대규모 온실가스 감축 기술 개발
- 청정석탄기술, 이산화탄소 포집, 저장기술 등
친환경에너지 사용 확대
천연가스, 바이오연료 (바이오디젤, 에탄올, 바이오매스) 보급 확대
소각폐열 재이용, 매립가스 및 하수슬러지 폐자원 에너지화
지속가능한 교통체계 확립
경차 보급 활성화
친환경교통체계 구축 – 교통수요 절감
- 철도, 버스, 자전거 이용 확대
온실가스 배출 감축 정책(예)
가정•상업부문의 온실가스 저감
유틸리티에 에너지 효율 등급 강화 및 등급에 따른 차등 세율 적용 등
친환경건축물 보급 확대
건축물의 구조, 조명, 단열재 등 친환경 설계 가이드라인 적용
건물 신•증축시 신재생에너지 의무비율 적용
대기전력 소비 절감
입면녹화, 옥상녹화 등을 통한 온실가스 흡수
온실가스 흡수원(sink) 확대
(예: 산림보호,
나무심기, 숲 가꾸기의 산림경영)
• 전국 숲, 이산화탄소 흡수 효과
- 흡수량: 4100만 톤, 연간 2조3000억원 경제적 효과(2010,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와 산림 특성
 산림생태계 모든 기능에 영향을 미침
- 임업생산, 생물다양성, 기후조절, 이산화탄소 흡수저장,
- 수자원함양 및 수질, 홍수 가뭄 등 재해완화, 공기정화,
휴양 및 관광 등
 수목의 장기적 수명
- 악기상에 의한 재해 위험성 누적 효과
- 빠른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성 문제
 탄소저장고
- 육지 면적의 1/3, 지구전체광합성의 2/3
- 육상생태계 탄소의 80%, 토양탄소의 40%보유
- 지구기후시스템에 대한 직접적 영향
- 재생가능한 자원/에너지원 자료: 임종환 외, 국립산림과학원, 2008.9.
저탄소 녹색성장
녹색성장 국가비전 선포(’08. 8·15)
 녹색성장: 에너지와 자원 절약, 효율적 사용하여 기후변화와 환경훼손을 줄이
고 청정에너지와 녹색기술의 연구개발을 통하여 성장동력을 확보하여 새로운
일자리 창출 등 경제와 환경이 조화를 이루는 성장(기본법상 정의)
녹색산업
녹색
기술
에너지 고효율
환경부하 저감
성장
에너지 안보
녹색일자리
에너지위기
극복
생태적 건전성 확보 및
환경질 개선
지속
가능
성장
(국민의
삶의 질
개선)
→ 기후변화와 환경이슈가 미래 신성장 동력 핵심 역할
→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제정, 시행(2010년)
41
저탄소 녹색성장
녹색성장은 환경과 경제의 시너지를 구체화한 것 –“질” 적인 성장
경제
녹색성장1 : (경제⇒환경)
Economy
환경
Environment
녹색성장2 : (환경⇒경제)
1. (경제⇒환경) : 환경을 훼손하는 것이 아니라 개선하는 경제성장
ㅇ 경제성장과 환경훼손의 탈동조화(Decoupling) 추구
ㅇ 자원이용의 효율성을 최대화하고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는 에코효율성 추구
2. (환경⇒경제) : 환경을 새로운 동력으로 삼는 선순환 구조의
경제성장
ㅇ 경제활동의 환경친화성을 증가시키는 녹색기술 및 녹색산업의자료:
성장동력화
환경부, 2009
42
녹색성장, 선택이 아닌 필수
자원과 환경 위기
동시에 직면
녹색기술 녹색산업은
새로운 성장동력
심각한 한반도 온난화
높은 대외에너지 의존도
녹색경쟁에서 생존해야만
선진일류국가로 진입
녹색경쟁을
벌이고 있는
국제사회
환경/자원위기
대응과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한
녹색
성장
국제상황
→ 21세기 기후변화 위기 극복, 질적인 경제성장 달성의 신 성장개념
☞ 한국의 녹색성장정책은 국제적 발전모델로 각광(UNEP)
서울 G20 세계정상회의(’10.11) : 녹색성장 권고사항 정상선언문에 채택
OECD : 2011년 Green Growth Strategy 발표 예정
선진국 대응: 저탄소 경제•사회(녹색성장)
녹색전략은 세계 지도자의 최고 화두!
버락 오바마
고든 브라운
기후변화에 대한 미국의
녹색기술 분야는 지난 1990년대
리더십에 새 장을 열어
IT가 보였던 것과 같은
그 과정에서 수백만 개의 새로운 큰 성장을 실현할 것입니다.
일자리를 만들겠습니다.
앞으로 12년 동안 1,000억
청정에너지에 투자하는
파운드 규모의 자금을 조성하여,
어떤 기업도 워싱턴의 동지가
석유 의존도를 줄이고
될 것이며,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을 확대하는
기후변화에 대해 행동하는
그린혁명을 통해 재생에너지
어떤 국가도 미국이라는
이용을 10배로 늘리겠습니다.
동맹을 얻을 것입니다.
니콜라 사르코지
이제는 행동해야 할 때입니다.
우리는 너무 오래 기다려왔고,
더 이상은 기다릴 수 없습니다.
환경정책은 투자정책이며,
이는 미래성장의 길을 닦는
것입니다.
자료: 환경부, 2009
44
선진국 대응: 저탄소 경제•사회(녹색성장)
세계는 지금 Green Race 중!
일본
- ’05년 에너지분야 R&D 39억불 투자
* 미국 30억불, EU 13억불
- 環境立國정책(‘07.9)
- 아시아 경제·환경공동체 구상(’08.3)
* 세계최고 수준의 환경·에너지기술을 통해
아시아 환경시장을 석권하여 자국의
경제활성화로 연결
EU
- 세계최고 수준의 환경규제
* 자동차, 화학물질 규제 등
- 선도시장 육성전략(‘08.1)
* 글로벌 경쟁력 확보 가능 6개 부문
선도시장을 전략적으로 육성
e-Health
산업용 섬유
지속가능 건설
- 후쿠다비전(’08.6)
* 2050년까지 온실가스를 현재 대비
60~80% 감축
바이오 제품
미국
- 탈 “석유중독” 추진
* 18년 이내에 자동차 연비 2배로 개선
* 2015년까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100만대 보급
- 향후 10년간 1,500억 달러를
청정에너지 산업에 투자(오바마)
- 오바마 대통령 최우선 해결과제
(브루킹스연구소)
① 국제금융시장 안정
② 기후변화 및 에너지
자원재활용
재생에너지
자료: 환경부, 2009
45
(1) 비전 및 추진체계
1
4
효율적 온실가스 감축
2
탈석유·에너지 자립 강화
3
기후변화 적응 역량 강화
녹색기술개발 및
성장동력화
5 기존산업의 녹색화 및
녹색산업 육성
6
산업구조의 고도화
7
녹색경제 기반 조성
8
녹색국토·교통의 조성
9
생활의 녹색혁명
10
세계적인 녹색성장
모범국가 구현
*자료 : 녹색성장국가전략 및 5개년 계획 (09.7)
46
(2) 5개년 계획의 투자소요
’09~’13년간 총 107.4조원 투자 소요 : (’09) 17.5 → (’13) 21.1조원
 연간 GDP의 2% 수준 재정투자 (UN : GDP의 1% 녹색투자 권고)`
 향후 5년간 182~206조원의 생산유발효과, 156~181만명의 취업유발효과 기대
소계
2009
2010~2011
2012~2013
107.4
17.5
48.3
41.5
56.9
8.6
29.2
19.1
14.0%
28.6
4.8
10.8
13.1
9.4%
27.9
5.2
10.5
12.2
3.6%
10.2%
(단위:조원)
3
47
환경정책 추진과제
(1) 기후변화 대응
1
온실가스 감축
①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에너지 ② 수도권 환경·에너지 종합타운 조성
③ 저탄소 녹색마을 조성 ④ 순환형매립지 정비 ⑤ 공공하수도시설 에너지자립화
⑥ 자동차 온실가스 저감 ⑦ 온실가스 배출통계 및 감축잠재량 평가
2
기후변화 적응역량 강화
① 한반도 기후변화 감시망 확대 ② 기후변화 시나리오 및 예측모델 개발
③ 기후변화 취약지도 작성 및 적응기반 조성 ④ 기후·기상변화 환경영향평가
⑤ 기후변화 정보시스템 구축 ⑥ 곡물생산ㆍ소비국 작황정보시스템 구축
⑦ 상수관망관리 선진화 ⑧ 하수도시설 개선 및 확충 ⑨ 전국하천 건강성 회복
⑩ 비점오염 저감 ⑪ 기후변화 건강영향평가
48
(2) 녹색성장 동력확충
1
환경기술·산업 인프라 확충
① 환경기술개발 투자확대 및 효율적 R&D 프로그램 운영 ② 환경기술 이전ㆍ사업화
③ 환경신기술 창업촉진 및 성장지원 ④ 환경기술 표준체계 확립 및 국제표준화
⑤ 환경기술 시험ㆍ인증ㆍ표준시스템 구축 ⑥ 환경산업 해외진출/수출확대 ⑦ 환경산업
외국인 투자유치 ⑧ 국내외 정보협력 네트워크 구축 ⑨ 무역환경규제 대응
2
핵심 환경산업 육성
①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에너지 ② 폐금속자원 재활용산업 ③ 그린카산업
④ 환경플랜트 수출산업화 ⑤ 먹는샘물 수출확대 ⑥ 토양정화산업 ⑦ 기상산업
⑧ 생물자원산업 ⑨ 그린화학산업 ⑩ 환경컨설팅산업
3
자원순환성 제고
① 자원순환관리체계 구축 ② 폐자원의 고부가가치 재활용 ③ 하수처리수 재이용
4
녹색경제 기반조성
① 녹색경영 확산 ② 녹색금융 촉진 ③ 탄소시장 활성화
④ 환경전문인력 1만명 양성 ⑤ 환경에너지 전문대학원 설립
49
참고
10대 환경기술개발 및 환경산업 육성
환경부 주도 R&D투자
: 1,974억원(’09) → 4,000억원(’12)
1. 수처리기술
(
7
대시
장
핵지
심향
기형
술
환경산업 수출액
: 1.3조원(’07) → 8조원(’12)
1. 상하수도 등 환경플랜트
2. 저공해 엔진 등 그린카 기술
2. 그린카 산업
3. 메탄가스 포집ㆍ활용 등
기후변화 대응기술
3.
탄소시장
4. 토양ㆍ지하수 오염정화 기술
)
5. LMO이용 오염정화 등
생물자원 활용ㆍ복원 기술
4. 기상산업
6. 기후변화 건강영향평가 등
환경보건기반기술
5. 도시광업(폐금속재활용산업)
6. 토양정화산업
7. 고부가가치 자원회수 기술
7. 생물자원 산업
(
3
대미
래
원주
천도
기형
술
)
8. 자원회수용 나노촉매 등
융합기반 환경기술
8. 생태관광산업
9. 온실가스 대체물질 개발기술
9. 친환경상품산업
10. PVC, 석면대체 등
생활공감형 친환경제품 기술
10. 환경컨설팅 산업
50
(3) 녹색생활문화 확산
1
녹색생활 실천
① 녹색생활문화 실천 ② 녹색소비ㆍ구매 확대 ③ 친환경운전문화 확산
④ 자원순환성 조성 ⑤ 생태관광 활성화 ⑥ 녹색성장포럼 운영활성화
⑦ 녹색성장교육 국가실행체계 구축 ⑧ 녹색성장 교육강화 ⑨ 녹색마을운동
2
녹색국토 조성
①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 ② 보호지역 지정ㆍ확대와 생태관광지로 육성
③ 보호지역 모니터링 및 정보체계 구축 ④ 생태계 훼손지역 복원 ⑤ 새만금
생태환경 구축 ⑥ 도시생태공간 창출 ⑦ 건축물 탄소배출량 평가기반 구축
3
국가위상 제고
① 국제 녹색성장포럼 구성·운영 ② APEC기후센터 육성
③ 국제 기후변화 적극 대응
51
맺음말
녹색성장은
'1석 3조'의
미래 국가비전
범 지구적 환경 및 에너지, 다양한 자원 위기 대응
신성장동력 확충과 좋은 일자리 창출 : Green Ocean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환경 개선과 국가 위상 강화
기후변화 대응
및 에너지 자립
신성장 동력 창출
삶의 질 개선과
국가위상 강화
저탄소 녹색성장
'Low Carbon Green Growth'
기후변화, 환경, 자원위기  21세기 글로벌 질서 드라이브
맺음말
•
기후변화 현상, 영향 증대, 피해 대상 및 규모 확대(국지, 국가, 지역간, 전세계)
- 식량, 에너지, 물, 생물 등 자연자원 및 산업에의 영향
기후변화를 국가, 지역단위 관련 정책 수립시 고려



기후변화를 고려한 사회 인프라 건설, 국토개발(토지이용 변화), 산업기반구축,
생물자원 보존 계획
재해영향평가, 개발계획의 사전환경성 검토시 기후변화 평가 고려
국가 물관리 대책, 산림, 농업, 에너지 정책의 장기계획 수립시 기후변화로 인한
취약성 고려
→ 녹색성장 5개년 기본계획, 녹색성장기본법의 내실 이행
녹색생활 실천



에너지, 자원절약 실천
자연자원에 대한 관심
산림의 가치 인식 및 나무심기, 숲 가꾸기의 생활화 (탄소중립프로그램) 등
Knowledge 파트너십, 네트워크 강화

South-South, South-North cooperation and partnership (예: 한-중남미 녹색
융합센터)
맺음말
 미래 지구의 모습 재조명(인구, 생태용량, 자원, 성장 등)




(예: “물”: 식량생산, 산업활동, 에너지 생산에 필수자원)
Trend simulation(핫트렌드2011, 대전망2011, 미래산업, 유엔미래보
고서 등)
폭넓은 시각 (mind 확대, diversity, 균형, 효율성)
녹색기술, 녹색산업 육성 – 원천기술, 융합(조화), 공진화, 창조
사회적 서비스, 사회적 기업에의 관심 – 사회정의, 사회적 책임, 공헌
자원개발(보존 및 복원), 효율적 이용(가치 창출)
자원순환
신 재생에너지
위기관리
녹색일자리
저탄소 녹색성장 전략
Act Now, Prepare for the Future !!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