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남미 환경산업 협력(김두환본부장) - 한

Download Report

Transcript 중남미 환경산업 협력(김두환본부장) - 한

한-중남미 녹색융합센터 세미나 (2014.07.16)
Ⅰ
환경 관련 우리의 과거 그리고 현재
1960년대 공공 상하수도 시스템
1970년대 한강오염
1970년대 난지도 폐기물 비위생매립
1970~80년대 산업단지
미처리폐수 방류
2007년 태안기름유출사건
1991년 낙동강
페놀 누출사고 언론보도
2012년 구미 불산 가스 누출사고
4
한국의 환경정책 역사
산업분야 집중 투자에 의한 초고속성장 – ‘한강의 기적‘ 달성
- 1인당 국민소득 80달러(1963년) → 2만달러(2010년)
환경오염극복 또한 제도정비 및 관련투자로 경제성장 속도만큼 신속개선
- 현재 글로벌 환경이슈 해결에 동참하기 위한 환경기술개발 및 정책 제시
1960's
1970's
1980's
1990's
국가경제발전로부터 삶의 질 개선으로의 추구
2000's
• “보릿고개”
• 고속경제성장(10%/년)
• GDP 5,000달러
• GDP 10,000달러
• GDP 20,000달러
• 대외원조 의존
• 중화학공업 육성
• 아시안게임(1986)
• OECD 가입(1996)
• IT발전, 한류열풍
• 경제발전 시작
• 국가토지개발
• 서울올림픽(1988)
• IMF 외환위기
• 자유무역협정 확대
환경이슈 대응 및 환경분야 투자 집중 진행
• 오염방지법(1963)
• 새마을운동
• 환경청 발족
• 환경부 승격(1994)
• 저탄소·녹색성장
• 환경에 대한 무관심
• 조림사업 박차
• 환경보호종합계획
• 환경개선특별회계
• 기후변화 범국가대응
• 환경분야 투자 미비
• 환경오염 심각화
• 상하수처리시설 투자
• 환경기술개발사업
• 환경산업육성
5
정부지원 환경 R&D사업 추진경과
~ 1970년대
1980년대
• 경제성장 그늘 아래, 환경 이슈가 국가적 문제로 부상
• 환경오염에 대응한 환경정책 첫걸음
환경청 발족(1980), 환경보전 장기 종합계획 수립(1988)
1990년대
• 환경오염방지를 위한 제1차 환경 R&D사업 착수
환경부 승격(1994), 환기법 제정(1994), 환경기술개발센터 설치(1998)
2000년대
• 환경과 경제의 상생을 위한 제2차 환경 R&D사업
ITㆍBTㆍNT 및 ET 기반 벤처산업, 차세대성장동력산업 및 녹색성장산업 육성
2010년대 ~
• 환경산업 글로벌화를 위한 제3차 환경 R&D사업
고도화된 환경산업의 해외진출 적극 지원
6
환경기술개발사업의 진화
차세대 에코이노베이션(EI)사업(’11-’20)
기술수준 : 80~90 %
차세대 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01-’10)
기술수준 : 60~70 %
4단계
G-7 사업(’92-’01)
기술수준* : 40~60 %
3단계
2단계
1단계
* 주요 선진국(미국, EU, 일본) 대비 국내 기술수준
7
정부지원 환경 R&D사업 추진경과
차세대 EI사업 등
차세대 사업
G-7 사업
8

59조 36억원('11)
277%

34,296개사('11)로 나타났으며, 도매 및 소매업 22,121개사(65%), 하수ㆍ폐기물처리, 원료 재생 및
환경 보건업 3,846개사(17%), 제조업 3,678개사(11%) 순으로 나타남

53,403(29%), 도·소매업 42,305(23%), 제조업 31,841명(17%)
원료재 및 환경보건업 분야
555,525
408,060
593,631
30,221
31,728
33,835
440,064
[매출액
(단위 : 억 원)]
[환경업체 수]
9
34,296
185,346 195,570
214,648
[환경부문 종사자 수]
183,538

2조 2,283억원('08) ⇒ 4조 9,767억원('11) 으로 약 223% 급성장

313개사('08) ⇒ 340개사('09) ⇒ 386개사('10) ⇒ 309개사('11)으로 큰 변동이 없으나,
사업체당 평균 수출금액은 71억원 ('08) ⇒ 161억원('11)으로 급성장

50억불 이상 수출기업의 수가 46개사('09) ⇒ 81개사('11)으로 약 2배 증가하여
환경산업 수출규모가 대형화 되어가는 추세
(개사)
(억 원)
(억 원)
10
11

선진국에 비해 환경기술의 수준은 낮으나 선진국 (G8)과 중동, 중국 등이 주요 수출국이며,
남미 등 기타국가도 주요 환경시장으로 부상

선진국에 오염관리 관련 건설 수출액이 2조 2,934억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단위 : 억 원)
Ⅱ


[ 지역별 세계 환경시장 규모(’09년 기준) ]
[ 세계 환경시장 성장 추이 및 전망 ]
13
 물 산업, 폐기물 자원순환산업, 지속가능환경자원산업 3개 산업이 전체시장의 81.7% 차지
 물 산업 36.1% (3,248억 달러)
 폐기물 자원순환산업 29.7% (2,668억 달러)
 지속가능 환경자원산업 15.9% (1,427억 달러)
5.7%
4.6%
8.0%
36.1%
15.9%
81.7%
물
폐기물 자원순환
지속가능 환경자원
환경지식서비스
기후대기
환경복원복구
29.7%
자료 : EBI(Environmental business International, INC)(2012)
미국(36.5%), 서유럽(27.0%)이 전체 시장의 63.5% 차지
중동(10.7%), 아프리카(10.4%), 멕시코(6.6%), 중남미(6.1%) 지역은 시장규모는 작으나,
연평균성장률('04~'12)
성장률은 미국에 비해 약 3배 정도높음
세계 환경시장규모 대비 비중 9.1%
Middle East
Rest of Asia
Africa
Mexico
Rest of
Latin America
연평균 성장률 3.9%
Canada
Australia/
New ZealandCentral &
Eastern Europe
Japan
Western
Europe
United States
세계 환경시장규모 비중('12년 기준)
자료 : EBI(Environmental business International, INC)(2009)
15/30
Ⅲ
’12


25 000
브라질
20 000
멕시코
아르헨티나
15 000
칠레
베네수엘라
10 000
콜롬비아
기타
5 000
-
'09
‘10
‘11
‘12
‘13
[ 중남미 환경시장 규모 (억 달러) ]
17
출처: EBI (2012)

18

19

내
부
역
량
적
합
도

시장매력도
20


경제수준 및 환경시장 여건 등을 감안
권역별 맞춤형 전략 수립 추진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 지원법」
’13년까지 총 268개 환경협력 프로젝트를 세계 51개 국가에서 진행
Russia
Canada
Ireland
Germany Romania Turkmenistan
Switzerland Bulgaria
Uzbekistan
Mongolia
France
Italy
Azerbaijan
Turkey
Iran
Tunisia
Japan
China
Kuwait
Algeria
Libya
UAE India
Pakistan Cambodia
Bangladesh
Saudi Arabia
Vietnam
Thailand
Conggo
Philippines
Ghana
Nigeria
Malaysia
Sri Lanka
Indonesia
Tanzania
Angola
U.K
Mozambique
개도국 Master Plan (‘07~, 16개국)
해외협력 타당성조사 (‘09~, 35개국, 118개 과제)
전시회 (8개국 )
USA
KEITI 권역별 수출지원실적
(10년~13년 / 1조 8,008억)
Australia
중동/아프리카
31.5%
아시아
25.1%
중국
23.5%
미국/일본/유럽
10.6%
중남미
9.3%
Mexico
Nicaragua
Colombia
Peru
Brazil
Chile
국제공동협력 (‘04~, 23개국, 121개 과제)
해외시장조사 (‘09~, 13개국)
* 동일사업의 중복국가는 제외
23/30
해외 환경산업협력센터 개편 및 협력거점 확대(3개소→ 5개소)
- 중소환경기업 수주·수출활동 지원을 위한 해외 현지 인프라 확충 및 현지 지원서비스 강화
- 기존 아시아 중심(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3개소)에서 신흥 환경시장으로 성장하는 중남미(콜롬비아),
북아프리카(알제리) 권역으로 협력 거점 확대
권역별 글로벌 그린 비즈파트너쉽 확대(북아프리카, 중남미, 아시아, 중동, 중동부 유럽)
환경개선 마스터플랜 협력국가 확대(’12년 3개국→’13년 4개국, 콜롬비아, 멕시코, 미얀마, 라오스)
한·중 공동 환경기술 실증화 지원센터 설립 추진(’13년~)
- 중국 현장에서 발생하는 환경시료 시험분석 및 Lab Scale 실증 장소 제공, 중국 정부 공인시험성적서
발급을 통한 국내 환경기술의 중국 진출기반 강화
24/30
‘14년 코스타리카
폐기물 관리
마스터 플랜 수립 추진 중
- ‘13년 멕시코 하수도개선
마스터 플랜 수립사업
- Lerma강 복원 프로젝트 위원회
제 12차 ISCET 연계 초청
- ‘12년 멕시코 할리스코
폐기물 에너지화 사업
‘13년 폐기물관리 타당성
조사사업
CAR, EPC 제 12차 ISCET 초청
‘13년 콜롬비아 하수도개선
마스터 플랜 수립사업
CAR, EPC – KEITI MOU 체결
CAR, EPC 제 12차 ISCET 초청
기술원 콜롬비아 센터 개소
- ‘12년 페루 하수도개선
마스터 플랜 수립사업
- 리마시 신앙콘 매립장 건설
타당성 조사 사업
‘12년 칠레 대기관리개선
마스터 플랜 수립사업
‘14년 고이아스주 산업연맹
MOU 체결
‘11년 찌에떼시 MOU 체결
< 우리기업의 수주 성공사례 >
사업개요
프로젝트 명
발주처
재원
총 사업기간
주요내용
콜롬비아 메데진 베요(Bello) 하수처리장 건설사업
메데진 공공사업청(EPM)
약 4억5천달러 (IDB 차관80% + EPM 20%)
4년 (3년 공사 + 1년 운영)
ㅇ 처리용량 : 43만톤/일 (일일최대 56만톤/일)
ㅇ 활성슬러지기법 (초당 5m³유량 설계)
사업 수주 전략
✓ 지속적인 콜롬비아 인프라 시장
수요 파악 및 국가계획 정보
모니터링
✓ 프로젝트 심사(PQ) 기간동안 실행가능성 증대를 위한 현지
지사의 노력
✓ 프로젝트 입찰 신청서의 완벽한 준비
✓ 현지 사업활동 경험이 풍부한 다국적 기업과 컨소시엄 구성
27
Ⅳ
중남미 물시장 여건
브라질(11%),
아르헨티나가 14%로 가장 높은 성장률을
캐나다
5%
멕시코 콜롬비아
2%
3%
칠레
2%
페루
1%
아르헨티나
1%
성장률(%)
16
2010~2016 연평균성장률
14
14
12
10
브라질
11%
7,3
8
6
구미대륙
물시장 규모('10)
4
107,709
7,7
5,6
4,1
4,1
3,8
2
(단위: 백만달러)
0
-2
미국
75%
캐나다
미국
아르헨티나 브라질
칠레
-4
-6
-5,4
자료: Global Water Market 2010
29
콜롬비아
멕시코
페루
중남미 폐기물시장 여건


(단위 : 백만달러)
(단위:백만달러)
70 000
100 000
59 781
60 000
90 000
50 166
80 000
50 000
41 805
40 000
93 365
70 000
35 674
60 313
60 000
50 000
30 000
43 587
40 000
20 000
10 000
30 000
20 000
4 181 3 484 3 344
1 812 1 768 1 375 1 158 959
0
883
794 10 000
0
4 459 1 589
707
348
[ OECD 회원국 일반폐기물 시장 규모]
[ 세계 도시폐기물 시장 규모]
자료: CyclOpe-veolia, World Waste Survey
30
중남미 대기오염방지 시장 여건
 칠레는 주변국가에 비해 천연가스자동차(NGV) 보급을 정부차원에서 추진하려는 움직임,
중남미 국가 중 연평균 33.6%로 가장 빠르게 시장 성장
 멕시코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대기오염 모니터링 개선프로그램을 이용한 시장형성 예상
<중남미 NGV 보급 증가율>
<중남미 NGV 보급 비중>
31
중남미 환경시장 진출 여건 SWOT분석
◦ 해외진출(미국, 독일, 스페인, 네덜란드, 일본 등)과의 경쟁
이후 높은 경제성장률
녹색산업, 환경산업, 신재생에너지 산업, 에너지 효율화
◦ 재정기반 취약(금융조달 방식)
국가들의 다양한
인센티브제도 도입(환경법, 세금정책 등)
강점
약점
기회
위협
해외 기업들의 환경시장 선점
◦ 대규모의 환경프로젝트 발주
◦ 정부의 환경기초시설(수질, 폐기물, 대기)에 대한 한국
정부와 기업들의 투자 필요성 증대(ODA, IDB 및 CABEI 연
결)
32
◦ 해외사업소 네트워크 부족
중남미지역에서 한국 환경기업의 인지도 낮음


33
중남미 환경시장 진출 방안
신규 시장 개척
연계한 전통적 환경 분야 진출
시장 특성
진출 전략
중점 국가
34
해외진출 지원 프로그램 적극 활용
 해외프로젝트 타당성조사
 해외 현지화 시범사업
 정부 및 발주기관 담당자 한국 초청
 중남미 환경시장 개척단 파견
 환경개선 마스터플랜 수립
콜롬비아 폐기물관리 마스터플랜 수립 지원 예정
35
김두환 [email protected]
브라질 환경시장(개요)

[ 브라질 물 시장 전망(2010~2016) ]


37
(단위: 백만달러)
브라질 환경시장(개요)



38
브라질 환경시장(수처리)
일반개요
 브라질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담수유량(초당 197,500㎥)을 보유
 지구 전체 담수의 15%(연간 5,619k㎥)를 보유하고 있음
 수질개선을 위하여 13억 달러가 투자(’02년)되었으며, 브라질 GDP의 0.2%를
시장규모
차지하고 있으나 세계보건기구가 정한 GDP 1%에 비해 현저히 저조한 수치임
 하수시설 프로젝트에 총 205억 달러, 2011~14년동안 약 134억 달러 투자 발표
 물 손실율이 도시에서 생산되는 생수(portable)의 40~50%정도에 달하며,
원인은 소비량 예측 실패 및 누수이며 이에 따른 손실 규모는 연간 50억 달러
법적규제
 SABESP 등 국영기업이 대부분의 물공급 및 폐수처리시장 점유
 2005년 연방정부가 물산업 개발∙지원을 목적으로 한 규제지침 마련 위해
의회에 자금요청 신청 ‘모두를 위한 하수설비시설’이란 프로그램을 통해
지자체, 주정부, PPP 하수설비 기업이 입찰 가능
 2007년 2월 발효된 수질정화 서비스관련 신 법안(법 11455)은 민간투자를
안정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 규제, 계획, 감독 및 투명성 부문에서 의미 있는
진전을 보이고 있음
39
브라질 환경시장(폐기물)
법적규제
일반개요
 2010년 ‘고체 폐기물 처리에 관한 법률’ 통과, 2010년 8월부터 시행
40
 공중보건 및 환경상태를 증진 및 폐기물 처리와 관련한 새로운 기술 발전 촉진을
위한 각종 금융지원, 세제혜택의 내용 포함
 2010년 기준 브라질에서 발생한 폐기물은 약 6000만톤
 생활폐기물 및 유해 폐기물 수거는 정부의 당면 과제로서 , 단순매립(open
dumps)을 포함한 매립지 시설이 부족한 실정
 현재 허가받은 폐기물처리 사업체는 28개로 전체인구의 30%(28.1백만)의
폐기물만 처리, 폐기물 재활용은 5% 미만
 2010년 폐기물 인프라 구축을 위해 100억 달러 투자계획을 발표하였으며,
시장규모
연간 80억 달러 이상의 환경 시장을 형성할 전망
 2014년까지 각 주·시 정부는 발생한 폐기물의 최소 20%이상을 재사용·재활용
해야한다는 규정에 따라 이와 같은 고형 폐기물 연료화 시설 등의 설치 증가 전망
브라질 환경시장(대기)
일반개요
 브라질의 대기오염은 상파울루, 리우데자네이로, Cubatao, Belo Horizonte,
Curitiba, Porto Alegre 같은 도심 및 산업개발지역에서 집중적으로 관찰됨
 상파울루주는 대기질 감독기술 및 방식에 있어 브라질에서 선두 주자
 2004년 대기오염제어 제품시장은 7천만 달러 규모로 예측되며,
시장규모
매년 시장규모가 20% 정도 증가될 것으로 예측(Globe-Net, 2004b)
 상파울루시 남동쪽과 같은 산업중심지에서는 대기 모니터링을 위한 시장 급성장
 1981년 환경기본법 내에 대기오염방지 규정, CONAMA 결의서에서 규정내용과
대기환경기준 제시
법적규제
 1989년부터 환경부산하 환경·재생가능 자원 연구소(IBAMA)의 감독하에
대기질 개선, 배출허용기준 준수, 미개척지의 대기오염 방지 목표달성을
위하여 대기오염 방지프로그램 (PRONAR) 실시 중
41
브라질 환경시장(진출여건)
브라질 코스트
연간 최대 151억 달러 규모의 환경시장
복잡한 법체계, 높은 세금과 금리, 관료주의, 인프라미비
중남미 지역 진출을 위한 거점 지역
매립지 및 플랜트 건설시 환경부 허가가 어려움
강점
약점
기회
위협
경제성장촉진정책(PAC)으로 수질, 상하수도, 폐기물 분야 정부투자 증대
급격한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한 환경산업 수요 증대
환경규제가 강화되고 있으나 잘 지켜지지 않음
[ 브라질 환경시장 SWOT 분석 ]
42
콜롬비아 환경시장(개요)


43
콜롬비아 환경시장(수처리)

일반개요
'


29%
'
시장규모
미국

54%
중국
4%
6%
7%
[ 용수 및 폐수처리 장비 수입국(2008) ]
44
콜롬비아 환경시장(폐기물)
2%

일반개요
0.3%
1%
8%
10%
79%

쓰레기처리장
축적
개활지
지하매립
강.바다
미처리
[ 콜롬비아 폐기물 처리 현황(2006) ]
출처: Corporaciones Autonomous Regionales (지방자치법인)

시장전망


45
콜롬비아 환경시장(기후변화)

농업
수송
일반개요
임업
산업
폐기물
에너지

시장전망

46
1
11
12
18
24
32
콜롬비아 환경시장(진출여건)
강점 약점
기회 위협
47
콜롬비아 환경시장(진출여건)

48
멕시코 환경시장(개요)


49
멕시코 환경시장(개요)



‘

50
멕시코 환경시장(수질)
일반개요
 연간 수자원 활용량은 2008년 기준, 789억m3이며 이 중 63%인 497억m3가 지표수,
37%인 292억m3가 지하수로부터 공급하여 지하수 의존도가 높음
 653개의 지하 대수층 중 104개를 과도하게 사용-> 습지, 호수가 사라지고 생태계 파괴
 전체의 56% 건조기후 지역-> 북부경우, 남부에 비해 36%가량 수자원 공급량이 부족
시장규모
 멕시코의 상하수도 처리시장의 성장률은 6.4%인 유망시장이며, 산업용수 분야의 경
우 수처리 시장이 2014년까지 12.3% 성장할 것으로 전망
 국가 인프라 프로그램(2007년~2012년)를 통해 상하수도 및 홍수관리에 총 186.4억
달러가 투자될 예정이며 이중 132.9억 달러를 정책자금으로 충당하고 민간의 자본
참여를 통해 53.5억 달러 유치예정: 입찰정보compraNET(www.compranet.gob.mx)
 멕시코 내 수자원 공급 및 하수처리 투자는 연방정부의 기금이 약 25~30% 주정부
기금이 약 23% 기초지방정부 기금이 14% 등이 활용되며, 전체 물사업의 자금의
70%가 연방수자원청(CONAGUA)를 통해 지원(GDP의 0.8%)
법적규제
 연방수자원청은 멕시코 상하수도 정책수립·운영을 담당하며, 주정부 등에 자금 지원
 1983년 수자원 사업의 지방분권화와 함께 연방수자원청(CONAGUA)의 기능이 지방
정부하의 상하수도 관리기구(CEA, Comision Estatal de Agua)로 분산
51 수자원 프로그램(National Water Program,
 연방수자원청(CONAGUA)은 국가
2007~2012)을 통해 상수 보급률을 2006년 89.6%에서 2012년 95%로 차집된 생활
하수의 처리 비율을 2006년 36.1%에서 2012년 60%까지 향상 목표
51
멕시코 환경시장(폐기물)
 매일 10.5만 ton의 생활폐기물을 배출하며, 적합한 처리시설이 잘 갖춰지지 않은 실정
* 2008년 기준, 1인당 약 1.3kg 내외의 고체폐기물을 배출하며, 유기성분은 53%, 재활용 가능한 무기성분 28%,
재활용 불가능한 무기성분 19% 차지
일반개요
 생활폐기물의 약 87% 수거, 수거된 폐기물의 64% 위생매립 기타 13%는 불법매립
 ‘09년~’14년 폐기물처리플랜트 연평균 4.67% 성장, ‘14년 약 216백만 달러 규모
* 2005년~2009년 :연 평균 약 5.48% 성장, 2009년 기준 172백만 달러 규모
시장규모
법적규제
생활폐기물 설비 시장 규모(’08년) 905백만 달러, 연간 약 5% 증가할 것으로 예상
산업 폐기물 설비시장 규모(’10년) 681백만 달러, 연간 약 7% 성장할 것으로 예상
’07년 미국 62%, 캐나다 13%, 독일 8%, 일본과 프랑스가 각 6% 외국계 시장 점유
폐기물 에너지화 관련, 향후 5년간 멕시코 전역에서 매립지 및 하수처리시설, 축산시
설의 바이오가스를 활용한 35MW~70MW 규모의 발전시설 건설 계획
 주요도시에 폐기물 매립지 건설 및 적환장 건설 사업과 Monterrey, Nuevo Leon 등
주요 산업도시에 유해폐기물 관리시설 유망




 멕시코 연방환경부(SEMARNAT)는 폐기물발생예방 및 최소화, 폐기물 분리, 재사용
및 재활용, 원료 및 에너지로서의 활용 증대를 위한 국가 프로그램 수립 및 운영
 PET 및 플라스틱 자재의 재활용52비율 28%, 유기 폐기물 활용시설 50%, 금속 폐기물
의 재활용 비율 50% 등 확대
 Hidalgo주, San Luis Petosi주, Quintana Roo주, Zacatecas주 등 소각설비 법적금지
52
멕시코 환경시장(대기)
일반개요
 Mexico City 대기오염의 주범은 약 350만대의 자동차이며, 해발 7,400피트에 위치한
분지형 지형으로 인해 대기오염원이 축적되어 대기오염이 가속화
 두 번째로 큰 도시 Guadalajara가 대기오염 기준을 넘는 일수는 일 년의 90%이상이며
교통부문이 대기오염의 주범
 140만명의 국경인접도시 Ciudad Juarez는 마낄라도라(Maquiladoras) 산업지대로 교
통부문 대기오염이 90%이상을 차지하나 산업시설에 의한 오염 역시 지속적으로 악화
 이동오염원 설비시장규모(‘06년) 약 337.1백만 달러, 연간 약 7% 성장
 대기오염 분야의 점오염 시장규모(’06) 약 449.3백만 달러, 연간 약 6% 성장
시장규모
- 환경보호청(PROFEPA)는 제조업체 및 PEMEX(멕시코 석유회사, 청정 가솔린 및 디젤 생산 담당),
연망전력국(CFE, Federal Electricity Commision) 등과 함께 적극적인 대기오염 저감 사업활동
- 대기설비 부문 수요의 90%가 중소규모의 제조업에서 발생하며, 나머지 10%가 광산업, PEMEX(국
영석유공사), CFE(국영전력청)에서 발생
 대기시장의 50%이상 미국기업이 차지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독일(14%), 일본
(10%), 캐나다(10%), 영국(8%) 기업 순으로 진출 (GDP의 0.8%)
법적규제
 멕시코 연방정부, 주정부 및 지방체는 대기오염 규제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Pro
Aire 대기질 개선 프로그램’ 수립, 이는 각 지방도시의 대기질 개선의 견인차 역할
53
 NAFTA(North American Free-Trade
Agreement) 체결이후, 환경관리 수준을 미국
수준에 맞추는 것으로 대기관련 산업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
53
멕시코 환경시장(진출여건)
강점 약점
기회 위협
54
페루 환경시장

* 전체 인구의 76%, 57%가 각각 상수도, 하수도 시설 부족, ‘06년~’15년 상수분야 1,459백만달러, 하수분야 2,586백만달러 투자 계획

* IDB 폐기물 사업(1억달러), 상하수도개선사업(7억 9천만달러) 지원 계획

* 주택건설위생부: Ministry of Housing, Construction and Sanitation, 국가위생공사: National Sanitation Board, 환경부: Ministry of Environment

55
칠레 환경시장(진출여건)
강점
약점
기회
위협
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