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가족 행동 및 관계의 변화

Download Report

Transcript 2) 가족 행동 및 관계의 변화

현대 한국 가족의 변화와
새로운 가족 관계의 모색
2008. 10. 22
이화여자대학교
최 유 정
전형적 가족상의 형성
가족의 변화 추세 : 전형성의 전복 과정
정서적 기능을 중심으로 한 가족 개념의 모색
정보화 사회와 가족 관계의 변화
미래 가족관계를 위한 제언
전형적 가족상의 형성
1) 식민지 하에서의 성별 분업과 가족의 정서적 의미
(1) 가족의 의미 : 개조의 대상이자 민족 고유의 정체성을
유지, 회복해야 하는 상징적 공간
(2) 가족의 형태적 특성 : 확대 가족의 이상 유지
(3) 가족 관계의 재규정
- 부부관계 : 부부간 성별 역할 분업의 재구조화
남성 생계부양자 vs. 현모양처로서의 여성
- 부모자녀관계 : 근대 국민 재생산 및 교육을 담당해야 할 모성
역할 및 부모의 기능적 책임 강조
전형적 가족상의 형성
1) 산업사회와 가족의 의미 변화
(1) 가족의 의미 : 사회의 경쟁적 구조를 완화하는 안식처
(2) 가족의 형태적 특성 : 핵가족 제도의 개념적 정착
(3) 가족 관계의 재규정
- 서구적 의미에서의 성별 이데올로기 정착
- 주부로서의 여성 역할의 다각화
- 스위트홈의 신화 확산
- 부부중심의 우애적 가족(conjugal family)의 이상 확산
- 자녀 교육과 관련한 부모의 기능적 책임은 오히려 강화됨
가족의 변화 추세 : 전형성의 전복 과정
1) 가족 형태의 재구조화 및 비전형적 가족의 증가
(1) 가족 규모의 축소 및 형태의 단순화
① 가족 구성의 변화
- 인원상 형태 단순화
- 세대수 감소 및 세대 구성의 변화
- 가구 구성의 변화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5,576
6,367
7,470
8,751
10,167
11,133
11,928
12,490
5.4
5.0
6.4
7.8
9.3
12.6
14.8
18.0
부부와 미혼자녀
55.5
55.6
56.5
57.8
58.0
58.6
57.8
53.7
편부모와 미혼자녀
10.6
10.1
10.0
9.7
8.7
8.6
9.4
11.0
1.4
0.5
0.6
0.8
0.9
1.1
1.2
1.2
17.4
10.9
10.4
9.9
9.3
8.0
6.8
5.7
9.7
17.9
16.1
14.0
13.8
11.2
10.1
10.4
혈연가구수
핵 가 족
(%)
직 계 가
족(%)
부부
부부와 양(편)친
부부와 양(편)친과
자녀
기타가족(%)
출처 : 통계청, 2006, <인구주택총조사>
가족의 변화 추세 : 전형성의 전복 과정
1) 가족 형태의 재구조화 및 비전형적 가족의 증가
(1) 가족 규모의 축소 및 형태의 단순화
② 출산율 감소에 의한 가족 구성원 수 축소
- 합계 출산율의 지속적 감소
- 2008년 5월 20일 세계보건기구(WHO)의 발표에 따르면
한국의 합계 출산율은 조사대상 193개국 중 최저 수준
기본
항목별
199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출생아수
(명)
721,074
636,780
557,228
494,625
493,471
476,052
438,062
451,514
496,710
조출생률
(천명당)
16.0
13.4
11.6
10.3
10.2
9.8
9.0
9.2
10.1
합계
출산율(명)
1.65
1.47
1.3
1.17
1.19
1.16
1.08
1.13
1.26
출처 : 통계청, 2008, <인구주택총조사>
가족의 변화 추세 : 전형성의 전복 과정
1) 가족 형태의 재구조화 및 비전형적 가족의 증가
(2) 가족의 다양화
- 독신과 이혼으로 인한 1인 가구 증가
- “전형적” 핵가족의 감소
- ‘정상 가족’과 ‘비정상 가족’의 경계 소멸
가구 구성별
2007
계
1인
2인
3인
4인
5인
7인 이상
6인
계
16,417,423
3,298,261
3,692,674
3,442,651
4,409,443
1,229,939
256,445
88,010
부부
2,390,541
0
2,390,541
0
0
0
0
0
부부+형제
자매(친인척)
34,233
0
0
30,043
3,287
664
176
63
가구주+형제자매
203,234
0
174,257
25,939
2,712
295
28
3
가구주+기타친인척
34,484
0
26,272
5,663
1,734
653
107
55
1세대 기타
47,749
0
14,617
26,109
5,109
1,375
337
202
부부+자녀
6,888,572
0
0
2,393,423
3,833,529
619,659
38,462
3,499
부+자녀
301,123
0
152,027
126,398
20,589
1,930
149
30
모+자녀
1,119,667
0
607,737
434,189
70,633
6,645
396
67
부부+양친
24,740
0
0
0
24,740
0
0
0
부부+한부모
139,097
0
0
139,097
0
0
0
0
부부+자녀
+형제자매
70,099
0
0
0
24,780
38,787
5,791
741
조부모
+손자녀
62,266
0
0
42,046
17,677
2,284
217
42
2세대 기타
460,871
0
162,824
111,352
82,795
79,478
16,550
7,872
부부+자녀
+양친
143,573
0
0
0
0
49,489
72,311
21,773
부부+자녀
+한부모
575,083
0
0
0
183,867
323,386
60,338
7,492
3세대 기타
391,452
0
0
76,230
124,904
94,234
56,687
39,397
4세대 이상
15,864
0
0
0
719
3,475
4,896
6,774
3,298,261
3,298,261
0
0
0
0
0
0
216,514
0
164,399
32,162
12,368
7,585
0
0
1인가구
비친족가구
< 한부모 가구 비율 >
1985
한부모와 자녀가구
가구주와 혼인상태
1990
1995
2000
2005
594
662
744
871
1,042
사별
443
498
526
502
501
이혼
50
79
124
246
399
미혼
101
85
94
123
142
6.2
5.8
5.7
6.1
6.7
한부모 가구비율
출처 : 통계청, 2006, <인구주택총조사>
< 여성 가구주 가구 비율 >
1975
여성가구주 가구수
여성가구주의 혼인상태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850
1,169
1,501
1,787
2,147
2,653
3,485
유배우
24.5
22.3
22.7
17.7
15.7
16.6
17.9
사별
59.4
58.2
52.3
56.3
56.1
50.5
44.4
이혼
4.3
3.9
4.3
5.6
7.1
11.6
14.4
미혼
11.8
15.5
20.6
20.4
21.0
21.4
23.2
12.8
14.7
15.7
15.7
16.6
18.5
21.9
여성가구주 가구비율
출처 : 통계청, 20086 <인구주택총조사>
가족의 변화 추세 : 전형성의 전복 과정
2) 가족 행동 및 관계의 변화
(1) 개인적 선택과 관계성의 중시
① 또 다른 선택으로서의 이혼의 증가 및 이혼 연령의 상승
- 2007년 현재 한국 이혼율은 OECD 국가 중 3위
- 이혼 평균연령은 남자가 43.2세, 여자가 39.5세로 10년 전에
비해 남자 4.1세, 여자 4.2세 높아짐
기본
항목별
199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이혼
건수(건)
68,279
119,982
135,014
145,324
167,096
139,365
128,468
125.032
124,590
조이혼율
(천명당)
1,5
2.5
2.8
3.0
3.5
2.9
2.6
2.6
2.5
출처 : 통계청, 2008. 인구동태통계연보
가족의 변화 추세 : 전형성의 전복 과정
2) 가족 행동 및 관계의 변화
(1) 개인적 선택과 관계성의 중시
② 혼인율의 감소 및 혼인 연령의 상승
기본
항목별
199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혼인
건수(건)
398,484
334,030
320,063
306,573
304,932
310,944
316,375
332,752
345,592
조혼인율
(천명당)
8.7
7.0
6.7
6.4
6.3
6.4
6.5
6.8
7.0
출처 : 통계청, 2008. 인구동태통계연보
가족의 변화 추세 : 전형성의 전복 과정
2) 가족 행동 및 관계의 변화
(1) 개인적 선택과 관계성의 중시
③ 재혼 가구의 증가와 재혼 형태의 다양화
연도
총재혼건수
합계
초혼(남)-재혼(여)
재혼(남)-초혼(여)
재혼(남)-재혼(여)
1980
31,341
100.0
15.3
45.0
39.8
1990
42,663
100.0
21.8
34.0
44.2
2001
63,868
100.0
27.6
18.9
53.5
2002
64,440
100.0
26.7
18.3
55.5
2003
67,830
100.0
25.9
17.6
56.5
2004
75,871
100.0
25.2
16.1
58.7
2005
80,087
100.0
25.3
16.5
58.2
2006
74,114
100.0
24.8
19.1
56.1
출처 : 통계청, 인구동태통계, 각년도
가족의 변화 추세 : 전형성의 전복 과정
2) 가족 행동 및 관계의 변화
(2) 성별 관계의 변화
가사분담 실태 (남편 / 아내)
부인이
주도
부인이
전적으로
책임
부인이 주로
남편도 분담
공평하게
분담
남편이
주도
남편이 주로
부인도 분담
남편이 전적
으로 책임
89.5
31.9
57.6
7.5
2.9
2.4
0.6
89.7
36.5
53.2
7.9
2.3
1.9
0.4
1.9
0.3
가사분담에 대한 견해
65.4
5.9
출처 : 통계청, 2008, 사회조사통계
59.4
32.4
2.3
가족의 변화 추세 : 전형성의 전복 과정
2) 가족 행동 및 관계의 변화
(3) 부모 자녀 관계의 변화
- 세대간 단절
- 자녀와의 관계 변화: 청소년 고민 상담 대상(아버지 2.9%, 어머
니: 15.1%에 불과. 친구, 동료의 경우 49.9% 차지)
- 가족의 부모 부양 기능 약화
- 친족 관계와 행동에서의 변화
< 부모님 생활비 주제공자-가구주>
장남 또는 맏며느리
아들 또는 며느리
딸 또는 사위
모든 자녀
부모님 스스로 해결
계
15.6
12.1
2.1
24.8
44.8
남자
16.1
12.9
1.2
25.3
44.1
여자
13.2
8.3
6.6
22.6
48.3
15-29세
4.5
2.8
2.2
9.3
80.7
30-39세
11.0
9.7
1.5
20.9
56.6
40-49세
16.2
13.8
2.2
29.9
37.4
50-59세
26.3
16.9
2.7
31.8
21.4
60세 이상
36.4
22.4
4.0
21.8
14.5
통계청, 2008, 사회통계조사
< 부모님 생활비 주제공자-가구주의 배우자>
장남 또는 맏며느리
아들 또는 며느리
딸 또는 사위
모든 자녀
부모님 스스로 해결
계
12.6
9.6
3.9
21.6
52.0
15-29세
3.2
2.5
5.0
8.6
80.5
30-39세
8.1
6.6
3.5
17.6
64.0
40-49세
15.4
11.8
3.5
27.5
41.6
50-59세
24.1
16.8
4.9
29.5
24.1
60세 이상
31.6
21.5
6.8
21.7
16.9
통계청, 2008, 사회통계조사
가족의 변화 추세 : 전형성의 전복 과정
3) 가족 가치의 변화
- 결혼에 대한 견해 변화
- 이혼 및 재혼에 대한 태도 변화
- 부모 부양의식 변화
< 결혼에 대한 견해>
반드시
해야 한다
하는 것이 좋다
해도 좋고
안 해도 좋다
하지 않는
것이 좋다
하지 말아야 한다
잘 모르겠다
계
25.7
42.0
27.5
1.8
0.4
2.6
남자
30.0
45.1
21.1
1.0
0.3
2.5
여자
21.6
38.9
33.6
2.6
0.5
2.7
15-19세
15.6
43.6
34.1
1.2
0.4
2.6
20-29세
19.7
44.8
31.2
1.3
0.3
2.0
30-39세
15.6
43.0
36.5
2.4
0.5
2.6
40-49세
19.6
43.6
19.0
1.8
0.4
2.3
50-59세
32.9
43.6
19.0
1.8
0.4
2.4
60세 이상
51.3
33.6
11.1
1.4
0.3
2.7
통계청, 2008, 사회통계조사
< 이혼에 대한 견해>
어떤 이유라도
안된다
가급적 안 된다
할수도 있고
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유가 있으면 하는 것
이 좋다
잘 모르겠다
계
19.5
40.4
29.4
6.8
4.0
남자
22.0
44.2
24.0
5.4
4.4
여자
17.0
36.8
34.5
8.1
3.6
15-19세
9.6
37.2
36.0
7.3
9.8
20-29세
11.4
36.5
39.6
7.5
4.9
30-39세
13.1
40.5
36.4
7.0
3.0
40-49세
16.5
42.9
29.9
7.7
3.1
50-59세
23.7
45.0
21.8
6.4
3.1
60세 이상
40.8
38.8
12.4
4.5
3.4
통계청, 2008, 사회통계조사
< 재혼에 대한 견해>
반드시 해야 한다
하는 것이 좋다
해도좋고 안해도 좋다
하지 않는 것이 좋다
하지 말아야 한다
잘 모르겠다
계
1.9
21.4
49.9
11.9
3.9
10.9
남자
2.5
26.2
47.9
8.6
3.1
11.7
여자
1.4
16.9
51.8
15.1
4.6
10.2
15-19세
1.2
14.0
57.4
6.8
2.6
17.9
20-29세
1.5
19.4
60.2
5.3
1.7
11.8
30-39세
1.6
20.7
54.7
10.7
2.7
9.6
40-49세
1.6
20.5
48.4
15.1
3.8
10.5
50-59세
2.0
23.7
42.8
15.8
4.6
11.1
60세 이상
3.5
27.1
37.2
15.5
7.8
8.8
통계청, 2008, 사회통계조사
스스로
해결
가족
2002
9,6
2006
< 노부모 부양에 대한 견해>
장남(맏며느리)
아들(며느리)
딸(사위)
모든 자녀
자식중 능력있는자
가족과
정부· 사회
70.7
21.4
19.7
1.4
27.6
30.0
18.2
1.3
0.2
7.8
63.4
19.5
8.1
0.9
49.2
22.2
26.4
2.3
0.1
남자
7.1
65.6
21.4
9.5
0.4
47.2
21.4
25.2
2.0
0.1
여자
8.4
61.3
17.5
6.7
1.3
51.3
23.1
27.6
2.6
0.1
15-19세
8.4
58.0
10.5
6.5
1.6
56.8
20.9
29.9
1.9
0.1
20-29세
6.7
61.4
12.9
8.0
1.5
54.4
21.0
31.3
1.8
0
30-39세
6.0
60.9
16.2
7.6
0.8
52.2
24.5
27.4
1.9
0.1
40-49세
5.4
65.2
15.6
7.0
0.6
45.6
24.4
22.9
2.3
0.1
50-59세
7.8
66.9
21.2
8.3
0.6
31.3
20.4
22.9
2.3
0.1
60세 이상
13.8
66.1
36.8
10.8
0.7
29.0
18.9
14.9
4.0
0.1
통계청, 2008, 사회통계조사
정부·
사회
기
타
정서적 기능을 중심으로 한 가족 개념의 모색
1) 정서적 기능에 기반한 가족 정의
▪ 전통적 가족 개념을 고수할 경우 전체 가구의 50% 이상을 차지하
고 있는 비전통적 가족들을 비정상 가족으로 낙인찍는 한계 존재
▪ 가족의 여타 기능과 구조적 안정성이 저하됨에 따라 가족의 정서적
기능을 중심으로 가족을 재규정해야 한다는 입장이 확산됨
▪ 사실상 가족의 조건은 개인성을 유지하면서도 동시에 상호배려와
책임 윤리를 바탕으로 한 지속적인 연대라는 주장 대두
정서적 기능을 중심으로 한 가족 개념의 모색
2) 광의의 가족 개념 모색
▪ 가족 = 자신들 스스로를 가족으로 생각하면서 전형적인 가족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들의 모임
▪ 형태보다는 ‘경험적 실체’이자 ‘생활’ 자체로서 가족에 접근해야 함
▪ 특히 정서적 상호배려가 전제되며 다양한 관계의 사람들이 모여
가족정체성을 가지고 지속적인 연대의식을 유지하며 살아가는
다양한 관계와 형태의 모임을 모두 가족의 이름을 포괄해야 함
▪ 단일한 실체인 가족(the family)가 아닌 가족들(families)
정보화시대 도래에 따른 미래학자들의 논의
가사 자동화의 전면적 확대
 주거 환경의 혁명적 변화
 직업 개념의 변화와 작업 양식의 변화가 가족과
일의 관계를 질적으로 변화시킬 것
 가족 형태의 다양화와 가족 기능의 전문화
 출산의 개념 변화 및 혈연 의식 약화
 육아방식의 변화 역할 공유
 자녀 교육의 의미 변화
정보화 사회와 가족 관계의 변화
1) 선행 연구 고찰
연구자
긍정적 측면
이재경
(1992)
- 가사노동 경감
- 가족구성원의 가사분담 가능성 향상
기딘스
(1992)
- 남성의 가족 내 시간의 증가에 따른 가족내 인간관
계의 질적 변화
함인희
(1996)
-
서영숙
(1998)
조정문 외
(1999)
부정적 측면
- 기계화, 자동화 어려운 가사노동은 여전히 여성이
부담
- 성별분업의 심화
- 여성 지위의 하락
- 가족관계 소원해짐
- 인간관계의 폭 축소
- 가족 공유 여가시간 감소
- 남녀 평등 증진. 역할구분 감소
- 여성의 자녀양육 부담 감소
- 가족 성원간 소외감 증가
- 통신비 증가로 인한 가족 갈등 심화
-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증가
- 남성의 가사노동 참여 증가
- 정보화된 사람일수록 근대적인 성역할 태도 소유,
독립적인 부부관계와 부모자녀관계 선호
- 가족 성원의 심리적 소외, 무기력, 무의미
- 느슨한 관계망적 가족관계 형성
-
가족성원 고립화
새로운 위계질서의 조성
의사소통 양상의 이중구조
가족간 상호작용 감소
공동체 의식 약화
박부진,
이혜영
(2000)
- 평등지향적 가족구조 형성
- 가족간의 유대감 변화
- 세대관계의 변화
이현아
(2000)
- 의사소통 변화
- 가족간의 유대감 변화
- 세대관계 변화
이해영,
이여봉
(2001)
- 부부관계 원활화
- 세대단절 완화
- 사적 인간관계의 유대강화 및 이해 증진
- 가족 및 사회로부터 개인을 유리시킴
박수호
(2002)
- 자녀세대에 자유롭고 적극적인 의사 표현을 촉진
시키고 개방의식을 고취 함
- 부모 자녀간 정서적 측면의 관계성은 유지됨
- 부모 자녀간 도구적 의미의 유대감 약화
강홍렬 외
(2006)
- 가사노동 편의 증가
- 남녀 상호 역할 공유 경험 증가
- 가족간 친밀성 증가
- 상호 연대 의존성 약화 가능성
- 세대간 불평등 심화와 양극화
- 가정의 일터화
김미숙 외
(2006)
- 가족 및 조손간, 친족간 친밀성 증가
- 부부관계 의사소통 및 평등성에 긍정적 영향
- 부모자녀관계에서의 의사소통, 친밀감 향상
- 컴퓨터 사용으로 인한 가족 공유 여가시간 감소
-
정보화 사회와 가족 관계의 변화
1) 라이프스타일로서의 가족 그리고 가족의 경계이완
가족의 개별화
- 전자 미디어의 발달로 인해 가족 성원이
각각 자신의 행동 원칙과 시간대를 갖게
됨으로써 가족의 개별화가 가속화됨
- 가족 성원보다 네트워크에 의존한 인간관
계에 더 많은 시간을 보낼 경우 가족 성원
간 관계가 소원해질 가능성 존재
- 가족 공유 여가시간 감소, 가족 간 대화시
간 감소 등이 실제 보고되기도 함
- 가족의 정서적 기능 강조와 함께 그 역할
이 여성에게 집중될 경우 여성의 과도한
부담 조장
vs.
가족간 결속 강화
- 개인들의 감정과 관계에 부여하는 주관적
의미와 감정이 중시되면서 가족의 의미가
더욱 강화됨
- 정보기기의 발달이 가족성원의 중요한 의
사소통 수단이 되어 가족간 결속을 강화할
수 있음
- 젊은 세대일수록 일상의 사이버화가 가속
화되면 될수록 단절감이나 고립감을 많이
느끼기 때문에 정서적 친밀감에 대한 증가
된 욕구가 가족에 집중될 가능성
- 실제 정보화 사용빈도가 가족간 친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
네트워크 가족의 등장
각자 외부와 연결되는 개인 회선을 통해 지속적으로 바깥 사회망
과 연계하여 시간을 보냄으로써 가족간의 높은 응집력과 몰입 대
신 개인의 자유를 느끼면서도 긴급시에는 가족 성원들과 일시적
지지를 주고받는 네트워크형 가족이 새로운 가족으로 등장할 가
능성이 1999년 이후로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음(조정문, 1999;
함인희, 2000; 김미숙 외, 2006)
정보화 사회와 가족 관계의 변화
2) 부부관계의 역학 변화
탈가족화 현상
- 과학기술의 활용방식 역시 기존의 사회적
관계틀을 벗어날 수 없기 때문에 가사 자
동화가 성역할 구조를 전복시키기에는 역
부족(Karamarae, 1988; Grint, 1995)
vs.
부부간 평등성 제고
- 가정내 유비쿼터스를 실현한 디지털 홈
(Digital home)의 보급으로 가사노동 편
의성이 증대되고 가사노동시간이 감소하
면 부부 상호간의 욕구와 관심에 대한 배
려에 기반한 정서적 유대와 통합이 더욱
강화될 것(함인희, 2000)
- 가족 내의 고유한 서비스들이 대체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고 부부 상호간의
도구적 의존성이 약화됨에 따라 상호 연대 - 가사산업의 확장에 따른 경직된 성별 역할
나 의존성이 약화됨
분담 해체로 보다 평등한 남녀관계 가능
- 가족 속의 개인화 현상 심화로 인한 탈 가
족화 가능성(김성국, 2004; 김미숙 외,
2006)
- 정보화 기기 사용빈도가 높을수록 부부관
계의 친밀성과 성역할 평등성 지수가 높아
짐(김미숙 외, 2006)
정보화 사회와 가족 관계의 변화
3) 세대관계의 동학 변화
세대간 양극화
vs.
부모자녀간 평등성 제고
- 가족 내 세대불평등을 초래하는 축에 경제 - 부모-자녀관계에서 상호독립성과 각자의
적 격차와 더불어 정보 능력 및 정보접근
자율적 판단이 강조됨(조정문, 1999; 김미
성 추가(강홍렬 외, 2006)
숙 외, 2006)
- 정보 접근성에 따른 세대 갈등과 의사소통 - 정보기기 사용이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감소, 가족내 권력을 둘러싼 갈등 가능성
친밀감 향상, 갈등 해결에 도움을 줌
- Generational gap  Generation lap
- 부모가 권위를 유지하고 자녀들이 세대적
정체성을 확보하려 할수록 갈등이 커지고
가족안정성과 기능성 저하(김선업, 2000)
- 부모가 자녀에게 컴퓨터를 배우거나 관련
정보를 묻는 과정에서 대화시간이 늘어나
기도 하고 세대 초월한 동질감을 느끼거나
상호 이해도를 높이는 계기로 작용(박부진
· 이혜영, 2000; 정서린·이연숙, 2000)
- 청소년의 개인주의화, 인터넷 중독 등의
문제 심화
- 조부모와 손자녀간 관계에 도움(강홍렬
외, 2006)
정보화 사회와 가족 관계의 변화
3) 가정과 일터의 융합
가정의 일터화
- 가정의 일터화 가능성
- 노동 시간을 무한대로 확장하는 결과
- 고용 불안정성으로 인한 고용 압박 가중
(이호영·유지연, 2004)
- 일터와 가정생활의 혼재로 인해 여성에게
이중 부담을 심화시키고 심각한 심리적 갈
등을 초래함. 오히려 가사노동의 기준을
강화시키는 결과 초래
vs.
일상적 생활구조의 변화
- 유연하고 다양한 유형의 시간제 근무 확대,
원격 근무 등의 새로운 고용 형태가 일상적
생활 구조의 변화를 가져다 줄 것이라는 낙
관적 전망
- 직장과 가정을 병행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한 여성 고용 확대
- 유연한 성역할 공유 가능성 확대
- 보다 가정 친화적인 생활구조 정착 가능
미래 가족관계를 위한 제언
- 가족과 관련하여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과 이로 인한 네트워크
의 확장이 지닌 의미와 방향성은 매우 다층적이고 다중적
- 소모적인 찬반 논쟁이 아닌 발전적, 생산적 차원에서 정보화 사
회의 긍정적 기능을 확대, 강화하고 가족 내 인간관계의 원자화,
고립화 등 부정적 영향력에 대한 적절한 대응방안을 모색하려는
노력을 전개하는 방향으로 논의의 초점이 변화하고 있는 추세
- 가족 개념 자체에 대한 유연한 접근 속에서 가족간 평등성이 제
고되고 정보화 기기가 가족 응집성을 촉진시킬 수 있는 매체로
활용될 수 있게 하는 교육과 홍보, 정책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함
참고문헌
강홍렬 외 (2006), 정보화로 인한 가족관계와 가족역할의 미래변화 총괄보고서, 정보통신정책연
구원.
김미숙·장화경·홍미(2006), 정보화로 인한 가족관계와 가족 역할의 미래변화. 정보통신정책연
구원.
김선업(2000), “정보화와 세대갈등”, 21세기 새로운 가족문화, 한국가족학회 춘계학술대회 자
료집 pp. 1-12.
김성국(2004), 21세기 한국사회의 구조적 변동,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박부진, 이혜영(2000), “대학생의 인터넷 이용 특성과 가족생활의 안정”, 한국가족학회, 가족과
문화, 제 12집 제 2호, pp. 99-126.
박수호(2002), “정보사회의 가족관계 변화와 불교적 가족가치관의 검토”, 동양사회사상, 제 6집,
pp. 47-79.
변화순(2001), 정보화시대의 가족변화와 여성의 지위, 동덕여성연구, 제 8호.
이재경(1992), “가정 정보화와 성별분업”, 여성학논집 제 9집, pp. 163-191.
이현아(2000), “가정정보화가 가정자원관리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이해영, 이여봉(2001), “이메일 활용과 가족관계’, 한국가족학회, 가족과 문화, 제 13집 2호,
pp. 107-135.
이호영·유지연(2004), “유비쿼터스 통신환경의 사회문화적 영향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서영숙(1998), 정보사회와 아세아여성연대-여성정보화의 현황과 과제, 한국여성정보원.
참고문헌
정서린·이연숙(2000), “정보화가 가정생활구조에 미친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제 4권 2호, pp. 75-90.
조은(1998), 가족 및 노동의 미래, 나남.
조정문 외(1999), “정보화 시대의 공동체-가족규범의 변화”, 한국사회학, 제 33호, pp. 389415.
함인희(1996), 정보화 사회가 가족관계에 미친 영향 연구, 정보통신학술 연구과제
_____(2000), 정보화와 가족생활의 변화, Journal of Women’s Studies, Vol. 15. pp.59-80.
Collins. Dordick, H. S.(1993), The Information Society, Sage Pub.
Giddens, Anthony(1992), The Transformation of Intimacy, California: Stanford University
Press.
Lyon, David(1988), The information Society: Issues and Illusions, Polity Press.
Patterson, Joan M.,(2002), “Integrating Family Resilience and Family Stress Theory”,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Vol. 64, p. 353.
Sussman, M. B.(1985), Personal Computers and the Family, Haworth Press.
Skolnick, A. S & J. H. Skolnick(ed), 4th. ed. 1989, Family in Transition, NY: Harper.
Timothy VanSlyke(2003), “Digital Natives, Digital Immigrants: Some Thoughts from the
generation gap”, The Technology Source Archives University of North Carolona.
감 사 합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