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조선기자재산업 발전전략

Download Report

Transcript 21세기 조선기자재산업 발전전략

21세기 조선기자재산업 발전전략
2007. 02. 27
김영주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목 차
1. 발전전략 수립 필요성
2. 중국 부상에 따른 동북아 분업구조 변화
3. 우리나라 산업경쟁력 고찰
4. 2006년 이전의 조선산업 현황
5. 글로벌 분업구조 분석
6. 21C 조선기자재산업 발전전략
7. 결 론
2
조선기자재산업 발전전략 수립 필요성
조선기자재산업을 수출산업화
조선산업의 특성: 글로벌산업(가격우위 경쟁), 자본 회전율이 낮은 산업(자본조달 능력)
노동집약산업(선가의 30%), 조선기자재 조달능력(선가의 65%)
 중국의 부상으로 세계 1위 조선강국 위협에 대비
- 국내 조선산업 세계시장 점유율 40%, 매출규모 30조원/년, ’01~’05 평균 성장률 30% 유지
- 21C 조선기자재 국내시장 20조원 가운데 고부가선의 국산화율 30%로 미흡
- 국내 조선기자재산업의 세계시장 41조원 가운데 점유율 25% 정도로 열악함(엔진 58%)
 조선산업 성장의 내실화를 위한 조선기자재산업의 동반육성 필요
- 국내 조선기자재산업은 선가의 65% 비중, 가격우위의 경쟁력에 지대한 영향
- 글로벌 분업구조에서의 위상 정립으로 신흥 조선공업국의 기자재 공급기지화
- 부품소재산업의 국제화, 사업이전 추세에 대응하여 조선기자재업체의 대형화, 전문화, 글로벌
마케팅 능력 배양
규모의 산업으로 육성, 경쟁력 확보로 수출산업화
3
조선기자재산업 발전전략 수립 필요성
조선시장의 전망 불투명
4
조선기자재산업 발전전략 수립 필요성
조선시장 전망 불투명 : 신 성장동력 발굴
5
중국 부상에 따른 동북아 분업구조 변화
중국의 산업발전 전략
 중국의 위상
-30년간 연평균 10% 성장, GDP 4위, 교역규모 3위(’05)→GDP 5.5조불(’15), 미국경제규모 추월(’40)
- FDI 6,225억불, 유치기업 50만개, 세계 500대기업 중 450개 기업이 중국에서 생산, 중국수출의 58%
- 세계 1위의 외환보유고 9,411억 불(’06.6 기준)
- 한국의 1위 수출국(1천억 불), 수출증가 28%, 수입증가 19% 초과
- 한미 FTA 체결 후 미국 GPN 가운데 한국을 M/HT 부품소재 공급기지로 활용 예상, 예) GM자동차
중국의 산업기술 발전전략(’06~’20)
- 量的 成長으로부터 質的 成長
- 以市場 換 技術 , 自主 創新 , 火車計劃(Torch Project)
6
중국 부상에 따른 동북아 분업구조 변화
11차 5개년 계획(’06~’10)의 목표와 전략
7
중국 부상에 따른 동북아 분업구조 변화
중국산업발전 핵심전략 및 2015 글로벌산업 위상
8
중국 부상에 따른 동북아 분업구조 변화
동북아 역내 교역 흐름
(기술수준별 교역량)
(2005년 교역규모)
2015년 교역량 전망 :
한국중국 1350, 중국한국 1300억불
한국일본 500, 일본한국 700억불
일본중국 1550, 중국일본 1800억불
9
중국 부상에 따른 동북아 분업구조 변화
중국 산업성장에 따른 부품소재 공급기지화
10
중국 부상에 따른 동북아 분업구조 변화
중국 산업성장에 따른 부품소재 공급기지화
한국의 부품소재 중국시장 점유율 변화
세계공장에 부품 공급체계 구축
11
중국 부상에 따른 동북아 분업구조 변화
개도국 중급기술(MT) 시장 선점
12
중국 부상에 따른 동북아 분업구조 변화
중국의 저가 노동력기반 경쟁력 대응전략
 GPN 관점 : 한국의 입장에서
- 고부가가치화, 기술혁신 지속 → 설비, 기술인력, 마케팅, 브랜드 우위성 유지
- 가치사슬 분석으로 수출 전략상품 개발 → 중국 성장기회 활용, M/HT 제품 공급 기지화
- 일본에 대한 MT, 부품 및 소재의 가격과 품질 경쟁력 유지
- BRICS, 인도, ASEAN 신흥개도국(선진국 시장지배력 약세지역) 공략 및 성공모델 확산
- FDI 유치 확대, 과감한 Out Sourcing, 중국 산업고도화에 따른 파생산업(환경, 물류 등) 참여
중국과 인도의 경제 성장율 2010년 5.9%
GDP 세계 3위 : 중국(’15), 인도(’30)
세계 최대인구 : 중국 13억(’05), 인도 16억(’50)
자료 : Goldman Sachs, Dreaming with BRICs : The Path to 2050,
13
중국 부상에 따른 동북아 분업구조 변화
2015 한국의 위상 정립
14
우리나라 산업경쟁력 고찰
세계수준의 제조•생산기반 보유
- 한국산업은 60년대 노동집약 경공업을 자본•기술집약 산업으로 전환
- 1997년 외환위기로 자동차, 조선, 반도체 등 주력산업의 구조조정으로 경쟁력 회복
- 제조업 비중 : GDP의 33.8%, 수출의 80%, 경제활동 인구 18.9% 종사
기간산업의 세계적 위상
2001년 경제활동별 비중
(단위 : %)
15
조선기자재산업 현황
우리나라 산업경쟁력 고찰
주요품목 수출비중 변화
(단위 : %)
순
위
1995
품목
2002
비중
품목
2003
비중
품목
2004
비중
품목
2005
비중
품목
비중
1
반도체
14.1
반도체
10.2
반도체
10.1
자동차
10.5
반도체
10.5
2
자동차
6.7
자동차
9.1
자동차
9.9
반도체
10.4
자동차
10.4
3
선박
4.5
무선통신기기
8.4
무선통신기기
9.6
무선통신기기
10.3
무선통신기기
9.7
4
섬유직물
4.3
컴퓨터
8.0
컴퓨터
7.7
컴퓨터
6.7
선박
6.2
5
영상기기
3.9
선박
6.7
선박
5.8
선박
6.2
석유제품
5.4
6
전자응용기기
3.8
석유제품
3.9
석유제품
3.4
석유제품
4.0
컴퓨터
5.0
7
컴퓨터
3.8
합성수지
3.0
합성수지
3.2
강판
3.4
합성수지
3.6
8
의류
3.8
영상기기
2.5
강판
3.0
합성수지
3.3
강판
3.6
9
강판
3.0
강판
2.5
영상기기
2.9
영상기기
3.0
자동차부품
3.0
10
합성수지
2.9
의류
2.2
자동차부품
2.2
자동차부품
2.3
영상기기
2.6
계
50.9
56.6
57.9
60.2
60.0
16
우리나라 산업경쟁력 고찰
업종 및 기업형태별 기술수준 : 선진국 100
(단위 : %)
구 분
전체
업종 형태
기업 형태
2001
2004
부품
소재
대기업군
중소기업군
설계 기술
67.7
79.5
75.7
88.0
83.0
76.1
제품개발 기술
66.4
76.5
72.7
85.2
79.8
73.2
신기술 응용
68.6
77.0
73.3
85.5
79.8
74.2
생산 기술
77.8
82.0
78.4
90.3
86.4
77.8
평 균
70.13
80.10
75.03
87.25
82.25
75.33
자료:「부품․소재산업종합실태조사」, 2004. 9.
17
우리나라 산업경쟁력 고찰
건조선박 원가구성 및 시험인증기술 비교
(단위 : %)
원가 구성요소
한국
일본
중국
2005
2010
2005
2010
강재
17
17
17
19
18
기자재
49
51
51
51
50
소계
66
68
68
70
68
인건비
24
31
32
16
15
기타
10
10
10
14
13
합계
100
109
110
100
96
재료비
자료: 조선공업협회 [한국의 조선산업 2005]
(단위 : %)
구분
유럽
일본
한국
중국
최고기술보유국
시험검사, 품질인증
100
75
60
30
노르웨이, 독일
자료 : 산업자원부 ‘조선기자재 성능평가 및 시험인증센터 기반구축’(2002. 2)
18
우리나라 산업경쟁력 고찰
조선산업 경쟁력 : 작업능률, 인건비
Nation
Man-year/CGT
CGT/Man-year
Cost$/Man-year
Japan
0.0093
107.53
39,716
S. Korea
0.0166
60.24
26,226
China
0.1157
8.64
7,170
AWES
0.02
50.00
37,146
Ref. : Core competence and competitive strategy of the Taiwan shipbuilding industry(2004),
MARIT. POL. MGMT, Vol.31 No.2
19
우리나라 산업경쟁력 고찰
조선산업 경쟁력 : INS 기술수준
갑판설비 및 항해통신장치 기술수준 비교
120
한국
미국
100
일본
유럽
80
계열5
60
40
20
0
자동항해시스템(E-navigation)
자료 : 한국산업기술평가원 산업기술수준 조사표 분석결과, 2006
20
우리나라 산업경쟁력 고찰
조선산업 경쟁력
: 기관/추진장치 기술수준
주기보기 및 추진계통 부품 기술수준 비교
한국
120
미국
일본
100
유럽
중국
80
60
40
SOX/NOX저감
전기추진/선회식 추진
장치 설계기술
엔진성능평가/정밀가공
선박추진축계 시스템설
계
선박주보기 시스템의
에너지절감
선박용엔진/추진장치
소재개발 및 적용
0
Dual Fuel 엔진설계 및
생산
20
자료 : 한국산업기술평가원 산업기술수준 조사표 분석결과, 2006
21
우리나라 산업경쟁력 고찰
조선산업 경쟁력 : 선박안전/해양구조 기술수준
해양관련 안전설비 기술수준 비교
한국
미국
일본
유럽
계열5
120
100
80
60
40
20
0
밸러스트수처리
선박의 손상 및 비 선박화재안전성 평 친환경선박 및 해양
손상안전성 평가
가 및 설계
플랜트 설계
22
우리나라 산업경쟁력 고찰
조선산업 경쟁력 구성요소
자료 : Cho & Porter, Changing Global Industry Leadership, The Case of Shipbuilding, 1987
23
우리나라 산업경쟁력 고찰
SWOT 분석
강
점 (strength)
약 점 (weakness)
- 경쟁국과의 가격, 노동경쟁력 우위
- 고부가가치 선박용 기자재개발 미흡
- 연구개발, 시설투자 증대, 인력 풍부
- 강재, 기자재 수급부족(후판 40%수입)
- 젊은 전문인력(설계, 용접) 풍부
- 핵심기술역량축적의 부족
- 조선소와의 원만한 협업관계
- 해외 마케팅 능력 부족
기
회 (opportunity)
위 협 (threat)
- 세계1위 조선수주에 따른 내수시장 확보
- 중국의 조선시장 점유율 확대 40% 목표
- FTA 체결로 무역장벽 해소, 경쟁력 제고
- 동남아 개발도상국의 조선산업 육성
- 중국시장 확대에 따른 MT제품 공급기지화
- 업체 간 과도한 가격경쟁
- 기자재발전위원회 구성으로 수출 산업화
- 국내 인건비 인상, 기업환경 악화
24
우리나라 산업경쟁력 고찰
한중일 조선경쟁력 요소 비교
구분
중국
일본
한국
인건비
1
중국의 7배
중국의 8배
공급량
공급 충분
고령화, 공급부족
최근 공급부족
400
520
620
2005부터 공급충족
2004~2006 공급부족
최근 공급부족 심각
국산품 가격 경쟁력 우위
약간 높음
약간 높음
자급률 낮음
대량수출, 엔진 일부 부족
자급률 85%, 엔진 일부 부족
0.1157
0.0093
0.0116
최근 대폭 축소
비교적 짧음
비교적 짧음
AS 및 품질보증
글로벌 AS망 구축됨
글로벌 AS망 구축
미흡
선박 성능 품질
대폭 개선
높음
비교적 높음
비교적 많음
감소
비교적 많음
많음
적음
비교적 많음
화폐가치
완만히 상승
대폭 변동
최근 대폭 상승
이자율
비교적 낮음
비교적 낮음
비교적 낮음
높음
높음
낮음
비교적 많음
적음
비교적 적음
인력
자원
강재
기자재
가격 $/t
공급량
가격
공급량
건조능률(M․Y/CGT)
납기
자본
투자
금융
연구개발
설비
내수 선박 비중
정부 지원
25
우리나라 산업경쟁력 고찰
한국형 기술혁신 추진방향
26
2006년 이전의 조선산업 현황
2005년도 선박 건조량
(단위: 천CGT)
국가 명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구성비
세계
19,982
21,392
22,454
24,774
29,083
100
한
국
6,447
6,824
7,265
8,319
10,237
35.2
일
본
6,477
6,656
6,809
7,971
8,314
28.6
중
국
1,367
1,572
2,569
3,090
4,194
14.4
독
일
1,134
1,176
877
828
1,034
3.6
폴 란 드
600
552
368
481
640
2.2
크로아티아
197
318
251
511
398
1.4
자료 : 조선공업협회 조선자료집 2005, LR World shipping Statistics, 2006
주1)
100GT 이상 선박 대상
27
2006년 이전의 조선산업 현황
국산엔진의 선종별 탑재 현황
(단위: 대, 천BHP)
2003년
구 분
2004년
2005년
주 기관
총 출력
주 기관
총 출력
주 기관
총 출력
BULK CARRIER
9
200
24
375
35
442
CONTAINER
59
3,906
99
7,134
142
10,843
LNG
0
36
0
72
0
75
LPG
8
176
3
69
11
175
OBO
22
467
13
343
15
406
PRODUCT CARRIER
74
1,489
90
1,801
81
1,604
CRUDE OIL TANKER
46
1,077
38
968
44
1,249
VLCC
17
740
15
828
11
681
CHEMICAL CARRIER
4
64
8
116
24
200
RO-RO
5
210
6
194
5
100
13
4
150
3
65
8,378
300
12,050
371
15,840
기타
소계
244
자료 : 국내 엔진제작사(HHI, DE, STX), 2005년
주 : 100톤 이하 3천 척의 소형선박에 탑재되는 고속엔진을 포함할 경우 15만 마력 추가됨.
28
2006년 이전의 조선산업 현황
2005년도 국내 중대형선박 건조현황(추정치)
(단위: 척수)
선박 종류
대형
중소형
계
벌크 캐리어
6
-
6
VLCC
11
-
11
탱커(CT, PC 포함)
72
71
143
컨테이너선
67
30
97
LNG
15
-
15
LPG
9
2
11
기타(특수선 포함)
2
-
2
소형선(감시선, 어선 등)
-
41
41
182
144
326주)
소계
자료 : 조선공업협회, 조선공업협동조합, 국내 선박용 엔진 생산실적, 2005년
주 : 5톤 이하 소형선박 3천 척 제외됨.
29
2006년 이전의 조선산업 현황
2005년도 국내 중대형조선소 기자재 탑재실적
(단위: 백만원)
구분
국산
수입
소계
엔진/추진기관
2,596,617
137,483
2,734,100
강재
2,847,229
1,560,964
4,408,193
기기장비
1,736,912
1,584,490
3,321,402
선실의장
643,297
19,827
663,124
전기·전장재
552,111
184,407
409,518
철 의장재
507,349
34,758
542,107
배관자재
367,561
41,136
408,697
1,136,158
133,929
1,270,087
81,716
79,265
160,981
10,468.950
3,776,259
13,918,209
단품/소품/기타
LNG자재
소계
자료 : 조선공업협회, LNG선(15척)용 증기터빈 0.7조원 전량 수입되고 있으나 누락됨.
비고 : 중대형 조선소 8개사 실적임.
30
2006년 이전의 조선산업 현황
국내 조선8사의 구입 기자재 품목별 비중
31
2006년 이전의 조선산업 현황
국내 조선8사의 구입 기자재 품목별 국산화율
기자재별 국산화 비율
2003
2004
2005
1.000
0.800
0.600
0.400
0.200
LNG자재
단품/소품/기타
철의장재
전장재
배관재
기기장비
거주구재(선실)
강재
엔진/추진기관
0.000
32
글로벌 분업구조 분석
조선기자재 글로벌 생산네트워크 : GPN
(EU)
원천기술
국영조선소
한·중합작 조선소
(중국)
기자재업체
조선소
현지
기자재공장
(한국)
조선기자재
조선소
국내 업체
(일본)
조선소
기자재업체
(동남아지역)
33
글로벌 분업구조 분석
조선기자재의 경쟁력 강화 대책 : 3품목 예시
품목
보일러
디젤엔진
강판
세계시장
점유율
(%)
기술경쟁력
수준 주1)
선진국=100
산업경쟁력
수준 주2)
선진국=100
경쟁력
격차
지수
경쟁력
격차
년 수주3)
국산화
율 (%)
일본 80%
100
100
100
0
90
독일 10%
96
98
97
1.5
90
이태리 5%
94
98
96
2.0
80
한국 5%
90
96
93
3.5
75
한국 58%
96
100
98
1.0
80
일본 29%
100
96
98
1.0
90
중국 10%
80
82
85
7.5
60
중국 31%
88
90
89
5.5
60
일본 10%
100
100
100
0
80
한국 4%
96
100
98
1.0
80
시장점유율 전망
대책
일본이 지속적
세계시장 주도
국내유사업체의
기술지원/국산
화
한국이 당분간
세계시장 주도
한국고유모델
개발/성능향상
중국이 세계시장
주도/품질개선
원가절감/수출
전략상품 개발
주1) 기술경쟁력: 설계, 공정, 신제품개발, 시험평가기술 등의 세부기술 등을 종합.
주2) 산업경쟁력: 가격, 브랜드 이미지, 납기, A/S 등을 종합.
주3) 경쟁력 격차 년 수: 경쟁력 격차지수 2를 1년으로 환산.
34
글로벌 분업구조 분석
조선기자재 글로벌 생산네트워크 : 디젤엔진
(기술제휴선)
조선소
MBD
원천기술
WNSD
(일본)
(한국)
조선소
(EU)
조선소
엔진업체
부품업체
부품업체
엔진
엔진업체
엔진업체
국영조선소
한·중 합작조선소
엔진 부품
부품업체
(중국)
조선소
(동남아지역)
엔진업체
35
글로벌 분업구조 분석
조선기자재 글로벌 생산네트워크 : 강판
국영조선소
한·중 합작조선소
(중국)
조선소
(호주)
(남미)
LT강판
철강업체
선박용
(한국)
MT강판
철광석
조선소
철강업체
M/HT 강판
조선소
(일본)
철강업체
(동남아지역)
36
글로벌 분업구조 분석
조선기자재 글로벌 생산네트워크 : 보일러
(기술제휴선)
원천기술
조선소
MHI
KHI
(일본)
조선소
(한국)
보일러업체
부품업체
중형보일러
보일러업체
중형보일러
국영조선소
한·중 합작조선소
부품업체
(중국)
조선소
보일러업체
(동남아지역)
37
21C 조선기자재산업 발전전략
2015 주요산업별 발전비전
자료 : 산업자원부, 2010년 산업비전과 발전전략
38
21C 조선기자재산업 발전전략
시대별 조선주도국 시장점유율 변천
 1882년 영국 80%  1965년 일본 50%  2000년 한국 40%
 2015년 중국 35%  2020년 중국 35%(건조설비 20MDWT 확보)
 주도국가의 변천 근거 : 가격우위 경쟁력, 저임금 노동력
94%
96%
35
16%
78%
14
29
8%
30
88%
2020
2005
15
35
8
2020 조선주도국 시장 점유율 전망
39
21C 조선기자재산업 발전전략
정부의 조선산업 정책변화
세계시장 점유율 40%, 매출액 30조원 달성을 위한
1970 : 조선공업진흥계획, 계획조선제도로 투자여건 및 안정적 생산활동 조성
1980 : 조선산업 합리화 조치  부실 조선소 재무구조와 경영수지 개선
1990 : IMF 외환위기에서 조선소 구조조정  기업체질 및 효율성 제고
2000 : 글로벌 시장공략을 위한 차세대 개발 R&D 지원
2007 : 조선기자재산업 수출산업화 육성대책 수립, 기자재산업발전위원회 구성
조선기자재산업 Super Micro Road Map 구축



2015 : 조선기자재 매출액 18조원 목표달성
40
21C 조선기자재산업 발전전략
규모의 기업이 글로벌 경쟁력 유지
주요 조선국의 건조시설 규모
국가 명칭
중대형 조선소 수
최대 선형(DWT)
건조시설 톤수(DWT)
한국
14
1,000,000
11,793,000(수리 없음)
일본
10
250,000
5,952,000(수리 포함)
중국
12
700,000
7,500,000(수리 포함)
EU
14
1,000,000
6,125,000(수리 제외)
중국 건조설비 증설계획
조선소
소속/소재지
설비 치수/수량
비고
강남
CSSC/숭명도
DD 4개 (150~200만 톤)
2010년 완공, 안벽 8,000m
후동
CSSC/장흥도
DD 2개 (100~200만 톤)
2015년 완공
광주
CSSC/용혈도
DD 360x80 2개(80만 톤)
2008년 1개 완공
발해
CSIC/발 해
DD 530X108(100만 톤)
2007년 완공
중국 : 2015년 건조능력 13,300,000DWT
41
21C 조선기자재산업 발전전략
규모의 기업이 글로벌 경쟁력 유지
< 매출액과 경쟁력 >
< 근로자수와 경쟁력 >
5.0
기술경쟁력
4.0
가격경쟁력
가격경쟁`력
기술경쟁력
4.5
3.5
4.0
3.0
3.5
3.0
2.5
2.5
2.0
2.0
1.5
1.5
중견기업
801~900
701~800
651~700
601~650
551~600
501~550
451~500
401~450
351~400
301~350
251~300
200~250
600이상
451~600
401~450
381~400
361~380
341~360
321~340
281~300
261~280
241~260
221~240
201~220
181~200
161~180
301~320
(단위: 명)
1000이상
중소기업
1.0
0
160미만
0
중견기업
중소기업
0.5
901~1000
1.0
(단위: 억원)
자료 : 산업자원부, 중소•중견기업의 글로벌 발전전략, 2005. 11.1 발표자료
“성장의 문턱” : (근로자수) 300명, (매출액) 400억원
42
21C 조선기자재산업 발전전략
국내 중소기업의 경쟁력 및 종업원 규모
중소기업의 생산성 및 생산액 비교
자료 : 산업자원부, 2010 산업 4강 비전과 전략
300인 미만
11%
100-300인
15%
560
업체
50인 이하
54%
50-100인
20%
국내 조선기자재업체의 종업원 규모
43
21C 조선기자재산업 발전전략
수출주도 중견기업의 당면애로
해외시장진출
0
10
20
30
40
50
직종별 10% 이상 인력 부족률
인력부족
0
원가경쟁력 약화
신규시장 개척 어려움
품질경쟁력 약화
전문인력 부족
41.5
`
5
10
16.1
기능직
16.1
단순노무
5.1
10
20
30
40
35
40
11.8
50
60
기술개발
70
75.8
57.6
해외시장 개척
컨설팅 및 경영자문
구조조정(M&A포함)
30
20.4
영업전문
7.6
인력확충
25
35.5
마케팅
0
20
R&D
34.6
정부우선지원
15
36.4
33.7
25.6
자료 : 산업자원부, 중소•중견기업의 글로벌 발전전략, 2005. 11.1 발표자료
44
21C 조선기자재산업 발전전략
2010 주력선종 전망
 21C 조선산업 주도국 유지
- 반도체와 더불어 조선산업은 생산공정, 원천기술, 설계, 경영, 마케팅, 표준화 등 여러 분야에서
세계적 경쟁력 확보, 철강, 조선기자재 등의 조선관련 기반산업의 지속적 성장으로 40%시장 점유
- 선박기술 로드맵으로 제안된 고부가 신형식 선박 및 해양구조물 실용화를 위해 중점투자
자료 : 산업자원부, 산업별 비전과 발전전략
45
21C 조선기자재산업 발전전략
2015 선종별 국산기자재 공급규모(추정치)
선가
(백만불/척)
기자재
구성비(%)
2015년 건조량
(백만GT/척)주1)
기자재 공급
(10억원)주2)
유조선(25만 DWT)
128
65
1.5/11
1,142
유조선(15만 DWT)
77
65
2.1/25
1,561
유조선(10만 DWT)
65
65
1.7/30
1,582
유조선(PC, CT)
32
65
1.6/58
1,505
벌크캐리어(7만DWT)
40
65
0.7/15
487
컨테이너(8500TEU)
128
65
5.5/55
5,711
컨테이너(3500TEU)
62
65
1.1/33
1,659
컨테이너(1000TEU)
24
65
0.5/12
233
LNG선(14.7만m3)
217
63
1.5/15
1,969
LPG선(2.1만m3)
55
63
0.2/15
649
기타선(1만DWT)
30
65
0.3/45
1,139
해양구조물(36만DWT)
500
60
0.3/1.0
374
(65)
17.0/315
19,011
선박의 종류
소계
비고: DWT=(1.2~1.8)xGT, 유조선의 경우 1.8GT, 벌크캐리어 및 컨테이너선의 경우 1.5GT로 함.
주1 : 건조량 가운데 100톤 이하 3천척(약 20만톤) 제외, 국내 건조선박을 대․중․소형으로 세분하면 건조척수는 315척 보다 증가됨.
주2 : 2005년도 선가기준 연평균 상승률 3%, 기자재 국산화율 80%, 내수공급의 20%를 수출량으로 추가 산정함.
46
21C 조선기자재산업 발전전략
조선기자재산업을 21C 수출산업으로 토대구축
 기업활동의 세계화
- WTO 출범과 공산권 붕괴로 세계경제의 통합이 급속히 진전되면서 기업간 글로벌 경쟁이 가속화되고
경쟁력 확보를 위해 해외직접투자, M&A 및 원자재, 자금, 인력 등 경영자원의 글로벌 소싱에 의한
글로벌 최적 생산체제를 구축하고 있음.
- 선진국의 수요 포화, 중국을 비롯한 emerging 경제의 산업육성으로 철강, 반도체, 조선산업 등이
과잉상태가 되면서 설비감축, 제휴와 협력 등을 통한 글로벌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통상마찰 심화
- 공급관리 망(SCM), 고객관계관리(CRM) 등 디지털 네트워크 기술을 활용하여 생산성 향상, 기업간
협력과 제휴를 촉진, e-비즈니스 기술을 활용하여 핵심역량을 강화, 및 경쟁열위분야는 아웃소싱과
네트워크 체제로 보완하는 추세가 확대되고 있음.
 중국의 급부상과 국제분업체제의 변화 고려
- 중국은 WTO 가입과 함께 개혁•개방을 확대하고 있으며, 연 7% 이상의 고도성장으로
“세계공장”으로
급부상하고 있으며, 2001년 GDP 세계6위, 외국인 직접투자유치 세계2위의 국가로 성장하였으며,
10년 후에는 미국, 일본에 이어 세계3위 경제강국으로 발전될 전망임.
- 중국의 부상으로 동북아지역의 국제분업체제 재편 가속화 전망이며 이에 대비한 전략수립 필요
47
21C 조선기자재산업 발전전략
조선기자재산업을 21C 수출산업으로 토대구축
 고부가 선박의 국산화율 제고(현재 20% 수준)
- 향후 10년간 LNG선 50척 수주에 대비하여 핵심부품 개발 후 수입대체로 건조선박 제조원가 감소
- 선박 자동화, 대형화에 따른 IT강국으로서 제어/항해/통신장치의 패키지 개발 및 성능향상
- 수입대체 효과가 큰 품목에 대한 개발지원의 우선순위 적용, 개발제품 상품화
 국산 조선기자재의 국가적 품질공인
- 국내 건조선박의 99%가 외국선박( EU 선박 70%), 국산 조선기자재 CE인증 요구(고품질화)
- 고부가선의 수주경쟁력 유지를 위해 고성능 국산기자재 개발 및 국제 수준화(ISO, IMO)
- MARPOL, MSC 기준강화에 따른 신제품 개발 및 성능향상을 위한 품질공인 제도정립
 조선공업 후발국가와의 차별화 전략수립
- 중장기적 미래기술 확보를 위해 신형식, 초대형, 초자동화 관련기자재 자급화
- EU 선진국과 대등한 기술확보를 위해 신제품 개발 공동연구체계 혁신(기자재산업발전위원회 구성)
 21C 조선기자재 글로벌 공급 기지화를 위한 제도적 지원육성
- 조선기자재업체의 대형화, 전문화 육성, 공급체계의 국제 규모화(KOTRA, 대기업 유통망 연계 AS)
- 세계적 전문제작사 기술제휴 유도를 위한 정부 및 조선업체 협동지원, 세계적 유통망 업무제휴 추진
48
21C 조선기자재산업 발전전략
조선기자재산업을 21C 수출산업으로 토대구축
 연구개발 시스템 효율화
- 국산기자재 신뢰성 향상, 국산화율 증대, 수출증가를 위해 조선기자재기술 로드 맵 활용
- IMO 기준강화 및 신형식 선박 건조에 따른 신제품 개발에 수요자 참여로 실용화
- 기술개발예산 확보 : 경정사업 수익금(현재 17.5%)을 조선기자재 개발에 확대 적용
 조선기자재산업 관련 인프라 확대
- 업계차원의 기술협력과 인력훈련 프로그램 개발, 기자재 교역 등 민간차원 산업협력 강화
- 발전위원회 구성 : 정부기관이 중심이 되고 산학연 민간기구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조선기자재발전위원회(가칭)를 구성하여, 수출증대, 연구개발, 로드 맵 등 중장기계획 수립, 심의
- 국산개발 조선기자재 품질공인을 위한 시험검사 및 신뢰성평가 기반구축(KOMERI)
- 해양레저 활성화를 위해 레저장비 개발 및 안전성시험설비 확보
 글로벌 Network를 구축에 의한 공급체계 혁신
- 글로벌 공급기지로서 조선기자재 공급, AS, 제품이 통합소개를 위한 Worldwide Network를 구축하고
정보망 구축으로 수요자와 자유로운 거래, 신속한 정보제공
49
21C 조선기자재산업 발전전략
조선기자재산업 발전전략 : 기술개발 정책
50
결론
2015년 기자재 매출 20조원 달성
 조선기자재산업 발전 가능성
- 기자재산업 수출 전략화, 조선시장 35%, 고부가 기자재 국산화 80% 유지, 신제품개발체제
혁신을 위한 조선기자재발전위원회 구성
글로벌 공급 기지화, 매출액 20조원 목표
- 세계공장으로 급부상하는 중국의 조선시장은 2020년 40%를 목표로 하고 있으나 노동집약
형 제품을 제외한 중간기술(Mid-Tech) 위주의 기자재 공급가능
- 중국의 과도한 에너지소비에 따른 환경분야 투자(’01~’05 112조원) 증대로 경제성장속도
조정 필요
고부가 선박에 탑재되는 기자재 수출전망이 높음.
 조선기자재산업은 미래의 수출산업
- 조선산업 주도권이 중국이나 동남아지역으로 이전되어도 오늘날 EU,일본 처럼 특화된
조선기자재를 신흥 조선국가에 공급하도록 수출 20조원 규모의 기자재산업 육성필요
 전문인력 양성
- 전문인력 및 기능인력의 확보 및 신기술에 대한 재교육, 기능인력 고령화에 대처하는
산학연 공동 협력체제 마련(여성인력, 외국인 활용 포함)
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