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심리적 부검 연구 결과 자료

Download Report

Transcript 2-1 심리적 부검 연구 결과 자료

일 시 : 2013년 6월 20일 목요일
Logo
1
심리적 부검이란?
2
심리적 부검의 역사
3
심리적 부검 방법
4
심리적 부검 연구결과
5
결론 및 제언
Logo
Logo
사망자의 죽음을 이해하기 위한 사망자 삶에 대한 회고적 재구성
자살사망자에 대해 수집된 포괄적인 후향적인 정보를 가지고 자살의
원인에 대해 연구하는 방법
어떤 사람이 자살하게 되었을 때, 그 주변에 있는 사람들과의 인터뷰
및 유서 등 모든 활용 가능한 자료를 수집하여 왜 그 사람이 자살을
할 수 밖에 없었는가를 과학적으로 규명
개인적 기록, 경찰조사보고서, 의료기록, 검시기록, 사망자의 가족 및
친구 등에 대한 면접기록 등에 기반
Logo
심리적 부검을 통해 구체적으로 밝힐 수 있는 것들
왜 사망(자살)했는가? 왜 자살을 선택했는가?
: 사망의 종류는 확실한데 이유가 불분명하거나 의문의 여지가 있는 경우,
심리부검으로써 생존 시의 인생관, 심리적 변화, 동기, 실존적 위험 유무 등을 밝힘
어떻게 하여 사망(자살) 하였는가?
사망원인은 확실하나 사망의 종류가 확실하지 않을 때
: 어떤 여자가 높은 건물에서 뛰어내려 추락사한 경우
사고사(事故死)? 자살(自殺)? 타살(他殺)?
Logo
비밀과 익명성의 보장
정보제공자의 동의
상호존중과 신뢰
유가족에 대한 지원
적절한 면접 방법 및 시기
: 자살사건 발생 3개월 ~12개월, 조사자와 정보제공자의 대면 원칙
Logo
법의학
 의문의 죽음에
대한 원인 규명
보건학
법
률
 자살연구
 보험금지급관련소송
 자살예방활동
 형사소송
 자살사망자
 유산및유언관련소송
유가족 사례관리
서비스
 의료사고관련소송
 산업재해보상소송
 제조물책임제도소송
Logo
Logo
1934년~1940년 사이 뉴욕 경찰 93명이 연속적으로 자살,
‘자살원인규명을 위한 전문가 조사’, 즉 심리적 부검이
처음으로 시작
1956년, 워싱턴대학, 1년 동안 134건의 자살사건의 체계적인
조사, 현대적 의미의 심리적 부검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
1958년 로스앤젤레스, Edwin Shneidman, 처음으로 심리적
부검이라는 단어를 만들어 사용
Logo
심리부검을 가장 성공적으로 활용한 나라
1990년, 인구 10만 명당 자살률이 30.3명으로 OECD 중
1위를 기록한 핀란드는 1986년~1996년까지 핀란드에서
발생한 모든 자살사건을 철저히 조사, 연구
총 1,397건의 자살에 대한 심리부검 보고서를 완성, 종합적인
자살예방프로그램을 시행
Logo
직접 면접(가족 83%, 의료진 44%)
자료수집(의무기록 80.8%, 경찰조사 및 법적 기록 99.9%,
유서 27.8%, 사망진단서 100%)
면접도구
• 234개 항목으로 구성된 표준화된 면접도구(가족)
• 113개 항목으로 구성된 표준화된 면접도구(의료진)
• 8개 항목 반 구조화 면접도구(사회서비스기관 전문가)
DSM-Ⅲ-R에 기반한 정신의학적 진단
• 2인의 정신과 의사, 진단이 다를 경우 제3의 정신과 의사
Logo
1996년~1998년까지 자살률 15% 감소
1990년 30.3명의 자살률이 2004년 20.4명으로 30%
감소하는 성과
심리부검에 자살유가족 참여율이 83%에 이르는 등
국가의 적극적 개입과 국민들의 협조를 통해 자살을
예방한 긍정적인 사례
Logo
연구원
년도
사례 수
인구집단특성
나라
Robins 등
1959
134
일반 인구집단
미국
Dorpat와 Ripley
1960
114
일반 인구집단
미국
Barraclough 등
1974
100
일반 인구집단
영국
Beskow
1979
271
일반 인구집단
스웨덴
Chynoweth
1980
135
일반 인구집단
호주
Mitterauer
1981
145
일반 인구집단
오스트리아
Shafii 등
1985
21
청소년
미국
Rich 등
1986
283
일반 인구집단
미국
Arato 등
1988
200
일반 인구집단
헝가리
Logo
연구원
년도
사례 수
인구집단특성
나라
Brent 등
1988
67
청소년
미국
Runeson
1989
58
청소년
스웨덴
Asgard
1990
104
여성
스웨덴
Conwell 등
1991
141
노인
미국
Apter 등
1991
43
남성 청년
이스라엘
핀란드 국가자살예방프로젝트
1991
1,397
일반 인구집단
핀란드
Lesage 등
1994
75
남성 청년
캐나다
Cheng
1995
116
일반 인구집단
대만
Shaffer 등
1996
119
청소년
미국
Logo
연구원
년도
사례 수
인구집단특성
나라
Foster
1997
117
일반 인구집단
아일랜드
Waem 등
1999
85
노인
스웨덴
Appleby 등
1999
84
남성 청년
영국
Vijayakumamar과 Rajkumar
1999
100
일반 인구집단
인도
Cavanagh 등
1999
45
일반 인구집단
스코틀랜드
Cheng등
2000
117
일반 인구집단
대만
Houston 등
2001
27
청년
영국
Conner 등
2001
753
일반 인구집단
미국
Harwood 등
2001
100
노인
영국
Logo
연구원
년도
사례 수
인구집단특성
나라
Philips 등
2002
519
일반 인구집단
중국
Waren 등
2002
85
노인
스웨덴
Hawton 등
2002
42
간호사
영국
Lee 등
2002
60
일반 인구집단
대만
Owens 등
2003
100
일반 인구집단
영국
Chiu 등
2004
70
노인
홍콩
Zhang 등
2004
66
일반 인구집단
중국
Duberstein
2004
86
노인(50세 이상)
미국
Schneider 등
2005
163
일반 인구집단
독일
Logo
자살사망자 심리적 부검 및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서비스
구축 방안 연구(2009년 12월, 보건복지부)
• 인천, 수원, 원주지역 자살사망자 대상
• 수집사례 : 15건
(이 중 심리부검을 통해 자살동기를 밝혀내는데 성공한 사례는 7건)
5.18 자살자들의 심리학적 부검(생명인권운동본부)
• 5.18 피해자 중 사망한 376명 가운데 39명 자살(2007년 8월 기준)
• 결과 : 모든 자살자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Logo
군의문사 진상규명위원회(2005년 7월 ~2009년 12월)
• 심리학자, 정신의학자 등 5~7명
• 진정사건 총 600건 가운데 38건 심리부검 실시
군 자살자
• 2008년 과학수사연구소(범죄심리학과), 한림대 법 심리학연구소 협약
• 현재 심리부검은 예산 및 인력 고려, 연 평균 4건 지원
• 지금까지 10건 완료, 2건 진행 중(장교 1명, 사병 11명)
• 사인이 불분명한 자살자에 대해 유가족 또는 수사기관 요청에 의해 진행
• 책임교수 1인, 국방부 조사본부 과학수사연구소 범죄심리분석관 1인,
연구원 1~3인
Logo
정신질환
우울장애
유병률
30 ~ 90%
양극성장애
0 ~ 23%
조현병
2 ~ 12%
알코올남용 및 의존
15 ~ 56%
인격장애
0 ~ 57%
기타 정신질환
81 ~ 100%
보건복지부, 2009
Logo
Logo
심리적 부검 조사 수행기관
: 유가족 지원 서비스가 가능한 자살예방센터
자살사망자 발굴 경로
: 경찰청의 변사사건 수사기록, 응급의료기관의 자살사망자 진료기록
정보제공자
: 자살사망자의 가족(부모, 배우자, 형제, 자녀 등)
가까운 친척, 친구 또는 직장 동료
자살사망자가자살사건 발생1년이내에정신의학적문제로방문한의료진등
기타 의료기록, 법적 기록, 유서 등
Logo
기간 : 2009년 5월 ~ 2013년 5월까지
대상 : 유가족 지원 서비스 대상자 중 동의한 사람 31명
도구 : Michael Philips의 반구조적 면담 modified version
(현재 중국, 홍콩, 일본 등에서 사용 중)
조사원 : 정신보건전문요원
DSM-Ⅳ에 의한 정신과적 진단(추정)
Logo
기본 인적 정보(연령, 성, 결혼상태, 직업 등)
죽음에 대한 특별한 서술
자살사망자의 과거력(이전 자살시도력 포함)
가족의 정신질환력(예, 자살 및 기분장애)
자살사망자의 성격 및 삶의 특성
스트레스나 정서적 불안정에 대한 자살사망자의 전통적인 반응 패턴
최근의 스트레스 유발 요인 또는 기대되는 마음의 갈등
자살사망자의 삶과 죽음에 관한 알코올과 약물의 연관성
자살사망자의 대인관계의 질
사망 직전 자살사망자의 일상생활, 스케줄, 습관의 변화
자살사망자의 삶과 관련된 정보(예 : 성공 및 계획)
치명도에 대한 평가
사망자의 자살에 대한 유가족의 반응
자살의지에 대한 평가
Shneidman의 최소 16개 항목
Logo
사망자의 인적 정보( 성별, 나이, 가족 관계 등)
사망과 관련된 주요 정보(사망방법, 사망 시간 및 장소 등)
신체적 부검의 결과(사인, 혈중 알코올 농도, 신체적 질병 유무)
가족의 과거력(부모의 결혼력, 가족의 질병 및 사망력, 가족의 정신질환력 등)
자살사망자의 사회적 과거력(군대, 학교와 관련된 과거력 등)
자살사망자의 신체적 질병력 및 정신질환력
자살사망자의 음주 및 약물 남용 과거력
자살사망자의 이전 자살시도력
자살사망자의 평소 성격 및 대인관계
자살사망자의 업무 및 업무에 대한 만족도
자살사망자의 재정적 상태
자살사망자와 관련된 법적인 문제
자살사망자의 사망 당시 특징 및 행동변화, 대인관계
자살사망자에 대한 정신의학적 진단
보건복지부, 2009
Logo
정보제공자에 대한 인구학적 정보
자살사망자에 대한 인구학적 정보
자살사망자의 교육 및 직업
자살사망자의 주변사람과의 사회적 관계 및 상태
자살사망자의 정신건강에 대한 정보
가족(부모, 형제)의 과거 정신과적 병력
친구, 주변 인물의 자해 또는 자살에 대한 정보(대상자가 사망하기 전)
계획적 자해에 대한 정보
자살에 대한 자세한 정보
삶의 어려움들
인천광역시자살예방센터
Logo
Logo
한정된 정보제공자 : 1~2명
최적의 시기를 지난 이후 심리적 부검 실시한 경우가 많음
라포 형성 이후 심리적 부검을 할 수 밖에 없는 실정
: 새롭게 사망자에 대해서 질문하는 것의 어려움
심리적 부검에 대한 동의를 구하기가 어려움
정보수집을 주된 목적으로 진행하면 역효과
이야기를 꺼려하는 부분에서 더 접근하지 못하는 부분
Logo
자조모임
정기모임 : 월 1회(매월 3째 주 토요일 오후 1시)
수시모임 : 문화공연 등 필요 시
실적(명)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09년
-
-
-
-
-
3
4
1
0
0
1
1
10년
0
0
0
0
1
-
1
0
1
0
0
-
11년
0
1
1
1
1
1
0
2
1
1
3
6
12년
3
2
3
4
6
6
2
2
4
10
3
5
13년
3
2
5
8
5
-
-
-
-
-
-
-
Logo
사례관리
방법 : 방문상담, 전화상담, 치료연계 및 지역자원서비스 연계
시간 : 24시간, 365일(년 중)
실적 : 약 40~45명
전화상담
방문상담
내소상담
지역연계
2009년(6월~)
34건
-
12건
-
2010년
46건
-
20건
5건
2011년
300건
-
114건
-
2012년
355건
-
121건
-
2013년(5월 말)
153건
26건
18건
-
Logo
Logo
성별
사망인과의 관계
총 33 명
Logo
성별
사망 당시 나이
총 31 명
Logo
사망 당시 결혼상태
결혼상태라면
부부가 같이 거주했는지?
Logo
결혼하지 않은 채
동거하고 있었는지?
친 자녀 수
(입양, 출산도중 사망한 아이 제외)
Logo
누구와 함께 살고 있었는지?
종 교
Logo
사망 당시 거주형태
현재 주소지에 살았던 기간
Logo
학교는 몇 년이나 다녔는지?
사망 당시 직업 유무
Logo
사망 전 1년 동안 직업유지
무직이었다면 그 기간은?
Logo
근무시간 형태
직업 종류
Logo
원하는 직업을 가졌는지?
학교나 직장에서의 적응 정도
Logo
직업의 미래에 대한 걱정을 했는지?
사망 당시 월 평균 소득
Logo
직업을 가진 사람 중 질병이 있었는지?
질병의 종류는?
Logo
신뢰하는 사람이 있었는지?
친구는 몇 명 정도였는지?
Logo
동거인과의 문제가 있었는지?
동거인과 어떤 문제인지?
Logo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걱정, 슬픔, 실망, 분노가 있었는지?
사망인의 어린 시절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Logo
18세 이전에 그들의 부모로부터
떨어져 있었던 적이 있었는지?
어릴 적 신체적 학대를
받았었는지??
Logo
어떤 학대를 받았는지?
어릴 적 성적 학대를 받았었는지?
Logo
사망시기에 어떤 협박을 받은 증거가 있는지?
Logo
마지막으로 의사를 만난 때는?
만난 이유는 무엇인지?
Logo
질병의 심각도는 어느 정도였는지?
신체적 질병 기간은 어느 정도였는지?
Logo
정신적인 질병이나 스트레스에
대한 치료를 받은 적이 있었는지?
어떤 치료를 받았었는지?
Logo
정신적인 장애로 진단을 받은 적은?
구체적으로 어떤 진단이었는지?
Logo
가장 최근 병원에 입원한 시기는?
자해를 시도한 사람이 있었는지?
Logo
자살한 사람이 있었는지?
Logo
자해를 시도한 사람이 있었는지?
‘예’라면 어떤 방법이었는지?
Logo
자살로 사망한 사람이 있었는지?
‘예’라면 어떤 방법이었는지?
Logo
사망인이 자해를 위협하거나
시도한 적이 있었는지?
자해를 시도한 횟수는?
Logo
가장 최근의 시도는 언제였는지?
가장 최근의 시도는 어떤 방법이었는지?
Logo
사망인의 사망장소는 어디였는지?
사고 발생 당시 주변에 누가 있었는지?
Logo
발견, 중재하려는 시도에 저항은?
자살시도 전, 중, 후에 도움 요청했는지?
Logo
유서를 남겼는지?
자살시도 전 자살의지를 명백히 표현했는지?
Logo
그 시기는 사망 전 언제였는지?
Logo
자살의지나 생각을 전문가에게 표현했는지?
그 위험도는 어느 정도였는지?
Logo
죽고자 하는 이유를 말한 적이 있는지?
Logo
죽고자 하는 이유는?
감정조절의 어려움(2건), 외로움(4건), 우울함(6건), 무기력(1건), 알코올문제(1건)
가족의 이해부족(1건), 가정불화(4건)
학교폭력 등 학교문제(2건)
군 가혹행위(1건)
경제적인 어려움(3건), 도박중독으로 인한 빚(1건)
미래에 대한 불안함(1), 현실과 이념차이에 대한 분노, 부적응(1건)
여자친구와의 갈등(1)
신체질환(5건)
큰 딸의 죽음(1건)
이유 없이 죽고 싶다(1건)
Logo
사망한 날 술을 마셨는지?
‘예’라면 얼마나 많이 마셨는지?
Logo
사망한 날 남용 또는 과량 복용한 약?
사망방법은 무엇인지?
Logo
어떤 노력을 했더라면 자살을 막았을 것으로 생각하는지?
가족들의 관심, 지지(20명)
경제적 문제해결(1명)
정신과적인 평가 및 치료(11명)
군에서의 적극적인 대처(1명)
심리적 지지체계 확보(1명)
국가에서 지원(1명)
Logo
번
사망자
정보제공자
호 (성별/나이)
자살충동요인
자살방법
추정질환
1
남/56세
둘째 딸
큰딸의 사망으로 인한 지속적인 우울감
hanging
우울증
2
여/25세
여동생
힘든 결혼생활, 동생 결혼을 자신과 동일시
DI(상세불명)
우울증
3
남/25세
모
조현병 증상 회복기, 질병에 대한 스트레스
Fall down
조현병
4
남/17세
모
컴퓨터 사용 문제로 야단 맞음, ADHD 치료
중
hanging
ADHD
5
여/15세
모
휴대폰, 태블릿 사용문제로 야단 맞음, 충동
적
Fall down
알 수 없음
6
여/38세
친척
알코올중독, 우울증 치료 중, 자녀비행
hanging
우울증,알코올의존
7
남/71세
부인
지속적인우울감,반복적인자살시도, 부부싸
움
hanging
우울증
8
남/44세
친구
이혼, 외로움, 경제적, 동거인과의 문제,
우울장애로 약물 복용 중
DI(제초제)
우울증
Gas inhalation
우울증
9
남/44세
(전)부인
아내의 반복적인 자살시도, 이혼, 은행
빚의 압박, 우울감 있었으나 치료받지
않음
Logo
번
호
사망자
(성별/나
이)
정보제공
자
자살충동요인
자살방법
추정질환
Fall down
조현병
hanging
알 수 없음
11
남/31세
모
조현병 치료 중, 정신병적 증상의 악화
12
남/21세
모
군 가혹행위
13
여/16세
모
공부에 대한 스트레스
Fall down
알 수 없음
14
여/22세
모
반복적 자살시도, 父의 부재로 인한 외
로움, 친구자살에 대한 죄책감
Gas
inhalation
우울증
hanging
우울증
15
남/45세
부인
대위로 전역, 새로운 직장 준비로 인한
스트레스, 부모님 질환, 평소 죽고 싶다
표현
16
여/29세
모
우울증으로 정신과 치료 중, 술을 마신
후 부와 싸움
hanging
우울증
17
남/30세
부인
신학대학교 졸업, 진보주의적, 결혼하
면서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 갈등
hanging
알 수 없음
18
여/21세
부, 언니
父와의 극심한 갈등, 언니와 동반자살
시도
hanging
조울병
19
여/24세
모
음주상태에서 충동적 행동
hanging
알코올의존
Logo
번
호
사망자
(성별/나
이)
정보제공
자
자살충동요인
자살방법
추정질환
21
여/37세
남편
조울병, 알코올문제, 아이 때리는 문제
로 부부갈등
hanging
조울병, 알코올
의존
22
남/38세
남동생
도박중독으로 인한 회사기금 등 빚 압
박, 이혼
hanging
우울증
부
희귀 난치성 질환으로 인한 스트레스,
무가치함, 우울감 호소, 반복적 자살시
도
hanging
우울증
스트레스에 취약, 내성적, 여자친구와
의 이별, 반복적인 자살시도, 정신과치
료 중단
hanging
우울증
학업 스트레스
hanging
알 수 없음
23
남/40세
24
남/19세
모
25
여/18세
부, 모
26
여/22세
모
父의 병간호, 학업스트레스, 항우울제
복용 중
hanging
우울증
27
남/35세
(전)부인
평소 무력감, 우울감 호소, 감정조절의
어려움
hanging
우울증
28
여/32세
모
부부갈등, 우울감 표현
hanging
알 수 없음
29
남/40세
모
사업실패, 경제적인 어려움
hanging
알 수 없음
Logo
정신질환
인원(명)
우울장애
16
우울장애 52~55%
조현병
2
양극성장애 3.2~6.5%
양극성장애
1
알코올의존
1
우울장애+알코올의존
1
양극성장애+알코올의존
1
ADHD
1
알 수 없음
8
조현병 6.5%
알코올장애 3.2~9.7%
Logo
자살사망자의 인적 정보
22세 여자로 학력은 고졸, 부모, 언니 및 남동생과 동거, 종교는 천주교임
언니와 함께 자살시도, 언니는 생존해 있는 상태이며, 신체적 질병기록은 없음
자살사망과 관련된 주요 정보
사망장소와 시간
사망장소는 사망자가 살고 있던 주택 자기 방이며, 시간은 2011년 10월 4일
오전 시간으로 추정
자살방법
자신의 방에서 언니와 함께 목을 맨 것을 어머니가 발견, 119에 신고, 의식
잃은 채로 병원으로 후송, 유서는 없었음. 전 날 아버지와 다툼이 있었고, 언니가
사망자의 편을 들자 다툼은 더욱 커졌음. 이후 언니와 함께 ‘죽어버릴까?’라는
이야기를 했었다고 함
Logo
신체적 부검 결과
검시 결과 주 사망원인은 액사, 목맴으로 인한 질식사였음
부검은 하지 않고 화장하였음
가족 및 대인관계
부모
父는 완벽주의 성향으로 과거 자신의 어린 시절 상처를 가족들에게 자주 말함.
또한 가족 모두가 매사에 완벽해야 하고, 학업성적이 우수해야 함을 강조하여
가족이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다고 함.
父는 1996년, 일에 대한 스트레스를 견디지 못하고 공무원 퇴직 후 생활이
어려워지자 책임감에 대한 압박이 극도로 심해짐.
죄책감에 자살시도 경험 있었고, 가족들에게도 자살에 대한 표현을 자주 함.
2000년 父의 반복적인 자살사고와 강박적인 양육, 母와의 갈등 심해져 별거
하기도 했으나 자녀 교육을 핑계로 2008년 재결합함.
Logo
가족 및 대인관계
부모(계속)
당시 사망자는 크게 반대했다고 함.
다시 잘 살아보자는 父의 설득으로 같이 살게 되었지만 父는 자신의 원 가족
으로부터 받은 스트레스, 원망과 별거하면서 느꼈던 배신감에 대해 이야기
하고 화를 내는 일이 자주 있었음.
특히 언니와 사망자에게 성적을 올려야 한다고 압박하고 작은 실수도 용납
하지 않는 완벽함을 강조하였다고 함.
2011년 10월 3일 사망자가 학교 시험을 잘 보지 못한 것을 알게 되어 사망자
에게 심하게 욕을 하였고, 이 때 언니가 사망자의 편을 들자 갈등상황이 더
커졌다고 함.
이와 같이 사망자는 성장하면서 父의 강압적이고 완벽주의적인 성향에 늘
스트레스 받았던 것으로 추정되며, 특히 사망 전 父로부터 자존심이 상할
일을 경험하면서 자살을 시도한 것으로 추정함.
Logo
가족 및 대인관계
형제, 자매
사망자는 언니와 남동생과는 다른 성향으로 완벽주의적, 독립적이었다고 함.
자신의 주장이 강해 언니와 남동생을 답답하게 생각하는 경우도 많아 언니와
친밀하게 지내지 않았다고 함.
동생에게는 숙제 점검을 하면서 매를 들어 혼내는 경우도 많았으나 동생은
사망자를 잘 따라 잠을 잘 때에도 자주 함께 자곤 했다고 함.
자살사망자의 사회적 과거력
사망자는 활발하여 친구가 많았으며, 친구가 없는 언니를 무시하기도 했음.
지기 싫어하는 성격으로 리더로서의 모습을 자주 보였고, 사망자가 본인의
의사를 친구들에게 강요하기도 했음.
Logo
자살사망자의 성격 및 대인관계
대인관계 활발했으나 충동적, 자존심이 강해 친구들이 자신의 의견을 따르지
것을 용납하지 않았음. 집에서도 자신의 기분대로 하려고 하는 성향이 강했음.
자살사망자의 사망 당시 특징 및 행동 변화
충동적으로 옷 등 물건 구매하는 모습, 감정 기복이 심했고 즉흥적으로 행동,
매사에 예민했음.
자살사망자에 대한 정신질환 진단
정신과 병력 없었으나 사망 전 감정기복 심하고 충동적인 모습, 낭비가 심했던
점을 볼 때 정신질환 가능성 있었을 것으로 추정됨.
Logo
유가족에게 제공된 서비스
부모, 남동생, 언니를 대상으로 개별 및 집단 상담 실시, 치료 연계 지속적으로
진행 중, 유가족 자조모임에 참여 예정
심리적 부검 성공 이유
가족의 적극적인 협조
특히 父는 같은 상황이 되는 것을 막고자 본인이 어떻게 변화되어야 할 지 많은
고민을 함.
父 뿐만 아니라 母 및 남동생도 사망자에 대해 자세한 이야기를 해 줌.
언니는 동생에게 죄책감이 있지만 남은 가족을 위해 본인이 노력해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 찾고자 했으며 모든 가족의 이런 변화하고자 하는 의지가 심리적 부검의
성공요인이 됨.
Logo
심리적 부검 과정에서 어려웠던 점
사망자와 동반자살 시도한 언니의 자살 당시에 대한 기억상실로 정확한 정보를
얻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음.
특히 동생에 대한 죄책감이 있으므로 사망자의 죽음을 다루는 것이 심리적 부담
으로 다가오지 않을까 라는 우려가 있어 적극적인 접근이 어려웠음.
또한 심리적 부검이 진행될 수록 父의 잘못된 양육 방식이 드러나 父의 심리적
부담감이 커져 추후 세심한 접근을 통한 상담이 필요했음.
Logo
Logo
심리적 부검은 자살의 원인 규명 뿐만 아니라 자살예방정책
수립, 유가족 심리지원에 중요하게 작용
심리적 부검의 효과적 수행을 위한 제도화 방안 마련
: 변사사건에 대한 신체적 부검과 심리적 부검의 법적 의무화
민, 관의 효율적인 협력 필요
표준화된 심리적 부검 매뉴얼이 필요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