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시건전성 감독

Download Report

Transcript 미시건전성 감독

2006년도 한은-KDI-한국금융학회
춘계 금융정책 심포지움
신BIS협약 도입과
거시건전성 감독방안
2006. 3. 24
도보은
금융감독원 거시감독국
【목 차】
Ⅰ . 연구배경
Ⅱ . 연구목적
Ⅲ . 신BIS협약(미시건전성 감독)
Ⅳ . 최적 자본규제 이론
Ⅴ . 거시건전성 감독
Ⅵ . 거시건전성 감독 선결과제
Ⅶ . 거시건전성 감독 강화방안
Ⅷ . 향후 과제
2
Ⅰ . 연구배경

BIS협약(자본규제)와 금융안정성
- 은행제도의 안정성 및 건전성 제고에 크게 기여
- 금융시스템의 안정성 저하 ← 경기순응적 속성

신BIS협약의 경기동행성 강화
- 국내외 연구결과 신BIS협약은 여신의 경기동행성을
확대하는 것으로 알려짐 → 금융안정성 저해 가능성

금융안정성 제고를 위한 건전성감독
- IMF, BIS, ADB, ECB 등 국제감독기구의 감독동향
3
Ⅱ . 연구목적

현행 건전성감독정책의 평가
- 최적 자본규제에 기초한 금융안정성, 금융효율성 측면

거시건전성 감독의 개념 정립
- 거시건전성 감독과 거시안정화 정책의 차별성

거시건전성 감독방안
4
Ⅲ. 신BIS 협약(미시건전성 감독)
1. 신BIS협약의 구조
5
2. 현행 자기자본규제기준과의 비교
현행BIS협약
신BIS협약
리스크에 기초한 자기자본 은행의 자체적인 리스크
산출에만 중점
측정방법, 감독당국의 점검,
시장규율을 강조
획일적인 방법
유연성, 다양한 위험측정
방법 제시 등
개괄적인 구조
위험에 보다 민감한 구조
자료: 김현욱·이항용(2005)
6
3. 신BIS협약의 도입 영향

현행 BIS협약의 정교화(긍정적 효과)
- 은행별 여신포트폴리오의 차이 반영
- 규제자본에 대한 재정거래 활성화

경기순응성 강화(부정적 효과)
- 부도율, 부도손실율, 부도시익스포져의
경기순응성
◈ 금융회사의 자기자본에 미치는 영향(경기하강시)
- Catarineu, et al. (2003), Jordan, et al. (2003)
- Lowe, et al. (2002), Kashyap, et al. (2004)
- 한국은행(2004)
7
Ⅳ. 최적 자본규제 이론
1. 자본규제 도입 목적: 후생 극대화
- negative externality로 인한 시스템비용을 내재화
① 파산비용 최소화(stability)
② 금융효율성(efficiency): 금융중개기능
◈ 자기자본의 기회비용(SV): 자기자본 부족으로 금융회사의
여신이 축소됨으로써 실물부문에서 과소 투자가 발생하는
것을 의미 (금융중개기능의 취약성)
8
2. 경기침체기의 SV 변화
① 금융회사 자기자본이 감소(SV증가)
② 수익투자대상이 감소(SV감소)
실증분석 결과 경기침체기에 SV가 증가
자기자본 감소 > 수익투자대상 감소 ⇒ SV증가
→ 현행 BIS협약은 최적 자본규제가 아님
: Peek & Rosengren (1995), Heuval (2002)
9
3. 신BIS협약의 문제점(최적 자본규제 측면)
① 금융안정성 취약
- 파산비용의 최소화에만 치중 (구성의 오류)
- 금융의 효율성 제고는 부수과제 (거시안정화 과제)
② 감독기준의 획일성 (단일 리스크곡선)
- 횡단면적 민감도 / 시계열적 민감도에 무차별
③ 사전예방적 감독기능(process-oriented) 취약
- B/S 중심의 사후관리적 감독방식 (rule-based)
④ 금융부문내의 상호연계성 분석 미흡
- 금융회사의 내재적 리스크의 심층적 분석 미흡
10
◈ 횡단면적 민감도와 시계열적 민감도 비교
11
12
Ⅴ. 거시건전성 감독
1. 정의
⑴ 거시금융환경의 변화에 따른 시스템
리스크 요인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
→ 시장친화적(market-friendly) 감독
⑵ 경기상황이나 금융회사의 중요도에 따른
감독기준 차등화 → 과정 중심의(process
-oriented) 감독으로 이행
2. 목적: 금융시스템의 안정성 제고
13
14
3. 미시건전성 감독과의 비교
15
거시 금융환경(실물경제,금융시장)
거시건전성 감독
▶ 거시금융환경 변화 모니터링
▶ 경기대응적 감독기준 운영
▶ 금융회사간의 상호 연계성 분석 등
상호 연계성 분석
금융시스템에의 리스크 요인에 선제적으로 대응
→ 개별 금융회사의 건전성 유지
연계성 분석
금융시스템
금융회사 A
미시건전성 감독
금융회사 B
▶ 개별 금융회사의 건전성 유지
. 감독기준 운영: 재무건전성기준, 각종
한도규제 등
. CAMELS, 동류그룹분석, 적기시정조치
금융회사의 경기순응적, 집단적 영업행태
금융시스템 불안, 금융회사 건전성 악화
16
Ⅵ. 거시건전성 감독 선결과제
1. 거시건전성감독의 필요성
- 미시건전성 감독의 취약성
- 금융·경제 환경의 변화
- 거시안정화정책(macro-economic policy)의 유효성 저하
2. 거시건전성 감독의 취약성
(초보수준)
- 감독개념, 업무내용 등 (거시안정화 정책과의 역할분담 등)
3. 거시건전성 감독 선결과제
- 거시건전성 감독(금감원)과 거시안정화 정책(재경부, 한은)
담당 기관의 역할분담 문제
- 이를 위해서는 감독기구의 독립성과 책임성이 전제된 가운데
각 감독기구간의 협력 및 견제장치가 제도화
17
Ⅶ. 거시건전성 감독 강화방안
1. 거시경제 및 금융 측면의 리스크 요인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 (IMF 권고)
- 건전성지수(FSI), Stress Test모형, EWS,
- 가계 및 기업모니터링지표 개발 등
- 한국은행과의 협조체제 구축
2. 경기주기를 감안한 감독기준 도입
- 경기상황에 따라 차별적인 자기자본비율(복수의 리스크곡선)
- 동태적 대손충당금
- 동태적 유가증권평가충당금
◈ 시의적절하고 객관적이며 투명한 경기판단 기준 도입문제
감독당국의 규제유예 배제 문제
18
3. 금융회사 규모에 따른 감독기준 도입
- 대형금융기관에 보다 엄격한 기준(Pillar II)
4. 생산된 정보의 공유 확대
- 정부, 금융회사, 소비자 등에 대한 정보제공
→ 경제 전반의 위기 대응능력 ↑
- 금융리스크분석(금감원), 금융안정보고서(한은) 등
19
Ⅷ. 향후 과제
1. 거시건전성 감독의 유효성 평가
2. 경기선행지수 선정
3. 감독기구의 지배구조 문제
4. 공정가치회계 → 안정성회계 전환
20
<참고> 주요 감독기구의 거시건전성 감독 운영현황
최근 IMF, BIS, ADB, 유럽중앙은행(ECB) 등
국제금융기구에서도 거시건전성감독을 중시
 이들 국제기구들은 조직을 신설 또는 확대하여
금융시스템의 상시 모니터링 체제를 강화하고
정기적으로 금융안정성 분석을 실시

2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