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의 인간 이해와 도덕.

Download Report

Transcript 불교의 인간 이해와 도덕.

불교의 인간 이해와 도덕.
불교의 인간 이해와 도덕.
목차
1, 불교의 이해.
2, 불교가 보는 세계
3, 불교와 인간
4, 불교와 윤리.
불교의 이해
인본주의적 종교
인간을 설명하고,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는 인간의 행동을 가르친다.
누구나 반성을 통해 각성할 수 있는 경
험을 내세워 설명하고 가르친다.
=>불교가 인간학인 이유
불교의 이해
절대적인 신이나 신의 계시에 의존하지
않고 부처의 순수한 인간적 노력에 의해
성립된 유일한 종교.
여러 종교사상들의 세계관을 세 가지 유
형으로 설명
-존우화작인론(尊祐化作因論)
-숙작인론(宿作因論)
-무인무연론(無因無緣論)
불교의 이해
다른 종교는 인간의 의지를 전적으로 무
시하므로 그릇된 것이라 주장.
세상이 유지되는 것은 절대자에 의해서
도, 숙명에 따라 풀어져나가는 것 도 아
니다.
원인과 조건에 따른 결과로서 이루어지
고 있는 것이 현 세상이다.
중요한 것은 인간의 의지
불교가 보는 세계
세상만물은 끝없이 변해가는 것 영원불
멸의 독자적인 실체를 지닌 것은 아무
것도 없다.
불교에서 가르치는 세상의 근본이치
-인과(因果)의 법칙
-인연 (因緣)의 법칙
-상의상관성(相依相關性)
불교가 보는 세계
한 마디로 연기(緣起)로 설명할 수
있다-연기란 서로가 서로를 말미암
아 함께 일어난다는 뜻.
불교와 인간
천상천하 유아독존(天上天下 唯我獨尊)
-“하늘의 위에서든 아래에서든 나만이
홀로 존귀하다.”
부처님 탄생의 의의를 모든 인간에게 적
용한 데서 인간의 존엄성은 성립된다.
인간은 누구나 부처가 될 가능성을 갖고
태어난 점에서 존귀하다.
불교와 인간
불교에서는 인간이야말로 최고의 생명
체라는 생각을 내세우려고 하지 않는다.
“인간의 몸을 받기는 어렵다.”라고 말하
여, 인간으로 태어난다는 것이 매우 희
귀한 일이라는 점을 강조
우담화(優曇華)
맹구부목(盲龜浮木)
인간으로 태어나는 데는 인연이 필요.
불교와 윤리.
칠불통계(七佛通戒)
-“모든 악을 짓지 않고 많은 선을 받들
어 행하되, 스스로 그 마음을 깨끗이 하
는 것, 이것이 모든 부처님의 가르침이
다(諸惡莫作 衆善奉行 自淨其意 是諸佛
敎).”
불교와 윤리.
1. ‘악을 멈추고 선을 행하라(止惡修善)
‘좋은 일을 하면 즐거운 과보가 오고 나
쁜 일을 하면 괴로운 과보가 온다(善因
樂果 惡因苦果)’에 의해 뒷받침
일반적인 윤리- 윤리학에서 논하는 선
은 악과의 관계에서 악과 대립된 선, 즉
일종의 상대적인 선
불교와 윤리.
2.모든 나쁜 짓을 짓지 말고 많은 착한
일을 받들어 행하라(衆善奉行)
유루선(有漏善)
부귀영화나 무병장수라는 미래의 즐거
운 과보를 약속 -> 상대적 선은 인간
에게 집착심을 유발 -> 선과 악의 상대
적인 분별의 근저에는 번뇌심이 작용
불교와 윤리.
3. 마음을 깨끗이 하라 (自淨其意 )
무루선(無漏善)
선과 악의 상대적 분별과 대립(對)이 끊
어진(絶) 절대적인 선
괴로움의 완전한 소멸 상태인 열반에 이
르기 위해서는 집착과 번뇌를 낳을 뿐인
이원적인 분별심, 그 자체를 가라앉혀야
한다.
불교와 윤리.
3.이것이 부처님들의 가르침이다(是諸
佛敎 )
출세간은 세간에서의 도피나 은둔이 아
니라, 세간 속에서의 출세간화이다.
위로는 자신을 위해(自利) 지혜를 구하
는 것(上求菩提), 아래로는 중생을 위해(
利他), 자비로 교화하는 것(下化衆生),
불교와 윤리
이 것은 둘이 아니며, 개인의 깨달음의
추구와 깨달음의 사회화가 서로 조화되
어야 하는 것.
불교와 윤리
업(業, karma)
산스크리트 어원 kṛ ‘하다’
그냥 하는 것이 아닌 의도인 ‘하다’ 결과
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게 ‘하다’
의도나 동기로서의 ‘의지’
그런 의지를 동반한 활동인 ‘행위’
그런 행동에 의해 남겨진 ‘영향력’
불교와 윤리
불교의 업은 단순히 ‘행위’뿐만 아니라,
그것과 관련된 원인의 측면(의지)과 결
과의 측면(영향력)을 모두 포함하는 복
합적인 것
불교적 도덕판단의 대상은 반드시 의지
를 동반한 활동. ‘의지(cetanā, 思)’야말
로 업의 본질
불교와 윤리
업은 마치 식물과도 같아서, 일단 씨앗
이 뿌려지면 과보라는 열매를 맺는다
업 설의 두 가지 의미
첫째, 인간에게는 자유의지가 있다
둘째, 업(業)과 보(報) 사이에는 필연적
인 인과관계가 있다
불교와 윤리
선과 악을 명확히 구분하는 상대적 선의
세계와 선과 악 모두를 초월하는 절대적
선의 세계가 원융 상통되어야 한다
이러한 조화의 관점에 바탕을 둔 인과업
보의 사상이 선과 악에 대한 불교적 도
덕판단의 기초
불교와 윤리
좋고(善) 나쁨(惡)을 판단해야만 하는
상황
이런 딜레마적 상황에서 유일하게 의존
할 수 있는 불교적 기준
-> 선악 너머 또는 선악 이전의 경지
무아(無我)와 비움(空)의 경지에서 과연
실상(實相) 그대로 여법(如法)하게 판단
할 수 있는가의 여부일 뿐.
불교와 윤리
일체개공의 철저한 무아(無我) 사상에
설 때에, 모든 것을 중도와 불이(不二)의
로 보아, 자타가 무분별하고 자리즉이타
(自利卽利他)가 되는 참다운 무연(無緣)
의 자비가 이루어지기 때문
불교와 윤리
무연의 자비를 선양하는 대승 보살
 “진실이란, 의미상 허위가 없다는 것도
아니며, 마음을 가리지 않는다는 것만도
아니다. 진실이란 오직 한결같이 다른
사람을 이롭게 하는 것이다. 그 반대는
헛된 말이니 그것은 다른 사람에게 이익
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불교와 윤리
윤리를 시행함에 있어서.
시행하는 주체는 자신의 이익과 명예라
는 자기기만을 철저히 비워내어야 하며,
그 방편의 대상에 대해서도 그것을 고정
된 실체로 간주하여 또 하나의 집착을
유발하는 누를 범하지 말아야 한다.
불교와 윤리
프레드릭 르누와르, 양영란 옮김, [불교
와 서양의 만남], 세종서적, 2002
현대 서양의 불교를 '불교적 인본주의'
라는 개념으로 설명
불교와 윤리
'불교와 서양의 만남은 서양의 기술 발
전 위주로 개가를 올려온 현대 문명의
정점에서 인간 정신의 두 극점, 즉 논리
적이고 추상적이며 분석적인 면과 직관
적이고 종합적인 면의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고 설명.
마무리.
해탈,깨달음과 같은 불교의 궁극적 목적
과 행복은 상통한다고 생각한다.
바쁜 생활 속에서 마음의 여유를 갖고
느리게 살 수 있는 또 하나의 방법
마무리.
달라이라마 ‘행복론’
-달라이 라마는 무언가 욕망할 때, '
나는 정말 이것이 필요한가‘, '이것이
나에게 진정한 행복을 가져다 줄 것인가
' 되물으라고 말한다. 욕망을 모두 채우
는 것이 행복이 아니라, 진정한 행복을
위해 나의 욕망을 절제할 줄 아는 것이
진정한 행복에 이르는 길이라는 것.
끝~!!
수고하셨습니다.^-^*
2005010567 심리학과 김명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