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어의 흐름과 모습

Download Report

Transcript (1) 국어의 흐름과 모습

5 우리의 말과 글
(1) 국어의 흐름과 모습
善化公主主隱
착 될 귀 님 님 숨
할
인
을
선 화 공 주 주 은
他密只 嫁 良 置 古
남 몰 다 시 좋 둘 옛
래 만 집 을
갈
타 밀 지 가 양 치 고
남 몰래 결혼하여 두고
실 실형 실 형 실형
뜻 뜻소 뜻 소 뜻소
薯童 房乙
마 아 방 새
이
서 동 방 을
夜 矣 卯 乙 抱 遣 去 如
밤
어
조
사
토 새 안 보 갈 같
끼
을 낼
을
야 의 묘 을 포 견 거 여
밤에 몰래 안고가다
실 형 형형 실 형 실 실
뜻 소 소소 뜻 소 뜻 뜻
한자를 빌려 우리 말을 표기하려는 노력
종합적인 표기 체계 향찰
1.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우리말의 형태와 의미요소를 전면적으로 기록하
던 표기 체계
2. 국어 문장 전체를 적을 수 있었다.
3. 겉으로 보기에는 한자를 나열해 놓은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신라인들
은 이것을 보고 우리말로 읽었다.
형성평가
옴므의 ‘밥만 잘 먹더라’
의 가사를 향찰로 바꾸
어 써 보세요.
사랑이 떠나가도 가슴에 멍이 들어도
愛 以 㛯 道 胸
恚 痏 産
道
뜻
사랑
사랑
써
떠나
떠나갈
갈
길
가슴
가슴
성낼
멍
멍
생길
생길
길
음
애
이
이
반
도
도
흉
에
에
유
산
도
도
한 순간 뿐이더라 밥만 잘 먹더라
瞬 啻 以語 羅 食 滿 好 喫 語 羅
눈깜
뜻
눈깜짝
짝할
할 사이
뿐
뿐
써
음
순
시
이
이
사이
말씀 그물
어
어
라
라
밥
밥
찰
식
만
만
곧잘 먹을
먹을
곧잘
호
끽
말씀
그물
어
어
라
라
(1) 국어의 흐름과 모습
5 우리의 말과 글
핵심 정리
갈래 : ( 설명문 )
성격 : 객관적, 예시적
국어 자료 : 서동요, 용비어천가, 두시언해 중간본
주제 : ( 국어의 역사적 변천 과정
)
(1) 국어의 흐름과 모습
구조 한눈에 보기
머리말
국어사의
시대 구분
본문 1
고대 국어
5 우리의 말과 글
1
국어사에 대한 관심을 유도함.
국어사 시대 구분의 기준 : ( 음운 ), ( 문법 ), ( 어휘 ), 등의 변화
국어사의 시대 구분: 고대 국어, 중세 국어(전기,후기), 근대국어,
현대 국어
고대 국어는 ( 자료나 기록 )이 부족해서 연구가 어려움.
고대 국어의 특징은 짐작할 수밖에 없음.
고대 국어의 음운, 문법, 어휘의 특징
(1) 국어의 흐름과 모습
구조 한눈에 보기
본문 2
중세 국어
본문 3
5 우리의 말과 글
2
중세 국어는 ( 전기 )와 ( 후기 )로 나눌 수 있음.
중세 국어의 표기 및 음운의 특징
중세 국어의 문법 및 어휘의 특징
근대 국어는 ( 한글 ) 자료가 많고 다양하여 우리말의 모습을
비교적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음.
근대 국어
근대 국어의 표기 및 음운의 특징
근대 국어의 문법 및 어휘의 특징
(1) 국어의 흐름과 모습- 학습활동
5 우리의 말과 글
1. 고대 국어의 특징
10 세기 이전
표기 방법
음운의 특징
( 한자 )의 음과 훈을 빌려 쓴
음운 체계에 ( 된소리 )가
(
차자 ) 표기
없었던 것으로 보임
(1) 국어의 흐름과 모습
5 우리의 말과 글
중세 국어의 특징
10 세기~16세기 말
표기 및 음운의 특징
① 띄어쓰기를 하지 않음.
② ( 이어 )적기를 함.
문법의 특징
① 체언도 조사와 결합하면서 형태
가 바뀌는 예가 있음.
③ 글자에 ( 방점 )을 찍어서 성조를 표시함. ② 조사와 어미도 ( 모음조화 )에
④ 현재 사용하지 않는 여러 자모 (ㆁ, ㅿ,
ㆆ, ㅸ, ㆍ )를 사용함.
⑤ 된소리가 나타남.
따라 결합함.
③ 주체·객체·상대 높임법이 있음.
④ 구조가 복잡하고 긴 문장이 쓰임.
(1) 국어의 흐름과 모습
5 우리의 말과 글
근대 국어의 특징
1
17 세기~19세기 말
표기 및 음운의 특징
문법의 특징
① 이어적기, 끊어적기, 거듭적기 등으로
혼란함.
② ( 띄어쓰기 )는 독립신문 이후부터 나타남.
③ 받침에 ‘ㄷ’과 ‘ㅅ’이 구분되어 쓰이던 것
이 18세기 이후에는 주로 ‘( ㅅ )’으로 통일
되는 경향을 보임.
① 조사와 결합할 때 형태가 바뀌
던 체언의 형태가 고정됨.
② 새로운 주격 조사 ‘( -가 )’가
쓰임.
(1) 국어의 흐름과 모습
5 우리의 말과 글
근대 국어의 특징
2
17 세기~19세기 말
표기 및 음운의 특징
문법의 특징
④ ( 방점 )은 16세기 말부터 없어짐.
⑤ ‘ㅿ’과 ‘ㆆ’은 표기에서 사라졌고, ‘( ᅌ )’은 ③ 시제를 나타내는 ‘-앗-/-엇-’,
‘ㅇ’으로 표기되면서 사라졌으며, ‘( ᆞ )’는
‘-겠-’ 등의 여러 ( 어미 )가
음가는 사라지고 표기만 유지됨.
⑥ ( 구개음화 ), ‘ㅣ’ 모음 역행 동화, 원순
모음화가 나타남.
등장함.
④ 구조가 복잡한 긴 문장이 쓰임.
(1) 국어의 흐름과 모습
5 우리의 말과 글
2-(1)
서동요
용비어천가
( 한자 ) 를 사용하여 우리말을 표기함.
우리 문자인 ( 훈민정음 )을 활용하여 표기했지만, 오늘날과 표
기 형태가 다름
2.-(2)‘용비어천가’의 표기상 특징
용비어천가
현대어 풀이
띄어쓰기
( X )
O
이어적기
( O )
X
성조 표시
O
X
‘ㆍ’의 사용
O
X
(1) 국어의 흐름과 모습
5 우리의 말과 글
㉯ 중세 국어의 어휘를 현대 국어로 바꾸고, 변한 것 알아보기.
㉯의 어휘
현대 국어
변한 내용
중세 국어의 ‘하다’는 ‘ ( 많다 )’는 뜻이었으나,
현대 국어의 ‘하다’에는 ‘많다’의 뜻이 없다.
• 중세 국어의 ‘ ‘ ’와 현대 국어의 ‘하다’는 ‘사람
이나 동물, 물체 따위가 행동이나 작용을 이루다.’
•
( 많으니 )
라는 뜻이다.
• 중세 국어에서는 ( 이어적기 )를 했으나, 현대 국
어에서는 ( 이어적기 ) 를 하지 않는다.
므른
( 물은 )
• 중세 국어에서는 양순음 ‘ㅁ, ㅂ, ㅃ, ㅍ’다음에서
‘ㅡ’가 쓰였으나, 현대 국어에서는 ‘ㅡ’가 ‘( ㅜ )’
로 바뀌었다.
(1) 국어의 흐름과 모습
5 우리의 말과 글
3-(1) “두시언해” ㉮초간본과 ㉯중간본에서 차이가 나타나는 부분
을 찾고, ㉯에서 알 수 있는 국어사적 특징 알아보기.
차이가 나타나는 부분
㉮
㉯
슬후니
슬호니
국어사적 특징
어미가 결합할 때 ( 모음조화
)가 지켜지지 않았다.
‘ㅿ’이 표기에서 사라졌다.
놀래
다
놀래노다
‘( ㆍ
)’가 ‘(
‘ㄹ’의 (
디윌
지윌
)’로 ㅗ
바뀌었다.
)가 사용되었다.
거듭적기
( 구개음화 현상
) 일어났다.
(1) 국어의 흐름과 모습
5 우리의 말과 글
3-(2) 국어사 자료로서의 가치가 있는 이유?
초간본은 15C에 간행되어 중세 국어 자료에 해당하고, 중간본은 17C에
간행되어 근대 국어 자료에 해당한다. 따라서 “두시언해”의 초간본과 중
간본을 비교하면 중세 국어과 근대 국어 사이의 ( 언어변화 )를 알 수 있
으므로 국어사 자료로서의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1) 국어의 흐름과 모습
5 우리의 말과 글
4-(1) 현대 국어로 바꾸어 쓰기
우리 신문이 한문을 쓰지 않고 다만 국문으로만 쓰는 것은 상하 귀천이 다 보게 하
기 위함이다. 또 국문을 이렇게 구절을 띄어 쓴 것은 아무라도 이 신문을 보기가 쉽
고 신문 속에 있는 말을 자세히 알아보게 하기 위함이다. 각국에서는 사람들이 남녀
를 물론하고 본국 국문을 먼저 배워서 능통한 후에야 외국 글을 배우는 법인데, 조
선에서는 조선 국문은 안 배우더라도 한문만 공부하는 까닭에 국문을 잘 아는 사람
이 드물다.
(1) 국어의 흐름과 모습
5 우리의 말과 글
차이점
( 띄어쓰기)가 나타나지만 현재보다 부족함.
우리신문, 아니쓰고
ㅅ계 합용 병서가 쓰임.
(
표기법 이미 소멸된 ‘-오’가 쓰임.
어법
예
),
,
홈이라
‘ㆍ’가 표기됨.
쓰 거슨, 잇 말
( 이어적기)가 일부 남아 있음.
거슨
문장 끝에서 ‘-라’ 형식을 사용함.
한문의 영향을 받은 표현이 나타남.
다보게 홈이라, 알어 보게
이라
아니쓰고, -ㄴ즉
(1) 국어의 흐름과 모습
5 우리의 말과 글
4-(2) 중세 국어와 근대 국어의 언어적 특징 비교하기
근대 국어
중세국어
-띄어쓰기를 하지 않음.
-이어적기를 함.
-연철, 분철, 혼철 등으로 혼 -띄어쓰기가 나타남
란함
-방점을 찍어 ( 성조)를 표시 -16C 말부터 방점이 사라짐.
함.
-현재 사용하지 않는 ( 음운
)사
용
-된소리가 나타남
‘독립신문 창간사’
-분철표기가 확대되었으나,
연철이 남아 있음
-‘ㅿ, ㆆ, ㆁ’이 사라졌고 -‘ㆍ’ -방점이 없음
는 표기만 유지됨
-‘ㅿ, ㆆ, ㆁ’이 사라졌고, ‘ㆍ’
-구개음화 ‘ㅣ’ 모음 역행 동 표기만 유지됨
화, 원순 모음화가 나타남
-한글(국문)만 사용함
(1) 국어의 흐름과 모습
5 우리의 말과 글
4-(3) 보기의 글이 쓰인 시기는?
윗글은 띄어쓰기를 하고, 끊어적기가 확대되었으며, 방점이 없다. ‘ㅿ,
ㆆ, ㆁ’이 사라지고 한글로만 표기하였다. 이러한 점으로 보았을 때
( 근대국어 )에 속하는 국어 자료이며, 현대 국어와 ( 가까운 )시기에
기록되었을 것이다.
5. 향찰 표기로 바꾸어 쓰기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一
隱
點
羞
音
伊
無
其
乙
하나
숨을
점
부끄러울
소리
저
없을
그
새
일
은
점
수
음
이
무
기
을
5. 우리의 말과 글
’(2) 훈민정음’ 에 대해 수업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