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cript (1) `봉산 탈춤`
6 예술 감상의 즐거움
(1) 봉산 탈춤
(1) 봉산 탈춤
6 예술 감상의 즐거움
핵심 정리
갈래 : 가면극, 전통극, 민속극
성격 : 서민적, ( 풍자적 ), 해학적
배경 : 시대적 - 조선 후기 / 공간적 - 황해도 봉산
주제 : ( 양반에 대한 풍자와 비판 )
(1) 봉산 탈춤
6 예술 감상의 즐거움
구조 한눈에 보기
‘양반’의 뜻풀이에 대한 재담
( 양반 )에
대한 희롱
인물의 등장
담배에 대한 재담
장단에 대한 재담
양반 찾기 재담
( 새처 정하기 )에 대한 재담
말뚝이와
( 양반 삼 형제 )
양반의
소개
허세 비판
시조 짓기
운자 놀이
( 파자) 놀이
양반의
취발이 잡아들이기
( 비리 ) 비판
취발이와 금전으로 타협
인물의 퇴장
일제히
어울려서
춤추다가
퇴장
(1) 봉산 탈춤
6 예술 감상의 즐거움
등장인물 분석
양반 삼 형제
• 차림새 : 창옷, 관, 쾌자, 복건, 부채, 장죽
• 생김새 : 언청이 두 줄, 언청이 한 줄, 입이 삐뚤어짐.
• 말뚝이의 ( 상전 )
• 양반 대접을 받고 싶어 함.
• 신체적 결함을 지닌 우스꽝스러운 모습의 ( 희화적) 인물
• 말뚝이의 희롱과 야유를 받으면서도 알아채지 못하는 인물
• 운자로 글짓기나 파자 놀이에서 스스로 (무식함 )을
드러내는 인물
말뚝이
• 차림새 : 벙거지와 ( 채찍 )
• 양반들이 부리는 하인(마부)
• 양반들을 풍자하는 역할
• 겉으로는 양반에게 복종하는 듯하지만
( 언어유희), 과장, 열거 등을 통해
양반을 조롱하는 인물
조선 후기의 무능하고
양반에게 도전적인
( 허위의식 )에 가득 찬 양반의 전형
( 서민 )의 대변자
(1) 봉산 탈춤
6 예술 감상의 즐거움
양반들의 글자 놀이의 의미
( 시조 ) 읊기
( 운자 놀이 )
파자 놀이
의미
말뚝이가 부르는 민요에 비해 나을 것이 없음
한시도 아니고 한글로 끝 글자와 글자 수만 맞춘
것에 불과함
한자를 맞히는 것도 아니고
단순한 ( 수수께끼 놀이 )에 불과함
양반의 허세와 무식함을 스스로 드러냄.
(1) 봉산 탈춤
탈춤의 특징
① 무대와 객석의 구분이 없어 ( 관객 )과 악공이 극중에
참여할 수 있다.
② 특별한 무대 장치가 없고, ( 장면 전환 )이 자유롭다.
③ 극중 장소와 공연 장소가 일치한다.
④ ( 당대의 사회 )를 민중의 관점에서 비판∙풍자한다.
6 예술 감상의 즐거움
(1) 봉산 탈춤
6 예술 감상의 즐거움
학습활동
1-(1) ‘봉산 탈춤’의 구성 요소와 소통 방법
- 구성 요소: 탈춤은 ( 연기자 ), ( 무대(마당) ), ( 관객 )으로 구성됨. 가면
(탈)을 쓴 연기자가 대사와 몸짓, 노래, 춤 등의 공연을 하면, 관객은 이에
호응하면서 함께 극을 만들어 낸다.
- 소통 방법: 연기자와 관객이 얼굴을 맞대고 생동감 있는 언어를 통해서
소통한다.
(1) 봉산 탈춤
6 예술 감상의 즐거움
(2) 가면의 인상과 등장인물의 성격, 가면의 역할
가면의 인상
검정색 얼굴에 금빛 이마의
말뚝이
점으로 보아, 활동적이고 생
동 감이 있는 모 습이 다 . 큰
눈이 무서워 보이기도 한다.
등장인물의 성격
겉으로는 양반의 비위를 맞추며 (복종 )하는 듯하
지만, 재치 있는 반어적 언어로 양반을 ( 조롱 )한
다.
언청이 줄이 두 개 씩이나 말뚝이에게 조롱을 당하면서도 이를 깨닫지 못한
샌님
학식
코까지 연결되어 있고, 창백 다. 양반의 권위 의식만 있고
(
한 모습이 연약해 보인다.
두껍고 진한 일자 눈썹에 하
서방님 얀 얼굴이 어딘지 어색해 보
인다.
을 갖추지 못한
(
희화적
교양(
)과
)
) 인물이다.
샌님과 마찬가지로 말뚝이에게 조롱을 당하면서도
이를 깨닫지 못한다. 서방님 역시 양반의 권위 의
식만 있을 뿐 학식과 교양을 갖추지 못한 희화적
인물이다.
(1) 봉산 탈춤
6 예술 감상의 즐거움
가면의 인상
등장인물의 성격
비뚤어진 입은 비뚤어진 성격을 자신의 주관 없이 형들이 하는 대로 따라 하고,
도련님
나 타 내 는 것 같 다 . 좋 은 말 은 부채로 형들의 얼굴을 때리며 방정맞게 구는 것
하지 않을 것 같은 인상이다.
으로 보아 버릇이 없을 것 같다.
힘이 세고 날래다. 조선 후기에 성장한 신흥 계
붉은 얼굴은 활력이 넘쳐 보이 층으로 경제력을 갖췄다. 겉으로는 양반에게 복
취발이
고, 말뚝이와 같이 부리부리한 종하는 듯하지만, 실제로는 양반을 비웃고, 그
눈은 매서워 보인다.
들의 허세를 드러내는, ( 말뚝이 )와 비슷한 인
물이다.
가면의
역할
가면은 대사로 전해지는 등장인물의 ( 성격 )을 가시적으로 드러내 주는 역할을
한다. 뿐만 아니라 계층의 대표적 특징도 드러낸다. 관객은 연기자가 쓴 가면을
통해 극에 더욱 몰입할 수 있고 , 이는 연기자와 관객의 소통에 도움을 준다.
(1) 봉산 탈춤
6 예술 감상의 즐거움
2. 재담의 구조와 갈등의 양상
말뚝이와 양반 사이에 오가는 재담은 다음과 같은 구조가 ( 반복적 )으로 나타난다.
이는 양반의 어리석음을 그대로 드러내어 ( 풍자 )하는 효과를 갖는다. 말뚝이의 조
롱에 매번 속고 마는 희화화된 양반의 모습은 서민들에게 통쾌함을 주었을 것이다.
춤
쉬이
양반의 위엄
말뚝이의 조롱
양반의
양반의 권위
( 권위 )를
무시, 풍자,
세워 줌
반항
양반의 호통
말뚝이의 변명
양반의 안심
일시적으로
( 긴장감 )
복종하여
양반의
형성
위기를 모면,
( 무지함 )
반어, 조롱
(1) 봉산 탈춤
6 예술 감상의 즐거움
3-(1) ‘봉산 탈춤’에서 나타난 공연 예술의 언어적 관습
관객의 흥미와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일상어와 다른 표현이 나타난다.
- ( 열거 )와 ( 과장 ) : 관객들에게 담배를 피우라고 권하는 재담, 양반과
새처를 정하는 재담 등
- 언어유희 : 발음의 ( 유사성)을 이용한 언어유희
■ 관객과 얼굴을 맞대고 공연하므로 현장감 있는 언어가 사용된다.
- “쉬이.”, “여보, 구경하시는 양반들, 말씀 좀 들어 보시오.”, “여보,
악공들 말씀 들으시오.”와 같이 ( 관객 )과 ( 악공 )들을 극에 개입시키는 대
사가 사용되었다.
■ 현장 상황과 관객의 반응에 따라 달라지는 즉흥적인 언어가 나타난다.
- 관객은 공연의 일부로 관객과의 호흡이나 반응, 현장의 상황에 따라 즉흥
성과 현장성을 띠게 된다.
■ 표정, 몸짓, 노래, 춤 등과 잘 어울리는 언어가 쓰인다.
■
(1) 봉산 탈춤
6 예술 감상의 즐거움
4. 전통 공연 예술의 언어문화적 가치 알아보기.
계승
굿, 탈놀이, 풍물, 민요, 판소리, 인형극, 줄타기, 사물놀이, 마당
양상
놀이 등
성격
( 억압 )되어 있는 본원적 생명력의 해방 과정인 ( 신명)의 도출
표현
방식
의의
집단적인 어울림의 열린 판에서 가무악희(歌舞樂戱)이 총체성을 통
해 나타나며, 관중이 직접 참여하면서 한을 맺고 푸는 반복ㆍ점층
의 과정과, 현실의 일탈 과정에서 상승
현실의 고통에서 오는 부정적 한을 신명나는 놀이를 통해
( 긍정적 삶의 자세 )로 변화시킴.
6. 예술 감상의 즐거움
’(2) 산도화 1을 읽고’ 에 대해 수업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