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와 사고(思考), 언어 능력

Download Report

Transcript 언어와 사고(思考), 언어 능력

언어와 사고(思考), 언어 능력
2003-1
인지와 언어와 디자인
I. 언어와 사고는 하나
• 언어와 사고의 밀접한 관련
– 실레겔: 언어는 인간 정신을 그대로 본떠 놓은 것
– 라이프니쯔: 언어는 인간 정신의 가장 좋은 반영
– 헤르더: 우리들은 이제는 말하는 것을 통해서 사고
를 배우니까, 사고는 언어에 있어서, 언어로써, 그
리고 언어를 통해서 형성되는 것인데...
– 훔볼트: 언어의 다름이라는 것은 소리나 기호의 다
름이 아니라, 세계관 자체의 다름이다.
– Logos: 말, 이성
• 말이 없으면 생각도 없다
– 하만: 말이 없으면 이성도 없고, 따라서 세
계도 존재하지 않는다.
– 소쉬르: 심리적으로는, 말로써 표현되지 않
고서는, 우리의 생각은 꼴 없고 불분명한
덩어리에 지나지 않는다. … 생각이란 것은
꽉 한정된 것이라곤 있는 것이 아니며, 언
어가 나타나기 전에는 똑똑한 것이라곤 아
무 것도 없다
• 밀접한 관계, 그 증거
1. 소리:
– 동물의 울음 소리 예) 닭- 꼬끼오/ 코커두
들두(영)
– 음운의 변별 예) 불,뿔,풀 / pin,bin
2. 낱말:
– 푸르다 / green,blue
3. 문법:
– 우리말의 높임법, 때매김법
• 말은 중간 세계(바이스게르버)
– 허웅: 우리는 자기가 표현 수단으로 가진 말의 구
조에 맞도록 생각을 가다듬어야 하는 것인데, 이러
한 조절 작업이 한 평생 되풀이되는 사이에 그 말
의 구조에 이끌려, 생각의 곬이 만들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것이 그들의 생각의 방식이요 마음이
요 정신이다. 곧 우리 인간의 정신은 그가 가려 쓰
는 언어의 구조에 이끌려 나가는 것이다. 언어의
구조는 인간이 바깥 세계를 보는 눈을 만들어 주는
것이다.
– 훔볼트: 언어라는 것은 상호간에 이해를 하기 위한
단순한 교환의 수단이 아니라 인간 정신이 그 힘의
내적인 활동에 의해서 자신과 외계의 대상과의 중
간에 놓지 않으면 안 될 참다운 세계라고 하는 것
인데…
• 언어의 기호성
– 언어는 기호 표시 체계 “A language is a
system of arbitrary vocal symbols by
which members of a social groups
cooperate and interact.”
– Langer: sign은 행동의 기초 또는 행동을
명령하는 수단이며, symbol은 사고의 도구
이다.
• 언어 기호의 범주성
– 현실 세계는 연속적 세계. 그러나 언어는 혼돈된
세계를 분석 정리하여 테두리를 만들어 한계를 짓
는다. … 언어는 이산적인 범주 세계요, 불연속적
인 세계이다.
– 명명작용: 명의와 사물을 관계시켜 연상하고, 기억,
재생하는 데 사고가 태동된다.
– 무지개색, 스펙트럼의 색상 분포
– 추상에 의한 명명으로 인간은 객관세계를 두뇌에
전환시켜 조종 요리하는 동시에 질서 정연한 외계
의 파악, 진리를 척결해 낸다. 이로써 인간은 사고
에 의하여 실재계를 지배한다.
II. 언어와 사고는 별개
• 사고가 언어와 동일한 것이라는 개념은
불합리한 인습
– 이는 모든 상식과 대립함.
• 글 쓰거나 말하다가 문득 그것이 정확히 우리가
말하고자 하는 것이 아님을 깨달음.
• 새로운 단어의 생성
• 어린 아이의 최초의 단어 학습
• 한 언어를 다른 언어로 번역
1. 언어 결정론
1. Edward Sapir & Benjamin Lee Worf
•
•
Worf : 우리는 모국어에 의해 설계된 선을 따
라 자연을 해부한다. … 세계는 우리의 정신에
의해 (즉 정신 속에 있는 언어 체계에 의해)
조직되어야 하는, 만화경같이 흘러가는 인상
들로 우리 앞에 나타난다. …
(Apache어 연구) “ It is a dripping spring.
(그것은 물이 똑똑 떨어지는 샘이다)”  “As
water, or springs, whiteness moves
downward (물 혹은 샘, 백색의 물질이 하강
하고 있다)” : 우리의 사고 방식과 얼마나 다
른가!
• 문제점
1. 워프는 실제로 어떤 아파치족도 연구하지 않
았다. 아파치족의 심리에 대한 그의 단언들은
전적으로 그 언어의 문법에 의한 것. 따라서
주장이 순환적. (아파치족은 다르게 이야기한
다. 그러므로 그들은 틀림없이 다르게 사고한
다.)
2. 워프는 직역의 의미가 가능한 한 이상하게 보
이도록 단어 대 단어로 번역해서 그 문장들을
아주 어색하게 만들었다. “Clear stuff-wateris falling (맑은 것, 즉 물이 떨어지고 있다)”
2. 색채어
•
•
•
물리학적으로, 빛의 파장은 빨간색, 노란색,
녹색, 청색 등을 구분하는 어떤 경계선도 없는
연속적 차원.
심리학적으로, 눈이 파장을 감지하는 방식은
물리학적 사실과 다름. 세 가지 종류의 원추체
(녹색-빨강, 청색-노랑, 검정-흰색)존재. 언
어가 망막의 세포를 재배열할 수 있다?
세계 도처의 인간들은 동일한 팔레트로 자신
의 지각세계를 채색하며, 이 팔레트가 그들의
언어를 제약한다.
• 2개 : 검정색, 흰색 (어두움, 밝음)
3개 : 검정색, 흰색, 빨간색
4개 : 검정색, 흰색, 빨간색, 노란색/녹색
5개 : 검정색, 흰색, 빨간색, 노란색, 녹색
6개 : + 청색
7개 : + 갈색
• Dani족 (2개)의 새로운 색상 범주 학습 : 옅은
빨간색에 근거한 범주보다 원색의 빨간색에 근
거한 색상범주를 더 빨리 학습함.  우리가 색
상을 보는 방식이 색채어를 학습하는 방식을 결
정하는 것이지, 그 역이 아니다.
2. 언어 없이도 정상적으로 사고하는 예
– 일데폰소 : 어떤 형태의 언어(수화, 글, 독순술,
말)도 전혀 가지고 있지 못한 청각장애 성인.
• 발견 당시 27세
• 숫자 이해 3분 만에 덧셈 원리 터득
• ‘고양이’ 수화 배우자 곧 명명(命名)의 원리를
깨달음.
• 얼마 지나지 않아 살아온 과정에 대해 얘기, 화
폐 다루기/ 카드 게임/ 긴 무언극하며 즐기기
등 추상적 형태의 사고를 보여줌.
– 창조적 사람들은 가장 깊은 영감에 사로잡
힌 순간에 언어가 아니라 정신의 상(image)
으로 생각한다고 주장함. (시인, 소설가)
– 물리과학자들은 그들의 사유가 언어적이라
기보다는 기하학적이라고 함. (패러데이,
맥스웰) 아인슈타인은 스스로를 ‘시각적 사
유자’라고 함.
– Roger Shepard : 알파벳 철자 재인 실험.
피험자들은 철자의 상을 ‘정신적으로 회전
시켰다’고 보고함. (56rpm)
3. 보통의 언어가 내적 매개체가 될 수 없
는 이유
1. 중의성 (ambiguity) 문제
–
–
–
Stud Tires Out (징이 박힌 타이어 금지 / 종
마, 과로로 쓰러지다.)
Drunk Gets Nine Months in Violin Case (주
정뱅이, 바이올린 사건으로 9개월 선고 받다.
/ 주정뱅이, 바이올린 케이스에 9개월 동안 갇
히다.)
Iraqi Head Seeks Arms (이라크 수뇌부, 무장
을 추구하다. / 이라크인의 머리, 팔을 찾다.)
2. 논리적 명시성(explicitness)의 부재
•
•
Ralph is an elephant.
Elephants live in Africa.
Elephants have tusks.
랠프가 살고 있는 아프리카는 다른 코끼리들
이 살고 있는 아프리카와 동일하지만, 랠프의
엄니는 다른 코끼리들의 엄니가 아님. 언어에
는 이러한 사실이 충분히 드러나지 않음.
3. 공지시 (co-reference) 문제
•
•
•
한 사람을 ‘검은색 신발을 신은 금발의 키 큰
남자’라고 지칭함으로써 그에 대해 말하기 시
작했다고 가정.
두 번째 지칭할 때에는 ‘그 남자 (the man)’이
라고 할 것이고, 세 번째 지칭할 때에는 ‘그
(he, him)’이라고 할 것.
이 세 가지 표현은 세 사람을 지칭하거나 한
개인에 대한 세 가지 사고방식을 가리키지 않
음. (동일한 것을 다르게 표현)
4. 직시 (deixis) 문제
•
•
•
대화나 텍스트의 맥락 속에서만 해석될 수 있
는 언어적 측면
A policeman’s 14-year-old son, apparently
enraged after being disciplined for a bad
grade, opened fire from his house, killing a
policeman / the policeman and wounding
three people before he was shot dead.
a(n), the, here, there, this, that, now, then,
I, her, we, you 등은 맥락을 벗어나서는 의미
가 없음.
5. 동의성 문제
•
•
Sam sprayed paint onto the wall.
Sam sprayed the wall with paint.
Paint was sprayed onto the wall by Sam.
The wall was sprayed with paint by Sam.
위 네 문장은 하나의 사건을 표현한 것.
(Sam spray painti) cause (painti go to (on
wall))
4. 사람들은 영어나 중국어나 아파치어로 생각
하지 않는다. 사람들은 ‘사고언어’로 생각한다.
– 사고 언어는 현실 언어들 모두와 어느 정도 비슷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 언어보다 어떤 면에서는 더
풍부하고, 어떤 면에서는 더 단순하다.
– 몇 가지 개념 상징들이 하나의 (영어) 단어와 상응
해야 하고, 랠프의 엄니와 다른 코끼리의 엄니를
논리적으로 다른 것으로 구별해야 하며, 동일한 것
을 지칭하는 다른 상징물들을 연결시키는(금발 남
자-그 남자-그) 장치도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더
풍부함.
– 한편, 대화 속에서 구체화되는 단어와 구문들은 없
어져야 하고, 발음이나 배열 순서와 같은 정보도
불필요함.
– 사고언어들이 논리적인 사고를 적절히 보조하려면,
각각의 현실어보다는 서로 더 가까운 모습을 띠어
야 할 것임. 그리고 그것들은 동일한 것일 가능성
이 있음. 이것이 바로 보편 정신어 (mentalese).
– 하나의 언어를 안다는 것은 정신어를 단어열로 번
역하는 방법, 그 역의 방법을 안다는 것.
– 언어가 없는 사람도 정신어가 있으며, 아기와 여러
동물들도 정신어에 대한 더 단순한 개별 방언을 가
지고 있다고 추정됨.
III. 언어 발달 과정
1. 말소리 구분 능력
–
–
–
–
–
생후 1주일도 안된 유아에게 다양한 자음과 모음
을 구별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음.
모국어에서는 사용되지 않은 음소의 구별 능력
을 보임.
언어 환경의 멜로디에 민감하게 반응.
생후 6개월부터 언어 환경의 모음 범주를 학습하
기 시작함. (스웨덴어/y/, 영어/i/)
생후 9~10개월부터 언어 환경의 자음 범주를 학
습하기 시작함. (영어/b/, /d/, /g/ vs. 힌두어
/b/, dental /d/, retroflex /d/, /g/)
2. 옹알이와 첫 단어
– 생후 6-8개월, 옹알이 시작.
– 옹알이: 모음과 자음이 조성되어서 나오는 소리
(mamamama, babababa, dadadada)
– 청각 장애 아동들도 수화로써 위와 흡사한 옹알이
를 한다고
– 옹알이가 끝날 무렵, ‘엄마’ 비슷한 소리를 내다가
생후 10-11개월 되면 서서히 첫 단어를 발화
– 사람이나 사물을 지칭하는 명사나 구체적 의미를
가지는 동사나 형용사 발화 (엄마, 아빠, 멍멍, 말,
가자)
3. 발달 초기의 소리와 의미
– 발달 초기의 음운 규칙
• 생략(물[mu]), 대체(아빠[aba]), 음절 단
순화(어부바[ebuba])
– 의미 발달:
• 만 10-12개월에 사물의 개별성을 인지, 설탕이
나 밀가루 등 물질 명사와 책, 연필 같은 보통
명사를 구별
• 단어 발달의 보편적 현상: 말, 강아지, 돼지 등
동물인형이나 그림을 ‘멍멍’, 그러나 우유나 밥
등의 음식은 ‘멍멍’이라 하지 않고 ‘맘마’라 함
– 단어의 의미 발달
• 확대 용법: 한 단어를 그 단어 본래의 의미를 넘
어 다른 의미까지 포함해 잘못 사용하는 경우
(멍멍, doggie)
• 축소 용법: 어떤 단어의 의미를 축소시켜 지나
치게 한정적인 의미를 전달하는 데에만 그 단어
를 쓰는 경우 (창밖의 car(o)/ 그림의 car(x))
• 확대 용법의 원인과 동기: 사물의 외견(형태, 크
기, 질감 등)이나 사물의 기능적 특징에서 기인
(멍멍: 네발 동물, 털 있음/데리고 같이 노는 동
물)
3. 단어의 분출(word spurt) 시기
– 생후 18개월부터
– 두 개 이상의 단어가 합성된 표현 (엄마 가,
아빠 좋아)
– 단어 조합에 규칙이 있음
•
•
•
•
언니
이거
아빠
미키
행동
모자/언니의 모자/소유주-소유대상
빼/이것을 빼세요/목적대상-행동
술/아빠가 술 드세요/행위자-목적대상
여깄다/미키가 여기에 있다/행위자-장소-
– 기능어의 누락: 전보문과 흡사: 전보문 단
계(telegraphic stage)
4. 발달 후기 (All hell breaks loose)
– 만 30개월부터
– 문장 성분과 기능어의 발달
– 어순, 보문 구조, 관계대명사절, 대용화, 논
항 구조, 타동사화 등 문장의 핵심 구조 체
계화
– 조사, 시제나 양태를 나타내는 어미 등이
체계화
IV. 모국어 학습 환경
1. 언어는 사회적 활동
•
•
–
–
청각 장애 부모들의 정상 자녀 양육
TV를 많이 보게 하라는 권고
성공적이지 못함.
반응 없는 TV 속의 인물들이 무슨 말을 하
고 있는지 아이가 이해하기는 매우 어려
움.
•
•
현실 속 화자들은 아이들 앞에서는 현시점에
대해서 이야기 하는 경향이 있음.
TV 속의 언어는 모성어로 되어 있지 않음.
2. 모성어
– 부모가 아이에게 하는 말은 더 느리고 음조
가 더 과장되며, 더 직접적으로 현시점과
관련되어 있으며 더 문법적임.
– 모성어는 해석이 가능한 멜로디를 가짐.
– 부모들은 자녀들의 문법에 대해 어떠한 피
드백도 주지 않음. (아이들은 주어진 피드
백도 무시해 버림.)
V. 언어 습득론
• 언어 습득의 복합 요인
(Multiple Factors Framework of
Learnability, Sokolov & Snow)
–
–
–
–
성인 문법의 특징
선험 지식
아동의 습득 과정
경험의 역할
•
모방? 창조?
1. 엄마:
아이:
엄마:
아이:
엄마:
아이:
엄마:
아이:
엄마:
아이:
아 무서.
아 무서.
내꺼야.
내꺼야.
준규 바보.
바꿍.
준규 똑똑.
또또. 마늘
밤.
밤.
(준규 1;10)
2. 엄마: 또 줘?
아이: 또 줘.
엄마: 물 또 줘?
아이: 또 물 줘.
엄마: 물 또 줘?
아이: 또 물 줘.
(준규 1;11)
– 몇 번 반복해도 아이는 계속 같은 식으로
대답함.
1. 경험론:
Skinner(1957) & Bloomfield(1933)
– 행동주의학파의 ‘자극-반응’ 모델이 주축
– 인간은 환경에 주어진 경험적 자료에 접하
여 조건반사적으로 연상작용을 일으켜 지
식을 획득함
– 인간의 선험적 능력: 발성 능력, 청각을 통
한 언어처리 능력, 문맥을 이용하는 능력,
연상 능력
–
언어 습득 발달의 다섯 단계 (Bloomfield)
1. 아동은 선험적으로 발성력과 소리 식별력을
갖고 태어난다. 이러한 능력을 배경으로 하여
많이 듣는 소리(ma, da)를 반복한다.
2. 주변 사람들이 옹알이와 유사한 소리를 발화
하면(da:doll) 아동은 그 소리를 모방한다.
3. 상황이나 배경을 토대로 (인형을 보며) 표현
과 경험의 관계를 연상한다.
4. 처음에는 상황을 토대로 표현을 배우고, 나중
에는 상황이나 문맥이 배제된 환경에서 같은
표현을 할 수 있게 된다.
5. 발화하려는 시도가 성공할 때 아동은 더욱 고
무되어(reinforced) 결국 성인의 언어 같은 발
화를 하게 되고, 실패한 발화는 강화되지 않아
결국 소실된다.
– 경험론의 시각은 발달 초기의 단어 습득에
대해 어느 정도 부분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듯
– 경험론의 문제: 조건반사, 연상작용, 모방,
반복 등의 이론이 언어 습득을 ‘충분히’ 설
명할 수 없음.
• 아동은 잠재적으로 언어 규칙을 가정하고 그 규
칙을 토대로 옳거나 그른 새로운 표현을 창조.
(goed)
• 아동은 어른의 가르침이나 정정을 늘 그대로 수
용하는 것은 아님.
• 발달 후기의 문법 습득 과정에 대해 크게 기여
하는 바가 없음.
2. 선험론 (Chomsky, 1959,1988,1995)
– 인간 고유의 창조성을 강조. 경험론에서 중
시하는 학습 효과나 오류 정정의 효과는 인
정하지 않음.
– 인간은 체계적인 가르침을 받지 않고도 언
어 규칙을 무의식적으로 내면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음.
– 언어의 토대를 이루는 어휘 범주와 기능 범
주 및 기본 원리 등을 선험적으로 가지고
있음.
– 인간의 지식 습득은 절대로 유추에 의거하
지 않는다.
1.가. I gave a book to Mary.
나. I gave Mary a book.
2.가. I donated a book to Mary.
나. * I donated Mary a book.
• 2나 와 같은 유추에 의한 오류는 실제의 언어
습득 과정에서 발견되지 않음.
– 환경과 경험의 영향은 ‘방아쇠(trigger)’ 역
할 정도.
VI. 외국어 습득
• 외국어 습득과 모국어 습득의 차이
학습 환경: 불규칙적, 다양 / 큰 차이 없음
발달 과정: 분석과 설명 필요 / 자연스럽게
성공 여부: 개인차 큼 / 예외없이 성공
• 언어의 보편성을 주장하는 학파에서는 경험의
역할을 인간의 선험적 지식만큼 중요하게 취
급하지 않음. 따라서 외국어 습득 과정에서 일
어나는 문제가 학습자들의 모국어의 간섭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으려고 함.
• 외국어 습득에 나이 제한이 있는가?
1.외국어 습득에 나이 제한이 있음을 시사하
는 연구: Johnson & Newport (1989)
• 미국으로 이민 온 한국인/중국인 중 3-7세 경
에 이민 온 피험자의 영어 발달이 7세 이후에
이민 온 피험자보다 빨랐다.
2.외국어 습득에 나이 제한이 없음을 시사하
는 연구: White & Genesee (1992)
• 영어를 처음 배운 나이가 만1세-16세 사이인
피험자에게 문법성 판단을 실시한 결과, 나이에
상관없이 일단 발달이 성숙한 피험자는 문법성
판단도 거의 영어 원어민 수준으로 성숙했음을
발견
– 소리의 지각 및 발음 발달은 어릴수록 성공
률이 높은 경향이 있으나, 소리의 범주적
지각에 한해서는 나이 제한이 따로 있지 않
다는 의견이 지배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