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노트13조직행동연구_리더십1

Download Report

Transcript 강의노트13조직행동연구_리더십1

제 1장 조직행동의 기초
특성이론
리더의 특성이 리더십 유효성에 관련된다는 관점
시사점
첫째, 리더 특성과 리더십 유효성간의 상관관계가 약하고 일관성이 없다.
둘째, 어떤 경우에는 리더의 특성과 유효성의 관계가 상황변수들의 존재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는 사실이 보고되었다.
셋째, 초기의 리더 특성연구들은 연구방법상의 문제점을 극복하지 못하였다.
문제점
공식적으로 장(長)자리에 임명된 사람들은 훌륭한 특성이 있기 때문에 리더가 된 경우도
있겠지만 리더가 되었기 때문에 생기는 특성들(예, 자신감 등)도 있을 수 있는데 리더와
하급자들의특성을 비교하는 방법으로는 이러한 경우를 구별하여 결론을 도출할 수 없다
는 점이다.
1. 리더십의 행위이론들
1947년 리커트(RensisLikert)
미시간 대학(University of Michigan)연구팀
직무중심형 VS 조직원중심형
1950년대 스톡딜(Ralph Stogdill) 플라이쉬만(Edwin A.Fleishman)
오하이오 주립대학(Ohio State University: OSU)
구조주도(Initiating Structure)와 배려(Consideration)
블레이크(Blake)와 무튼(Mouton)의 관리격자(Managerial Grid)프로그램
2. 관계중심의 리더십이론
(1) ALS와 VDL
수직짝관계이론(VDL: Vertical Dyadic Linkage theory)
평균리더십 스타일(ALS: Average Leadership Style)
(2) 수직짝의 종류: 내집단과 외집단
VDL이론
「내집단(內集團) 짝(In group)」
「외집단(外集團) 짝(Out-group)」
(3) 내·외집단 형성의 원인
하급자는 리더와의 교류를 통해서 내집단 또는 외집단의 교환관계를 갖게 된다.
(4) 내·외집단 관계의 결과
내집단 관계에 속하는 하급자들은 외집단 관계에 속한 하급자들보다, 리더와의 교환과
정에서보다 큰 교섭력을 갖게 되며 낮은 이직상향과 이직률을 보이게 되고 직무만족도
나 리더에 대한 만족도가 더 크게 나타나게 된다.
(5) LMX 이론으로의 발전
내집단 구성원들이 보다 높은 직무만족과 성과를 보이며, 리더와 구성원 상호간의 교류
의 질이 높을수록 리더, 추종자, 작업집단, 그리고 조직 일반 측면에 있어 긍정적인 결과
를 가져온다.
특성이든 행위든간에 리더십의 유효성은 상황변수의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1. 피들러의 리더십 상황모델
집단의 성과는 과업동기 또는 관계동기라고 불리우는 리더의 성격적 특성과 리더십 상
황의“호의성(好意性, favorableness)”간의 적합화(match)정도에 달려 있다고 주장
LPC(Least Preferred Co-Worker) 설문
18개 항목들로 이루어지며 이들 항목에 대한 응답을 합한 수치가 높을수록 “관계지향적
리더십“에 해당하고 낮을수록“과업지향적 리더십“에 해당
앞서의 OSU 연구나 관리격자 모델에서와는 달리(사실, 다른 어떤 상황이론들과도 다르
게), 관계지향적 리더십과 과업지향적 리더십을 단일차원의 양극점으로 본다.
피들러의 이론의 문제점
첫째, LPC 설문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
시간이 흐르면서 LPC의 정의가 여러가지로 바뀌고 있으며 피들러 자신도 LPC가 무엇을
측정하는지에 대하여 확신을 갖고 있지 못하다. 실증 연구에 근거하여 사후적으로 LPC
에 대한 해석이 가하여졌을 뿐, 사전적(事前的)으로 이론이나 계획에 의하여 만들어진
변수가 아니다.
둘째, 소위 조절변인(상황변수)의 선택과 적용에 문제가 있다.
이론상으로는 리더-성원 관계, 과업구조, 직위권력 등을 조절변인으로 주장하여 왔으나,
구체적 실증연구에 있어서는 다른 변수로 대체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고 상황호의성 측
정지수도 다양하게 사용되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