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정책토론(141024)_YUN (파일크기 10Mbyte, 다운로드 : 1)

Download Report

Transcript 제주정책토론(141024)_YUN (파일크기 10Mbyte, 다운로드 : 1)

기후변화대응 녹색성장 발전을 위한 정책토론회
24. Oct 2014, 제주
IPCC AR5와
기후변화 정책동향
윤 원 태
국 가 태 풍 센 터
[email protected]
목 차
1. 기후변화 원인
2. 관측된 기후변화
3. IPCC 보고서
4. 미래 기후변화
5. 기후변화 정책 변화
6. 제주 지역 기후변화
왜 우린 기후변화에
주목하는가?
42만년 기후 역사(남극빙하코어)
 약 10만년 주기로 빙하기 - 간빙기 발생
 이산화탄소 농도변화와 기온변화의 밀접한 상호 연관관계 확인
아프리카 빈민촌
기후변화 원인
 자연적 요인
- 천문학적 원인 : 태양활동의 변화(11년, 60년) ,
지구 자전축 경사 변화(45,000년)
지구 공전 궤도 이심률의 변화 (100,000년)
- 대기 투명도 : 화산 폭발
- 지표면 상태 변화 : 지구 맨틀의 이동, 조산 활동, 심층수 순환
 인위적 요인
- CO2 증가로 인한 지구 온난화
- 대기중 에어로솔 변화
- 토지 피복의 변화 : 과잉 토지 이용
도시화, 산업화로 인한 고층 건축물의 등장.
- 삼림파괴 : 도로의 건설, 벌목 등
자연적 원인
타원궤도 이심률의 변화 : 100,000년
지구자전축 경사변화 : 45,000년
기후변화 6대 온실가스
지구대기온도를 바꾸는 물질들
교토의정서 규제대상
6대 온실가스
88.6%
이산화탄소
(CO2)
메탄
(CH4)
아산화질소
(N2O)
수소불화
탄소
(HFCS)
4.8%
과불화탄소
(PFCS)
산림벌채, 에너지 사용, 석탄/석유연료 등
화석연료의 연소 등이 발생 원인
가축 사육, 습지, 논, 음식물 쓰레기,
쓰레기 더미 등이 발생 원인
석탄, 폐기물 소각, 질소비료 등
화학 비료의 사용 등이 발생 원인
에어컨 냉매, 스프레이 제품 분사제
등이 발생 원인
반도체 세정제 등이 발생 원인
2.8%
3.8%
육불화황
(SF6)
전기제품과 변압기 등의 절연체 등이
발생 원인
관측된 온실가스 농도 변화
온실가스는 산업혁명 이전보다 인간 활동에 따른 화석연료의
사용과 토지이용에 따른 숲 파괴의 영향으로 그 농도가 높아짐
1750-2011년에 인위적으로 배출된 총 CO2 양은 545(460-630)PgC 이지만, 대기
중에 축적된 양은 240(230-250)PgC 이다. 1750년에 CO2 농도는 278(273-283)
ppm → (2011년) 391 ppm
※ 4차보고서 CO2 농도는 1750년 이래로 화석연료의 사용, 토지이용의 변화 등
인간활동의 결과로 현저하게 증가(산업화 이전 280ppm → 2005년 379ppm)
대서양(29010N15030W: 31040N 63010W) 과 태평양 22045N, 158000W)등
세 관측지점의 해수면에서 측정한 CO2분압 값과 해수의 산도를 측정한
pH값(pH값이 낮으면 산성도가 높음)
관측된 기후변화 : 기온
지난 133년(1880-2012년)간 지구의 평균기온은
0.85℃[0.65-1.06℃] 상승
※ 4차보고서 지난 100년(1906-2005년)간 지구
평균기온 0.74 [0.56-0.92] ℃ 상승
1961-1990년 평균기준
관측된 기후변화 : 해수면
해수면 높이는 지난 112년(1901~2010년)간 0.19 [0.17-0.21]m 상승
전지구 해수면 평균상승률 : 해수면 상승가속화는 사실상 확실
(1901~2010년) 1.7[1.5-1.9]mm/yr
(1993~2010년) 3.2[2.8-3.6]mm/yr
※ 4차보고서는 해수면의 관측된
상승률은 19세기보다 20세기에 증가,
전구평균 해수면은 1.8 [1.3-2.3]
mm/yr 상승(1961-2003)
1900-1905년 평균기준
IPCC 보고서 발간 일정
SyR (10.27~31)
WGI AR5
(9.23~26)
스톡홀름
덴마크
WGII AR5
(3.25~29)
일본
WGIII AR5
(4.7~11)
독일
2013
2014
6차 평가보고서
2015
온실가스 시나리오 비교
2100년 CO2 농도(ppm)
SRES
CO2 농도
(상당농도)
RCP
CO2 농도
(상당농도)
A1FI
970 (1550)
A2
830 (1250)
RCP8.5
936 (1370)
A1B
720 (850)
RCP6.0
670 (850)
B2
600 (800)
B1
550 (600)
RCP4.5
538 (650)
A1T
540 (700)
RCP2.6
421 (490)
SRES(청색)
RCP(적색)
※SRES: Special Report on Emission Scenario(미래사회구조를 중심으로 선정)
※RCP: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기후변화 대응 정책과 연계하여 선정)
※2.6, 4.5, 6.0, 8.5W/m2 는 각각 1750년을 기준으로한 2100년 인위적인 복사강제력으로 정의
(RCP8.5는 인위적인 복사 강제력 값이 8.5W/m2 라는 의미이며 태양복사량(238W/m2)의 약 3.6%를 의미함)
온난화 주요 요인은 CO2의 총 배출량과 상호 비례
인위적인 CO2 배출량에 의한 온난화가
산업화 이전과 비교하여 2oC 미만으로
유지하려면 산업화 시대 초기부터 모든
인위적인 CO2 배출량을 1000PgC이하로
제한해야 한다.
* 페타그램의 탄소 = 1 PgC = 1015그램의 탄소 = 1 기가톤의 탄소 = 1 GtC = 3.67 GtCO2
기온전망
현재 추세로 온실가스를 배출한다면(RCP8.5), 금세기말 (20812100년)의 지구 평균기온은 3.7 [2.6-4.8]℃ 상승
1986-2005년대비
※ 4차보고서는 화석연료에 의한 대량
소비형 사회(A1FI)가 계속 된다면
1980-1999년에 비하여 금세기말
(2090-2099년)의 지구평균기온은
4.0 [2.4-6.4]℃ 상승 전망
기온(℃)
새로운
시나리오
2046~2065년
2081~2100년
RCP 2.6
1.0(0.4~1.6)
1.0(0.3~1.7)
RCP 4.5
1.4(0.9~2.0)
1.8(1.1~2.6)
RCP 6.0
1.3(0.8~1.8)
2.2(1.4~3.1)
RCP 8.5
2.0(1.4~2.6)
3.7(2.6~4.8)
강수량 전망
지역적으로 예외가 있지만, 전지구 대부분의 지역에서 온난화된
기후로 인해 건조한 지역과 습윤한 지역간의 계절별 평균
강수량의 차이가 크게 날 것이며, 또한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서 전
지구 대부분의 지역에서 우기와 건기 간의 차이도 더 커질 것으로
전망
-고위도와 적도 태평양의 경우 강수량이 증가할 가능성이 매우 높음
평균강수량변화 1986-2005년과 2081-2100년의 비교
17
해수면 전망
해수면 높이는 (1901~2010년) 19 [17-21] cm 상승
- 1993~2010년 평균해수면 상승율은 3.2 [2.8~3.6] mm/yr
현재 추세로 온실가스를 배출한다면(RCP8.5), 금세기 말의 지구
평균해수면은 63cm 상승 (2081-2100년)
- 전 세계 평균 해수면 상승속도는 7-15 mm/yr
해수면(m)
새로운
시나리오
2046~2065년
2081~2100년
RCP 2.6
0.24(0.17~0.32)
0.40(0.26~0.55)
RCP 4.5
0.26(0.19~0.33)
0.47(0.32~0.63)
RCP 6.0
0.25(0.18~0.32)
0.48(0.33~0.63)
RCP 8.5
0.30(0.22~0.38)
0.63(0.45~0.82)
※ 4차보고서는 화석 연료에 의한 대량
소비형 사회(A1FI)가 계속 된다면 20902099년 지구평균해수면은 1980-1999년에
비해 59 cm 상승 전망, 단 해수면 상승에
빙하역학은 포함되지 않음
한반도의 미래기후 전망
현제 추세(저감 없이)로 온실가스가 배출되는 경우(RCP 8.5)
— 기온은 현재보다 5.7℃ 상승하고, 강수량은 118% 증가
온실가스 저감 정책이 상당이 실현되는 경우(RCP 4.5)
— 기온은 현재보다 3℃ 상승하고, 강수량은 120% 증가
[1986~2005년 대비 21세기 말(2081~2100년) 미래기후 변화 전망, RCP4.5(8.5)
구분
현재 기후값
21세기 중반기
21세기 후반기
(1986-2005)
(2046-2065)
(2081-2100)
한반도
11.3
+2.3
(+3.3)
+3.0
(+5.9)
동아시아
-
+1.9
-
+2.4
-
전지구
-
+1.4
(+2.0)
+1.8
(+3.7)
일최고기온(℃)
16.8
+2.3
(+3.3)
+2.9
(+5.7)
일최저기온(℃)
6.3
+2.4
(+3.5)
+3.2
(+6.1)
강수량(mm)
1144.5
+13%
+21%
+20%
(+18%)
폭염일수(일)
7.5
+3.9
(+7.4)
+6.1
(+24.4)
열대야일수(일)
2.6
+6.6
(+13.2)
+11.8
(+37.2)
호우일수(일)
2.2
+0.9
(+1.1)
+1.0
(+0.8)
평균기온
(℃)
국가표준 기후변화 시나리오 전망
1971~2010년 1.4oC, 2020년까지 0.6~1.5oC
증가
2050년 전지구
2050년 한국
기온
강수량
해수면
※ 현재 온실가스 배출추세 유지 시(RCP8.5), 2050년=2041-2050년 평균, 현재기준은 1971-2000
감축경로
2000-2010년 주요 온실가스 배출 개도국들의 경제적 발전과 인구 증가로
인하여 이전보다 더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부문별로는 에너지
공급부문과 산업부문이 가장 큰 배출증가의 원인 임
지구온난화를 2℃ 이내로 억제하기 위해서는 430~480ppm의 농도를
목표로 하는 감축경로(RCP2.6)가 요구되며, 산업화 시대 이후 인위적인
총 누적 CO2 배출량을 약 1,000Gtc 이하로 유지해야 하나 현재(2011년
기준) 대기 중 누적 배출량은 이미 그 절반(460~630Gtc) 임
이러한 감축경로를 따르기 위해서는 전 세계가 2050년까지 2010년
온실가스 배출량 대비 40~70%를 감축해야 하며, 2030년까지 연간
배출량이 30~50GtCO2eq/년 수준으로 관리되지 않을 경우 2030년 이후
감축부담과 경제적 비용이 급격히 증가할 것
국제기후정책 동향
AR5 WGIII 에서 2050년 장기목표 및 2030년 중기경로가 제시되고,
에너지 수요관리가 핵심정책으로 제시됨에 따라, 탄소집약적 인프라를
개선하기 위한 사회기반시설, 도시계획에 대한 체계적 검토 및 적극적인
에너지 수요관리 정책 수립이 이루어져야 하며, 감축경로의
핵심기술(CCS, 바이오에너지 등)의 적용가능성을 확보하고, 이를 위하여
주변 국가와의 지역적 협력 강화 필요
지역그룹별(5개 지역그룹(RC5) : OECD90(선진국 지역), EIT(동구권
지 역 ), LAM( 남 미 및 캐 리 비 언 지 역 ), MAF( 중 동 및 아 프 리 카 ),
ASIA(중동을 제외한 아시아 지역)로 구분하여 온실가스 감축량을
기준연도(2010년)를 대비하여 권고하는 것이 제안되었으나 선진국과
개도국, 산유국 등의 이견을 좁히지 못해 채택되지 못함
향후 온실가스 배출량을 국가소득별로 세분화하는 방향은 지속적으로
검토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기후변화 대응 정책은 물론 2015년 타결을
목표로 진행 중인 Post-2020 신기후체제 및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설정하는 과정에 심도 깊은 검토 필요
기후변화 대응
국제활동 변화
WCC-1(1979)
 IPCC: for the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WCC-2(1990)
 UNFCCC: to strengthen the global response to
climate change
WCC-3(2009)
 GFCS: to "enable better management of the risks of
climate variability and change and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through the development and
incorporation of science-based climate information and
prediction into planning, policy and practice on the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scale“
Global Framework for Climate
Services
• Goal:
– Enable better management of the risks of climate
variability and change and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all levels, through development and
incorporation of science-based climate
information and prediction into planning, policy
and practice.
GFCS란 무었인가?
GFCS :
Global Framework for Climate Services
(전지구 기후 서비스 체제)
기후정보에 대한 다양한 수요에 부응하고,
기후정보의 효율적 활용으로 사회경제적
편익 창출을 도모하기 위한 기후서비스의
새로운 혁신적 체제
제주의 기후변화
미래 읍면동별 평균 기온 분포도
현재
기후값
시나리오
2011~
2040
2041~
2070
2071~
2100
14.4
RCP4.5
+0.7
+1.7
+2.3
RCP8.5
+0.9
+2.6
+4.6
RCP 4.5(좌)/RCP8.5(우)
2011-2040(상)
2041-2070(중)
2071-2100(하)
미래 읍면동별 연강수량 분포도
현재
기후값
시나리
오
2011~
2040
2041~
2070
2071~
2100
2168.1
RCP4.5
+311.1
14.3%
+393.0
18.1%
+541.6
25.0%
RCP8.5
+288.0
13.3
+474.5
21.9%
+756.4
34.9%
RCP 4.5(좌)/RCP8.5(우)
2011-2040(상)
2041-2070(중)
2071-2100(하)
읍면동별 기후변화 전망 요약
기후변화는 새로운 기회
기후변화는 정치, 경제, 과학, 산업, 농업 등 전 분야에 영
향을 미치며 국내외로 많은 전문가 필요
제주는 기후변화 특수지역으로 전문가 수요 급증
기후변화분야 젊은 인재들을 양성하여
국내외 진출 기회 제공
감사합니다
Won-Tae YUN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