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14 회 석사학위 논문 지도교수 손 동 섭

Download Report

Transcript 제 114 회 석사학위 논문 지도교수 손 동 섭

제 114 회 석사학위 논문
지도교수 손 동 섭
폐좌상의 진단에 있어
폐 초음파검사의 임상적 유용성
중앙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흉부외과학 전공
김동언
목차
Ⅰ. 서론
Ⅱ. 대상과 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Ⅵ. 참고문헌
서론

폐좌상 (Lung contusion)
 흉부 둔상시 발생하는 가장 흔한 폐 실질의 손상
 운송수단에 의한 사고 : 70%
 폐좌상과 연관된 사망률 : 9-35%
 합병증 : 폐렴, 급성호흡곤란증후군, 폐부종, 기도협착

폐좌상의 진단
 단순 방사선 촬영 : 초기에 이상 소견을 보이는 경우
가 많지 않음
 CT : 정확도가 높은 검사이나 환자를 이동하는 등 제
약이 있음
서론

폐초음파
 폐부종, 급성호흡곤란증후군(ARDS) 등에서 발생하는
폐포나 간질의 부종 혹은 삼출과 폐렴 등으로 인한 폐
경화를 진단하기 위한 연구에서 시작

폐좌상의 병태 생리
 간질의 출혈, 부종
 폐포내 출혈, 삼출물
 폐의 경화
서론

연구의 목표
 폐좌상으로 인한 폐포, 간질의 부종 등을 초음파로 진
단할 수 있는가
 응급센터에서 이용 가능한 선별검사로써의 능력
 초기 단순 방사선 촬영 vs. 폐초음파
대상과 방법

연구기간과 대상
 2008년 4월 - 2010년 9월 (전향적 연구)
 분당제생병원, 안동성소병원 (지역응급의료기관)
 18세 이상의 다발성 외상 환자
 흉부 둔상의 가능성이 있는 환자
 초음파 검사, 단순 방사선 촬영, 1시간 이내 CT

제외 대상
 기흉이 있어 초음파 검사에 제약이 있는 환자
대상과 방법
흉부 둔상 의심 환자
이학적 검사
초음파검사 및 단순 방사선 촬영
CT촬영 (1시간 이내)
대상과 방법

폐좌상의 확인
 CT상 폐좌상의 소견을 보이는 경우 폐좌상으로 진단

단순 방사선 촬영
 판독 : 응급의학과 의사
 양성 소견 : 부분적인 폐음영의 증가
대상과 방법

폐초음파
 검사자 : 응급의학과 의사 (전공의 3,4년차, 전문의)
 침상 옆에서 실시
 스캔 부위 (7부위)
 좌측 쇄골중간선 상부
 우측 쇄골중간선 상, 하부
 양측 후액와선 상, 하부
 양측 각 2부위 이상 스캔한 경우 연구에 포함
대상과 방법

스캔 부위
대상과 방법

이용 장비
Acuson Sequoia 512
Acuson X500TM
대상과 방법

폐초음파 소견 : 정상
대상과 방법

폐초음파 소견 : B-line
대상과 방법

폐초음파 소견 : Consolidation
대상과 방법

전산화단층촬영
 단순 방사선 촬영, 초음파 검사 후 1시간 이내
 판독 : 영상의학과 전문의

통계
 폐좌상군 vs. 비폐좌상군 (CT로 분류)
 Fisher의 정확한 검정, 독립표본 T-검정
 2 X 2 Table
 SPSS 12.0(Apache Software, Chicago, USA)
 통계적 유의수준 : P<0.05
결과

대상 환자의 특성
 총 환자수 : 74명
 평균 연령 : 56.2(±14.2)세
 성별 : 남자 54명(73%), 여자 20명(27%)
 외상의 기전 :
 운송수단에 의한 사고 60명(81.1%)
 추락 13명(17.6%)
 기타 1명(1.4%)
 ISS(Injury severity score) : 11.2(±4.9)
결과

폐좌상군과 비폐좌상군의 비교
폐좌상군 (n=34)
비폐좌상군 (n=40)
P-value
Age
58.5(±13.2)
54.3(±15.1)
0.206
Sex (male)
70%
75%
0.794
ISS
14.7(±3.8)
8.2(±3.6)
0.001
결과

단순 방사선 촬영과 폐초음파의 비교
CT상 폐좌상(n)
양성
양성
음성
8
1
단순 방사선촬영
음성
26
39
양성
30
2
폐초음파
음성
4
38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
음성예측도
23.5%
97.5%
88.9%
60.0%
93.8%
90.5%
88.2%
95.0%
고찰

초음파의 장점
 비침습적
 빠르게 발전하는 장비
 환자의 이동 없이 검사가 가능
 빠른 검사 시간
 낮은 검사 비용
 조영제나 방사선에 노출되지 않음
고찰

외상 환자에게 시행되는 초음파 검사
 FAST(Focused abdominal sonography for trauma)
 흉부, 심장, 복부, 골반부에 특화된 추가적인 초음파
검사
 “Emergency Ultrasound (EUS) in Trauma,”
“Trauma EUS.” - American College of Emergency
Physicians, 2006
 비정상적인 체액을 측정 – 혈액, 담즙, 소변, 삼출액
등
 외상환자에 유용한 선별검사
고찰

흉부 초음파
 기흉과 혈흉의 진단
 초음파의 특성 : 공기를 투과하지 못함
 공기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허상  이를 통한 폐부
종의 진단, 호흡곤란 환자의 감별진단 등에 대해 연구
 간편하며 반복검사가 용이함 - 응급센터와 중환자실
에서 이용 빈도 증가
고찰

정상 폐 초음파 소견
 lung sliding
 A-line

비정상 폐초음파 소견
 B-line (Comet-tail artifact)
 엽간중격(interlobar septa)의 비후
 폐혈관외액(extravascular lung water)
 “Hepatization” - 폐 실질의 경화
고찰



폐좌상 환자의 8% : 24시간 이상 경과하여도 단순 방사
선 촬영상 이상 소견이 관찰되지 않음
CT : “gold standard“
본 연구 결과
 폐초음파 :
 단순 방사선 촬영보다 높은 정확도
 63.5% vs. 91.9%
 단순 방사선 촬영보다 높은 민감도
 23.5% vs. 93.8%
 폐좌상을 진단하기 위한 선별검사로써의 유용함
고찰

연구 결과의 해석
 ISS의 차이
 중증 외상환자에서 폐좌상의 발생 빈도가 높음
 ISS를 계산시 폐좌상이 높은 점수
 단순 방사선 촬영의 낮은 민감도 (이전 연구에 비해)
 본 연구에 포함된 환자의 중증도가 다른 연구에 비
해 낮았기 때문
 높은 남자환자의 비중
 외상환자중 남성환자의 비율이 높음
 상반신을 노출한 상태에서 시행하는 폐초음파검사
 여성 환자에서 시행이 용이하지 않음
고찰

가설과 다른 결과를 보인 환자
 단순 방사선 촬영상 폐좌상, CT상 폐좌상 없음 (1명)
 이전부터 가지고 있던 무기폐
 폐초음파검사상 폐좌상, CT상 폐좌상 없음 (2명)
 이전의 기저질환으로 인한 것으로 판단
고찰

제한점
 기저질환에 대한 조사가 없음
 두 군간의 중증도에 차이가 있음

향후 연구 과제
 폐초음파검사를 통한 폐좌상의 부위 추정
 폐초음파검사를 통한 폐좌상의 중증도 예측
 소아 외상환자에 대한 폐초음파검사의 유용성
결론

폐초음파는 폐좌상을 진단하는데 있어 단순 방사선 촬
영보다 정확하며 높은 민감도를 가지고 있고 침상 옆에
서 환자를 움직이게 하지 않고 즉각적으로 시행할 수 있
는 유용한 검사임

응급의료센터에서 이를 이용할 경우 보다 빠르고 정확
한 진단에 도움이 되므로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흉부
둔상 환자의 초기평가에서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임
참고문헌
1. Ullman EA, Donley LP, Brady WJ. Pulmonary trauma emergency department evaluation and management. Emerg Med Clin North Am.
2003;21(2):291-313.
2. Kim JJ, Shin JH, Jin W, Hyun SY, Lim YS, Yang HJ, Lee G, Lee SK. The Value of Grading of Pulmonary Contusion by the Chest CT
Scanning. J Korean Soc Emerg Med. 2004;15(6):452-5.
3. Tyburski JG, Collinge JD, Wilson RF, Eachempati SR. Pulmonary contusions: quantifying the lesions on chest X-ray films and the factors
affecting prognosis. J Trauma. 1999;46(5):833-8.
4. Miller LA. Chest wall, lung, and pleural space trauma. Radiol Clin North Am. 2006;44(2):213-24.
5. Schild HH, Strunk H, Weber W, Stoerkel S, Doll G, Hein K, Weitz M. Pulmonary contusion: CT vs plain radiograms. J Comput Assist
Tomogr. 1989;13(3):417-20.
6. Soldati G, Testa A, Silva FR, Carbone L, Portale G, Silveri NG. Chest ultrasonography in lung contusion. Chest. 2006;130(2):533-8.
7. Platz E, Cydulka R, Werner S, Resnick J, Jones R. The effect of pulmonary contusions on lung sliding during bedside ultrasound. Am J
Emerg Med. 2009;27(3):363-5.
8. Ball CG, Ranson MK, Rodriguez-Galvez M, Lall R, Kirkpatrick AW. Sonographic depiction of posttraumatic alveolar-interstitial disease:
the hand-held diagnosis of a pulmonary contusion. J Trauma. 2009;66(3):962.
9. Wustner A, Gehmacher O, Hammerle S, Schenkenbach C, Hafele H, Mathis G. Ultrasound diagnosis in blunt thoracic trauma.
Ultraschall Med. 2005;26(4):285-90.
10. Stone MB, Secko MA. Bedside ultrasound diagnosis of pulmonary contusion. Pediatr Emerg Care. 2009;25(12):854-5.
11. American College of Emergency Physicians. Emergency ultrasound imaging criteria compendium. American College of Emergency
Physicians. Ann Emerg Med. 2006;48(4):487-510.
12. Tsui CL, Fung HT, Chung KL, Kam CW. Focused abdominal sonography for trauma in the emergency department for blunt abdominal
trauma. Int J Emerg Med. 2008;1(3):183-7.
13. Targhetta R, Bourgeois JM, Chavagneux R, Marty-Double C, Balmes P. Ultrasonographic approach to diagnosing
hydropneumothorax. Chest. 1992;101(4):931-4.
14. Agricola E, Bove T, Oppizzi M, Marino G, Zangrillo A, Margonato A, et al. “Ultrasound comet-tail images”: a marker of pulmonary
edema: a comparative study with wedge pressure and extravascular lung water. Chest 2005;127:1690-5.
15. Jambrik Z, Monti S, Coppola V, Agricola E, Mottola G, Miniati M, et al. Usefulness of ultrasound lung comets as a nonradiologic sign
of extravascular lung water. Am J Cardiol 2004;93:1265-70.
16. Lichtenstein D, Me´zie´re G. A lung ultrasound sign allowing bedside distinction between pulmonary edema and COPD: the comet tail artifact. Intensive Care Med 1998;24:1331-4.
17. Lichtenstein D, Meziere G, Biderman P, Gepner A, Barre O. The comet-tail artifact. An ultrasound sign of alveolar-interstitial
syndrome.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7;156(5):1640-6.
18. Cohn SM, Dubose JJ. Pulmonary contusion: an update on recent advances in clinical management. World J Surg. 2010;34(8):1959-70.
19. Pape HC, Remmers D, Rice J, Ebisch M, Krettek C, Tscherne H. Appraisal of early evaluation of blunt chest trauma: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scoring system for initial clinical decision making. J Trauma. 2000;49(3):496-504.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