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부 회당 예배를 계승한 순서

Download Report

Transcript Ⅰ부 회당 예배를 계승한 순서

예수 및 원시 기독교 예배
1.원시 예배를 보는 착안점
*이 시기 역사는 아직 형체가 갖추어지지 않은 약 2세기 초
반 정도까지의 역사이다
1.전 시대와 연속 혹은 불연속이라는 관점
2.규칙보다는 다양성과 자유
-가령 특성으로서 만찬이 중요하지만
-그 자유로움, 포괄성, 다양성이 있다(인간학?)
-말하자면 예수께서 갖는 영적 폭발성 같은 것
(하나님 고백, 종말론적 희망-기독론)
3.그래도 제의화의 진전은 보일 것이다
2.예수님의 예배 개념
*하나님의 뜻을 완전히 드러내는 예배
-이것은 물론 기독론과 성만찬으로 귀결
1.성전에 대하여
성전과 회당을 방문하고 치유를 제사장에게 확인하게 함
-오히려 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제사장을 비난함
-함께 형식화한 성전의 의미를 비판함
-”돌 위에 돌 하나 남지 않을 것이다”
-Ritualism의 종결에 대한 선언
2.예수님의 예배 개념
2.안식일에 대한 입장
-안식일이 사람을 위해 있다(막2:27)
-밀 이삭을 자르는 일
-손 마른 사람을 낫게 하시는 것
-안식일의 절대성을 무너뜨림
-”인자는 안식일에도 주인이다”
-하나님의 뜻 혹은 구원의 절대성
2.예수님의 예배 개념
3.정결례
-사람에게서 나오는 것이 사람을 부정하게
한다, 예를 들어 고르반.
-제의주의적 정결과 부정의 경계를 무너뜨
린다
-이방인,세리와 죄인, 부정한 병자를 가까이
하신 것,
2.예수님의 예배 개념
4.금식
-금식도 오히려 기쁨이다(마6:17): 예수의 종말론
-공식적 금식, 슬픔의 의미로만 일관하는 금식 반대
5.식사 교제
-부정한 자들과 식사
-정결례 비판이자, 연관되어 있는 제사법 비판
-나는 죄인을 부르러 왔다(마9:13; 막2:17; 눅5:32)
2.예수님의 예배 개념
6.기도는 하나님의 부르심에 우리가 응답하는 것
-”아빠”라는 호칭은 예전적이기 보다는 일상적
-이리하여 주기도문은 잘 짜여진 기도이지만 아주
일상적이다
<동일한 이유로 예수 기도는 간결한 보편적 기도형
식이라 할 수 있다(cf. 예수기도와 관상기도)>
-유대교의 기도와는 다른 방향으로 가려 하심
3.원시 기독교 예배
1.기본 방향
1)예수님의 계승
2)유대교와 제도적 분리가 뚜렷하지 않다
3)내용상 종말론적인 특성이 중요하다
-예수님 자신의 선포와 활동과 죽음,
그리스도의 부활과 현재화, 성령의 활동
(하나님 나라는 하나의 종말론 개념이다)
-결과적으로 예전 해체의 요청이 보인다
(오직 모인다는 관점만 남는다)
3.원시 기독교 예배
2.아람어를 사용한(히브리파) 기독교 공동체
1)F.Hahn은 초대교회가 성전으로 갔다고 누가가
말하는 것이 눈에 띈다고 말한다(행3:1)
-그러나 제사로 돌아간 것은 아니고 다수인의
일상에로 나가는 방법이었다
-성령강림은 일반인의 집에서 일어났다
3.원시 기독교 예배
2)공동체의 헌신이 중요
-장소를 가리지 않는 그러나 진정한 예배를
드리는 시간에 이 공동체가 결부된다
3)부분적으로 율법에로의 회귀 경향도 있었
지만,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은 명백하였다
3.원시 기독교 예배
4)모임의 광경
예수의 이름으로 모이면,
종말론적 환호를 하고,
기도하였는데-유대교 시절의 아멘, 할렐루야, 호산나 등이
사용되는 가운데,
꽤 정돈된 기도의 형식이 있었다.
구원소식의 선포이다-설교가 중심이었으며,
아울러 일종의 독회(讀會)같은 것이 있어서 기독교적 교훈
을 주고 받았다.
3.원시 기독교 예배
3.헬레니즘적 유대 기독교인의 예배
1)spiritualization- 기독론과 교회론적 방향성
-벧전2:9/ 그러나 너희는 택하신 족속이요 왕 같은 제사장들이요
거룩한 나라요 그의 소유가 된 백성이니 이는 너희를 어두운 데서
불러내어 그의 기이한 빛에 들어가게 하신 이의 아름다운 덕을 선
포하게 하려 하심이라
-유대교적 제의에 대한 집착이 없다
3.원시 기독교 예배
2)유대기독교와 이방기독교의 징검다리
3)기독교가 철저히 기독교가 되는 일에
기여
-즉 제물예배 거부가 보다 분명하다
4)세례 권유 및 그리스도의 사랑의 명령
이 분명하다
3.원시 기독교 예배
4.이방인 기독교
1) F. Hahn은 초기 이방인 기독교의 사례를 고린도 전서 특히 14장에서
본다
2)spiritualization-헬라의 비전적 신비주의와 같은 열광보다는 기독론, 종
말론의 중요성
(1) 모든 것이 가하나 모든 것이 유익한 것이 아니다(10:23-24).
(2) 방언 말하기를 금하지 말라(14:39)
(3) 너희 몸을 거룩한 산 제물로 드리라(롬12:1)
-유대교, 헬레니즘, 혼합주의적 금욕주의 모두 반대
-우리는 결국 그들의 예배에서 그들의 믿음을 보는 것이다
3.원시 기독교 예배
3)William Maxwell이 보는 외형적 특성
(1) 유대인과 함께 회당과 성전에서 예배를 드렸다
(2) 애찬으로 알려진 공동 식사를 자주 나누었다
(3) 애찬이 끝날 즈음에 성만찬을 하였다
(4) 특별한 은사 체험으로 예언과 방언이 있었다
*(2)와 (4)는 2세기 경에는 정규 예배에서는 완전히
사라졌다
3.원시 기독교 예배
Ⅰ부 회당 예배를 계승한 순서
성경낭독(딤전4:13; 살전5:27; 골4:16)
시편과 찬송(고전14:26; 엡5:19; 골3:16)
기도(행2:42; 딤전2:1-2)와 회중의 아멘(고전14:16)
설교(고전14:26; 행20:7)
신앙고백(고전15:1-4; 딤전6:12)
헌금(고전14:1-2; 고후9:10-13; 롬15:26)
3.원시 기독교 예배
Ⅱ성만찬 순서
봉헌기도
감사(눅22:19; 고전11:23, 14:16; 딤전2:1)
주님 죽으심과 부활을 회상(행2:42; 눅22:19;고전11:23-26)
중보기도(요17장)
주기도문 암송(마6:9-13; 눅11:2-4)
찬송
평화의 입맞춤(롬16:16; 고전16:20; 살전5:26; 벧전5:14)
*마지막 만찬의 날(유월절 전날-키두쉬; 요1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