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cript Document

수확 후 물품질관리론
강사 : 주문배 박사
『수확 후 품질관리론』
강의계획/순서
 과목소개
 교재구성
 강의방법
 교재강의
『수확 후 품질관리론』
1강
 과목소개
 교재구성
 강의방법
 교재강의
제1편 총론
제1장 수확 후 품질관리론
제1절 개관
-> 보충내용
『수확 후 품질관리론』
1강
과목소개
합성어
수확 후 품질관리론 ?
수확 후
+
품질관리
『수확 후 품질관리론』
1강
수확 후
-. 농업에서 사용하는 용어
->(개념) 익은 농산물을 거두어 들이는 것
-> 수산업에서 사용하지 않음
수산업
<- ‘농업’에 대응하는 용어(산업)
 수산업이란 ? : 수산업법 제2조(정의)
1. "수산업"이란 어업·어획물운반업 및 수산물가공업을 말한다.
2. "어업"이란 수산동식물을 포획·채취하거나 양식하는 사업을
말한다.
『수확 후 품질관리론』
1강
수산업
-. 수산업(개념) : 수산업법 제2조(정의)
1. 수산업 = 어업 + 어획물운반업 + 수산물가공업
2. 어업 = 수산동식물을
포획 + 채취 + 양식하는 사업
포획 후
수확 후
채취 후
양식 생산 후
어획 후
『수확 후 품질관리론』
1강
수산물
농수산물품질관리법 제2조 1항 나 : 수산물이란?
농어업농어촌및식품산업기본법 제3조 제6
호 나목의 수산물(「소금산업 진흥법」 제2
조제1호에 따른 소금은 제외한다)
: 수산물(개념)
6. "농수산물"이란 다음 각 목의 것을 말한다.
나. 수산물 : 어업활동으로 생산되는 산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
 동법 시행령 제5조 수산물(개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이란 법 제3조제1
호나목의 어업활동으로부터 생산되는 산물
을 말한다
『수확 후 품질관리론』
1강
식품
농어업농어촌및식품산업기본법 제3조 제7호
: 식품(개념)
7. "식품"이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
는 것을 말한다.
가. 사람이 직접 먹거나 마실 수 있는 농수산물
나. 농수산물을 원료로 하는 모든 음식물
품질관리
• 수산물을 바다에서 살아 있는 수준 =활수산물
• 금방 잡은 수준 = 신선냉장
• 가공수산물 = 냉동수산물, 단순가공수산물
-> 어획한 수준의 품질을 그대로 유지
소비자에게 제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 어획후+ 어장에서식탁까지= 인공적, 물리적힘
『수확 후 품질관리론』
1강
품질관리
어획한 수준의 품질을 그대로 유지
소비자에게 제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 어장(양식장)에서 식탁까지 일관된 관리 필요
원상태로
→ 어장환경의 중요성
회복
<참고> “수산물 저온유통시스템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불가능
품질관리
선도관리
수산물
특성
• 온도관리
• 어체손상 방지
• 오염방지/이물질 침투방지
어획 후 품질관리
『수확 후 품질관리론』
1강
 과목소개
 교재구성
 강의방법
 교재강의
제1편 총론
제1장 수확 후 품질관리론
제1절 개관
-> 보충내용
『수확 후 품질관리론』
1강
교재구성
2개 파트, 총 6개장
수확 후 품질관리론 = 어획 후 품질관리론 *총283페이지
Part 1 총론
제1장
수확 후
처리 일반
론
제2장
수산물 품
질관리
Part 2 각론
제1장
수산물 및
수산전통식
품 표준규격
제2장
수산물과
수산특산물
의 품질인증
제3장
수산전통식
품의 품질
인증
제4장
유기수산물
인증
『수확 후 품질관리론』
1강
 과목소개
 교재구성
 강의방법
 교재강의
1. 교재 내용을 중심으로
2. 관련 사례나 내용 보충
3. 중요한 사항은 반복 설명
제1편 총론
제1장 수확 후 품질관리론
제1절 개관
-> 보충내용
『수확 후 품질관리론』
1강
교재
수산물학술연구회 편저
수확 후 품질관리론(한국지식개발원 발행)
참고문헌
2011. 12 「글로벌 수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수산식품 정부인증제도 개선방안 」
2013. 1 「2012년도 수산물 양식장HACCP 기반구축 및 지원사업」
2010. 12 「 수산물의 어획후처리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2007. 5 「수산물이력제 품목별 가이드라인 연구」
2008. 12 「수산물 저온유통시스템(Cold Chain System)의 실태와 개선방안」
2005. 12 「수산물 상품규격 조사 및 포장규격기준 설정 연구」
2005. 7 「수산물 안전성 확보를 위한 검사행정 개편방안」
2004. 12 「수산물 이력추적시스템 도입을 위한 기획연구」
2004. 8 「수산물 품질인증 및 선정기준 개편에 관한 연구」
2004. 2 「식품안전사고 예방․대응체계 분석」
2003. 2 「수산물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장단기 위생관리방안」
2000. 11 「WTO체제하의 수산식품 위생관리제도 개선방안」
『수확 후 품질관리론』
1강
 과목소개
 교재구성
 강의방법
 교재강의
제1편 총론
제1장 수확 후 품질관리론
제1절 개관
-> 보충내용
『수확 후 품질관리론』
1강
제1장
수확 후 품질관리론 ?
제1절
개관
제2절
수산물의 어획 후 처리와 공동판매
제3절
수산물의 어획 후 처리과정
제4절
수산물의 어획 후 처리정책과 제도
『수확 후 품질관리론』
1강
제1절
개관
Q 1. 수확 후 처리란?
(농)수산물의 생산 이후 단계부
터 이루어지는 일련의 품질관리
과정
Postharvest
미국, 1900년대 초반, 필요성 제기
수산업에서의 명칭
어획 후 처리
농업과는 별도의 발전과정
 수확 후 처리와 어획 후 처리는
유사한 점도 있으나 여러 면에서 차이가 있음
『수확 후 품질관리론』
1강
어획 후 처리
수확 후 처리
생물적 특성의 차이
생산 후 상품화 또는 가격 결정 과정 = 다름
판매방법
가격결정
상품화방법
⇒ Key Word
어떻게 하면 어획 후
선도가 저하되는 특징을 방지할 것인가?
소유권이전
『수확 후 품질관리론』
1강
Q 2 . 어떻게 하면 어획 후
선도가 저하되는 특징을 방지할 것인가?
1) 선도관리
2) 온도관리 ⇀ 저온관리
3) 어체손상방지
4) 주변 환경으로부터 오염방지
⇒ 이런 활동이 제대로 안되면
『수확 후 품질관리론』
1강
상품성 훼손
경영악화
가격 저하
Q 3. 이런 조치가
제대로 이행되지 않으면
소비감소
안전, 안심, 선도
식중독 유발
어획 후
처리
환경부하
증대
소비자 건강
훼손
폐기물 증가
고객만족
『수확 후 품질관리론』
1강
Q 4. 어획 후 처리
(개념)
수산물의 어획 이후의 전 과정에서
선도유지 및 부패방지를 통해
품질제고, 손실저감, 유통판매기간 연장을
목적으로 수행하는
양륙, 선별, 포장, 저장, 수송 등
각종 조치의 총칭
필요성
어획 후
처리정도
수산물 가치
증감 효과
기대
어업소득
영향
『수확 후 품질관리론』
1강
Q 5. 수산물 양육장소
어획 후 처리가 주로 이루어지는
장소(공간)?
위판장 = 산지시장 역할을 하는 공간
※ 위판장 수 : 220 여개
-> 매년 증감이 있어 숫자는 변동
위판장
생
산
자
수
협
중
도
매
인
장외시장
생산자 ⇒ 산지수협에 위탁(1차 선별, 포장, 진열)
어획물 양륙, 진열, 관리 - 산지수협 담당
경매(거래) - 산지수협 소속의 경매사와 중도매인
낙찰된 수산물 - 중도매인, 매매참가인이 상품화 작업
2차 선별,포장,저장,출하 등 – 산지중도매인 등이 담당
<참고>위판장경유율 – 어업별로 지역별 매우다름 /연근해60-80% / 양식20-30%
『수확 후 품질관리론』
1강
Q 6. 위판장을 거치지
않는 수산물 처리는 누
가, 어떻게 하나?
위판장
생
산
자
수
협
중
도
매
인
장외시장
⇒ 산지출하조직(영어조합법인, 어촌계 등)
직접 출하, 처리
※ 꼭 그렇지 않고, 품종별로 다양한 주체, 경로를 통해 처리
⇒ 수의시담으로 구매자(산지수집상, 마트 바이어 등)과 거래
⇒ 양식어류 : 개별생산자, 산지수집상
⇒ 패류 : 대부분 어촌계, 산지수집상
『수확 후 품질관리론』
1강
Q 7. 산지수협위판장
판매사업기능 + 도매시장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특수한 성격의 시장
판매사업의기능은?
도매시장의기능?
①어획물의적정가격의실현,
①가격형성기능(산지에서1차적가격형성),
②수급조절,
②수급조절기능(넓은범위,다수어종에걸침),
③유통비용의절감,
③정보전달기능(가격및수급정보,산지와
④어획물부가가치의제고로
구분할수있으며,
소매의중계),
④금융기능(신속한환금성이중요시되는
어업생산에서는특히결재, 정산기능)
으로구분할수있음.
『수확 후 품질관리론』
1강
Q 7. 위판장의 기능
집산, 상품화, 가격결정, 품질관리, 상품화,
분산, 포장 기능 등 어촌지역경제중추,
위판장 현주소
-. 시설 : 노후화
-. 상온에서 수산물 처리, 상품화 시설 미비
-. 분리된 작업공간 및 시설 미비
최근, 정부, 지자체,
선도관리나 상품화
수협 등이 (가칭)위
시설이 제대로 구비
생관리형 위판장으
된 위판장이 드물다.
로의 개선 노력이 추
진되고 있음
『수확 후 품질관리론』
1강
Q 8. 어획 후 처리 효과?
•
•
•
•
위생관리를 통한 감모분 최소화
작업시간 절감
유통비용 절감
상품화를 통한 부가가치 발생
어획 후 처리가 제대로 수행되지 않을 경우
‘상품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가가치가
산지나 어업인(생산자)의 소득으로 연계되지 않음
중간상인이나 소매점으로 부가가치가 대부분 투입
유통비용 상승으로 연결
어업인의 수취가격을 낮추는 효과로 작용함
『수확 후 품질관리론』
1강
Q 9. 어획 후 처리가 농업에 비해
미흡한 이유?
농업과 수산업
농산물과 수산물의 특성 차이에서 발생
1) 계획생산 곤란
2) 일시다획성
<-생산량 예상 불확실
3) 막대한초기투입비용
4) 소량다품종생산특징
5) 유통단계의다단계
6) 저온유통기술/ 체계구축곤란
어업인의수취가격제고는물론
소비자의안전안심욕구에응답
대안
선도관리, 품질관리, 상품화등등
통한
⇒ 부가가치 창출
안전안심 수산물 제공을위해
⇒ 어획후처리체계개선이
시급하다는것
수고했습니다.
그럼, 다음 시간에 이어서
계속 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