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I. 두바이 기적의 성공요인 (계속)

Download Report

Transcript VII. 두바이 기적의 성공요인 (계속)

두바이에서 우리는
무엇을 보고, 배울 것인가
김윤형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한국선진화포럼 이사
2007년 1월 18일
I. 한국경제의 위기: 우리는 지금 어디에 서있는가


지난 40년간 경제발전 실현

세계 12대 경제대국 (GDP: 약 8천 억불)

1인당 국민소득: 1만 7천불 (세계 46위)

과거 10년 동안 선진국 진입의 문턱에서 정체
무력증의 한국경제

중국이 세계 제조창으로 도약

우리의 종래의 제조업은 경쟁력을 잃어 가고 있음

중소기업은 실의에 빠져 있음

미래에 먹고 살만한 성장동력의 상실, 고용창출능력의 상실

사교육비 부담과 부동산 가격 급등

저 출산과 고령화
2
Il. 우리의 살길은 무엇인가: Globalization

국가발전 Paradigm의 대전환

우리의 이웃들은 1인당 GDP 3만불 시대에 돌입 또는 초월
- 일본: $36,550, 싱가포르: $28,747, 홍콩: $26,588, 한국: $17,066

우리가 3만불 시대 맞이 하기 위해서는 GDP 1만 5천 억불을 달성

제조업 중심 성장패턴과 수출중심전략으로 달성할 수 없음

전 세계를 상대로 우리의 몫을, 우리의 지분을 차지해야 함.

Key는 Globalization 임.
3
III. 글로벌 경제의 실상

지금, 세계경제 가운데에서는 정보‧자본‧기업 ‧인재 등
글로벌경제의 네가지 핵심적 경영자원이 혈액과 같이 순환하고
있다.





이는 국경이 낮아지고 없어져 가는 것을 의미한다.
국경을 초월 하여 네가지 핵심요소의 자유스러운 순환을 지배하는
법칙이 바로 세계표준이고 글로벌경제의 논리이다.
지금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은 그 글로벌경제의 논리에 대하여
자국의 제도를 어떻게 맞추어 나가는 가고 하는 시스템의 전쟁이다.
외국인 직접투자 (FDI, Foreign Direct Investment)와 수반하여 이들
경영자원이 FDI유치국가에 유입되고 있다.
FDI의 세계적 배치는 다국적기업(MNC, Multinational Corporation)
에 의해서 수행되고 있다.
4
III. 글로벌 경제의 실상

(계속)
글로벌경제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
지구촌 단일경제권화가 되고있는 세계시장에서 격렬한 경쟁에 살아
남기 위하여 다국적기업은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핵심역량에
전문화하고 기타 기업활동 분야를 설계, R&D, 자재‧부품공급, 조립,
마케팅, 물류, 금융서비스 등 여러 기능으로 분할하고 세계 각국중 각
기능에 가장 알맞은 기업환경을 갖춘 국가에 그 기능을 배치하고 있다.

글로벌화된 세계에서 새로운 부가가치의 창출은 다국적 기업들이
구축한 글로벌 경영활동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루어질 전망이다.

종래에는 수출을 통하여 국가경제가 상호 경쟁하였다면, 글로벌화로
각 나라의 지적 기반은 물론이고 기업지배제도, 금융제도, 행정제도,
노사관계, 이민법 등 법·제도와 전통문화가치 마저도 다국적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경쟁하는 시대이다.
5
III. 글로벌 경제의 실상

(계속)
다국적기업의 FDI배치 결정요인



다국적기업이 FDI를 배치하는 기준은 강렬한 개성적인
특징을 갖고 있다는 것, 양질의 저렴한 노동력이 있다는 것,
부품공급이 원활하다는 것, 현지에 우수한 경영staff가 있고
그들을 조달할 수 있다는 것, 현지정부가 외국기업에 대하여
우호적이라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판단기준은 투자대상국가가
다국적기업의 핵심역량에 보완적인 윤택한 경영자원
(기술혁신 능력, 숙련, 인프라, 자재·부품 공급자, 경쟁자,
구매자, 특송·종합물류업체 그리고 각종 지원제도)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이다.
이들 보완적인 경영자원들이 마치 개개의 포도 알이 모여
포도송이 (cluster)를 이루듯이 서로 한 지역에 밀집되게 모여
이룬 産業群落 (산업군락, industrial cluster)으로 FDI가
몰리고 있다.
6
III. 글로벌 경제의 실상

(계속)
다국적기업의 FDI배치 결정요인


세계 각국은 여타국가와 경쟁적으로 FDI 유치에 보완적인
산업cluster를 자국 특유의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개발·창출하고 있다. 이것이 바로 21세기 글로벌경제시대에
있어서 국가간의 경제전쟁의 실태인 것이다.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선진국에 FDI가 집중화되고 있는 이유도 바로
산업cluster라고 하는 세계경제의 기술혁신중심지가 주로
선진국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겠다.
다적기업의 R&D활동은 이들 기술혁신중심지인 cluster에
입지하고 있다. 그 결과, 전 세계적으로 새로운 핵심 생산
공정기술의 창출과 협력이 점점 더 각 cluster를 상호
연결하는 글로벌기술network를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7
IV. 21세기적 번영의 모델


세계를 잘 들여다보면, 미국을 필두로 번영하고 있는 국가라고
하는 것은 모두 자본이나 인재를 망설이지도 않고 수입하고 전
세계의 다국적 기업에게 자국내의 고용창출을 거들게 하고
경제발전을 촉진하고 있다. 이것이 21세기적 번영의 모형이며,
올바른 글로벌경제의 실태인 것이다.
중국이 바로 글로벌경제의 “총아”인 것이다. 글로벌경제의
움직임을 본능적으로 헤아려 알고 다국적 기업의 힘을 빌려서
자국경제의 catch-up과 건설, 그 위에는 약진에로 연결하고
있다. 세계 도처에 넘치고 있는 기술이 나 자금을 염가이고
양질의 노동력과 거대한 시장에 의해서 끌어들이고 번영을
자석과 같이 빨아 당기고 있다. 1990년대 중반이후 중국은 전
세계로부터 투자를 불러들여 견고한 산업기반마저도 만들어
내고 있다.
8
V. 아일랜드의 성공사례


전후 절박한 경제상황

50년대에 경제적 정체 심화, 대규모의 이민 러쉬, 엄청난 무역적자

‘무언가 바뀌어야 되겠다’ 하는 국민적 위기의식
강력한 정치적 리더쉽의 발휘



걸출한 경제관료 Ken Whitaker (재무부 사무차관)와 신 세대의
정치가 Sean Lemass (수상)의 동시적 등장 (1958)
국가발전 paradigm의 대전환
- 자유무역과 FDI유치 = 국가생존전략
- 식민지 종주국 영국과 자유무역협정 체결 (1965) ⇒ 심리적 대전환
사회적 ‘파트너쉽’의 개념 도입(1987년)


1987년에 수상으로서 Charles Haughey와 노총위원장으로서 Peter
Carsells의 동시적 등장
명석한 두뇌와 옳바른 철학을 가진 젊은 노총위원장인 Peter Carsells
이 새로운 유형의 노조 지도력을 확립
9
VI. 네덜란드의 성공요인

중대한 경제위기 (1970년대 말∼1980년대 초)
 ‘일하지 않는 복지국가 (Welfare Without Wiork)’ 또는 ‘더치병 (Dutch
Disease)’
 1981년과 1983년 사이에 거의 300,000만명의 일자리를 잃었음.
실업률이 1984년에 17%이상으로 급상승.

바닷물의 범람 상황앞에 서로 돋고 협동하는 국민성과 강력한
정치적 리더쉽의 발휘
“FDI유치야말로 국가생존전략이다”라는 인식의 대전환이 경제부
(Ministry of Economic Affairs)내에서 이루어 졌음.
 국민적 합의 형성


Wassenaar 조약(1982년): 3자합의 (Polder model)
Wim Kok (네덜란드 노동조합 총연맹 위원장)이 Chris van Veen
(네덜란드 산업•사용자 협회 회장)의 자택을 방문하고 van Veen의
부엌식탁 위에서 임금절제와 산업평화 대 타협.
 Ruud Lubbers 수상의 긴축/감세 (1983)

10
VII. 두바이 기적의 성공요인

셰이크 모하메드의 명확한 비전과 실시구시적 리더십

석유자원의 고갈 위기의식: 2011까지 석유의존 경제 완전탈피

FDI유치를 통한 서비스 산업 육성전략

cluster전략과 free zone제도: 교통·물류 hub ⇒ 비즈니스 hub ⇒
⇒ 관광hub ⇒ 금융 hub ⇒ 지식산업 hub

계속적이고 확고한 실천을 통해 대내외적으로 신뢰성 확보해서
지속적인 투자 유치

획기적인 아이디어 가지고 만들어 낸 프로젝트에 국가의 핵심역량
집중 투입

철저한 수월성의 추구: 두바이 자체를 명품 브랜드화

세계의 기업들과 사람들이 두바이로 모여 들 수 있도록 세계최고의
물류, 호텔, 쇼핑몰, 스포츠센터, 전시장, Convention Center, 회의실
등의 시설물들을 세계 최첨단 기술로 건설

명품의 공급이 수요를 창출하는 수월성 추구의 시대임.
11
VII. 두바이 기적의 성공요인 (계속)

상상력과 창조성이 국가 핵심경쟁력




“꿈에는 한계가 없다. 앞으로 나아가자 (Dreams have no limit. Go
further”. 두바이 Sheik Rashid 국제공항에 내리면 들어오는 표어.
인간의 상상력을 넘어서는 야심찬 프로잭트 추진:
Burj Dubai: 세계 최고 높은 극초고층 건물
3개의 Palm Island (Jumeirah, Jebel Ali, Deira) 와 The World: 해변
길이가 1500km

Hydropolis: 세계 최초의 초호화 해저 호텔 (바닷속 20m 깊이)
Dubailand: 사막위의 디즈니렌드
세계 최고 수준의 7星급 호텔 Burj Al Arab, Ski Dubai
두바이에서는 자연 자원으로는 사막과 바다가 있을 뿐임.
그러나 두바이는 사막을 이용하여 사파리 투어와 Dune Driving이라는

관광 상품 개발, 바다를 활용하여 해상 빌라 건설.
무엇 보다 놀라운 것은 사막 위에 인공도시 건설.




⇒ 즉 창조력만 있으면 인공으로 얼마든지 관광자원 창조
12
VII. 두바이 기적의 성공요인 (계속)

1인 전제의 왕조하에서 기업에게 최대한의 자유와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주고 그것이 세계각국의 투자를 유치하는
자력(磁力)의 역할





파격적인 기업환경 제공
free and simple: 자유롭고 심플하게 규제없고 단순함
국민의 의식: ‘기업에 좋은 것은 두바이에 좋다.’
외국인들에게 두바이에 와서 비즈니스 하면 성공할 수 있다는 확신
- 종교 자유화, 술까지 풀었음.
- 영어 공용화
- 적극적인 외국인 채용
기초 인프라를 완벽하게 깔아 놓고, 기업이 자유롭게 기업
활동하도록 기업천국을 만들어 주니까 전 세계 도처에서 자본과
기술과 인재가 모여들고 그래서 두바이 게 번영하고 또 정부소유
땅값이 폭등하고 정부재정도 좋아지고
13
VIII. 결 론

첫째로, 한국과 두바이의 경제전략에는 다음의 두 가지 공통점이 있는 만큼
여러분이 두바이에서 보고 배울 점이 많다고 생각됩니다.


두바이는 이 나라를 먹여 살려온 석유자원의 고갈이 예견되자 그에
대비하여 서비스 산업으로 눈을 돌렸습니다. 그리고 두바이는 그러한
先見之明으로 크게 성공했습니다.
이 나라에서는 두바이가 아라비아 제국과 이란, 이라크 등에 접해 있고,
걸프 일대에서 대형 선박이 정박할 수 있는 유일한 지역이며, 유럽과
아시아, 태평양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는 지리적 이점에 착안하여
두바이를 관광과 서비스 산업의 중심지로 개발하는 전략을 추진했던
것입니다. 싱가포르, 미국의 마이애미, 프랑스의 생트로페를 융합한
도시를 건설하는 것이 이 나라 지도자의 꿈이었다고 합니다.
14
VII. 결 론 (계속)

두번째로, 두바이의 기적은 창조력만 있으면 얼마든지 관광자원을
창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두바이에서 인공자원 개발에
관한 경험을 배울 수 있습니다.

두바이가 말해 주고 있는 또 하나의 교훈은 철저한 수월성의
추구입니다. 무엇 하나를 만들더라도 일류(一流)가 아니면 통할 수 없는
것이 오늘의 세계입니다. 두바이가 그 수월성을 어떻게 실현했는지
여러분은 그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오늘의 두바이를 건설하는 데에는 이 나라 임금님의 탁월한 비전과
지도력이 원동력이 되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현실에 비추어 보면,
글로벌 경쟁시대에 리더십의 중요성을 재 인식할 수 있습니다.
15
VII. 결 론 (계속)

기업 활동에 대한 규제가 많고, 기업에 대한 이해가 적고, 노사간의
갈등이 심한 우리나라에서는 살기 좋고 기업하기 좋은 나라를 만드는
것은 영영 실현 불가능한 꿈일까요? 두바이 사정을 둘러보고 다시 한번
깊이, 깊이 생각해 볼 일입니다.
다 아시는 바와 같이 지금 우리 나라의 형편은 매우 복잡하고
어렵습니다. 그러나 나라의 발전과 번영을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고민을 안고 있는 여러분 들은, 부분적으로 나마 어떠한
해답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하여 두바이를 방문하게 됩니다. 알고 싶은
문제에 비하여 여러분들의 체제기간은 너무나 짧습니다. 그러나 이번의
현지 답사가 여러분 모두에게 보람 있는 경험이 되기를 바라 마지
않습니다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