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팡이 독소의 국제관리 동향

Download Report

Transcript 곰팡이 독소의 국제관리 동향

곰팡이 독소의 국제관리 동향 및
국내 정책방향
김동술
식품의약품안전청
순 서
1
곰팡이 독소의 개요
2
곰팡이 독소의 국제관리 동향
3
곰팡이 독소의 국내 관리 현황
1
곰팡이 독소의 개요
곰팡이의 질병유형
• 곰팡이에 의한 질병 유형
– 진균증 (Medical mycosis)
• 생체세포에 직접 기생하여 진균증 유발
– 알레르기
• 특정 곰팡이의 흡입 또는 접촉을 통해 알레르기 유발
– 곰팡이 독소 중독증(Mycotoxicosis)
• 곰팡이가 생산한 독성 대사물질을 섭취함으로 유발
• 동물 또는 사람 사이에서는 비전염
• 원인식물 및 식품에서 관여 곰팡이독 검출
곰팡이 독소란?
• 곰팡이 독소(Mycotoxin)
– 곰팡이가 생산하는 2차 대사산물로서 사람이나 가축
등의 생물에 대하여 급성 또는 만성의 생리적 또는
병리적 장애를 일으키게 하는 물질의 총칭
곰팡이 독소의 위해도
Acute
Chronic
HIGH
Microbiological
Phycotoxins
Some phytotoxins
Mycotoxins
Anthropogenic
contaminants
Pesticide residues
Food additives
LOW
Mycotoxins
Anthropogenic
contaminants
Some phytotoxins
Unbalanced diet
Phycotoxins
Food additives
Pesticide residues
Microbiological
곰팡이 독소의 생성 과정
곰팡이 부착
곰팡이 증식
곰팡이독소 생성
곰팡이 사멸
곰팡이
온도/습도
식품
온도/습도
가열
환경변화
곰팡이독소 잔존
주요 곰팡이속에 따른 독소분류
속 구분
종류
Aspergillus 속
Aflatoxin
Ochratoxin
Penicillium 속
Ochratoxin
Patulin
Citrinin
Fusarium 속
Fumonisin
Zeralenon
Trichothecenes
(NIV, DON, T-2 toxin, HT-toxin)
NIV : Nivalenol
DON : Deoxynivalenol
곰팡이 독소의 오염식품 및 독성
곰팡이독소
Aflatoxin
(B1, B2, G1, G2)
Aflatoxin M1
생성 곰팡이
Aspergillus flavus
Aspergillus parasiticus
Aspergillus nomius
주요 오염식품
쌀,보리,옥수수,땅콩,
수수,면실
독성
간암,간장애,
면역독성
우유
곡류,두류,향신료,
코코아,커피,맥주,와인 신장암,신장장애,면
,
역독성,최기형성
건조과일, 돈육 등
Ochratoxin A
Aspergillus ochraceus
Aspergillus carbonarius
Penicillium verrucosum
Patulin
Penicillium expansum
사과,사과가공품
Fumonisin
Fusarium moniliforme
옥수수
말의 뇌백질연화증,
돼지 폐수종,간암
Zearalenone
Fusarium graminearum
Fusarium culmorum
보리,율무,옥수수
내분비계장애물질
옥수수,보리,쌀
소화기계장애,
면역독성, ATA증
Trichothecenes
DON
NIV
HT-2, T-2 toxin
Fusarium graminearum
Fusarium culmorum
Fusarium sporotrichioides
뇌폐부종,소화기장애
주요 곰팡이 독소의 섭취
내용량(耐容量)
곰팡이독소
단위
섭취 내용량
(ug/kg bw/day)
IARC
아플라톡신 B1
Not established
Group 1
아플라톡신 M1
Not established
Group 2B
파튤린
PTWI
0.4
Group 3
오크라톡신 A
PTWI
0.1
Group 2B
푸모니신
PMTDI
2.0
Group 2B
데옥시니발레놀
PMTDI
1.0
Group 3
제랄레논
PTWI
0.5
Group 3
HT-2, T-2 toxin
PMTDI
0.6
Group 3
PTWI : Provisional Tolerable Weekly Intake
PMTDI : Provisional Maximum Tolerable Daily Intake
곰팡이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 The most important factors
– Plant and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substrate characteristics
• Composition, pH, water activity, oxygen content
– Possible competitive actions
• Other fungi or microbes
– Climatic conditions
• Temperature, atmospheric humidity
곰팡이 생육
-
Field fungi
Storage fungi
재배 중 작물에 곰팡이 번식
Pre Harvest
수분함량 : 20 ~ 21%
종류
- Fusarium
- Alteraria
- Clodosporium
- 재배 후 저장 중 곰팡이 번식
- Post Harvest
-수분함량 : 13 ~ 18%
- 종류
- Aspergillus
- Penicillium
* 덮고 건조한 조건에서는 Aspergillus 및 Penicillium속도 재배 중 번식 가능함
* 운송, 저장 중에 Fusarium속도 번식 가능함
곰팡이별 독소의 생성온도
Fungus species
Temperature range for mycotoxins formation [°C]
Minimum
Optimum
Maximum
12-15
30-33
37-40
A. parasiticus
12
33
40
A. ochraceus
12-15
25-31
37
Penicillium verrucosum
4
20-25
-
Fusarium verticilliodes
10
15-30
37
F. proliferatum
10
15-30
37
F. culmorum
11
29-30
-
F. graminearum
11
29-30
-
Aspergillus flavus
곰팡이별 독소 생성 수분활성
Fungus species
Water activity (aw) for mycotoxins formation
Minimum
Optimum
Maximum
Aspergillus flavus
0.82
0.99-0.996
0.998
A. parasiticus
0.87
0.99
-
A. ochraceus
0.80-0.85
0.98
-
Penicillium verrucosum
0.83-0.86
0.90-0.95
-
Fusarium verticilliodes
0.92-0.93
-
-
F. proliferatum
0.93
-
-
F. graminearum
0.9-0.91
0.98
-
곰팡이 독소별 발생 범위
우리나라 평균기온 변화
2
곰팡이 독소의 국제 관리 동향
곰팡이 독소의 국제기준 설정 및 위해평가
WHO Technical Report
WHO Food Additives Series
FAO
JECFA
국제식량농업기구
합동식품첨가물전문가
위원회
CAC
CCCF
Codex 위원회
Codex위원회 /
오염물질분과위원회
WHO
세계보건기구
JMPR
합동잔류농약위원회
UNEP
IPCS
국제연합환경계획
국제화학물질안전위원회
UNEPIRPTC
유해화학물질등록프로그램
ILO
국제노동기구
IARC
Environmental Health Criteria
국제암연구소
Health and Safety Guideline
International Chemical Safety card
Poisons Information Monograph
IARC Monographs
FAO/WHO에 의한 곰팡이 독소 위해평가
Year
Committee
Mycotoxins
1987
JECFA 31st
Aflatoxins
1987
1990
1990
Second FAO/WHO/UNEP International Conference(Bangkok)
JECFA 37th
Ochratoxin A
TRS 806, FAS 28(1991)
IPCS
Ochratoxin A, Ergot,
IPCS/EHC 105
Trichothecenes
IARC
Aflatoxins
IARC Monograph 56
JECFA 44th
Ochratoxin A, Patulin
TRS 859, FAS 35(1996)
th
JECFA 46
Aflatoxins
TRS 868
th
JECFA 49
Aflatoxins
TRS 664, FAS 40(1998)
JECFA 53rd
Zearalenone
FAS 44(2000)
Third FAO/WHO/UNEP International Conference(Tunis)
IPCS
Fumonisin B1
IPCS/EHC 219
JECFA 56th
Fumonisins, Ochratoxin A,
FAS 47
Deoxynivalenol, T-2/HT-2,
Aflatoxin M1
IARC
Aflatoxins, Fumonisins
IARC Monograph 82
JECFA 68th
Aflatoxin, Ochratoxin A
FAS 59
1993
1995
1996
1997
1999
1999
2000
2001
2002
2007
JECFA :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TRS : WHO Technical Report Series
FAS : WHO Food Additives Series
IPCS/EHC : International Programme on Chemical Safety/Environmental Health Criteria
IARC :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WHO
Publication
(Report, Monograph)
TRS 759
CODEX
FAO/WHO 합동식품규격위원회
(CAC :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1962년 설립
식품으로 인한 위해를 방지하고 국가간 식품의
원활한 교역 도모 설립
CODEX 규격
CAC에서 정하여 전세계적으로 통용 될 수 있는
국제 식품규격
기본적으로 강제성이 아닌 권고사항이나 SPS
협정에
따라 강제성을 띰
CODEX - CCCF
CCCF 식품 오염물질 분과위원회
(CCCF : Codex Committee on Contaminants in Food)
중금속, 곰팡이 독소, 다이옥신 등 오염물질에
대한 최대 허용기준, 지침 등 설정
JECFA에서 독성학적으로 평가한 오염물질
검토
JECFA
FAO/WHO 합동 식품첨가물 전문가위원회
(JECFA :FAO/WHO Joint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식품첨가물, 중금속 등 오염물질
안전성 평가
ADI, PTWI 등 설정
평가결과는 WHO Technical
Report Series에 수록
CODEX 최근 동향
제2차 CCCF 회의 개최 (2008) 결
과
비가공 아몬드, 헤이즐넛, 파스타치오 중 총 aflatoxin 기준
15 ug/kg 이하 제안 (8단계 상정)
가공 아몬드, 헤이즐넛, 파스타치오 중 총 aflatoxin 기준
10 ug/kg 이하 제안 (8단계 상정)
밀, 보리, 호밀 중 오크라톡신 A 기준
5 ug/kg 이하 제안 (8단계 상정)
CODEX 기준 설정 현황
국가명
대상독소
대상물질
기준(㎍/㎏)
아몬드, 헤즐넛, 피스타치오넛(가공) 8단계
10
아몬드, 헤즐넛, 피스타치오넛(비가공) 8단계
15
땅콩(가공하지 아니한 것)
15
Aflatoxin M1
우유
0.5
Ochratoxin A
밀, 보리, 호밀 (8단계)
5
사과주스
50
Aflatoxin
(B1+B2+G1+G2)
Codex
Patulin
제외국의 기준 설정 현황
국가명
대상독소
미국
(Action
level)
Aflatoxin
(B1+B2+G1+G2)
대상물질
브라질넛, 땅콩과 그 가공품, 피스타치오
20
Aflatoxin M1
우유
0.5
Fumonisins
(B1+B2+B3)
옥수수 제품
미국
(Guidance
level)
Deoxynivalenol
최종 밀 제품들
캐나다
Aflatoxin
(B1+B2+G1+G2)
땅콩제품
Deoxynivalenol
연질밀
Aflatoxin B1
일본
Deoxynivalenol
Patulin
호주
기준(㎍/㎏)
Aflatoxin
(B1+B2+G1+G2)
2,000 ~
4,000
1,000
15
2,000
땅콩 및 그 가공품
10
피스타치오, 아몬드, 브라질넛, 케슈너트, 헤즐넛,
마카다미아 호두, 옥수수
10
밀
1,100
사과주스 및 원료용 사과즙
50
땅콩, 견과류
15
제외국의 기준설정 현황
기준(㎍/㎏)
국가명
대상독소
Aflatoxin
대상물질
땅콩, 견과류, 건조과실류, 곡류,
2.0 ~ 8.0
옥수수, 향신료 등
우유류
-
영유아용 곡류가공품 및 이유식
Ochratoxin A
유럽연합
Patulin
Deoxynivalenol
Zearalenone
Fumonisins
(B1 + B2)
T-2 and HT-2
toxin (sum)
B1
영유아용 제품
곡류, 건조과실, 커피콩, 포도주,
포도주스 등
영유아용제품
과일주스, 사과제품 등
영유아용 제품
비가공 곡류 제품 등
빵 등 곡류 가공제품
영유아용 제품
옥수수 제품
영유아용 제품
옥수수 제품
비가공 곡류 및 곡류가공식품
B1+B2+G1+G2
M1
4.0 ~ 15.0
-
-
0.05
0.1
0.025
2.0 ~ 10.0
0.5
25 ~ 50
10
1,250 ~ 1,750
500 ~ 750
200
50 ~ 200
20
200 ~ 2,000
-
3
곰팡이 독소의 국내 관리 방향
국내 곰팡이 독소 기준 설정 현황
국가명
대상독소
대상물질
곡류, 두류, 땅콩, 견과류
단순가공식품(분쇄, 절단 등)
기준(㎍/㎏)
및
그
10
메주, 땅콩 및 견과류가공품
10
과자류(땅콩 또는 견과류 함유식품)
10
된장, 고추장, 고춧가루
10
팜콘용 옥수수가공품
10
기타 식품류(찐쌀)
10
Aflatoxin M1 제조, 가공 직전의 원유 및 우유류
0.5
Aflatoxin B1
한국
Patulin
사과주스, 사과주스 농축액(원료용 포함,
농축배수로 환산하여)
50
곰팡이 독소 안전관리 방향
• Fusarium 속 곰팡이 독소에 대한 안전관리 기준 마련 필요
– 현재 Aspergillus 및 Penicillium속 곰팡이독소(아플라톡신,
파튤린)기준만 설정되어 있음
• 기후변화 및 곡물 수입처의 다변화에 따른 곰팡이독소 안전관리
대책 필요
– 기후변화로 인한 곡물 재배 및 유통 중 곰팡이독소 생성양상
변화가능성
– 곡물가격의 상승 등 영향으로 곡물 수입국의 다변화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곰팡이독소에 노출가능성
* 미국, 호주 →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 국제조화 및 시험법 개선
– 아플라톡신 B1 -> 총 아플라톡신(B1+B2+G1+G2) 기준으로
설정
– 면역친화성 컬럼 등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인
분석방법으로 시험법 개선
최근 곰팡이 독소 정책 추진현황
• 옥수수 중 푸모니신 기준 / 시험법 입안예고(’08.5.29)
– 옥수수 4ppm, 옥수수 단순가공품 및 옥수수가루 2ppm
• 견과류 등에 총 아플라톡신 기준(안) 마련(’08.7)
• 밀 보리 등 오크라톡신 기준(안) 마련(’08.7)
• 연구사업 수행(’08년도)
– Fumonisin, deoxynivalenol, zeralenone, ochuratoxin에 대한
모니터링 및 안전성 평가 연구 수행 중
곰팡이독소 기준규격 중장기 계획
추진내용
2008
기준 재평가
- 총 아플라톡신
기준설정
기준 설정
- 오크라톡신 A (보리, 밀 등)
기준설정
2009
2010
2011
2012
모니터링
기준설정
모니터링 및 기준설정
- 총 아플라톡신(향신료제품 및 건조과실류)
- 푸모니신(옥수수 및 그 가공품)
모니터링
기준설정
모니터링/기준설정
- 오크라톡신 A(커피콩, 와인)
모니터링
기준설정
- 데옥시니발레놀(옥수수, 밀 및 그 가공품)
모니터링
기준설정
- 제랄레논(옥수수 등 곡류 및 곡류 가공품)
모니터링
모니터링
- 기타 곰팡이독소(분석방법 포함)
기준 재평가
- 기 설정된 곰팡이독소
기준설정
모니터링
기준 재평가 기준재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