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_최종보고회

Download Report

Transcript 2008_최종보고회

산촌생태마을 소득·경제구조의
선순환체계 구축방안
2008. 11. 19
(사)생태산촌만들기모임
Contents
1. 연구내용 및 방법
2. 산촌사업 모니터링
3. 인센티브 평가지표 개발
4. 투자효과 성과지표 개발
5. 산촌 지속성지수 개발
6. 마케팅·유통체계 개선
7. 연구방향 및 보완 사항
1. 연구내용 및 방법
연구의 필요성
산촌 고유 가치의 정리 및 사회화를 통해 국민의 공감대 형성과 지원을
이끌어 내야 함
산촌생태마을 조성사업의 보자 효과적이고 지속가능한 모습을 위하여
산촌의 가치에 기반한 평가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함
마을의 지속가능성의 성장을 키우고, 이에 따른 소득의 증가와 안정성
증대를 위한 산촌생태마을의 선순환체계 구축이 필요함
1. 연구내용 및 방법
연구 목적
산촌의 가치 정리와 이에 기반을 두는 평가지표와 평가 시스템의 구축
지속가능한 산촌생태마을의 모델을 구성하고 이를 유지하기 위한 방안 도출
산촌생태마을 조성사업의 선순환체계 구축방안 도출
산촌생태마을의 경제적 특성을 고려한 소득체계 도출
1. 연구내용 및 방법
연구 목적
1. 연구내용 및 방법
연구 내용
산촌생태마을 사업의 평가 지표 및 평가 시스템 개발

산촌의 고유 가치와 지속가능성에 기반한 평가지표 및 평가시스템 개발

산촌생태마을 세부 사업 내용의 비용 편익, 투자 효과 분석 가능한 성과 측정 지표 개발

우수 산촌생태마을 인센티브 평가 및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산촌생태마을 성과평가에 적용가능한
측정지표 개발

평가 지표 적용 : 산촌생태마을 조성 사업 가구 소득 증가율 조사, 주민 만족도 조사 실시
산촌생태마을 사업의 마케팅 방안 및 효율적인 유통·판매체계 도출

산촌생태마을 체험 사업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과 마케팅 방안

산촌생태마을의 생산 ․ 소득사업의 효율적인 유통판매체계 및 마케팅 방안

커뮤니티 비즈니스, 사회적 기업 등을 통한 지역적 자립 방안 모색
산촌생태마을 지속가능성을 위한 선순환체계 방안 도출

지속가능한 선순환체계 구축을 위한 핵심요소 분석 및 구축방안 제시

현장사례를 바탕으로 한 모델 제시
1. 연구내용 및 방법
연구 방법
문헌조사

산촌의 고유한 가치 및 산촌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자료

지역활성화 국내 우수 사례 : 산촌생태마을 조성사업 인센티브 평가 결과, 체험 및 소득사업 우수 사례 등

지역활성화 국외 우수 사례 : 체험 및 소득사업을 통한 우수 사례 조사

평가 지표 및 평가 시스템 개발을 위한 타 기관의 평가 지표 개발 자료 조사

기존 산촌생태마을 조성사업 모니터링 보고서
현장조사

산촌생태마을 조성사업 체험 사업 우수 마을 현황 조사

산촌생태마을 조성사업 소득 사업 우수 마을 현황 조사

산촌생태마을 조성사업 완료 마을 현황 조사

소득경제구조 선순환체계 구축을 위한 마을 표본 조사
1. 연구내용 및 방법
연구 방법
설문조사

산촌의 고유 가치 발굴과 지속가능성 지표를 위한 주민 설문 조사

산촌생태마을 조성사업 체험 사업 우수 마을 주민 설문 조사

산촌생태마을 조성사업 소득 사업 우수 마을 주민 설문 조사

산촌생태마을 조성사업 소득 증가율 조사

산촌생태마을 조성사업 주민만족도 조사
워크숍과 자문회의

현장조사 전의 예비 지표 등의 내용을 주제로 워크숍 및 자문회의 개최

현장 조사 완료 후 정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표 등을 보완, 확정하는 워크숍 및 자문회의 개최

세부 내용
- 산촌 지속가능성 지수 개발 검토 및 확정
- 평가 지표 및 평가 시스템 개발 내용 검토 및 확정
- 선순환체계 구축을 위한 핵심요소 설정 및 확정
1. 연구내용 및 방법
산촌생태마을 조성사업의 비전과 추진전략
산촌진흥기본계획(2008-2017)에 따라 산촌생태마을 조성사업의 비전은 ‘자연생태계가 살아 숨쉬는 아름답고
풍요로운 산촌’으로, 추진전략은 ‘산림자원증진, 생산기반조성, 생활환경개선, 녹색관광육성’으로 설정하여 추진
비전
자연 생태계가 살아 숨쉬는 아름답고 풍요로운 산촌
목표
쾌적하고 살기 좋은 산촌생태공간 조성
산림자원증진
추진
전략
녹색관광육성
특성있는 산촌개발
소프트웨어개발강화
연계투자강화
진흥지역중심거점개발
개발방식 다양화
생산기반조성
생활환경개선
추진
과제
·산촌의 어메니티자원 증진
·산촌의 생활환경 개선
·산촌의 인력육성
·산촌의 생산기반 조성
·산촌의 체험관광 활성화
·산촌의 지원체계 정비
1. 연구내용 및 방법
산촌생태마을 조성현황
’95년 부터 ’06년까지 138개 마을에 대해 사업을 완료하고 ’07년에는 66개소에서 사업 추진
사업내용 : 생활환경개선, 생산기반조성, 체험시설, S/W(마을기획 및 운영) 등
’08년부터는 주민역량강화, 주민소득(생산, 체험), 생활환경개선 등으로 재편
조성완료(138) : 경기(12), 강원(29), 충북(13), 충남(18), 전북(21), 전남(14), 경북(18), 경남(13)
’07 조성(66) : 설계 33개소, 마을조성 33개소(1년차 18, 2년차 15)
’08 조성(87) : 설계 36개소, 마을조성 51개소(1년차 33, 2년차 18)
성과지표 : 산촌생태마을 조성실적, 사업 후 주민만족도 및 소득증가율
1. 연구내용 및 방법
도별
계
계
153
경기
17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32
13
18
24
16
20
13
’95~’02
59
2003
34
양평 단월 석산
동두천 탑동
안성 금광 상중
여주 산북 하품
가평 북 백둔
춘천 사북 지암
철원 근남 잠곡
정선 정선 회동
양양 현북 어성전
인제 기린 방동
홍천 내면 자운
고성 토성 원암
강릉 왕산 대기
평창 대화 하안미
영동 용화 조동
괴산 연풍 신혜원
청원 미원 금관
보은 산외 신정
제천 봉양 옥전
단양 가곡 어의곡
옥천 군서 금천
공주 정안 내문
부여 외산 삼산
청양 대치 오룡
보령 청라 장현
천안 광덕 광덕
금산 남이 건천
장수 천천 와룡
순창 구림 안정
고창 부안 용산
무주 적상 방이
정읍 산외 종산
완주 운주 금당
남원 주천 용궁
고창 고수 은사
곡성 죽곡 원달
보성 웅치 대산
구례 산동 위안
장성 서삼 모암
순천 황전 덕림
광양 다압 금천
장흥 유치 신월
영주 봉현 두산
영양 수비 신원
울진 북 상당
안동 길안 고란
상주 은척 남곡
의성 옥산 금봉
성주 가천 신계
봉화 춘양 서벽
고령 덕곡 노리
거창 북상 월성
함양 마천 삼정
산청 삼장 홍계
거제 동부 구천
합천 대병 하금
의령 화정 상일
하동 청암 묵계
창녕 영산 구계
파주 적성 객현
양평 청운 도원
횡성 갑천 병지방
영월 하동 내
원주 신림 황둔
인제 상남 미산
삼척 노곡 중마읍
화천 화천 동촌
양구 양구 월명
제천 백운 덕동
괴산 청천 상신
충주 소태 복탄
’07년까지 조성 완료
2004
2005
15
10
여주 금사 주록
남양주 수동 외방
양평 서종 명달
강릉
평창
고성
양양
연곡
평창
죽왕
현북
삼산
지동
구성
대치
남양주 수동 내방
홍천 두촌 천현
삼척 하장 번천
단양 영춘 오사
2006
20
2007
15
가평 설악 엄소
양평 용문 중원
양평 양동 고송
광주중부하번천
여주 금사 장흥
포천 신북 금동
인제 인제 귀둔
화천 화천 풍상
홍천 동 신봉
영월 영월 문산
화천 사내 삼일
횡성 청일 신대
원주 귀래 운계
정선 동 몰운
양구 양구 웅진
인제 인제 가아
소계
87
5
18
제천 송학 오미
제천 봉양 명암
-
논산
아산
청양
예산
서천
홍성
순창
장수
김제
임실
진안
무주
벌곡
송악
장평
대술
판교
광천
쌍치
장계
금산
성수
백운
적상
만목
거산
도림
송석
심동
담산
학선
대곡
선동
성수
신암
사천
보령 미산 도흥
예산 신양 여래미
담양
나주
강진
광양
창평
다도
대구
진상
외동
방산
용운
비촌
순천 외서 신덕
구미 옥성 태봉
예천 보문 우래
문경 동로 석항
김천 대항 주례
상주 화북 입석
장수 번암 동화
고창 아산 반암
보령 청라 라원
임실 관촌 상월
순창 복흥 대방
금산 군북 산안
청양 대치 광금
홍성 장곡 광성
정읍 칠보 백암
장수 계남 장안
진안 정천 봉학
-
10
11
남원 산동 대상
장수 계북 임평
부안 진서 운호
14
영암 금정 아천
화순 도암 봉하
2008년도 추진 마을
1년차조성
2년차조성
33
18
순천 송광 후곡
장흥 용산 운주
남양주 수동 수산
연천 신서 대광
양평 양동 계정
양평 양동 단석
양평 서종 서후
춘천
홍천
횡성
평창
화천
인제
고성
사북
서석
강림
진부
간동
서화
현내
고성
검산
월현
탑동
유촌
서화
배봉
춘천 북산 부귀
원주 소초 둔둔
평창 도암 차항
삼척 가곡 풍곡
양구 남 가오작
인제 기린 진동
영월 중동 직동
평창 용평 도사
정선 남 광덕
홍천 내촌 와야
정선 남 문곡
충주
제천
제천
보은
상모
금성
한수
산외
화천
중전
탄지
대원
보은 회인 건천
진천 백곡 명암
제천
충주
청원
제천
백운
소태
낭성
덕산
운학
덕은
호정
선고
아산
부여
부여
예산
송악
은산
은산
대술
종곡
거전
각대
이티
청양 정산 남천
논산 양촌 오산
보령
청양
아산
예산
청양
청소
대치
송악
대술
정산
성연
장곡
강당
방산
백곡
정읍
남원
김제
진안
진안
장수
장수
산내
산내
금산
용담
안천
천천
천천
종성
장항
화율
송풍
신괴
용광
연평
무주 무풍 덕지
정읍 산외 상두
진안 주천 대불
남원
무주
진안
완주
주천
적상
성수
동상
고기
괴목
도통
신월
고흥 영남 양사
보성 율어 선암
광양 봉강 조령
곡성 오곡 봉조
곡성
장흥
보성
장흥
죽곡
장동
겸백
장동
유봉
하산
수남
용곡
포항
청송
성주
김천
경산
울진
두마
이전
법전
금평
부일
구산
포항 기북 탑정
영천 신녕 치산
영양 수비 수하
문경
군위
성주
영덕
김천
농암
고로
금수
지품
대덕
궁기
석산
영천
속곡
덕산
고성 개천 나선
거창 신원 구사
합천 가회 중촌
함양 서상 상남
함양 병곡 광평
하동 적량 서
합천 가야 야천
8
예천 상리 용두
군위 효령 노행
울진 서면 쌍전
영덕 달산 옥계
안동 임동 마령
청송 진보 괴정
14
진해 웅동 대장
남해 삼동 봉화
밀양 단장 구천
하동 화계 범왕
함양 휴천 송전
-
-
-
7
사전설계마을
36
죽장
부동
가천
구성
용성
근남
산촌사업 모니터링
2. 산촌사업 모니터링
조사내용 및 방법
설문대상
- 산촌개발마을 관계자(추진위원장, 이장) 및 마을 주민
조사방법
- 설문지를 통한 방문설문조사 및 전자우편 설문조사
(5점 리커트척도 사용 - ① 전혀 그렇지 않다 ② 그렇지 않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다 ⑤ 매우 그렇다) )
- 개별면접조사
설문구성
- 일반사항(9문항)
- 산촌개발사업에 관한 사항(38문항)
조사기간 : 2008년 10월 9일 ~ 10월 31일
2. 산촌사업 모니터링
산촌생태마을 조사대상지
- 조성 3년차 15개 마을 중 10개 마을 선정
- 조성 1년차 20개 마을 중 10개 마을 선정
대상지역
20
경기도
3
강원도
4
2004년 조성 완료(15)
10
2006년 조성 완료(20)
10
여주 금사 주록
남양주 수도 외방
양평 서종 명달
강릉 연곡 삼산
평창 평창 지동
고성 죽왕 구성
양양 현북 대치
Good
가평 설악 엄소
o
o
단양 영춘 오사
o
영월 영월 문산
화천 사내 삼일
횡성 청일 신대
원주 귀래 운계
정선 동 몰운
양구 양구 웅진
인제 인제 가아
제천 송학 오미
제천 봉양 명암
금산 군북 산안
청양 대치 광금
총성 장곡 광성
정읍 칠보 백암
장수 계남 장안
진안 정천 봉학
화순 도암 봉하
영덕 달산 옥계
Good
o
o
충청북도
2
2
보령 미산 도흥
예산 신양 여래미
o
충청남도
전라북도
3
장수 번암 동화
고창 아산 반암
o
o
전라남도
2
o
경상북도
2
순천 외서 신덕
김천 대항 주례
상주 화북 입석
경상남도
2
o
Good
Good
o
o
Bad
Good
하동 화계 범왕
함양 휴천 송전
Bad
Good
2. 산촌사업 모니터링
설문 대상자 수(20개 마을)
- 산촌개발마을 관계자 (20)
- 산촌개발마을 주민(200명)
- 회수율 : 92.5% (185명)
- 유효설문지 : 185부 중 185부
연구내용
- 산촌개발사업 단계별 마을 주민의 만족도 분석
- 마을이 보유한 자원이 사업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 산촌개발사업의 전후 소득 비교 분석
2. 산촌사업 모니터링
연구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특성
성별
연령
직업
구분
빈도(명)
비율(%)
남
128
여
구분
빈도(명)
비율(%)
69.2
본인 혼자
6
3.2
57
30.8
2명
70
37.8
30대
12
6.5
3명
30
16.2
40대
51
27.6
4명
38
20.6
50대
50
27.0
5명 이상
41
22.2
60대
42
22.7
5년 미만
11
5.9
70세 이상
30
16.2
5-10년
22
11.9
농업
140
81.4
11-20년
31
16.8
임업
5
2.9
21-30년
20
10.8
축산업
0
0
30년 이상
101
54.6
관광·민박업
17
9.9
받음
142
78.5
회사원
2
1.2
받지 않음
39
21.5
기술자 및 전문직
1
0.6
희망함
142
78.0
희망하지 않음
40
22.0
사업가
3
1.7
동참함
85
47.5
동참하지 않음
94
52.5
동참함
136
75.6
동참하지 않음
44
24.4
기타
4
2.3
특성
가족 수
거주기간
사업참여권유
소득사업참여
주택증축참여
소득개발사업
참여
2. 산촌사업 모니터링
사업의 계획단계에 대한 만족도
04년
06년
전체
사업계획단계
평균
순위
평균
순위
평균
순위
사업의 추진계획 내용을 자세히 알고 있었다
3.49
4
3.64
5
3.57
5
산촌개발사업은 본 마을에 꼭 필요한 사업이었다
4.01
1
4.30
1
4.16
1
사업계획수립을 위한 마을회의 및 조사에 자주 참석하였다
3.65
2
3.91
3
3.79
2
기본계획수립 시 주민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였다
3.53
3
3.97
2
3.77
3
마을자원조사가 충분히 이루어졌다
3.40
7
3.60
6
3.51
6
사업계획에 마을의 인적구성 및 여건을 충분히 반영하였다
3.44
5
3.77
4
3.62
4
기본계획수립 시 사업설명, 사전교육 등이 적절하였다
3.41
6
3.53
7
3.47
7
① 전혀 그렇지 않다 ② 그렇지 않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다 ⑤ 매우 그렇다
2. 산촌사업 모니터링
마을이 보유한 자원의 영향력
04년
06년
전체
자원분류
자연적
자원
평균
순위
평균
순위
깨끗한 공기, 맑은 물, 소음이 없는 환경
4.10
1
4.45
1
4.29
1
동물자원
천연기념물, 조류, 희귀동물
3.21
6
3.60
6
3.41
6
산림자원
산림자원(목재, 임산물) 식생(보호수, 마을숲 등)
3.41
5
4.00
4
3.73
4
식물자원
산림자원 이외의 식물자원, 야생식물, 야생화
3.45
4
3.86
5
3.67
5
계곡, 하천, 저수지
3.75
2
4.15
2
3.97
2
산림경관(산세, 배후 구릉지 등), 하천경관, 특이지형
3.56
3
4.05
3
3.83
3
자연경관
자연적 자원 전체에 대한 평가는?
역사자원
3.61
4.07
3.85
문화재, 사적 등 전통건조물, 유적
2.76
5
3.12
4
2.95
5
마을상징물, 유명인물(역사적인물), 신앙공간
2.96
3
3.10
5
3.03
4
공동체활동
생활공동체활동(경로잔치, 친목계), 씨족행사, 농업공동체활동
3.43
1
3.78
1
3.62
1
공동체조직
영농회, 작목반, 청년회, 판매유통조직(영농법인 등)
3.38
2
3.77
2
3.59
2
2.93
4
3.33
3
3.15
3
상징물
지역문화활동 축제, 공연, 전시회, 마을놀이
사회문화적 자원 전체에 대한 평가는?
산업적
자원
순위
환경자원
수자원
사회
문화적
자원
평균
3.10
3.53
3.33
농업
농사(논농사, 밭농사), 유기농업 등
3.77
1
3.79
1
3.78
1
임업
임산물 채취, 재배 등
3.32
3
3.50
2
3.41
3
일반가축, 특이가축 사육
2.72
4
3.02
4
2.88
4
지역특산물 생산, 특용작물 생산
3.46
2
3.46
3
3.46
2
가축사육
특산물생산
산업적 자원 전체에 대한 평가는?
3.37
3.42
3.40
2. 산촌사업 모니터링
사업의 조성단계에 대한 만족도
04년
06년
전체
사업추진단계
평균
순위
평균
순위
평균
순위
사업 추진과정에서 마을주민의 의견이 충분히 수렴되었다
3.64
1
3.76
4
3.71
4
사업 추진과정에서 마을 주민의 협력정도가 높았다
3.54
4
3.91
2
3.74
3
마을조성시공업체의 사업수행능력이 높았다
3.34
7
3.52
7
3.44
7
사업추진위원장의 사업수행능력이 높았다
3.63
2
3.91
2
3.78
2
마을 담당공무원의 사업수행능력이 높았다
3.48
6
3.71
5
3.60
5
자치단체장의 관심도는 마을에 도움이 되었다
3.50
5
3.63
6
3.57
6
사업 추진과정에서 발생한 갈등은 원만히 해결되었다
3.61
3
3.94
1
3.79
1
2. 산촌사업 모니터링
사업의 결과단계에 대한 만족도
04년
06년
전체
사업의 결과
평균
순위
평균
순위
평균
순위
마을이 보유한 자원을 사업에 충분히 활용하였다
3.36
5
3.59
3
3.48
5
산림자원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였다
3.01
6
3.47
5
3.25
6
자원의 훼손을 최소화한 개발이 되었다
3.52
3
3.73
1
3.63
1
추진일정에 맞게 사업이 잘 마무리 되었다
3.57
1
3.47
5
3.52
3
사업의 설계대로 사업이 잘 이루어졌다
3.52
3
3.50
4
3.51
4
마을의 특성에 맞는 개발이 되었다
3.53
2
3.62
2
3.58
2
2. 산촌사업 모니터링
사업의 사후관리에 대한 만족도
사후관리
04년
06년
전체
평균
순위
평균
순위
평균
순위
조성된 시설자원에 대한 사후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졌다
3.26
1
3.73
1
3.51
1
사후관리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2.83
4
3.18
3
3.12
2
사업 이후 산림청의 추가 지원이 있었다(숲가꾸기 등)
2.47
6
2.12
6
2.28
6
사업 이후 지자체 및 타부처의 추가 지원이 있었다
2.55
5
2.33
5
2.43
5
마을 홍보 및 마케팅, 마을 브랜드 개발 등 사업운영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2.86
3
3.35
2
3.12
2
소득사업 품목의 시장개척을 위한 마케팅 전략이 생성되었다
2.88
2
2.96
4
2.92
4
2. 산촌사업 모니터링
사업에 대한 만족도
04년
06년
전체
사업에 대한 만족
평균
순위
평균
순위
평균
순위
사업 이후 내가 받은 혜택에 대해 만족한다
3.29
3
3.22
4
3.25
4
산촌개발사업 이후의 구축된 시설물에 대해 만족한다
3.45
2
3.50
1
3.48
1
자치단체의 추진의지와 업무역량에 대해 만족한다
3.19
4
3.33
2
3.26
3
사업의 전체 금액 및 사업규모에 대해 만족한다
3.17
5
2.96
5
3.06
5
산촌개발사업의 시행 전반에 대해 만족한다
3.48
1
3.26
3
3.36
2
2. 산촌사업 모니터링
사업에 대한 효과
04년
06년
전체
사업의 효과
평균
순위
평균
순위
평균
순위
마을에 필요한 시설자원이 확충되어 생활이 예전보다
편리해졌다
3.63
1
3.63
3
3.63
1
마을소득 및 개인의 소득이 증가하였다
3.51
2
3.42
5
3.46
4
도농교류가 증진되었다(방문객수 증가, 타지역과의 교류 등)
3.18
4
3.89
1
3.57
3
주민역량이 강화되었다(주민간의 협력, 공동체의식, 자립심)
3.44
3
3.74
2
3.60
2
마을의 지역성이 생겨났다(타지역과 차별화)
3.17
5
3.55
4
3.38
5
각종 개발 행위가 늘어났다(소득사업의 확장을 위한 투자 등)
3.16
6
3.38
6
3.28
6
2. 산촌사업 모니터링
사업 단계별 비교
단계
04년
06년
전체
평균
순위
평균
순위
평균
순위
사업의 계획단계
3.56
1
3.81
1
3.69
1
사업의 조성 단계
3.53
2
3.76
2
3.66
2
사업의 결과
3.41
3
3.56
4
3.49
4
사후관리
2.80
6
2.94
6
2.89
6
사업에 대한 만족
3.31
5
3.25
5
3.28
5
사업 효과
3.34
4
3.60
3
3.48
3
2. 산촌사업 모니터링
사업 전후의 소득 변화
평균소득(원)
구분
소득증가율(%)
사업 전
04년
사업 후
양평 서종 명달
18,750,000
25,000,000
33.3
강릉 연곡 삼산
5,000,000
10,000,000
100.0
양양 현북 대치
13,000,000
15,700,000
20.8
단양 영춘 오사
30,000,000
35,000,000
16.7
보령 미산 도흥
10,000,000
13,000,000
30.0
장수 번암 동화
11,200,000
18,230,000
62.8
고창 아산 반암
3,250,000
5,350,000
64.6
순천 외서 신덕
22,875,000
23,250,000
1.6
상주 화북 입석
20,000,000
22,000,000
10.0
평균
14,897,222
18,614,444
24.9
2. 산촌사업 모니터링
사업 전후의 소득 변화
평균소득(원)
구분
소득증가율(%)
사업 전
06년
사업 후
가평 설악 엄소
13,400,000
18,000,000
34.3
영월 영월 문산
16,800,000
21,200,000
26.2
인제 인제 가아
26,875,000
29,312,500
9.1
제천 송학 오미
18,000,000
25,000,000
38.9
청양 대치 광금
13,900,000
20,760,000
49.4
진안 정천 봉학
15,000,000
20,000,000
33.3
화순 도암 봉하
20,500,000
27,600,000
34.6
영덕 달산 옥계
14,000,000
15,000,000
7.1
하동 화계 범왕
19,000,000
22,333,333
17.5
함양 휴천 송전
7,500,000
10,500,000
40.0
16,497,500
20,970,583
27.1
평균
인센티브
평가지표 개발
3. 인센티브 평가지표 개발
산촌생태마을조성사업 우수마을 평가지표 개발
평가목적
- 산촌생태마을조성사업의 건전한 경쟁체제를 도입, 예산 집행의 효율성 및 투자성과 제고
- 우수 산촌생태마을 발굴함으로써 지속가능하고 자생력 있는 산촌 육성
연구추진방법
평가표 자체 개발
현지 적용가능성 검토 – 5개 마을에 적용
수정 평가표 보완 작성
현지평가 자문위원 회의 검토
최종 평가표 도출
3. 인센티브 평가지표 개발
평가내용
구분
조성 부문
경영 부문
특화 부문
1차 평가
1) 도, 지자체의 사업추진 의지 실적
2) 마을주민의 사업추진 역량 실적
3) 산촌생태마을 홍보실적
1) 도, 지자체의 사업추진 의지 실적
2) 산촌생태마을조성사업 효과 창출
3) 산촌생태마을 네트워크 구축
1) 도, 지자체의 사업추진 의지 실적
2) 차별화된 상품/서비스 활성화
3) 사업 인프라 구축
2차 평가
1) 마을조성 적정성
2) 가점 및 감점
1) 산촌생태마을 경영활성화
2) 가점 및 감점
1) 차별화 사업 모델
2) 가점 및 감점
점수
1차평가(60점), 2차평가(40점), 가점(5점) 및 감점(-5점)
1차 평가(정량평가, 서면평가) ; 도 자체 평가
- 도별로 대상마을에 대한 자체평가보고서 작성토록 함.
- 중앙평가를 위한 자체평가보고서 제출 및 증빙서류 보관
- 도별 우수조성분야 1개 마을씩 추천토록 함
- 선정기준 ; 인센티브 지원지침을 참고하여 자율적으로 평가 진행
2차 평가(정성평가, 현장평가) ; 중앙 평가
- 도별로 추천한 조성분야 8개소에 대한 평가
- 중앙평가단 방문 시, 시도․군 담당자 및 마을대표는 1차 자체평가에 대한 개략적인 결과발표를 한 후,
평가위원의 질의 답변과 현지 확인 방법으로 진행
- 평가 중립성 확보를 위해 산림청 담당 계 현지 참관 배제 함.
* 특화 부문은 가안.
3. 인센티브 평가지표 개발
평가절차
평가팀 구성
• 산촌생태마을 중앙자문위원, 전문위원, NGO, 현장전문가로 구성된 평가팀 구성
평가편람에 대한
설명 및 기준 논의
• 자체보고서 작성에 대한 평가편람 설명 및 현장평가에 대한 기준에 대해 설명회
• 의견 수렴
자체평가 실시
서면평가 및
현지방문평가 실시
• 대상마을에 대한 지자체별 자체평가 실시 및 자체평가보고서 제출
• 평가단 구성
• 서면평가 및 현지방문평가 실시
• 현지평가보고서 작성
평가결과 심의
• 평가결과에 대한 자문위원회 심의 및 최종 결과 확정
평가결과 공지
• 평가결과 보고회 개최
• 평가결과 공지
3. 인센티브 평가지표 개발
평가지표
1. 조성 부문
1) 1차 평가(정량평가, 서면평가, 도 자체평가)
배점
영역
1.도 및 지자체의
사업추진 의지
항목
평가지표
없
음
미
흡
보
통
우
수
1-1.사업담당자의
전문성에 대한 적합성
1.1.1.산림청 주관 “산촌전문가 양성과정” 및 자체 지역개발사업
관련 전문가 세미나(심포지엄), 교육 등 참가여부, 개최실적?
0
1
2
3
1-2.지자체장 관심도 및
추진의지
1.2.1.자치단체장(또는 부단체장) 주재 산촌관련 추진상황 보고회,
자문회 등 실적?
0
1
2
3
1-3.지자체 전담조직
신설 및 인력보강
1.3.1.지자체의 산림부서 신설 또는 조직 및 인력보강여부와 정도에
대한 실적?
0
1
2
3
1-4.사업비 확보 정도
1.4.1.산림청관련 지원사업비 및 타부처소관 사업비 확보 실적?
0
1
2
3
1-5.지자체 예산집행
1.5.1.지자체의 사업관련 예산 집행률 실적?
0
1
2
3
소 계 ( 15 점 )
3. 인센티브 평가지표 개발
배점
영역
항목
평가지표
없
음
미
흡
보
통
우
수
2.1.1.조성과정 중 마을협의회(또는 추진위원회) 조직 및 운영 실적?
0
1
3
5
2.12.주민자치규약(산촌생태사업)제정여부실적?
0
-
-
5
2.2.1.마을리더 및 주민 교육참여(참여율)실적?
0
1
3
5
2.2.2.작목반, 부녀회, 노인회, 법인 등 사업조직 및 활성화 실적?
0
1
3
5
2-3.마을공동시설부지 확보
2.3.1.산촌생태마을의 공동시설부지 확보실적?
0
1
3
5
2-4.시설활용계획 확보
2.4.1.산촌생태마을의 공동시설 활용계획 수립여부 실적?
0
1
3
5
2-1.마을협의회 조직구성 및 운영
2.마을
주민사업
추진역량
2-2.마을주민 역량 및 참여도
소 계 ( 30 점 )
배점
영역
3.산촌생태
홍보
항목
평가지표
3-1.산촌생태마을 사업 관련 홍보
없
음
미
흡
보
통
우
수
3.1.1.도 단위 홍보 여부 실적?
0
1
2
3
3.1.2.자치단체, 마을단위 홍보 여부 실적?
0
1
2
3
3.1.3.산촌생태마을 홍보유인물 제작 실적?
0
1
2
3
3.1.4.산촌생태마을 자체H․P 구축 및 활용실적?
0
1
2
3
3.1.5.대외적 네트웍 구축(전문가, 고객) 실적?
0
1
2
3
소 계 ( 15 점 )
1차 평가 합 계 ( 60 점 )
3. 인센티브 평가지표 개발
2) 2차 평가(정성평가, 현장평가, 중앙평가)
영역
항목
평가지표
1.1.1. 마을조성의 소프트웨어적 확보 적절성
배점
미흡-우수
0-8
- 소프트웨어 조성계획의 반영 정도
1-1.소프트웨어
확보 적절성
- 조성이후 지속가능한 주민역량 강화의 적절성
(학습동아리 구성 등)
- 조성이후 중장기 마을발전 로드맵 수립 및 적절성
(중장기 투자유치 계획 및 지속발전 계획 등)
- 지역의 산림자원을 활용한 특화상품 개발 및 체험프로그램 개발 등 소득사업계획의
구체적 실천
1.마을조성적
정성
- 마을소득사업 추진의 대외협력 네트워크 구성정도
1.1.2 마을조성의 하드웨어적 확보 적절성
- 하드웨어 조성계획의 반영 정도
- 하드웨어에 대한 마을 자체운영․활용계획 적절성
1-2.하드웨어
확보 적절성
- 마을경관․조경 조성의 환경성․생태성 반영 정도
- 마을 공동시설물의 에너지 효율성 반영 정도
(중장기적인 시설물 유지관리의 비용효율성 등)
- 마을 공동시설물의 이용자 편의성 반영 정도
(고령의 마을주민 복지․편의 및 방문객 편의를 고려한 조성-안내표지판 등)
0-8
3. 인센티브 평가지표 개발
0-8
1-3.기본계획
적절성
1.13. 사전설계 중 기본계획의 적절성(실현가능성 평가)
- 마을보유 산림, 인적․물적 자원 분석의 적절성
- 마을주민의 사업역량강화 추진계획의 적절성
- 중장기 마을발전 계획 및 비전의 적절성
-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투자계획의 적절성
- 산림자원을 활용한 특화상품 개발 등 소득사업계획의 적절성
- 생산소득 및 체험소득사업 사업수지분석의 적절성
0-8
1-4.실시설계
적절성
1.14. 사전설계 중 실시설계의 적절성(실현가능성 평가)
- 기본계획과의 상호연계성 및 부합성 정도
- 마을경관․조경 설계의 환경적․생태적 고려 정도
- 마을 공동시설물 등 불특정다수 이용시설 설계의 이용자 편의성 고려 및 설계 창의성 정도
- 마을 공동시설물 등 실시설계의 자연자원 활용성
(*천연재료, 바이오매스, 재활용, 태양력, 풍력 등)
1.1.5. 기본계획서 및 실시설계 반영정도
- 기본계획서 반영여부와 정도
- 실시설계서 반영여부와 정도
소 계 ( 40 점 )
2.1.1. 가점사항
- 현지방문에 대한 자료 준비 및 평가 대비
- 활력도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가점
- 시공업체 건설성
- 마을발전 가능성
2.2.1. 감점사항
- 공동시설의 사유화 운영
- 시공업체 건설성
- 마을발전 가능성
소 계 ( -5 점 ~ 5 점 )
0-8
1-5.계획서 반영
2-1 가점
2. 가점 및 감점
2-2 감점
2차 평가 합 계 ( 40 점 )
총 점 ( 95 점 - 105 점 )
0-5
-1 ~ -5
3. 인센티브 평가지표 개발
2. 경영 부문
1) 1차 평가(정량평가, 서면평가, 도 자체평가)
배점
영역
1.도 및
지자체의
사업추진
의지
항목
평가지표
없
음
미
흡
보
통
우
수
1-1.사업담당자의
전문성에 대한 적합성
1.1.1.산림청 주관 “산촌전문가 양성과정” 및 자체 지역개발사업 관련
전문가 세미나(심포지엄), 교육 등 참가여부, 개최실적?
0
1
2
3
1-2.지자체장 관심도
및 활성화 의지
1.2.1.자치단체장(또는 부단체장) 주재 산촌관련 추진상황 보고회, 자문회,
경영노력 등 실적?
0
1
3
6
1-3.지자체 전담조직
신설 및 인력보강
1.3.1.지자체의 산림부서 신설 또는 조직 및 인력보강여부와 정도에 대한
실적?
0
1
2
3
1-4.외부투자 유치성과
1.4.1.산림청관련 지원사업비 및 타부처소관 사업비 등 외부투자유치 성과?
0
1
2
3
소 계 ( 15 점 )
3. 인센티브 평가지표 개발
영역
항목
2-1. 조직면
2.산촌
2-2. 시설면
사업효과창출
2-3. 경영면
2.1.1.마을산촌협의회(또는 산촌추진위원회) 조직 및 운영(회의록 작성) 실적?
없
음
0
배점
미 보
흡 통
1
2
우
수
3
2.1.2.산촌생태마을 운영에 대한 마을주민 참여도?
0
1
2
3
2.1.3.주민자치규약(산촌생태사업)제정여부?
0
-
-
3
2.1.4.마을리더 및 주민 교육참여 실적?
0
1
2
3
2.1.5.작목반, 부녀회, 노인회, 법인 등 사업조직 및 활성화 실적?
0
1
2
3
2.2.1.생산기반조성 시설물 이용실태 실적
0
1
3
3
2.2.2.산촌생태마을의 공동시설 활용계획 수립여부 실적?
0
1
3
3
2.3.1.산촌생태마을의 공동시설부지 확보실적?
0
1
3
3
2.3.2.산촌생태마을 경영에 따른 공동기금 조성정도
0
1
2
3
2.3.3.산촌생태마을 경영에 따른 도․농교류 활성화 및 소득창출 노력
0
1
2
3
2.3.4.산촌생태마을 경영에 따른 가구소득 증가 정도
0
1
2
3
2.3.5.산촌생태마을 경영에 따른 가구호수 증가 정도
0
1
2
3
평가지표
소 계 ( 36 점 )
배점
영역
3.산촌생태
네트웍구축
항목
3-1.산촌생태
마을 홍보 및
네트웍
평가지표
없음 미흡 보통 우수
3.1.1.도 자치단체, 마을단위 홍보 여부 실적?
0
1
2
3
3.1.2.산촌생태마을 자체 H․P구축 및 홍보유인물 제작 실적?
0
1
2
3
3.1.3.산촌생태마을 경영에 필요한 대외적 네트웍 구축(전문가, 고객) 실적?
0
1
2
3
소계(9점)
1차 평가 합 계 ( 60 점 )
3. 인센티브 평가지표 개발
2) 2차 평가(정성평가, 현장평가, 중앙평가)
영역
항목
평가지표
1.1.1. 산촌생태마을에 미친 사업성과
- 산촌생태마을 경영에 따른 마을수익 정도
- 산촌생태마을 경영에 따른 마을자산 증대 정도
1-1.산촌생태마을
- 지속적인 주민역량 강화 정도(교육, 견학, 협의회 구축, 학습동아리 구성 등)
경영성과
- 지역의 자원을 활용한 차별화 된 특화상품 개발에 따른 소득사업의 성과정도
- 지역의 자원을 활용한 차별화 된 프로그램 개발에 따른 소득사업의 성과정도
- 마을소득사업 추진의 대외협력 네트워크 구성정도
1.산촌생태마을
경영 활성화
1.1.2 산촌생태마을 미래 발전 가능성
- 산촌생태마을 중장기 마을발전 로드맵 수립(중장기 투자유치 계획 및 지속발전 계획 등)
1-2.산촌생태마을 - 산림자원조성이 미치는 산촌생태마을 장래성
장래성
- 홍보, 네트웍 구축이 미치는 산촌생태마을 장래성
- 마을의 대표 브랜드 자원성, 시장, 수익의 가능성
- 마을 공동조직 및 리더의 활동과 역량성
소 계 ( 40 점 )
2.1.1. 가점사항
- 현지방문에 대한 자료 준비 및 평가 대비
2-1 가점
- 오지성, 도시인접성 등을 감안한 노력성, 활력성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가점
- 다양한 프로그램 활용정도
- 생태산촌 이미지 및 발전가능성
2. 가점 및 감점
2.2.1. 감점사항
- 공동시설의 사유화 운영
2-2 감점
- 공동시설물에 대한 시공업체 관리성
- 생태산촌 이미지 변화성
소 계 ( -5 점 ~ 5 점 )
2차 평가 합 계 ( 40 점 )
총 점 ( 95 점 - 105 점 )
배점
미흡-우수
0 - 20
0 - 20
0-5
-1 ~ -5
투자효과
성과지표 개발
4. 투자효과 성과지표 개발
총 투자규모의 적정성 지표
총사업비 투자규모 적정성 지표
단위 : 백만원
마 을
구 분
총투자 사업비 규모
(A=B+C+D)
산촌사업비(B)
산림청소관사업비(C)
타부처소관사업비(D)
4. 투자효과 성과지표 개발
재원별 투자규모의 적정성
산촌생태마을 사업비 재원별 투자 규모
단위 : 백만원
마 을
구 분
산촌사업비 합계
(A=B+C+D+E)
국고보조금(B)
지방비(C)
융자(D)
자부담(E)
4. 투자효과 성과지표 개발
투자배분의 적절성
산촌생태마을 사업비의 사업별 투·융자 배분
단위 : 백만원
마 을
구 분
산촌사업비 합계
(A=B+C+D+E)
소득기반조성
(보조: B)
주거환경정비
(보조: C)
소득원사업
(융자: D)
주택개량사업
(융자: E)
4. 투자효과 성과지표 개발
중점투자 방향설정의 타당성
산촌생태마을 사업비의 부문별 투자배분(소득부문과 생활부문)
단위 : 백만원
마 을
구 분
산촌사업비 합계
(A=B+C+D)
소득개발부문(B)
생활환경개선부문(C)
기타 부문(D)
4. 투자효과 성과지표 개발
도입시설의 타당성 · 적절성
산촌생태마을별 상위 5개 도입시설의 투자규모
단위 : 백만원
마 을
구 분
1순위시설(a)
사업비
2순위시설(b)
사업비
3순위시설(c)
사업비
4순위시설(d)
사업비
5순위시설(e)
사업비
상위5개 시설의 사업비
(A=a+b+c+d+e)
4. 투자효과 성과지표 개발
사업전후의 효과분석
산촌생태마을별 개발 전·후 인구 및 가구 증감효과
단위 : 가구, 인
마 을
구 분
가구수
사업시행 전(A)
인구수
가구수
사업시행 후(B)
인구수
가구수
사업 전후 증감(B-A)
인구수
4. 투자효과 성과지표 개발
사업전후의 효과분석
산촌생태마을별 개발 전·후 소득증대 효과
단위 : 만원
마 을
구 분
사업시행 전(A)
호당평균소득
사업시행 후(B)1)
호당평균소득
사업 전후
소득효과(B-A)
호당평균소득
주1) 사업시행 후 각 지역별 호당평균소득이 사업시행 중이어서 추정이 불가능할 경우, 계획수립 시 각 지역별 목표 년도의 소득 전망치를
사용할 수 있음
산촌 지속성지수 개발
5. 산촌 지속성지수 개발
산촌 지속성지수 개발의 필요성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한 개념의 소개 이후, 국제기구 및 각 국가에서 지속가능한
개발에 관한 지표 및 지수 등 지속가능성을 평가하고 계량화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음
우리나라 산촌의 지속가능한 수준에 대하여 단순하게 정량화된 지수를 개발하고
제공하므로서 일반 국민들의 이해도를 증진
시군 및 법정리 마을 단위로 산촌의 지속가능한 정도를 쉽게 파악 할 수 있으며,
추세분석으로 통해 산촌의 미래를 예측할 수 있음
지수의 각 부문 및 지표별 수준 평가를 통해 산촌진흥정책의 목표와 방향을
제시할 수 있으며, 정책노력에 대한 성과평가의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음
5. 산촌 지속성지수 개발
연구 방법
지속가능성 개념 및 조건 고찰
산촌의 지속가능성 정의 및 목표 설정
산촌의 지속가능성 예비 지표 개발
예비지표 적합성 평가 실시
산촌의 지속가능성 지표 도출 및 평가
5. 산촌 지속성지수 개발
지속가능성 개념 및 조건 고찰
지속가능성 지표의 개념
 지속가능한 개발에 관한 정책 및 의사결정을 돕기 위해 작성된 하나의 표준화된 정보전달 도구
 물리적, 사회과학적인 복잡한 지식을 다루기 쉬운 단위 정보로 변화시켜 줌으로서 의사결정 과정을
용이하게 함
 지속가능한 개발의 달성 정도를 측정하고 평가하여 경제적·사회적·환경적인 손실을 경고하고 미연에
방지하는 중요한 도구로 활용(UNCSD,1996)
지속가능성 지표의 선택에 있어 고려해야 할 사항(Bossel, 1999)
 각 사회적 영역(세계, 국가, 도시, 지역, 마을 단위)에 맞는 정책 및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것
 중요한 모든 관심사를 표현할 것
 지표의 수는 가능한 적어야 하지만, 포괄적이고 압축적이며 관련된 사항들을 모두 다룰 것
 개발 대상지역의 비전과 가치관을 반영할 것
 지표는 명확히 정의되고 제시 가능하여야 하며, 이해하기 쉽고 실용적이어야 할 것
 개발의 실행가능성과 지속가능성을 유추하고 대안적인 개발방향과 비교분석을 할 수 있을 것
 최적의 지표개발을 위한 체계, 방법, 범위 등을 결정할 것
5. 산촌 지속성지수 개발
산촌의 지속가능성의 정의 및 목표
본 연구에서는 산촌의 지속가능성의 지표 항목을 자연환경적 부문, 사회문화적
부문, 경제적 부문으로 구분하고, 이러한 3개 부문이 조화를 이루고 그 기능과
역할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산촌마을을 지속가능한 산촌마을로 정의
< 산촌마을 지속가능성 목표 및 대상항목 >
대항목
목표
소항목
자연환경적 부문
자연환경 및 생태계의 보전
쾌적한 환경 형성 및 환경오염의 최소화
자연환경의 보전 및 복원, 수자원, 산림자원,
에너지 자원과 이용, 오염물질 관리
사회문화적 부문
건전한 사회생활 및 인간관계 형성
인구, 안전성, 마을의 커뮤니티 활성화 정도, 보건
및 복지, 문화 및 전통, 교통 및 접근성, 교육
경제적 안정
생산기반, 소득, 지역개발, 고용 및 인력
경제적 부문
5. 산촌 지속성지수 개발
산촌의 지속가능성 예비지표 개발
산촌 지속성지수를 평가하기 위한 지표는 크게 3영역으로 구분
 자연환경적 부문
 사회문화적 부문
 경제적 부문
각 분야별 세부지표는 크게 객관적 지표와 주관적 지표로 구분
 객관적 지표 – 통계자료 및 수치, 전문가의 현장확인을 통해 객관적으로 검토 가능한
지표 선정
 주관적 지표 – 전문가의 의견 및 마을대표, 마을 주민의 의견을 토대로 검토 가능한 지표
선정
지표적합성 평가표 작성 후 전문가그룹에 의뢰 및 평가 -> 예비지표의 적합성 평가 실시
5. 산촌 지속성지수 개발
산촌의 지속가능성 예비지표 개발
< 지속가능성 예비지표 분야 1: 자연환경적 부문 >
지표
객관적 지표
자연보호지역 비율, 자연환경 훼손 정도, 자연자원 보전을 위한 계획 및 사업 수립 여부
주관적 지표
과거 대비 마을 환경의 변화정도, 마을의 자연환경에 대한 만족도, 자연자원의 보전을 위한
주민의 활동 참여도
객관적 지표
마을 내 수자원 공급원 확보 정도, 수자원의 수질
주관적 지표
수자원 보전을 위한 계획 및 사업, 활동 여부, 수자원 보호를 위한 주민의 활동 참여도
객관적 지표
산림이 차지하는 면적, 산림자원활용 가구 수(%), 산림자원을 소득으로의 활용 정도,
산림자원의 훼손 정도
주관적 지표
산림자원의 중요성 인식 정도, 산림자원 유지 보전을 위한 주민의 활동 및 관심, 산림자원의
발전 잠재력
에너지
자원과 이용
객관적 지표
대체 에너지 사용여부
주관적 지표
대체 에너지 활용에 대한 주민들의 의식수준, 에너지 절약을 위한 주민의 활동 참여도
오염물질
관리
객관적 지표
수질정화시스템 이용여부, 자연친화적 하수관리 시스템(자연발효 등) 이용 여부, 폐수 및
부산물의 처리방법
주관적 지표
폐수 및 폐기물 처리로 인한 효과성
자연환경의
보전 및 복원
수자원
산림자원
5. 산촌 지속성지수 개발
< 지속가능성 예비지표 분야 2: 사회문화적 부문 >
지표
인구
객관적 지표
마을 인구 수, 인구증감율, 연령별 인구구성비율
안전성
객관적 지표
자연재해로 인한 인명피해 및 경제적 손실, 자연재해 예방시설 도입 여부
마을의
커뮤니티
활성화 정도
객관적 지표
마을 내 조직된 단체 수, 마을 내 주요 행사 수, 공공시설 및 공동생활공간 개소수,
마을 소식 및 운영 정보 제공 (책자, 광고, 홈페이지), 마을 전통의 자치규약 및 관습제도의
유무, 마을 분쟁 및 갈등 해결 시스템(제도) 마련 여부,
주관적 지표
조직된 단체에 대한 참여율, 마을 주민의 행사 참여율, 마을 공동사업의 협력 정도,
의사결정방법 및 참여 정도
객관적 지표
주요 보건시설 소재지, 주민 1인당 질병 발생 건수
주관적 지표
근거리 이용 가능한 의료서비스 시설 및 만족도
객관적 지표
문화행사 및 축제 유무, 마을상징시설 유무
주관적 지표
마을역사 인지 정도, 마을 내 문화유산의 보존 정도
객관적 지표
도로포장률, 대중교통수단까지의 거리, 읍․면 소재지까지의 거리
주관적 지표
교통수단 이용 편리성
객관적 지표
마을 내 교육시설의 수, 인근 학교와의 거리, 민간교육시설(사립교육시설, 공부방 등), 연간
개최되는 마을 내 교육프로그램 횟수
주관적 지표
마을 주민의 교육 프로그램 참여 정도, 마을의 교육 혜택에 대한 만족도
보건 및 복지
문화 및 전통
교통 및 접근성
교육
5. 산촌 지속성지수 개발
< 지속가능성 예비지표 분야 3: 경제적 부문 >
지표
생산기반
객관적 지표
마을 내 소득 작물 생산 및 자급율, 임업소득 이용을 위한 산지비율(%), 협업체, 영림단 및
영농체(개), 특산품 및 향토음식 보유, 유기농(친환경) 농산물 재배 비율, 화학비료 사용 비율,
마을 내 공동생산기반 개소수, 마을의 공동수익 규모,
객관적 지표
마을의 주요 소득원(농사, 임업, 관광 등), 전체 소득 대비 임업 소득의 비율, 마을 평균
가구당 소득
주관적 지표
개인 소득 만족도, 노후자금 준비정도, 부채
객관적 지표
연간 산림사업 실적, 산림청 산촌개발사업 지원 여부 및 규모, 타부처 및 연관사업 유무,
지자체 고유사업, 개발 이후 소득 증가율, 마을기금조성 현황, 마을 내 관광시설,
자연휴양림의 유무, 연간 방문객 수, 주변지역 관광지와의 접근성
주관적 지표
지역 및 특산품 홍보, 마케팅 전략, 마을 주민의 지역개발에 대한 관심도,
자치단체장의 지역개발에 대한 관심도, 해당 마을 담당 공무원의 사업수행능력 및 관심도,
사업추진위원장의 사업수행능력
객관적 지표
경제활동 참여율, 산업분야별 경제활동 참가 인구 비율
주관적 지표
타 지역 이직 희망도,,마을 공공사업을 통한 일자리 창출
소득
지역개발
고용 및 인력
마케팅·유통체계 개선
6. 마케팅. 유통체계 개선
마케팅 환경의 변화
• 미국 FTA
• 중국 FTA …
FTA : 시장 개방
세계 경제 위축
• 미국발 경제 위축
• 0 성장률
• 국내 경제 위축
중국
• 저가격 경쟁자
• 시장
차별화
혁신
6. 마케팅. 유통체계 개선
산촌 산물/서비스의 차별화와 혁신
고객 가치(NEED) 에 부합하는 생산물/서비스 제공
차별화
 중국 등과 가격 경쟁력 우위를 가지기 힘들다.
 제품 자체의 차별화 : 고품질, 특산
 제품에 특정 가치 결합형 : 건강, 휴식, 이용, 한국문화 (외국인)
혁신
 산물과 서비스 결합형 혁신 : 지역 체험형 서비스, 지역 신선 음식 등
 유통 혁신 : 임산물 -> 단지화 전략 / 소량, 다품종, 분산 생산 -> 유통 지원
6. 마케팅. 유통체계 개선
마을의 요인
내부 요인
 상품의 선택
 산림자원 : 다양성, 풍부함
 경영(인적)자원 : 러더쉽, 의지, 화합(협조)
 생산 기반
외부 요인
 고객의 접근성 : 지역 접근성, 인근성 (기존 관광지역 유입), 상품 접근성, 서비스 접근성
 인근성 : 기존 관광유입 유통 혁신 : 임산물 -> 단지화 전략 / 소량, 다품종, 분산 생산 > 유통 지원
6. 마케팅. 유통체계 개선
요인의 전개 : 마을 비교
소득 우수 마을
외부요인
단점
내부요인
장점
낮은 접근성
낮은 접근성
열악한 산림자원
낮은 접근성
단점
마을명
장점
우수 상품 선정
러더십
문경 석항리
관광지 인접
경영마인드
파주 객현리
수도권
단합
양평 명달리
지리산 관광지
리더십
소득시설 집중
함양 송전리
지리산 관광지
산수유 보유
구례 위안리
6. 마케팅. 유통체계 개선
석항리의 발전요인 분석
산림과장의 마을특성에 대한 분석 → 표고재배 집단화를 통한
마을소득증진을 목표로 산촌개발사업 추진 → 표고작목반의 결성 →
질좋은 표고재배 생산으로 참여농가의 소득증대 → 농산물시장에서
석항리 표고의 경매낙찰가가 상승 → 외지에 석항리의 표고재배
입지특성이 알려짐 → 외지인들이 표고재배를 위하여 전입해 들어옴 →
표고재배 단지화의 확립 및 확대경향 → 석항리 표고의 브랜드화 가능 →
도시민들이 석항리의 표고를 직접 눈으로 보고 시식하고자 하는 욕구의
증대 가능성 → 도시와의 교류를 통한 발전 가능성 확대 → 도시민의
다양한 욕구를 반영한 표고관련 제품의 개발 → 산촌지역의 다양한 자원을
활용한 도시민 유치센터의 설립 가능성 대두 → 표고를 통한 클러스터
형성으로 지역발전을 선도 → 지속가능한 마을발전의 모델로 정착
6. 마케팅. 유통체계 개선
요인의 전개 : 마을 비교
소득 열악 마을
외부요인
내부요인
마을명
단점
장점
단점
외지인 소유 80%
수도권
주민 협조
의지
상품 선정
여주 주록리
낮은 접근성
관광지 인접
벼농사 중심
소극적 리더
가평 엄소리
생산기반 부족
농사 중심
제천 오미리
소득 작물 열악
상품 선정
양양 대치리
관광지 인접
열악한 접근성
시설 보수유지
장점
주민 단결
강릉 삼산리
6. 마케팅. 유통체계 개선
개선 방향
지역 특성(특화) 상품/서비스
 상품/서비스 개발
 이를 위한 인력 육성
 교육/지원 시스템
마케팅 / 유통
 임산물 : 소량, 채취 중심, 이용법, 브랜드화 미비
-> 다량화 : 단지화 / 수집 지원 (CB형, 지자체 지원)
보급 전문화 : 마케팅/유통 육성
6. 마케팅. 유통체계 개선
발전 방향
7. 연구 방향과 보완 사항
향후 연구 방향
산촌생태마을 사업의 평가 지표 및 평가 시스템 개발
 산촌 지속성 지수 개발
- 산촌 지속성 지수의 10개 마을 현장 조사 결과 분석
 산촌생태마을 투자효과 성과 지표 개발 : 35개 시군 조사
- 2004년 완료마을 15개, 2006년 완료마을 20개
- 현재 9개 마을 자료 접수
 우수 산촌생태마을 평가 지표 개발 : 매뉴얼 보완
 산촌생태마을조성사업 만족도 조사 : 마을별 만족도 분석
 산촌생태마을조성사업 소득 증가율 조사 : 분석 및 소득증가율 조사 방법 제안
7. 연구 방향과 보완 사항
향후 연구 방향
산촌생태마을 사업의 마케팅 방안 및 효율적인 유통 ․ 판매체계 도출
 산촌생태마을의 생산 ․ 소득사업의 효율적인 유통판매체계 및 마케팅 방안
 산촌생태마을 체험 사업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과 마케팅 방안
 커뮤니티 비즈니스, 사회적 기업 등을 통한 지역적 자립 방안 모색
산촌생태마을 지속가능성을 위한 선순환체계 방안 도출
 지속가능한 선순환체계 구축을 위한 핵심요소 분석 및 구축방안 제시
 현장사례를 바탕으로 한 모델 제시
- 강원 2개(임산소득, 복합형), 대구(로컬푸드, 유통부문), 장흥(군 단위)
7. 연구 방향과 보완 사항
산촌 모니터링
소득 및 만족도 조사에서의 방법론적 문제점과 보완
 기억에 근거한 소득 조사에서의 차이
- 사업전의 소득의 경우, 설문 조사와 최대 50%의 차이가 나기도 함
- 조사 시점(전년도) 중심의 조사
 소득 조사방법의 개선
- 개인 소득 추산의 경우, 개인적 해석에 따른 조사
- 소득의 기준에 대한 명시
- 개인별 조사 : 소득원별 조사
- 지도자별 조사 : 소득 규모별 가구 조사에 따른 추산
7. 연구 방향과 보완 사항
산촌 모니터링
자료의 정리 및 보관의 필요성
 사업 과정에 대한 기록을 제대로 갖추고 있지 않은 지자체가 꽤 많았음.
- 사업관련 서류 보관의 일원화 (예: 마을, 파일 – 지자체, 산림청)
- 보유 자료의 표준화 (필수 및 참고 자료로 구분)
만족도
 특정 계층의 배제 경향이 있음.
- 고령자, 여성, 이주자, 소수자
 조사시에 이러한 점에 유의해야 함.
 질문 구성시 자신의 만족 부분에 대한 평가 강화 -> 전체 만족도
7. 연구 방향과 보완 사항
인센티브 평가 지표
특화 부문
 경영부문과의 차별성 ***
- 주요 관점 ***
- 진행 방안
- 경영부문에 포함
- 병행 시 선정 규모
화살표는
단지 표지가 아니라
가는 이들에게
함께 하는 동료이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