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교육의 기능

Download Report

Transcript 학교교육의 기능

고대시대 교육
(P53~59)
• 그리스시대 교육
• 로마시대 교육
기능주의 사회학
(교재135~141쪽)
•개
요
•핵심요소
•기능주의 이론
•대표학자
기능주의 이론
• 개요
• 1950년대까지 주류를 이루었던 교육사회학 이론
• 사회학의 속성을 기능사회인 동시에 전문가 지배사
회로 전제
• 전개과정
• 기초 : 콩트(Comte), 스펜서(Spencer) 등의
사회 유기체설에 의해 기초가 형성
• 발전 : 뒤르껭(Durkheim), 빠레또(Pareto) 등에
의해 다양하게 발전
• 체계화 : 파슨스(Parsons)에 의해 매우 포괄적인
사회학 이론으로 정립
기능주의의 주요관점
• 기능
• 기능은 사회가 유지․존속되기 위해 수행되어야 하
는 임무 또는 활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 함
• 사회를 사회 자체의 존속을 위해 제각기 고유한 임
무를 수행하는 여러 사회구조들의 상호 유기적인
결합체로 생각
•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사회구조는 보다
전문화된 업무를 담당하는 여러 개의 상호의존적인
요소들이 체계를 이루고 있다고 주장
• 통합
• 통합의 개념은 어떻게 사회가 안정을 유지할 수 있
는가 하는 질서의 문제와 관련
• 기능주의자들의 사회질서에 대한 공통된 견해는 특
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강제력의 사용이 사회질서를
유지하는 수단이 되어서는 안된다고 주장
• 규칙과 규범은 강압 혹은 처벌의 두려움 때문에 준
수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사회성원들이 옳은 것
은 행하고 그렇지 못한 것은 삼가 해야 한다는 의식
내지 의무감이 내면화되어 있기 때문에 준수해야
한다고 주장(도덕성)
• 합의
• 기능주의자들의 주장에는 뒤르케임의 분업과 사회불
평등에 대한 관점이 반영
• 뒤르케임은 정상적인 분업은 세 가지 원칙에 따라야
한다고 주장
• 개인의 타고난 능력이나 재능에 맞는 일을 선택
• 자유의지에 따른 자발적인 선택에 의한 분업
• 정의를 실현하는 방식으로 노동이 분화
• 사회분화과정에서 나타나는 계급 구조가 개인의 타고
난 재능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외적 불평등
요인에서 비롯된 것이라면, 이것은 정상적인 합의에
토대를 두고 있지 않다는 점을 강조
기능주의 사회관
-문1-
• 사회의 모든 요소는 안정 지향적 임
• 사회의 각 요소들은 상호의존적이며, 통합적인 기능을
수행
• 사회 변화는 점진적이고, 누적적으로 진행(점진적 개
량주의적)
• 사회 체제 유지를 위해 사회 구성원들의 공동체 의식
을 강조(공민성 개발을 중시)
• 사회의 지위 배분은 개인의 성취능력에 의해 달성(업
적주의와 기회평등 및 적재적소 배치 강조)
• 사회의 가치․규범․관습 등은 구성원들의 합의에 의한
것이며, 보편적이고 객관적인 성격을 지님
기능주의 교육관
-문2~4-
• 학교는 사회의 안정과 질서에 기여하는 제도
• 학교는 사회가 요구하는 기술, 지식 등과 공동체 의식
을 전수
• 학교는 사회구조적 모순을 해결하여 주며, 사회 평등
화를 도모
• 학교에서 전수하는 교과 내용은 사회 구성원들의 합의
에 의한 것임
• 학교는 개인의 재능과 노력에 따라 공정한 평가를 하
며, 아울러 정당한 사회적 보상이 주어짐
• 학교는 지위의 사다리며, 공정한 사회 이동을 촉진
• 학교교육을 통해 각종 사회문제를 해결
기능주의 교육과정관
-문5-
• 과학적 지식이 교과과정의 핵심이며, 형식적 교과과정
을 중시하며, 조직화된 교수 전략에 따라 전달
• 지식은 객관적으로 정당화된 것이고, 학교는 지식을
가르치는 곳이다. 과학적, 객관적, 조직적인 교과과정
구성을 강조
• 지식은 각 교과형을 분류
• 학습 결과 측정과 과학적 평가에 큰 비중을 둠
• 교육 내용의 보편성, 교육 평가의 보편성, 교육목표의
보편성 등의 원칙을 강조
기능주의 선발, 배치
-문6-
• 능력에 따라 사회 진출이라는 능력주의 규범을 현실화
하기 위해서는 인력 배치를 효과적으로 해야 함
• 학교는 능력에 맞는 인력 개발 및 훈련을 시켜야 함
• 학습 능력에 맞는 학습 방법, 반 편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고 주장
• 아동들의 학업 성취에 대한 평가도 다양한 평가 방법으
로 판단(능력 평가의 가능성 및 공정성에 대한 신뢰)
기능주의 관점의 교육(요약)
-문7~11-
• 사회관 : 사회유기체설(기능, 통합, 합의)
• 교육의 기능(긍정적 기능)
• 사회화(보편, 특수)
• 사회통합
• 사회선발
기능주의 사회학의 비판
• 기존 체제의 존속, 현상유지를 옹호한다는 비판
• 통합과 합의를 강조하여 집단간의 갈등 무시
• 능력본위의 선발을 강조하여 선발의 귀속적 측면에 대
한 관심 소홀
• 학교가 학생에게 가르치려고 하는 도덕적 규범과 가치
를 학생들이 실제로 학습한다고 가정하는 오류
• 교육과정 내용이 사회적 요구나 필요에 의해 결정된다
고 생각하는 것은 오류
기능주의 사회학의 관련이론
(교재138~139쪽)
•근대화이론
•인간자본론
근대화 이론
• 헌딩턴(1976)의 근대화 과정
• 근대화의 과정은 진화, 복잡, 체계적, 전세계적, 단
계적, 동질화 등의 특성을 나타낸다
• 맥클리랜드(1961) 의 근대성 연구
• 문명의 발생과 쇠퇴는 그 사회 내에 있는 다수의 사
람들이 소유하고 있는 개인의 가치관에서 기인
• 그 사회의 발전을 가능케 하는 것은 성취동기인데
이것은 사회화(교육)를 통해 획득 됨
• Inkeles와 Smith의 근대화 이론
근대화
근대적
근대적
근대적
근대적
기관
가치
행위
사회
발전
•
비판점
• 처음 두 변인만 연구에서 밝혀지고 다른 변인들은
잘 밝혀지지 않는 점
• 근대적 가치가 전통적 가치와 양립할 수 없다는 점
• 인간 자본론 : 슐츠(1960년대) -문12~15• 교육을 “증가된 배당금”의 형태로 미래에 되돌려 받
을 인간 자본에의 투자로 보면서 인간이 교육을 통
해 지식과 기술을 갖추게 될 때 인간의 가치는 증가
하게 된다고 주장
• 인간자본에의 투자는 개인적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급속한 경제성장을 위해 요구되는 노동력의 기초를
형성함
교
육
인간능
력 향상
생산성
증대
경제
발전
개인소득
증대
인간자본론에 대한 비판 이론 -문16~17• 선발가설이론(screening hypothesis)
• 교육투자에 의한 소득격차가 교육받은 노동자들의
실질적인 생산성의 차이를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소득격차는 고학력자에 대한 고용주들의 선
호도를 반영하는 것일 뿐이라고 봄
• 교육과 소득과의 관계가 인간자본론에서 말하는 생
산성의 차이가 아니라 고용주가 교육 자격증 내지
학력을 선발 장치로서 활용함으로써 발생한다고 주
장
• 이중노동시장론
• 노동시장은 단일노동시장이 아니라, 1차시장구조
와 2차시장 구조로 분할되어 있다고 주장
• 1차시장 구조는 교육과 훈련을 받고 고용되어 능력
에 따라 상위이동이 가능한 노동자로 구성
• 2차시장 구조는 교육과 훈련에 상관없이 승진의 기
회가 전혀 주어지지 않는 노동자로 구성
• 2차 노동시장에 편입된 사람에게는 인간자본론이
적용될 수 없다고 주장
• 개인의 소득 결정력은 개인의 생산성에 관계없이
노동시장의 분할구조에 의해 결정
• 급진적 접근
• 자본가들의 의도에 따라 노동시장이 하나의 연속적
이고 경쟁적인 것이 아니라 서로 상이한 속성을 가
진 근로자가 분단된 상태의 노동시장으로 분할 되
어 있다고 봄
• 교육은 기회의 평등화 장치로서보다는 대중들이 소
수 자본가들의 소망대로 행동하도록 사회화시키는
장치라고 주장
• 공교육은 교육의 기회균등 차원보다는 자본가들의
이익을 위해 존재하는 대중 교화의 도구라는 것이
며, 공교육이 사회적․경제적 변화를 위한 매개체로
서 간주될 수 없다고 주장
기능주의의 대표적 학자
(교재139~141쪽)
•Durkheim
•Parsons
•Dreeben
Durkheim의 교육사회학
-문18~19-
• 교육과 사회, 사회화
• 교육의 주된 목적(기능)은 개개인의 능력과 잠재성
을 계발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가 요구하는 능력과
재능을 계발
• 전체 사회로서의 정치사회(보편사회화)와 그가 종
사해야 할 특수환경(특수사회화)의 양편에서 요구
하는 지적․도덕적․신체적 제 특성을 아동에게 육성
․계발
• 도덕교육
• 기계적 연대 사회에서 유기적 연대사회로 전환됨으
로 새로운 가치체계 확립 강조
• 도덕교육은 사회화를 담당하는 기관은 학교가 제일
적합하다고 봄
Dreeben의 학교의 사회적 규범-문20~21• 독립심
• 지금까지 부모, 형제에게서 받아 오던 의존관계에서 독립되어 교실
상황에서 독립심이라는 사회 규범을 학습하게 됨
• 성취
• 학교교육은 교과교육 뿐만 아니라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줌으로써 성취의 규범을 사회화 할 수 있도록 함
• 보편성
• 같은 연령의 학생들이 동일한 학습내용을 배움으로써 획득하게 됨
• 특수성
• 학년이 높아 갈수록 적성에 맞는 분야를 집중적으로 학습해 갈 수
있도록 학교가 마련해 줌으로써 획득하게 됨
Parsons의 사회체제론(AGIL) -문22• 적응(A : adaption)의 기능
• 사회존속에 필요한 자원을 확보해야 한다는 사회체
제의 기능(예 : 경제적 기능)
• 목표달성(G : goal-attainment)의 기능
• 사회의 주된 목표를 달성해야 한다는 사회체제의
기능(예 : 정부의 기능)
• 통합(I : integration)의 기능
• 사회적 일탈자를 규제함으로써 사회통합을 담당하
는 사회체제의 기능( 예 : 법원)
• 잠재성(L :latency)기능
• 사회적 ․문화적 행동 양식과 삶의 존재방식을 공급,
유지, 갱신해야 한다는 사회체제의 기능( 예 : 가정,
학교의 사회화 기능)
갈등주의 교육이론
(교재141~143쪽)
•사회관
•교육관
갈등주의 교육사회학
• 전개과정
• 기초 : 마르크스(Marx), 베버(Weber)
• 근대 : 보울스(Bowles), 긴티스(Gintis)
카노이(Carnoy)
• 현대 : 일리치(Illich), 라이머(Reimer),
프레이리(Freire)
사회구조의 개념과 교육 (Marx)
• 사회구조 : 사회를 구조적으로 상호 연결된 총체라고 생각
• 하부구조 : 사회의 토대를 이루는 경제
• 상부구조 : 정치, 법, 이데올로기로 구성
• 하부구조에 의해 상부구조가 결정
• 사회의 계급구조
• 생산자 집단
• 생산수단을 소유하고 통제하는 집단
• 두 집단은 본질적으로 갈등관계에 있다고 인식
갈등주의 사회학의 주요 요소
• 갈등
• 제각기 다른 목적을 위하여 일하는 사회제도와 집
단을 강 조하며, 이들간에 갈등이 존재
• 변동
• 집단간의 계속적인 권력투쟁이 지속되며, 때로는
안정적인 기간이 있기 도 하지만 이러한 안정은 지
속되지 못하여 급격한 변동과 격변으로 바뀌는 것
이 일반적인 현상
• 강제
• 갈등과 변동의 과정에서 권력을 잡은 특정 집단은
다른 집단을 강압적인 수단으로 지배
• 학교교육의 기능
-문24~25• 생산력과 관련된 학교교육의 기능
• 노동력 재생산의 기능
• 생산관계와 관련되어 있는 학교의 역할
• 대립되는 계급의식이 지배와 복종이라는 사회관
계를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그것에 순응하
는 태도와 가치를 내면화시키는 과정을 필요로
하게 됨
• 이념적 기구로서 학교의 위상과 기능
• 생산관계로 구성되어 있는 경제구조가 사회의
진정한 토대
• 경제구조는 법적․정치적인 상부구조를 유발시
키고, 사회의식은 이에 대응한다고 주장
갈등론적 관점의 사회관
• 모든 사회는 변화 지향적 임
• 모든 사회는 불일치와 갈등이 일어남
• 사회 변화는 급진적이고 비약적으로 진행(급진적 개혁
주의적)
• 사회의 각 집단은 경쟁적이며, 대립적인 관계지님(의
식화 중시)
• 일반적으로 사회가 선호하는 가치는 지배 집단과 관련
성을 강조 (이데올로기 주입 비판)
• 사회의 각 기관들은 지배 집단의 이익에 봉사
• 사회갈등의 원인은 재화의 희소성과 불평등한 분배에
기인함(평등분배를 위한 재구성을 강조)
갈등주의 교육관
-문26-
• 학교는 기존의 위계질서를 공고히 하며, 지배계급의
이익에 종사하는 도구
• 학교는 기존의 질서를 재생산함으로써 사회 불평들을
영속화
• 학교는 피지배 계층에게 기존의 불평등 위계 구조에
순응하도록 강요하는 이데올로기적 기관
• 학교는 지적 기술보다는 지배 계층이 선호하는 가치관,
규범, 태도를 은밀히 강조
• 학교에서 행하는 능력주의 이데올로기는 지배논리를
정당화하는 도구
-교재142쪽-
갈등주의 교육과정관
-문27-
•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지식은 특수 사회계층의 영향력
을 받고 있다는 것에 불과하다고 주장
• 교육과정 계획이나 교과의 우선 순위를 정하는 일이
결코 객관적일 수 없다고 진단
• 교육과정을 지식사회학의 관점에서 취급하고 있는 갈
등론자들은 교육과정을 사회 권위, 권력, 사회계층, 학
교 조직간의 연계 관계에서 파악
갈등주의 선발배치
-문28-
• 능력에 따른 사회 진출이라는 능력주의 규범은 허구이며,
능력주의 교육관은 자본주의적 질서를 정당화하는 것일
뿐이다고 주장(계급 재생산론)
• 학교를 일류학교, 이류학교, 또는 우열반 같은 편성을 통
해 계급적 선발과 분배 과정을 정당화 시킨다고 파악
• 잠재적 교육과정에도 많은 관심을 기울이며, 그 속에 내
재된 계급성을 찾아내려 하며 때로는 학교를 교도소에
비유하기도 함
갈등주의 공헌점
• 학교와 사회의 기본적 문제를 강력하게 드러냄
• 현행 학교제도의 문제점을 학교제도 내에서만 찾기보
다 사회구조적 문제와 연결시킴
• 기존에 당연시되어 오던 문제들(예컨대 능력주의 이념)
에 대해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하고 그 허구성을 지적
• 학교교육의 사회적 성격을 해석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해석틀을 제공 함
갈등주의에 대한 비판
• 구조결정론에 빠져, 교육이 경제구조나 문화구조에 의
해 일방적으로 그 성격이 결정
• 사회구조를 단순히 이분법에 따라 설명한다.
• 학교의 부정적인 기능 지나치게 부각
• 교육이 국가 공동체적 의식을 높이는데 기여한 점을
과소평가
• 능력에 따른 사회적 상승이동에 기여한 학교교육의 공
헌까지 무시
• 갈등론자들은 학업성취와 사회계급간의 상관에 대한
문화결손이론의 설명을 거부
갈등주의 관련이론
(교재144~147쪽)
•경제적 재생산이론
•문화적 재생산이론
-교재144쪽-
경제적 재생산이론
-문32~34-
• 개념
• 학교가 학교 내의 사회관계를 자본주의 경제 구조
의 사회 관계와 일치시킴으로써 자본주의적 생산
관계를 재생산한다고 주장
• 학교교육은 능력주의 이데올로기를 통해 경제적 불
평등을 정당화․합법화함으로써 지배계급의 위치를
재생산하는 기능을 담당케 함
• 대표적인 학자 : Bowles & Gintis
• Bowles & Gintis의 대응원리
-문34-
• 교육이 노동 구조의 사회 관계와 똑같은 사회 관계로
운영되고 있다는 점을 주장
• 초등학교에서는 하위직에 적합한 복종․순응․시간엄
수 등을 은밀히 가르침
• 중등학교에서는 중간직에 적합한 지식․가치․규범 등
을 은밀히 가르침
• 고등교육에서는 최고 경영자에 적합한 인성 체계인
독립심․창조력․리더십 등을 은밀히 전수한다고 주장
• Althusser의 사회 구성체론
• 국가란 지배계급이 노동자계급에 대한 지배를 가능
하게 억압하는 기구
• 이데올로기적 국가 장치
㉠ 종교제도
㉡ 교육제도
㉢ 가족제도
㉣ 정치제도
㉤ 문화
㉥ 노동조합
• 교육제도는 생산력으로서의 노동력을 산출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며, 지배계급을 위한 생
산력과 생산관계를 재생산하는 수단
• 교육제도는 노동의 기술과 효율성을 재생산하고 지
배하는 이데올로기를 정당화하는 장
• 학교를 기성의 사회질서에 순종하는 의식상태를 조
성하는 장치라고 주장
문화적 재생산이론
-문35~41-
• 개념
• 자본주의 사회가 경제적 모순에도 불구하고 자연스럽
게 유지되는 이유를 지배계급이 선호하는 문화를 학
교교육에 투입시켜(문화전횡) 불평등한 사회적 관계
를 정당화시키는 재생산적 기구라고 주장
• 피지배계급의 아동들은 문화적 전횡에 의해 교수되는
내용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결과적으로 그
들의 학업성취도는 낮아질 수 밖에 없다고 주장
• 상대적으로 지배계급의 아동은 교수내용을 잘 이해하
고 지적으로 탁월함을 과시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많다
고 주장
• P.Bourdieu의 문화적 재생산론-문39• 기존의 사회질서는 물리적 강제의 결과가
아니라, 상징적 폭력(Symbolic violence)의
표현에 불과하다고 주장
• 문화자본
• 하비투스(habitus)적 문화자본 : 어렸을 때부터
계급적 배경에서 획득한 지속적인 성향
• 객관적인 문화자본 : 책, 예술작품
• 제도화된 문화자본 : 졸업장이나 자격증과 같은
제도화된 상태로서의 문화자본
• 학교 교육은 지배계급의 하비투수를 합법적
으로 전수하는 곳임을 지적 함
-교재147쪽-
국가론적 이론(The State Theory) -문43• 국가론적 관점은 기계론적 결정론에 부정적이며 국가의
상대적 자율성을 강조
• 국가의 자율성은 결국 토대 구조의 테두리 안에서 일어나
며, 지배계급의 질서를 효과적으로 운영하도록 도모
• 국가가 가지고 있는 상대적 자율성도 지배계급의 질서를
효과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일정한 영향력으로 물적 토대
인 경제구조에 의해 지배를 받음
• 국가에서 주도하는 교육은 지배계급이 선호하는 가치관,
규범, 태도, 신념체계를 반영하고 있다고 주장
• 국가론의 입장을 가진 사상가들
-문44-
• 불란짜스 : 국가의 중립성을 환상에 불과
• 알뛰세 : 지배 이데올로기로 포장된 지식을 주입
• 그람시 : 학교는 계급관계유지의 도구
• 애플 : 학교는 국가, 문화, 경제 헤게모니 투쟁의 장
탈재생산 이론
(교재147~150쪽)
•저항이론
•자율이론
저항이론
-문45~52-
• 개념
• 학교교육을 통해 사회의 불평등한 구조를 타파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암시
• 인간은 사회의 불평등한 구조에 저항․도전․비판하
는 존재로 전제
• 학교가 사회계급구조의 반영물이라면 학교교육을
통해 사회모순을 개혁한다는 것은 논리적으로 설득
력을 잃게 된다고 비판
• 대표적인 학자 : Wills
Wills의 저항이론
• 연구대상 : 남녀 공학계 중등학교 하위계층학생
• 문화적 특성 : 부모들의 공장문화에 영향을 받음
• 학교생활 : 담배 피우기, 비속어 등 지배구조에 순응
하지 않는 행위표출
• 저항행위 근거
• 간파 : 사회체계가 구조적으로 불평등하다는 것을 인식
• 한계 : 구조적 불평등 체계로 인해 자신들의 열등한 위치에서
벗어날 수 없다고 생각
• 미래의 직업 : 노동자로 재생산(육체활동 지향적 문화 영향)
교육자율이론
-문53~54-
• 번스타인은 학교 교육과정의 조직 원리를 분석함으로
써 교육이 경제관계로부터 지닐 수 있는 상대적 자율
성을 설명
• 교육과정을 조직 요소
• 분류 : 과목간, 전공분야간, 학과간의 구분
• 구조 : 과목 , 학과내 조직의 문제로, 계열성의
엄격성, 시간배정의 엄격도 등을 포함
• 사회부문간의 분류가 강한 시대에는 교육과 생산간의
구분이 분명하기 때문에 교육내용 및 교수활동에 관한
많은 부분이 교육담당자들의 영향력 아래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교육의 자율성이 상당히 보장
• 교육과 생산간의 경계가 약한 시기는 교육과 생산의
관계가 밀착되었음을 암시하는 것으로 학교는 상대적
으로 자율성을 상실
해석적 접근
(교재150~152쪽)
•상징적 상호작용
•민속방법론
•현상학
상징적 상호작용이론
-문57~59-
• 상징적 상호작용이론 의미
• 사물이나 인간행동의 의미를 해석하는 힘은 인간이
갖는 핵심적이고 두드러진 특징
• 인간이 기호, 몸짓, 언어 그리고 문자와 같은 상징
을 통해서 상호작용 함
• 사람들은 세계에 대해 직접 반응하는 것이 아니고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사건이나 사물에 부여되는
의미(meaning)에 따라 반응
• 개개인이 주관적인 입장에서 어떻게 사회현상을 이
해하고 주위환경에 적응해 나가는 가를 해명하는
이론
학자들의 연구
• 쿨리(Cooley)의 거울자아 이론
• 자아개념은 다른 사람에게 비친 나의 모습을 스스
로 상상해 봄으로써 형성
• 미이드(Mead)의 자아형성과정의 단계
• 놀이단계, 게임의 단계, 일반화된 타자
• 로젠탈과 제콥슨의 기대효과에 관한 연구
교육 현상학
• 개념
• 교육의 제 과정에 대해 생생하게 느끼는 참여자의
체험세계 또는 교육적 대상에게 의미를 부여하는
참여자의 의식세계를 기술함으로써 교육의 본질세
계를 파악
• 현상학의 특징
• 생활세계가 모든 이론이나 지식의 근거가 된다고
보며, 생활세계를 표출시켜 그 본질적 구조를 탐구
• 모든 지식이 인간의 의식에 의해 구성된다고 보고,
모든 지 식은 주체와 관련이 되어질 때에만 이해될
수 있다고 주장
• 본질적 구조란 개체를 통해 상호주관적으로 이루어
진다. 이런 논의는 지식교육이 교사와 학생의 의식
과 관련하여 이루어져야 한다는 근거를 제시
민속방법론
-문60~62-
• 의미
• 민속방법론(ethnomethodology)은 일반 민중이 그들의
일상사를 통해 예시하는 상호작용 및 사회조직의 속성
을 창출해 내고 이해하기 위해 사용하는 일반민중의
방법에 대한 체계적 이해와 관점을 의미
• 민속방법론은 사람들이 사회적 현상에 대한 의미를 어
떻게 구성하고, 사회적 현상을 어떻게 정의하며, 또 그
러한 정의에 따라 어떻게 행동하느냐에 주된 관심
• 민속방법론에 따르면, 인간은 사회적 현상을 단지 수
동적으로 받아들이기만 하는 기계적 존재가 아니라 실
제의 의미를 상호 주관적으로 구성하는 능동적 해석
능력을 소유한 존재
신교육 사회학
(교재152~157쪽)
•신교육사회의 배경
•지식과 이데올로기
•언어사회적 접근
신교육사회학의 배경
-문62~65-
• 영국은 교육의 불평등이 초래하는 원인을 제거하기 위
해 조기선발 시험제도를 없애고 복선제를 단선제화 함
으로써 교육의 기회를 개방
• 교육개방에도 불구하고 영국사회는 교육불평등이 계
속됨을 경험
• 교육불평등은 교육 그 자체의 속성 때문이 아니라 전
체사회의 구조적 불평등이 교육에 그대로 반영되었기
때문임이 밝혀 짐
신교육사회학의 성격
• 종전의 구조 기능주의 시각에서와 달리 학교교육에 대
한 새로운 해석을 가능하게 함
• 학교 내부 현상에 대해 관심을 두게 되었고 연구방법
론상 양적 연구에서 질적 연구로 전환
• 교육에서의 여러 문제를 상대적인 것으로 보고 모든
전제에 의문을 제기
• 사회적 현실의 창조와 구성에 적극적인 참가자를 다루
는 능동적 인간관을 기저로 함
• 교육활동에 관여하는 사람들이 그들의 일상적 세계를
구성하고 정의(定議)하고 관리하는 과정에 대한 연구
를 중시
신교육사회학의 문제의식
• 일상적인 학교의 규칙들은 학생들이 지배집단의 이데
올로기를 학습하는 것을 어떻게 도와주고 있는가?
• 과거와 현재의 특정 교육내용은 어떻게 지배집단의 이
데올로기를 반영하고 있는가?
• 교육자들이 자신들의 행위에 의미를 주고 질서와 방향
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본적인 관점 속에 지
배 집단의 이데올로기가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가?
지식 사회학과 신교육 사회학
-문66-
• 지식 사회학 개요
• 모든 지식은 사회적으로 구성되며 또한 지식을 획득하는 사람들
의 문화를 통해 걸러지고 해석 됨
• 사회집단마다 실재를 다르게 인식하고 해석한다는 데에 관심
• 지식 사회학의 지식관
• 지식의 존재 구속성
• 지식의 상대성
• 지식의 가변성
• 지식 사회학의 학교관
• 학교지식은 중립적인 것이 아니며 어떤 집단의 신념이나 관점을
반영하고 있는 사회적 산물 중에서 선택 됨
지식과 이데올로기(Young) -문67~73• 기능주의 지식관 : 산업사회의 가치, 목표에 부합
하는 지식
• 신교육사회학 : 지배계급의 계급적 배경이 영향
• 학교의 지식
• 절대적 진리로서 가치를 지닌 것이 아니라 사회적․
정치적 통제와 관련된 것이므로 지배집단이 그들의
특권을 유지하기 위해 그러한 교육과정을 제공
언어사회학적 접근 (Bernstein) -문74~75• 계층에 따른 언어모형
• 중류계층
• 정교한 어법을 사용, 문장 구성이 복잡하고 정교하며 문법
체계가 비교적 정확 함
• 하위계층
• 제한적 어법을 사용, 의미의 분별이 어려우며 문장 구성이
단순하고 문법체계가 부정확하며 사용하는 어휘나 상징의
수준이 낮음
• 학교의 언어모형과 학업성취
• 학교의 언어모형은 정교한 어법을 선호하기 때문에 이런
언어모형을 어렸을 때부터 자연히 습득한 중산층 아동은
유리한 입장에 놓이게 되며 아울러 학업성취 면에서 그렇
지 못한 아동보다 높을 수 밖에 없다.
맥닐(McNeil)의 방어적 수업 -문76~77• 맥닐은 학교 교육의 두 가지 과제(지식 전달과 학생 규
율)가 어떻게 관련을 맺어 미 특유의 교수방법이 나타
나게 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 맥닐은 교사들이 학생들의 불만으로 최소한으로 줄여
학습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단편화, 신비화, 생략, 방
어적 단순화로 특징지을 수 있는 교수방법을 사용하게
된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 그러한 방어적 수업은 학생들이 미국 사회의 경제제도
나 정치제도에 대한 비판의식을 가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고 하였다.
Wallace의 교육과정의 우선순위-문78• 왈라스(A. Wallace)는 사회의 이념적 변화에
따라 교육과정의 강조점이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 함
• 사회적 역사 변화
• 혁명기→ 보수기→ 복고기
• 교육과정 시기별 강조점
• 혁명기 : 도덕성 강조
• 보수기 : 실용성(기술)강조
• 복고기 : 도덕성 강조
교육과 사회평등
(교재157~160쪽)
•평등화론
•불평등재생산
•무관론
글랜네스터(Glennerster)의 견해
• 구시대의 관점
• 교육은 사회불평등을 존속시키는 장치
• 능력주의적 관점
• 능력에 따른 교육과 사회적 지위배분
• 평등주의적 관점
• 교육기회균등 배분과 결과평등-사회구조 변화
• 마르크스주의적 관점
• 교육은 사회불평등 장치
• 현실적 평등주의 관점
• 교육이 사회평등, 불평등에 결정적인 요인이 아님
평등화론(기능주의)
-문79~81-
• 교육을 통하여 불평등을 해소 또는 감소
• 교육을 통하여 사회적 지위의 분배를 능력 본위로 만듬
• 교육이야말로 모든 사람의 삶의 기회를 평등화하는 가장
중요한 기관(보상교육)
• 개인이 받은 교육과 초기 경험은 그의 직업적 성공에 큰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영향력은 배경 요인보다 강함
(Blau와 Duncan, 1967)
부의
교육 .310
V
본인의
교 육
U
.394
.440
.516
Y 현재직업
.115
X
부의
직업
W
.281
.224 첫 번째 직업
0
가정배경
+
직업적 지위
++
E
(인지적인 면)
• 평등화론의 비판
• 교육은 초기의 직업 지휘 획득에는 명백한 영향을
주지만, 소득의 결정에는 큰 영향을 주지 못한다.
• 교육을 통하여 개인의 직업 수준은 향상되지만 사
회 전체의 계층 구조는 여전히 그대로 남아 있다.
(Boudon, 1973)
불평등 재생산론(갈등주의)
-문82~87-
• 교육은 기존 사회계층 구조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지
못하고, 재생산하며 때로는 불평등을 더욱 조장 함
• 학교 교육 기회가 모든 사람에게 평등하게 분배되는
것이 아니라 상급 교육은 상층의 자녀에게 주어지고
그들이 다시 상층을 차지하므로 교육은 사회 불평등을
재생산 함 (Bowles와 Gintis)
• 교육은 지배층의 이익에 봉사한다. 즉, 교육 수익률이
높을 때(교육의 경제적 가치가 높을 때)는 중‧상류층
이 다니면서 그 이득만 취하고 하류층은 이득도 없이
뒤만 따라 다닌다. (Carnoy, 1972)
++
가정배경
+
수입+직업적 지위
+
교육
(정의적인면)
• 비 판
• 교육이 마치 계급 구조의 유지에 결정적 역할을 하
고 있는 것으로 과장하는 경향이 있으나 교육의 사
회적 평등 또는 불평등과의 관계는 그렇게 까지 크
다고 할 수 없다.
Carnoy의 수익률 곡선(1972) -문83교 육
수익률
초등
교육
1단계
중등
교육
2단계
고등
교육
3단계
교육의 성장 단계
4단계
(시간)
• 교육이 사회 평등화에 아무런 이바지도 못하고 기존
계급 구조를 재생산하기만 한다. (Wright와 Perrone의
경험적 연구, 1977)
-문84고용주
$30,000
관리자
$20,000
노동자
$10,000
0
1
2
3
4
교 육
5
6
무관론
• 교육은 사회 평등 또는 불평등과 관계가 없다.
• 교육 수준이 개인의 직업 생산성에 영향을 준다는 근
거는 찾을 수 없다(Berg, 1971).
• 교육의 사회 평등화 기능에는 회의적이다. (Sewell과
Hauser, 1975)
• 개인간의 소득의 차이에 대해 가정 배경, 지적 능력, 교
육 수준, 직업 지위를 동원하여도 설명할 수 없었다.
학교는 평등화에 관한 한 아무것도 하지 못한다.
(Jenckes, 1972)
0
가정배경
+
교육
(인지적인면)
수입
0
교육의 기회균등
(교재161~163쪽)
•콜맨(Coleman)의 교육 평등관
•훗센(T. Husen)의 교육 평등관
•교육평등관의 종합적 관점
콜맨(Coleman)의 교육 평등관
• 산업화 이전의 단계 : 전통사회의 관점
• 산업혁명 이후의 초기 산업화 단계 (초등교육의 의무화)
• 교육의 기회는 당연히 차별이 있어야 된다는 입장에서, 일반 국민
들을 대상으로 하는 학교교육이 발전하던 초기 단계
• 1차 세계 대전 이후 최근까지의 지배적인 입장
• 사회 경제적 제약 때문에 교육을 못 받는 일이 없도록 무상교육을
실시하고 각종 교육 지원 제도를 마련
• 교육을 받을 만한 지적 능력을 소유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적절한
수준과 종류의 교육을 받는 단계
• 결과평등의 단계
• 교육의 목적은 학교에 다니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사회에서 살아
가는 데에 필요한 것을 배우는 데 있으므로 배울 것을 누구나 제대
로 배울 수 있게 해 주어야 한다는 단계
훗센(T. Husen)의 교육 평등관
• 보수주의적 평등관 (콜맨의 2단계에 해당)
• 인간의 생득적 능력의 차이를 인정하고 그 능력에 따라 교육이
달라져야 한다는 입장
• 자유주의적 평등관 (콜맨의 3단계에 해당)
• 미국과 사회주의 국가들에는 좀더 일찍, 그리고 서구 여러 나라
에는 2차 세계대전 이후에 등장한 교육 평등관
• 모든 사람이 평등하게 태어났기 때문에 사회생활의 출발점에 있
어서 똑같은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는 입장
• 보상적 평등관 (콜맨의 4단계에 해당)
• 학교를 다닐 수 있는 기회뿐 아니라 배울 것은 누구나 제대로 배
울 수 있게 해주어야 한다는 입장
• 교육결과의 균등까지 포함하는 적극적 의미의 기회균등의 개념
교육의 기회평등의 종합(김신일) -문88• 허용적 평등
• 모든 사람에게 동등한 교육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는 관점
• 교육을 받을 기회는 모든 사람에게 주어지지만 각
기 다른 수준의 능력과 다른 종류의 재능은 타고난
다고 믿기 때문에 교육의 양은 능력에 따라 기회가
주어져야 함
• 이제까지는 신분, 성, 종교, 인종 등을 이유로 차별
해 오던 것을 철폐함으로써 누구나 원하고 능력이
미치는 데까지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허용
• 인재군(人材群, pool of ability) 또는 재능 예비군
(reserve of talent)은 이러한 관점을 반영
• 보장적 평등
-문89~90-
• 교육을 받을 기회를 허용하는 것만으로는 완전한
평등의 실현이 불가능하므로 교육 평등을 실현하기
위하여 취학을 가로막는 경제적, 지리적, 사회적 제
반 장애를 제거해 주어야 한다는 이론
• 교육 기회의 확대는 가져왔지만 계층간의 분배 구
조를 변화시키는 데까지는 미치지 못함
• 2차 세계대전 후 유럽에서 보장적 평등정책을 추진
(영국 1944년 교육법)
• 교육 조건의 평등
-문91~92-
• 교육의 평등은 단지 취학의 평등이 아니라 평등하
게 교육활동을 제공하는 학교 체제를 의미(콜맨)
• 교육과정 운영상의 모든 조건(교사의 자질, 교육과
정, 교육시설 등)평등성을 유지해야 함을 의미
• 우리나라의 고교평준화는 개념상 교육조건의 평등
화지만 실제는 조건의 평등보다는 학생의 학교간
균등배치에 근본 목적
• 콜만 보고서 요약(Coleman Report)
• 교육의 격차는 부모의 사회 경제적 배경에 의해 유발.
• 학생의 가정 배경은 학생의 학업 성취에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며 학교 생활 중 지속적인 영향을 줌
• 학교의 물리적 시설, 교육과정, 교사의 자질 등은 성적
에 매우 미세한 영향을 주는데 이중 교사의 자질은 학
교의 다른 특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성적에 주는 영향
이큼
• 학생 집단의 사회구조는 가정 환경과 별도로 학교의
다른 어떤 요인보다 학생의 성적에 영향이 큼
• 학생이 환경을 통제할 수 있다는 신념과 태도는 학생
의 성적과 매우 관계가 깊다.
• 학교 특성 변인 중 학생 구성 특성과 교사의 자질이 성
적에 주는 효과는 전체 10%정도 임
• 결과 평등
-문93~96-
• 교육을 받는 것은 단순히 학교에 다니는 데에 목적
이 있지 않고, 배워야 할 것을 배우는 데에 목적이
있으므로 교육 결과가 같아야 한다는 관점
• 결과의 평등을 이루려면 우수한 학생보다 열등한
학생에게 더 좋은 교육조건을 제공하는 일종의 역
차별 교육
• 결과의 평등을 위한 보상 교육이 등장
• 사회 개혁에 의한 교육 평등
• 자본주의 사회의 교육 문제는 그 사회가 지니고 있는
모순의 반영이기 때문에 그 문제는 사회 자체의 모순
이 해소됨으로써만 해결된다는 마르크스주의자들의
주장
• 교육 불평등은 사회 불평등의 반영에 불과하므로 사
회가 평등해지기 전에는 교육의 불평등은 지속됨
• 교육의 평등화를 위한 조치는 그것이 비록 최선의 것
이라 할지라도 사회에 현존하는 불평등 구조를 넘어
설 수 없다고 주장 (Bowles. 1977)
교육의 불평등 원인
(교재164~165쪽)
•능력주의
•문화환경 결핍
•사회구조론
능력주의
-문101-
• 개방사회는 사회적 지위가 세습되는 것이 아니라 획득
된다는 이념을 근간으로 한다. 지위의 획득이란 곧 개
인의 능력에 따라 사회적 지위가 결정 됨
• 능력주의라는 입장에서 보면 교육 불평등의 원인은 주
로 지능이나 적성 등 학생의 타고난 능력이나 성취동
기에 기인하는 것으로 간주 함
• 던칸(0. D. Duncan 1961)은 지능은 본질적으로 학업
성취라든지 직업 세계에 있어서의 지위와 다를 바 없
다고 주장
• 젠센(A R Jensen)도 지능이 직업적 지위를 결정해 주
는 추세는 앞으로 계속되어 갈 것이라고 주장
문화환경 결핍론
-문102~106-
• 교육의 불평등은 아동이 처한 환경 때문에 불평등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 가정의 사회문화적 환경, 즉 언어를 사용하는 방식이
나 부모의 교육수준 등에 있어 상대적 결핍이 학교에
서 다른 학생에게 학업성취가 뒤떨어지는 요인이 되고
결과적으로 교육의 불평등을 가져온다는 것이다.
•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높은 학생일수록 인문계열
에, 낮은 학생일수록 실업계열에 배치되는 현상이 높
게 나타난다는 것이다(이세용, 1986).
• 동일한 IQ를 지닌 아동끼리도 사회적 배경에 따라 교
육적 성취도는 크게 달라진다고 보고하고 있다
(Bowles,1977).
사회구조론
• 교육기회는 물론 학교교육과 관련한 불평등이 사회구
조적 불평등에서 기인된다는 점을 강력히 주장하고 있
다.
• 사회재생산론의 입장에서 자본주의 사회를 유지하기
위해 지배계층은 교육을 통하여 생산체제에서 요구하
는 유순함과 복종심이 강한 노동력을 배출함으로써,
자본주의 사회 계급구조를 강화하고 계층간 불평등을
세대전수 시킨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교육의 불평등
-문107~110-
• 우리나라 교육의 양적 성장
• 교육과 경제발전 기여할 수 있다는 낙관론 지배
• 945년에 비하여 1971년의 학생수가 초등학교는 3.5배,
중학교는 약 8배, 고등학교는 약26배, 대학은 약 183배로
폭증
• 2005년 대학진학률은 82.05%(남 : 83.3, 여 : 80.8)
남녀 대학진학률 추이(2년제 이상)
82.8
75.8
81.5
79.7
남성 73.1
83.3
80.8
77.8
여성 67.6
72.4
2001 2002 2003 2004 2005
• 우리나라 교육의 양적 성장에 대한 비판
• 교육의 양적 성장이 교육의 기회 개방에만 집중
• 한국인이 가지고 있는 지나친 고학력 선호는 편향된
가치관으로서 교육결과의 균등한 분배를 저해 함
• 한국의 학교교육은 교육의 질을 개선시키기 위한 노
력은 기울이지 못함
• 지역간 교육 불평등
• 교육기회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학교가 비교적 대
도시에 편중되어 있어 지역간의 교육격차를 유발
•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제외하고는 지역간의 격차가
크고, 특히 유치원과 대학의 편재 현상이 심함
• 계층간 교육 불평등
• 취학전 유아교육에 있어서 수익자 부담의 원칙이
계층간의 불평등 요인 됨
• 부모의 교육수준이 일류대학 입학생의 배경요인으
로 영향을 줌
교육기회분배의 결정요인
• 사회계층요인
•
•
•
•
•
가구주의 직업
부모의 교육수준
연령
출생지역, 성장지역, 거주지역
소득과 재산
•
•
•
•
•
부모의 지적능력 수준
교육에 대한 기대와 태도
가정의 심리적 교육환경
가정의 물리적 교육환경
투입교육비
• 가정요인
• 본인요인
• 자아개념
• 성취동기
• 환경과 외부의 상활에 대한 인식
• 지적 능력(지능, 초기학업능력)
• 교육제도요인
• 학교의 종류
• 입시제도
• 교육정책( 예 : 평준화 정책)
교육의 기회분배 수준측정
(교재166쪽)
•취학률
•진급률
•탈락률
•교육선발지수
• 취학률
• 사회계층별로 전체 취학대상 인구 중 몇 %가 학교에
취학하고 있는가를 살펴보아 교육기회가 어느 정도
균등하게 분배되고 있는지 측정
• 진급률
• 입학 당시의 학생수를 기준으로 하여 각 학년마다 진
급한 학생수의 비율을 비교하려는 집단별로 계산
• 탈락률
• 사회계층별로 진급에서 탈락한 낙제자와 퇴학자의
비율을 살펴보아 교육의 기회균등을 측정
• 교육선발지수
-문111-
• 전체학생에 대한 집단별 학생의 구성비의 전체인구
에 대한 해당 집단 인구 구성비의 비율
집단의 학생
교육선발지수 =
전체학생
× 100
× 100
집단의 인구
전체인구
× 100
• 지니계수(Gini Cofficient)
• 본래 소득의 분배상황을 말해주는 지수인데, 이것을
교육기회의 분배상황 측정에 빌려온 것
• 집단별 선발지수를 모아서 하나의 종합지수로 표시
• 범위는 0≦G≦1이고 󰡐1󰡐쪽으로 갈 수록 분배의 불평
등 정도는 더욱 커짐
시험의 기능
교육적 기능
•자격 부여
•경쟁 촉진
•선발
•목표와 유인
•교육과정 결정
•학습성취의 확인과 미래학
습 예언
-문112~114사회적 기능
•사회적 선발
•지식의 공식화와 위계화
•사회통제
•사회질서의 정당화와 재생
산
•문화의 형성과 변화
교육선발과정
-문115-
• 교육 선발의 분류(E. Hopper)
•
•
•
•
형식 : 표준화 정도-강한 형식, 약한형식
시기 : 조기선발, 만기선발
대상 : 정예주의, 보편주의
기준 : 집단주의, 개인주의
• 우리 나라의 교육 선발의 성격
• 중앙집권과 표준화
• 만기 선발
• 대상의 보편주의
• 기준의 개인주의
교육선발제도와 경쟁구조
-문116-
11세
교육소외 계층
신분제 사회와 분리형
교육경쟁구조
대
조기, 다단계 선발제도와 쌍봉형
교육경쟁 구조
대
고
고
중
중
초
초
다단계 선발구조와 피라
미드형 교육경쟁구조
만기선발, 평준화 제도와 병
목형 교육경쟁구조
학력상승의 기본이론
(교재169~174쪽)
•학습욕구이론
•기술기능이론
•지위경쟁이론
•신마르크스이론
•국민통합론
학습욕구이론
-문120-
• 이론적 배경
• 인본주의 심리학(Maslow욕구계층론)
• 학력상의 원인
• 하급학교의 학습욕구 충족
• 문제점
• 오늘날의 학교가 학습 욕구를 제대로 충족시켜 주
는 기관이라는 사실을 단적으로 입증하기 어렵다.
기술기능이론
-문121~122-
• 이론적 배경 : 기능주의
• 학력 상승의 원인
• 과학기술의 부단한 향상 때문에 직업기술의 수준이
계속 높아지며 그에 따라 사람들의 학력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는 이론
• 슐츠(Schultz), 벡커(Becker) 등의 인간 자본론의 교
육관과도 관련됨
• 문제점
• 과잉학력을 설명하기 어렵다.
지위경쟁이론
-문123~129-
• 이론적 배경 : 갈등주의(Weber)
• 학력상의 원인(Dore)
학력을 사회경제적 지위획득의 수단으로 상정
취학률이 급증하고 졸업장의 과다배출(인플레이션)
졸업장 인플레이션에 따른 졸업장의 가치하락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학력이 상승
• 지위경쟁이론의 병리현상
•
•
•
•
•
•
•
•
취학 및 진학 준비 급증
교육재정 압박
상급교육 선호로 하급교육무시
학교교육의 교육교육 기능 상실
입시위주의 교육
학습과정의 형식화
인격교육 불가능
교육받은 실업자 증가
• 의의 : 학력경쟁의 실제 상황에 매우 접근
• 문제점
• 경쟁의 부정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
• 학력상승의 원인을 교육수요자 전적으로 교육수요
자에게만 전가
신마르크스 이론
-문130-
• 이론적 배경 : 갈등주의(Marx)
• 학력상승 원인(Bowle & Gintis)
• 학교교육이 본질적 기능을 수행하기 보다 자본가 계
층의 이익추구를 위한 종속관계에 놓임
• 문제점
• 교육을 학습자 자신의 이익 등 교육의 다른 측면은
도외시하고 자본 계급의 이익을 위한 것으로만 단정
국민 통합론
-문131~132-
• 이론적 배경 : 국가주의(정치)
• 학력상승의 원인(의무교육)
• 국가의 형성과 국민 통합의 필요성 때문에 교육이
팽창 됨
• 문제점
• 고등교육의 팽창을 설명할 수 없다.
문화와 교육
(교재175쪽)
•문화기대
•문화접변
•문화지체
•문화실조
문화기대
• 문화가 그 지역에 태어난 개인에게 그 문화에
따른 행동양식(생활양식)으로 행동 할 것을 요
구하고 기대하는 것이다.
• 문화가 갖는 구속력이다(Durkheim).
• 평균인(average man) : 문화기대에 잘 어울리
는 인간, 기대된 행동양식으로 행 동하는 인간.
문화변화 현상
• 문화전계 : 한 개인이 그 집단의 문화를 전승․
계승하여 내면화하는 과정
• 문화접변 : 다른 문화와의 접촉을 통하여 문화
가 변화하는 현상
문화실조(cultural deprivation)-문142• 인간발달에서 요구되는 문화적 요소의 결핍과
과잉 및 시기적 부적절성에서 일어나는 지적․
사회적․인간적 발달의 부분적 상실, 지연, 왜
곡현상
• 초기환경에서 문화적 결핍이 있게 되면 문화
실조가 많이 보이게 되고, 따라서 지능 발달에
도 많은 영향을 줌
문화지체
-문143-
• 의미
• 문화를 구성하는 부분간의 변동률의 차이로 말미암
아 생기는 시간적 문화격차
• 기술문화와 가치문화간의 지체
변
화
기술문화
가치문화
시간
동료집단
-문144-
• 의미
• 연령과 신분이 비슷한 아동들이 공통된 감정과 흥
미를 가지고 공동생활을 하는 집단이다.
• 아동의 사회화 과정에 아주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 ‘우리󰡐라는 감정이 있고 그들 자신의 규칙이 있으
며, 조직이 있고 성원에 대한 그 들 자신의 기대가
있다.
• 시간적으로 가정 다음에 오는 제 2의 중요한 아동
사회화의 기관이다.
• 상호간에 감정으로 얽혀 있기 때문에 교우관계가
보다 친밀하나 반드시 영속적이지는 못하다.
• 특징
• 성원들 사이에 처음으로 대등한 관계를 경험한다.
• 자신의 태도와 판단 등을 스스로 결정하는 자율성
이다.
• 동료집단의 공통문제는 아동의 흥미 및 발달단계에
맞으며 성원간의 접촉이 편안하다.
• 비교적 강한 집단감정을 가진다.
• 비영속적이다.
• 동료집단 유형
• 유희집단
• 4, 5세~12세의 아동이 5~6명씩 유희를 하기
위해서 형성되는 자발적 집단
• 활동은 흥미중심으로 노는 것뿐이다.
• 동인집단
• 13세 이후의 아동이 2~30명씩 취미를 중심으
로 동일한 사회적 계급과 신분을 조건으로 형성
되는 비형식적 집단
• 도당집단
• 14, 5세의 아동들이 5, 6~10명씩 가정, 교사, 사
회의 성인들의 감시를 피하여 새롭고 흥미 있는
경험을 하려고 형성하는 집단
• 동료집단의 교육적 의의
•
•
•
•
•
민주주의정신 학습
안정감과 소속감의 부여
동질감, 일체감의 형성
개인의 역할 발견
자아개념의 형성
평생교육
(교재176~182쪽)
•평생교육의 개념
•평생교육의 필요성
•평생교육의 특징
•평생교육법안
평생교육 개념
• 평생교육은 개인의 출생에서 무덤에 이르는 생애에 걸친
교육과 사회전체 교육의 통합이다. (Paul Lengrand)
• 인간의 삶의 질 개선이라는 이념 추구를 위하여 개인의
출생에서 죽을 때까지의 교육(유아‧아동‧노인교육)을 수
직적으로 통합하고 가정교육, 학교교육, 사회교육을 수평
적으로 통합한 교육의 형태를 의미
• 수직적 통합 : 평생을 통한 교육이 기회균등
• 수평적 통합 : 가정, 학교, 사회에 동등한 가치부여
• 언제, 어디서든지 누구에게든 열린교육
평생교육 필요성
-문147~150-
• 외적 필요성
•
•
•
•
•
지식과 기술의 폭발적 증가와 노후화
사회의 급격한 변화
생활양식의 변화
직업사회가 변화
학력주의 사회에서 능력주의 사회로 전환
• 내적 필요성
• 학교교육의 경직성과 폐쇄성의 개선
• 지나친 학력 경쟁으로 인한 교육의 파행적 운영의 개
선
• 지식편중 교육에 의한 전인교육의 왜곡의 극복
• 획일주의적인 교수-학습방법에 의한 학습자의 개성
무시에 대한 개선
• 관료조직에 의한 권위적이고 강제적 교육의 실시에
대한 개선
평생교육 이념
-문151-
• 전체성 : 학교 교육뿐만 아니라 학교 밖에서 이
루어지는 모든 교육에 정통성을 부여한다.
• 통합성 : 시간적으로 출생에서 죽을 때 까지, 공
간적으로 가정, 학교, 사회 교육을 통합한다.
• 융통성 : 어떤 형편에 있는 학습자라도 교육을
받을 수 있게 해야 한다.
• 민주성 : 학습자가 원하는 종류와 양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평생교육의 특징
• 조직적인 학습과 비조직적인 학습을 모두 포함
• 학교나 대학도 평생교육 기관의 하나로서 중요한 역할
을 해야 함
• 교양교육과 전문교육이라는 두 개의 광역적 구성요소
를 지님
• 보편적이고 민주적인 교육을 추구하므로 교육의 민주
화에 공헌
• 기존 교육제도의 결함을 보완하는 교정적 기능
평생교육체제의 확립
-문152-
• 평생교육체제는 민주주의 이념의 하나인 단선제가 유지
• 학교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역사회의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키도록 함
• 사회교육기관에서 수행되고 있는 특정 분야의 교육적 노
력에 대해서는 그 수준에 따라 학교교육과 동일한 자격이
인정
• 직업을 중심으로 한 각종 교육 및 훈련과정은 연한에 구
애됨이 없는 단위제로하고, 각급 학교에서 이를 위한 프
로그램이 개발
평생교육법
(교재179쪽 )
평생교육 정의(제2조)
• "평생교육"이라 함은 학교교육을 제외한 모든
형태의 조직적인 교육활동을 말한다.
• "평생교육단체"라 함은 평생교육을 주된 목적
으로 하는 법인․단체를 말한다.
• "평생교육시설"이라 함은 이 법에 의하여 인가
․등록․신고된 시설과 학원 등 다른 법령에 의
한 시설로서 평생교육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시설을 말한다.
학습휴가 및 학습비 지원(제7조)
• 국가․지방자치단체 기타 공공기관의 장 또는
각종 사업의 경영자는 소속 직원의 평생학습
기회를 확대하기 위하여 유급 또는 무급의 학
습휴가를 실시하거나 도서비․교육비․연구비
등 학습비를 지원할 수 있다.
인적자원의 활용(제16조)
-문157-
•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각급학교․평생교육단체 및
평생교육시설 등이 유능한 인적자원을 효율적으로 활
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강사에 관한 정보를 제공․관리하는 제도를 운영
할 수 있다(전문인력 정보은행제)
• 국가는 인적자원의 효율적인 개발․관리를 위하여 국
민의 개인적 학습경험을 종합적으로 집중관리하는 제
도를 도입․운영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교육계
좌제).
평생교육사(제17조)
• 평생교육 관련 과목을 일정학점이상 이수한 자 또는
제18조의 규정에 의한 평생교육사 양성기관에서 소정
의 과정을 이수한 자에게 평생교육사의 자격을 부여한
다.
• 평생교육사는 평생교육의 기획․진행․분석․평가 및 교
수업무를 수행한다.
평생교육의 이념(제4조)
-문159-
• 모든 국민은 평생교육의 기회를 균등하게 보
장 받는다.
• 평생교육은 학습자의 자유로운 참여와 자발적
인 학습을 기초로 이루어져야 한다.
• 평생교육은 정치적․개인적 편견의 선전을 위
한 방편으로 이용되어서는 아니된다.
• 일정한 평생교육과정을 이수한 자에게는 그에
상응한 사회적 대우를 부여하여야 한다.
평생교육시설
-문165-
• 학교형태의 평생교육시설(제20조)
• 학교형태의 평생교육시설을 설치․운영하고자 하는
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시설․설비를 갖추어 교육
감에게 등록하여야 한다.
• 사내대학형태의 평생교육시설 (제21조)
• 대통령령이 정하는 규모이상의 사업장의 경영자는
교육인적자원부장관의 인가를 받아 전문대학 또는
대학졸업자와 동등한 학력․학위가 인정되는 평생
교육시설을 설치․운영할 수 있다.
• 원격대학형태의 평생교육시설 (제22조)
• 누구든지 정보통신매체를 이용하여 특정 또는 불특
정 다수인에게 원격교육을 실시하거나 다양한 정보
를 제공하는 등의 평생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 사업장부설 평생교육시설(제23조)
• 대통령령이 정하는 규모이상의 사업장의 경영자는
당해 사업장의 고객 등을 대상으로 하는 평생교육시
설을 설치․운영할 수 있다.
• 시민사회단체부설 평생교육시설(제24조)
• 시민사회단체는 상호 유기적인 협조체제를 구축하고
공공시설 및 민간시설등 유휴시설을 활용하여 다양
한 평생교육과정을 운영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 학교부설 평생교육시설(제25조)
• 각급학교의 장은 당해학교의 교육환경을 고려하여 그
특성에 맞는 평생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 언론기관부설 평생교육시설(제26)
• 신문․방송 등 언론기관을 경영하는 자는 당해 언론매
체를 통하여 다양한 평생교육프로그램을 방영하는 등
국민의 평생교육진흥에 기여하여야 한다.
• 지식․인력개발사업관련 평생교육시설(제27조)
•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지식정보의 제공과 교육훈련
을 통한 인력개발을 주된 내용으로 하는 지식․인력개
발사업을 적극 진흥․육성하여야 한다.
보칙
• 학점등의 인정(제28조)
• 각급학교 또는 평생교육시설에서 각종 교양과정 또
는 자격취득에 필요한 과정을 이수한 자
• 산업체등에서 일정한 교육을 받은 후 사내인정자격
을 취득한 자
• 국가․지방자치단체․각급학교․산업체 또는 민간단체
등이 실시하는 능력측정검사를 통하여 자격을 인정
받은 자
• 문화재보호법에 의하여 인정된 중요무형문화재보유
자와 그 문하생으로서 일정한 전수교육을 받은 자
대안학교
(교재182~183쪽)
•대안교육이 개념
•대안교육의 이념
대안교육의 개념
• 대안교육(altemative education)도 크게 보면 열린교육
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대안교육은 ‘제도교육’에서 오
는 문제점을 보완하려는 것뿐 아니라 기존 교육에 대
한 대안을 모색하려는 데서 출발한다.
• 자연의 조화를 이루고, 모든 목숨을 소중히 여기며, 공
동체 안에서 남들과 행복하 게 어울려 사는 것이 옳은
삶이라는 가치에 근거한 교육이다.
대안교육의 특징
• 모든 생명과 자연의 질서를 존중하는 '자연친화적 삶
을 교육이념으로 한다.
• 우리 이웃, 다른 민족, 더 나아가 자연과 더불어 조화롭
게 살아갈 수 있는 공통체적 인간, 생명을 존중할 줄 아
는 인간으로 키우는 데 초점을 둔다.
• '작은 학교' 를 지향한다.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
하는 다양한 형태의 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학교는 반
드시 작아야 한다' 고 보기 때문이다.
대안교육의 이념
-문167~169-
• 공동체적인 가치와 생명 존중의 가치를 추구한다.
• 지역사회에 뿌리내린 학교를 지향한다.
• 교육 주체의 원상회복을 지향한다. 즉, 교사, 학생, 학
부모의 상호관계를 추구한다.
• 교육주체의 내적 변화를 우선적으로 지향한다.
• 삶속에 녹아난 교육을 지향한다.
• 아동을 주체적이며 자율적인 존재, 스스로 사물을 판
단하고 결정할 수 있는 존재, 교사나 부모에게 종속된
것이 아니라 독립된 인격체로 본다.
• 매우 상반된 가치를 추구한다. 즉, 아동 개개인의 인격
과 개성을 존중하는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공동체
가치를 중시한다.
대안학교(초중등 교육법)
-문170-
• 학업을 중단하거나 개인적 특성에 맞는 교육을 받고자
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현장 실습 등 체험위주의 교육,
인성위주의 교육 또는 개인의 소질·적성 개발위주의
교육 등 다양한 교육을 실시하는 학교를 말한다.
• 대안학교는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의 과정을 통합
하여 운영할 수 있다.
• 대안학교의 설립기준·교육과정·수업연한·학력인정 그
밖에 설립·운영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북한교육
(교재183~184쪽)
•북한 사회주의 이념
•북한교육제도의 특징
북한교육의 이념 (사회주의 헌법 제 39조)
• 북한의 '사회주의 헌법'에서 "국가는 사회주의
교육학의 원리를 구현하여 후대들로 하여금
사회와 인민을 위하여 투쟁하는 견결한 혁명
가로 지 ․ 덕 ․ 체를 갖춘 공산주의적 새 인간
을 키운다"
북한교육제도의 특징
-문172~174-
• 일반 학교교육․성인교육체계․특수교육체계로 구성
• 취학전 교육과 초등교육을 의무교육으로 결합(11년 의
무교육제도)
• 중등 전기교육과 중등 후기교육을 결합시켜 선발단계
를 최소화
• 단선제를 원칙으로 하면서 부분적인 복선제 채택
• 학교교육의 기초위에 가정․사회․학교교육이 결합과
병진을 강조
• 노동 또는 생산과 교육을 다방면에서 결합
• 기본학제는 4-6-4(6)제로서 인민학교 4년, 고등 중학
교6년, 대학은 4-6년으로 구성
• 특별학제는 11년제 예능학교(음악, 무용, 미술), 4년제
체육학교 및 공예학교, 7년제 외국어학교로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