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교과서 개발 현황 및 과제

Download Report

Transcript 디지털교과서 개발 현황 및 과제

디지털교과서 개발 현황 및 과제
김진숙
(KERIS 학교교육정보화본부장)
1
교수·학습 과정
해석
실제 세계
설명
정보
교육
과정
학습자 인식
교과서
지식 체계
이해
교과서에 대한 인식
참여 : 67명 교사
기간 : 2011. 4. 25~4. 26
교과서는 교육과정을 반영하고
교과서는 수업내용과 활동을 결정하는
있는 중요한 교육자료이다
절대적인 기준이 된다
그저그렇다
9%
그저그렇다
6%
아니다
8%
매우그렇다
23%
매우그렇다
48%
그렇다
43%
그렇다
63%
교과서에 대한 인식
수업에서 교과서의 내용과 전달순서는
수업에서 교과서 외에 참고서, 활동지,
지켜져야 한다
멀티미디어 자료를 사용하여 가르친다
전혀아니다
9%
매우그렇다
11%
그저그렇다
8%
그렇다
17%
아니다
43%
그저그렇다
20%
아니다
6%
매우그렇다
37%
그렇다
49%
교과서에 대한 인식
수업에서 교과서 외에 다른 교수-학습 자료들을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1. 교과서만으로 수업(교수-학습)을 완성하기에 내용이 부족하다 (한정된 내
용, 학습활동 부족, 교육목표 달성을 위한 내용 부족 등)
2. 교과서에 실린 자료보다 더 나은 자료가 많다 (인쇄물보다 교수-학습 효
과를 높일 수 있는 자료가 있다)
3. 교과서로는 학생들의 흥미와 몰입을 이끌어내기 힘들다 (흥미나 관심이
떨어져서 결국 학습내용에 대한 이해 및 성취도가 떨어진다)
4. 교과서는 최신 정보가 아니다 (최신 지식이나 현실적인 정보가 부족하며
지역별, 상황별 다양성이 떨어진다)
5. 기타 : 교과서는 제작자의 주관에 의해 만들어진다
교과서에 대한 인식
‘교과서’(오석근, 2006)
바람직한 교과서 상
정보 자료를 활용하는
사고력 중심의 교과서
지식
창조
학습
이론과 현실을 연계한
실용적인 교과서
교과서
인적
자원
형성
교수학습 과정을
안내하는 교과서
지식문화
강국실현
교육개혁
오류가 없고
편향되지 않은 교과서
원리
이해
학습
출처 : 김정호 외(2005). 교과용 도서 정책의 현황과 발전 방안
7
교과서 선진화 방안
교육과학기술부(2010. 1)
‘창의적인 산 지식’을 제공하고, 학습자 친화적인 미래형 교과서 보급
- 미래사회로의 변화를 선도해 나갈 창의적인 인재 육성
- 창의적인 산 지식을 교과서에 적시에 반영
- 국정과 검정 교과서가 주축인 현행 교과서 시스템의 변화 불가피
1. 다매체 시대에 사용하기 편리한 e-교과서를 종이교과서와 함께 보급
2. 인정도서 대폭 확대로 인정절차만 거치면 시중 일반서적도 교과서로 사용
가능
3. 학회나 공공기관도 검정교과서 출원이 가능해져 재미있고 다양한 교과서 제
작 확대
외국의 교과서 선진화 정책 방향
1. 싱가폴
- 2001년부터 인정제로 교과서를 편찬 및 발행하고 있음
- 2008년부터 디지털교과서(아이엠북, 다이나북 등), 교사repository(에듀
몰) 및 퓨쳐스쿨 사업 진행
2. 일본
- 민간 교과서 발행자가 교과용도서검정기준 및 학습지도요령 등을 바탕으
로 교과서를 개발하여 검정 신청, 문부과학성에서 조사관 및 교과용도서
검정조사심의회의 조사내용 및 자문을 근거로 검정 실시
3. 중국
- 심정제도 채택 (전국중소학교재심정위원회 심사를 거친 뒤 국가교육위원
회의 비준을 받아야만 교과서 출판 및 발행권을 받을 수 있음
교과서 정책의 동향과 전망(국제교과서심포지엄 2011)
외국의 교과서 선진화 정책 방향
3. 미국
- 주 및 학교구별로 제시하는 교육지침과 기준을 바탕으로 민간출판사에서
편찬하면 주정부나 학교구 단위로 교육자료 목록을 승인 및 채택하여 학
교에 배포함
- 따라서 세부적인 사항은 주나 학교구에 따라 다르며, 교육자료 목록은 광
범위한 것으로 교사들은 교과서를 수업을 위한 하나의 도구로만 인식
- 미국 내 몇 개의 주는 이미 온라인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개발 중이며, 이
와 관련하여 미래의 전전 교실 교사 평가 규정까지 마련하고 있다.
4. 독일
- 민간출판사가 주 차원의 교육과정과 검정기준에 의거하여 교과서를 개발
하여 각 주의 교육문화부에 검정을 신청함. 각 주의 교육문화부는 검정과
정을 거쳐 검정교과서 목록을 발행하고 학교는 이 목록에 의거하여 교사
위원회를 열고 교과서를 채택함
- 멀티미디어 자료 등 다양한 교육자료 제공을 위해 주별로 홈페이지를 운
영하여 지원하고 있음
교과서 정책의 동향과 전망(국제교과서심포지엄 2011)
e-교과서
PDF
Paper textbook
CD
e-교과서
배경
무거운 책가방 해소
학습자에게 친숙하고 융통성있는 교과서
가장 초보적 수준의 전자 교과서 형태
한계
전통적 형태에서 벗어나지 못함
최소한의 학습 활동 지원
법적 한계를 벗어나지 못함
디지털교과서
Learning activities
Mobility
Paper textbook
Learner-centered
디지털교과서 개념
학습관리/평가/저작
도구 연계 설계
학생/교사/컴퓨터간
상호작용 방법 설계
콘텐츠 개발/확보
및 DB설계
평가도구
기능
참고서/
문제집
서책형 교과서
디지털화
자료
검색
학습사전
디지털
교과서
멀티
미디어
학습관리
기능
하이퍼링크
HW/SW/뷰어
연계 계획
국가지식
DB연계
저작도구
기능
정치/경제/
사회/문화기관
보유 콘텐츠
연계
보급/유지보수/
품질관리 전략 수립
14
디지털교과서 특성
멀티미디어
메타 미디어 특성(미디어 통합성)
상호작용성
정보의 시각화
개별화 학습 환경
이해와 기억의 극대화
디지털교과서 역할
수준별 교육과정 지원 매체
- 단계형 교육내용(수직적 위계) 연계
- 심화·보충형 교육내용(수평적 위계) 연계
- 수직적·수평적 위계 혼합 연계
상황·맥락 기반의 자기주도 학습 지원 매체
- 학습 계획, 실행, 평가 참여
- 학습 개별화
- 자학 학습과 상호 평가 기능
간학문적(학제적) 통합 학습 지원 매체
개방 체제(웹 연결), 하이퍼미디어
- 주제 중심 학습 실현
- 실 생활속 문제 해결 능력, 고차적 사고력 개발
풍부하고 실제적인(authentic)
e-포트폴리오 지원 매체
자원 제공 등
- 개인 학습 성과 축적·관리·활용
- 개인 성장 발달 과정의 종합 관리 및 평가
15
간 학문적 통합 학습 지원
하이퍼미디어
국어
문학 작품간
사회
수학
과학
월드컵의 경제적 효과
음악
미술
감상과 동시짓기
다양한 장르간
고전-현대 문학간
우리-외국 문학간
문학-비문학간
환경 오염과 오염 물질
교과 간 주제 중심 통합
16
사업 추진 현황
 디지털교과서 국가 공통 플랫폼 개발
 디지털교과서 콘텐츠 개발
연도
개발 교과
’07년
초등 5학년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
학, 음악 (6과목)
’08년
초등 6학년 국어, 수학, 사회, 과학 (4
과목)
’09년
수준별영어(4종)
’10년
초등 4학년 사회, 과학, 중1학년 영어,
과학 (4과목)
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 운영(63개교)
 디지털교과서 관련 정책연구 수행
 각종 연구물 발간 및 전시회 운영
시범 운영 성과
 전자저작물 형태의 미래 교과서 모형
정립 (인정교과서)
 미래교육, 미래교실 연구와 더불어 미
래 교과서 개발 및 적용 결과 도출
 정부의 자유로운 교육과정 및 교과서
발행 정책에 기여 (교과서 선진화 방안
및 e-교과서 보급과 연계)
 멀티미디어 교육자료를 비롯한 전자
저작물 형태의 교육자료 관련 저작권
및 기타 제반 여건 마련에 기여
 해외 각국에 선도적인 교과서 모형 및
개발 사업 소개, 홍보, 정보 교류 추진
(일본, 미국 등)
17
주요 결과
연구과제 추진 현황
 주요연구
연도
개발 교과
’07~
’10
학업성취도 및 만족도 조사
’08년
교수학습방법, 상호작용 분석
’09년
법제도 방안 연구, 저작권 법 연
구, 유통 관리 체계 연구
’10년
 중하위권(25~50%) 학생의 성취도 향
상이 두드러짐
 1:1 컴퓨팅 환경에서 학생 만족도 높음
※ 2010년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결과
사용성 연구, 개발방법 연구
 한국교과서연구학회지, 교육공학지, 교
육방법지, 교육과학연구지 등 수록
 AACE Global Learn 2010 학회 발표
 2010 AECT 발표
 2011국제교과서 심포지움 토론
(2010, 변호승 외)
대도시
학생
서책형,
혼합형
집단
학업
성취도
및 학습
자 만족
도
디지털
교과서
활용 집단
중소도시
학생
※ 그 외 디지털교과서 사용과 학생의 신체적 정신
적 건강과의 상관연구, 디지털교과서 검인정 제도,
저작권 법 제도 마련에 관한 연구, 비용 편익 분석
연구 등 디지털교과서 보급과 관련된 다수 연구 수
행 (www.keris.or.kr 참조)
18
Digital Textbook
디지털교과서 기능 : 학습 주자료(교과서 기능)
교과서 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참고 자료 기능
필기 기능
상호작용 기능
학습 사전 기능
이동성
20
디지털교과서 기능 : 학습 주자료(교과서 기능)
교과서 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참고 자료 기능
필기 기능
상호작용 기능
학습 사전 기능
이동성
21
디지털교과서 기능 : 학습 주자료(교과서 기능)
교과서 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참고 자료 기능
필기 기능
상호작용 기능
학습 사전 기능
이동성
22
디지털교과서 기능 : 학습 지원 촉진 기능(참고자료-사회과부도)
교과서 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참고 자료 기능
필기 기능
상호작용 기능
학습 사전 기능
이동성
23
디지털교과서 기능 : 필기 기능
교과서 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참고 자료 기능
필기 기능
상호작용 기능
학습 사전 기능
이동성
24
교과서 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참고 자료 기능
필기 기능
상호작용 기능
학습 사전 기능
이동성
25
디지털교과서 기능 : 학습 사전
교과서 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참고 자료 기능
필기 기능
상호작용 기능
학습 사전
이동성
26
교과서 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참고 자료 기능
필기 기능
상호작용 기능
학습 사전 기능
이동성
27
디지털교과서
해결 과제 및 전망
디지털교과서 제작, 배포, 유지 및 관리 등의 비용 부담
디지털교과서 개발 주체, 방법 등의 문제
교육적 효과 및 부작용 해소 방안
디지털교과서 실현을 위한 법 제도 보완 및 사회적 공감대 확산 등
기존 교육체제(학교, 교사, 교과서, 교수학습방법 등) 와의 조화 vs.
충돌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학교교육정보화본부장 김진숙
([email protected], 02-2118-1228)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