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에 대한 강의 PPT

Download Report

Transcript 공에 대한 강의 PPT

중관논리 = 반논리(反論理)
중관학 = 반논리학
* 중관논리
= 반논리
= 공의 논리
= 중도의 논리
= 연기의 논리 (緣起)
= 열반의 논리
= 해탈의 논리
= 해체의 논리
논리학과 반논리학
단계 구성
논리학
반(反)논리학
개념 A, B, C 실체가 있다 실체가 없다
연기, 공
판단 A + B
사실에 대응 사구 모두 오류에 빠진다
사구비판(四句批判)
추론 A + B
타당하다
상반된 추론이 존재한다
C+A
상응논법, 자띠논법
C+B
相應
연기(緣起)와 공(空)

모든 것은 연기(緣起)하기 때문에 공(空)하다.
연기(緣起)는
발견된 진리로
물질과 생명, 인간과 세계,
삶과 죽음, 전생과 현생을 해석하는
불교적 ‘대통일장’ 이론이다

불교의 종교, 수행, 철학, 윤리, 실천 등이 모두
연기법에서 도출된다
연기(緣起)
(얽혀서 일어난다, 의존하여 발생한다)
연(緣) - 인연(因緣)
인(因) – 직접조건: 씨앗
연(緣) – 간접조건: 흙, 공기, 물, 비료
기(起) – (결과가) 발생함, 일어남, 나타남
과(果) – 결과, 싹
----------------------------------직접조건 +
간접조건
= 결과
씨앗 + 흙, 공기, 물, 비료, 태양 … = 싹
모든 것은 연기하기 때문에 공(空)하다








귀 + 막대기, 칠판, 두드림, 공기, 주의력 … = 소리
긴 막대기 – 짧은 막대기
큰 강의실 – 작은 강의실
삶 – 죽음
눈 – 시각대상
불 – 연료
현재의 선행(善)과 악행(惡) – 미래의 행복과 불행
앞 찰나의 모든 현상 – 뒤 찰나의 모든 현상
무명(無名) – 이름이 없다











시계?
우주?
욕심?
시작?
종말?
물질?
살?
마음?
부처?
밥?
똥?
모
든
것
은
살
이
다
무명(無名)

시계
우주
욕심
시작
종말
물질
살
마음
부처
밥
똥

웃음, 울음, 나… 이마, 코, 머리, 어깨…










=
=
=
=
=
=
=
=
=
=
=
모든
모든
모든
모든
모든
모든
모든
모든
모든
모든
모든
것(一切)
것(일체)
것(일체)
것(일체)
것(일체)
것(일체)
것(일체)
것(일체)
것(일체)
것(일체)
것(일체)
분포도와 일즉일체
선문답, 화두

문: 부처님은 어떤 분이십니까?
답: 마른 똥막대기다.

문: 달마스님이 중국에 오신 까닭은?
답: 뜰 앞의 잣나무다.
상즉상입(相卽相入)


상즉: 일즉일체 다즉일 一卽一切 多卽一
상입: 일중일체 다중일 一中一切 多中一
하나 속에 무한 있고 무한 속에 하나 있고
하나가 곧 무한이요 무한이 곧 하나일세.
무명(無名)











공(空),
공(空),
공(空),
공(空),
공(空),
공(空),
공(空),
공(空),
공(空),
공(空),
공(空),
무(無)
무(無)
무(無)
무(無)
무(無)
무(無)
무(無)
무(無)
무(無)
무(無)
무(無)
=
=
=
=
=
=
=
=
=
=
=
시계
우주
욕심
시작
종말
물질
살
마음
부처
밥
똥
=
=
=
=
=
=
=
=
=
=
=
모든
모든
모든
모든
모든
모든
모든
모든
모든
모든
모든
것(일체)
것(일체)
것(일체)
것(일체)
것(일체)
것(일체)
것(일체)
것(일체)
것(일체)
것(일체)
것(일체)
웃음, 울음, 나… 이마, 코, 머리, 어깨…
모든 것이 A라면 A랄 것도 없다.
13-8) 若有不空法 則應有空法 實無不空法 何得有空法
만일 空하지 아니한 존재가 있다면 응당 空한 존재가
있어야 한다. 실제 空하지 아니한 존재가 없는데 어떻
게 空한 존재가 있을 수 있겠는가?
반야심경에서 사사무애로
색즉시공 공즉시색 … 수상행식 역부여시
색
수
상
행
식
=
=
=
=
=
공
공
공
공
공
색=수=상=행=식
<반야경>과 <화엄경>


반야경 – 절대부정을 통해 우리를 분별에
서 벗어나게 해 준다.
화엄경 – 절대긍정을 통해 우리를 분별에
서 벗어나게 해 준다.
“너만 그런 게 아니야, 누구나 다 그래”

반야
화엄

무상(無相)
피카소의 입체파
생활 속의 중도 - 최상의 분별

반야 지혜가 열린 사람은 분별을 내지 않고
사는 사람이 아니라, 매 상황 속에서 ‘최상
의 분별’을 낼 줄 아는 사람이다.
예)
1. 발우공양하는 자에 한해서 무료급식
2. 소떼 제공을 통한 남북관계 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