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년2학기 성균관대 리포트

Download Report

Transcript 2010 년2학기 성균관대 리포트

성균관대 공연예술협동과정
박사4기
안영란
日本의 傳統演戱-노오

머리말

제1부 能란 무엇인가







能란 무엇인가
간나미와 제아미
노오(能)와 교겡(狂言)
노오(能)의 구성과 종류
탈(面,오모테)
노오 (能) 무대
제아미의 전서 『風姿花傳』
▶ 能무대라고 하는 간소한(사방6m) 특수 무대에서 상연되는 일종의 가면

악극 이다.
 ▶ 예능 (藝能),재능(才能),능력(能力)의 能(능)과 같은 뜻으로 그 원형은 사루

가쿠

노오(申樂能,猿樂能)와 덴가쿠(田樂能)다.
 ▶ 사루가쿠(猿樂能)또한 백제의 미마지가 612년에 전한 기악(伎樂)이나 중국

과 한국에서 들어온 산악(散樂)을 그 시조로 삼고 있다. 그러나 그 원류는

서역지방(중앙아시아)이다
 ▶ 나라시대(710~784)에 전래되었으며 ‘백희(白戱)’또는 잡희(雜戱)라고
불렀다.

내용은 가무 흉내내기, 곡예, 요술 등 가지각색의 藝를 포함한 서민예능 민

중예능 이였다. 이 가운데서 익살스러운 연희적 요소를 지닌 藝가 발달하여

뎅가쿠와 사루가쿠노오 에서 노오가쿠와 노오교겡을 형성하게 되었다
 ▶ 해이안시대는 흉내내기가 본질 이였던 사루가쿠가 가무쿠라시대가 되면 종
교적인 색채가 짙어진다.
 ▶ 신제,신관, 무녀(巫女), 승려의 신불생사(神佛行事)-탈로 신의 모습을 표현
하여 일반사람들이 신의 모습을 보게 한다.

彩绘浮雕女伎乐图 五代 长136厘米 高82厘米
出土于河北曲阳县唐朝五代墓

현존하는 연극 중에서 세계 최고의 것 중 하나로 손꼽힌다. 서구의 이야기체 연극과 다르다.
能에 등장하는 배우들은 서구적 의미의 배우나 연기자와는 달리 이야기의 내용을 연기
하다기보다는 이야기의 핵심적 요소를 암시하기 위해 시각적 외양과 동작들을 사용한다.
줄거리는 보편적으로 잘 알려져 있는 이야기.

能는 5가지 유형이 있다.










1.신사의 성스러운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 가미(神)극.
2.무사들을 주로 다루는 슈라모노(修羅物).
3. 여주인공이 등장하는 가쓰라모노(髮物).
4. 내용상 전설적이고 초자연적인 이야기보다는 당대의 사실주의 적인 이야기를 다루는 겐다이모노
와(現代物) 애인이나 이이를 잃고 미쳐버리는 여주인공이 나오는 교조모노(狂女物).
5. 마귀나 괴상한 짐승 또는 초자연 적인 존재가 등장하는 기리노(切能), 기치모노(鬼畜物)가 있다.
*전형적인 노는 비교적 길이가 짧은 편이며 대사 역시 매우 적고 동작이나 음악을 위한 하나의 틀에
불과하다. 표준적인 노는 예술적인 조화와 훌륭한 분위기를 이루어내기 위해 앞의 5가지 유형 중 선
택한 3개의 연극으로 구성되며 마지막 부분은 항상 기리노 (切能 로 장식한다.
희극 단막극인 교겡(狂言)은 막간에 공연된다.
공연은 평화와 번영에 대한 기원을 춤의 형태로 보여주는 오키나(翁)로 시작된다. (동영상3-24:41)
▶ 이두사람은 부자지간이며 이들이 살았던 시기는 남북조시대(1333~1392)에서 무로

마치(1336~1573) 시대에 걸쳐 약 100년간이다 .
 ▶ 간나미는 뛰여난 기예가이며 사루가쿠를 상연하는 놀이패 座의 1인, 주로

사찰이나 신사의 법회나 제례에 봉사하면서 생계유지.
 ▶ 그 후 그는 일본의 실질적인 지배자였던 아시카가 요시미쓰 장군의 후원으로 세력

을 확대해 나갔으며 사루가쿠나 뎅가쿠에서 가무적으로 우수한 면을 도입하

여 전통적인 예풍을 우아한 예풍으로 이끌어 갔고 쿠세마이(曲舞)라고 하는

당시 유행했던 가무의 곡절을 도입하여 能의 예에 새로운 경지를 개척해 나

갔다.
 ▶ 간나미의 아들 제아미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아시카가 요시미쓰 장군의 든

든한 후원아래 사루가쿠能를 노오가쿠(能樂)로 , 민속예능을 무대예술로 발전시

켰다한다.
 ▶ 제아미 역시 能의 연희자이며 또 사루가쿠 놀이패를 이끈 통솔자이고 연출가

이다. 그리고 能의 이론가로서도 뛰어난 재능을 가지고 있다. <제아미 16

부집>,<이십삼부집>, <풍자화전>등의 서적들이 있음.


노오(能)와 교겡(狂言)

能는 어떤 전설이나 설화에 의거한 이야기를 피리(笛), 고쓰즈미(小鼓),
오오쓰즈미(大鼓), 북(太鼓)등 4 종류의 반주악기에 맞춰 8~10의 가수로
이루어진 합창단인 지우타이(地謠)가 특징 있는 곡조로 이야기를 노래하
고 ‘시테’라는 주연자가 이야기의 주인공이 되어 소리와 춤으로 사람들 앞
에서 연희를 해 보이는 예능이다.
고쓰즈미(小鼓),
북(太鼓)
오오쓰즈미(大鼓),
피리(笛),
• 시테(仕手)-주연, 노래와 춤으로 연희, 탈을 씀, 노인, 귀공자,여자, 신, 귀신역
할.
• 와키(脇)-조연자,관객의 역할, 대신, 신관,중, 수험자 등 현세의 사회인으로 등
•
장. 탈을 쓰지 않음.
• 쓰레(連래)-조연자, 시테와 와키에 붙는 동반자.
• 우타이-합창단, 8-10명, 요곡의 장단을 8박자의 리듬으로 지배.
• 고카타(子方)-어린이역
• 도모(供)-대사 없는 단역배우 .
• 교겡배우중에는 能에서 나레이터로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
• 교겡-두 단계로 구성해서 연희를 할 때 , ‘시테’가 복장과 탈을 바꾸는 막간을
이용해 아이(間) 교겡을 상연한다.
• 아이교겡역을 맡은 사람은 탈을 쓰지 않고, 복장도 다르게 입고, 곡조가 아닌
회화체로 이제까지의 이야기를 다시 쉽게 설명한다.
• 교겡은 문자 그대로 미친소리, 광언망설, 농지거리, 농담, 도리에 어긋난 말
로 익살스럽게 연희하는 희극이다.
• 能와 교겡은 별개의 연극형태인 동시에 둘이면서 하나인 연극이며 둘은 서
로 절 어우러져 노오가쿠(能樂)를 발전시켰다.

能의 구성

노오(能)에서 서(序) ,파(破) ,급(急)은 노의 구성과 연출 연희곡의 성격을 지배
하는 원리이다.

서(序)-흰 버선을 신은 연희자의 왼발이 마루 위를 미끄러지듯 쑥 나오는 것.

파(破) ,급(急)-발끝이 멈춤을, 급은 또한 오른발의 다음 서(序)를 안고 있다.

能의 5가지 유형을 연희하는데 있어서도 서(序) ,파(破) ,급(急)으로 나누는데

보통은 처음에시작하는 能가 서(序 에 속하며, 3번과 4번 能가 파(破) 에 속하
며 제일 마지막 能이 급(急 에 속한다.

흐름

이 일족(一足)의 서, 파, 급이 연희의 흐름이 된다.
- 도입부인 서는 평온하고 소박하게 , 전개부인 파는 주도 부분인 만큼 표
현을 자상하게 하고 , 해결부인 급은 거침없이 술술 진행하여 결말을 짓는 것
이 다.

연희곡목은 보통 ‘神, 男, 女, 鬼, 狂’의 다섯 종류로 분류되어 상연 순서가 규정되어 있으며 서,
파, 급의 원칙에 따른다.

초벌거리(와키 노오)는 신노오(神能)라 할 수 있는 품격있고 당당한 구성이지만 희극적 곡절
이 적다.

두 번째 거리- 수라 거리라고도 하며, 대개 옛날의 겐지(源氏)나 헤이케(平家) 의 무장들이 죽
은 후 수라도(修羅道)의 괴로움을 연희하는 것으로 파의 전단부분에 해당한다.

세번 째-거리는 여인을 주인공으로 하는데, 보통’가즈라거리’라고 하는 노오의 중심 부분이다.
能의 이상인 우미(優美)한 정서가 가장 짙게 배어있으며 연희에서 최고의 자리를 차지한다.

네번째-거리는 파의 후단에 해당하며 잡노(雜能)라 하는 것으로 초벌, 두 번째, 세번 째, 다섯
번째 이외의 모든 곡목을 포함한다.

다섯 번째-거리는 하루의 상연 곡 중 마지막 거리로서 급의 부분에 해당한다. 마지막 마당인 후
막으로 시원하고 팔팔한 템포가 빠르게 진행 된다.
★이와 같은 오번 구성은 현대 能에서는 흔치 않으며 하루 1번 내지 3번의 프로그램이 보편적으로
상연되고 있다. 神能인 와키노오는 축제나 경사시에 상연되는 정도다.

분류

복식노오(複式能)와 단식노오(單式能)

보통 能를 크게 나눌 때 ‘현재노오(現在能)’와 몽환노오(夢幻能)로 분
류.

현재노오-현재형으로 사건이 전개되는 能를 말함

몽환노오-나그네(조연자와 와키가 분장함)의 꿈 속에 망령이나 화신
(化身)이 나타나 이야기를 하는 형식이다. 이 형식은 한국의 무당 굿에
서 사자와 대화를 하는 형식과 유사한 점이 있다.

주연자는 고전 속의 미녀이거나 역사인물일수도. 지옥의 원령이거나
신(神), 불(佛), 귀(鬼) 초목의 정령이기도 한다.
한국말로는 탈, 일본에서는 멘 또는 “오모테’, 보통은 ‘노오멘(能面).

구분
-노의 탈은 표정이 확실히 나타나는 탈: (사납게 생긴 탈, 사냥하게 웃는 노인 탈, 거만한 표
정의 탈, 악마 같은 탈, 귀신 탈, 도깨비 탈.)

-무슨 표정인지 분간하기 어려운 탈: 여인(女面)탈
탈의 종류
-오카나멘(翁面): 대체로 유화한 표정을 가진 노인탈. 한국의 하회탈 주 양반 탈과 비교,
양자 모두 따로 움직이는 턱, ‘절악(切顎)’ 을 달았다.(후기 能에서 없
어 진다.) (영상3-3:24)

-죠멘(尉面): 노인을 뜻하며 신이며 신성을 지닌 노인, 고귀한 사람 따위의 본체를 나타내
는 탈이다. 이중 아큐죠맨(惡尉面)은 사 납고 무섭게 보이는 노인탈
.
-베시미멘:
도
헤시마라는 말이 와전된 말, 입술을 악물고 힘을 준 표정이다.
깨비 같은 괴물인 텡구 탈(天狗)을 큰 베시미,
지옥 의 귀신탈을 작은 베시미라 한다.
-도비테(飛出 ): 눈알이 튀어나온 것이 특징
-남자 탈: 영계(靈界)의 남자탈-신령, 영웅의 영혼탈, 보통 남자-’헤이타(平太)
라는 무장의 얼굴을 한 장년 남자탈 , 두 종류.
-여인탈: 노오에서 가종 대표적인 탈로, 젊은 여인탈이 유명.- 고모테(小面),
와카온나(若女)-젊은 여인을 뜻함, 마고지로(孫次郞)의 탈이
있다.
-이밖에 생령(生靈)의 탈로 ‘데이강(泥眼) ’은 여자의 질투를 나타내
는 탈이고
-유령의 탈로 ‘야세온나(瘦女)’ ‘반야(般若)’, 산속에 사는 노녀(老女)
의 모습을 한 귀녀(鬼女)의 탈인‘야마우바(山姥) ’탈 등이 있다.
★초기작품에서는 중국이니 조선에서 전래된 기법의 영향을 받아 감정을
과장되게 표현한 것이 많았으나 차차 일본의 독특한 상징적 표현을 갖
는 탈들이 제작되었다.
能 무대
무대특징:
▶ 별다른 장치가 없고 통로가 있다.
▶ 정방형이지만 실제로는 세로가 가로보다 길다. (앞으로 나오고 뒤로
물러서고 혹은 무대를 도는 움직임이 能에서는 매우 중요하다.
▶ 무대가 관객석으로 돌출되어 있다.
무대 구성: 그림 평면도 및 사진
제아미의 전서(傳書)-『풍자화전(風姿花傳)』
제아미 전서는 1908년에 요시다 도고 씨가 학회에 소개한 이래 오랫동안
『제아미 십육부집』이라는 명칭으로 알려져 왔으며, 그 후 몇 권이 더 발견되고
추가되어 현대 제아미의 저작은 스물한 편을 헤아리게 되어다.
구분: (1)『풍자화전(風姿花傳)』시대, (2)지화도 (至花道) ,삼도(三道),
화경(花鏡)시대,
(3) 습도서(習道書) 이후로 구분하여 전기, 중기, 후기의 3기로 나누고 있다.
그 중『풍자화전(風姿花傳)』은 7편으로 되어있으며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다.
제1편 <연래수련조목>: 나이 단계별로 서술 .
제2편<연희조목>: 배역의 분장과 연희에 대해 서술.
제3편<문답 조목> :실제상연에 대해 문답형식으로 설명, 즉 상연장의 분위기 파악,
상연종목에 관한 소양, 경연에 임했을 때의 마음가짐 등.



제4편<오의>: 야먀토사루가쿠와 오오미 사루가쿠, 댕가쿠와의 상이점,
감상력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구별,
넓은 범위에 걸 친 예의 힘과 ‘중인애경(衆人愛敬)’의 연희력
을 갖추는 것이 명 연희자로 될 수 있다는 데 대해 역설.
제 6편<화수>:대본의 제작론에 대해 설명
제7편<별지구전>: 무대이론에 대해 설명. 무대의 매력을 꽃에 비유해 전
개 하였다.
제1편 연래 수련조목(年來修鍊條目)
 제2편 연의 조목(演戱條目)
 제3편 문답조목 (問答條目)
 제4편 신의 (神儀)
 제5편 오의(奧義)
 제6편 화수(花修)
 제7편 별지구전(別紙口傳)


사루카구(猿樂能) 노오는 연년익수(延年益壽)를 위한 예능이다.

그 기원은 인도에서 혹은 신화시대부터 전해져 내려왔고 한다.

스이코 천왕대 에 쇼토쿠 태자가 고카쓰에게 명하여 천하태평과 세상사람들의 오락을
위하여 만들게 한 것이다.

역대 작가들은 花鳥風月과 같은 自然風物을 도입하여 더욱 우아한 것으로 만들어 왔다,

또한 고카쓰의 후손과 가스가와 양대 산사에 봉직하게 되었으며 오늘날은 야마토와 오
오미의 사루가쿠 패들이 양대 신사의 제례에 봉사하고 있다.

이와 같이 能는 유서 깊은 예능으로 연희자는 새것을 기리고 체득하면서도 전통적인 풍
격을 그릇된 길로 이끌어 서는 안 된다.
能의 연희자들이 지켜야 할 몇 가지




能의 연희자는 말씨가 천하지 않고 품격이 있으며 모습이 아름다운 사람
을 전통을 올바르게 계승한 달인이라 한다.
사루카구 도의 奧義(오의-미묘한, 깊은 뜻을 의미함)를 터득하려는 자는
자기 예능 이외의 품위 없는 것을 이것저것 손대서는 안 된다.
다만 가도(歌道)만은 자연의 미를 느끼는 눈을 트이게 하며 예술가로
서의 감각을 양성하고 그 삶을 풍족하게 하기에 충분히 소양을 쌓으면
좋을 것이다.
수련에 대한 마음가짐( 호색, 도박, 대주를 금계함, 힘껏 수련할 것 .)

7세

能의 수련은 대체로 7살부터 시작한다.



이 나이 때는 무엇이든 어린아이가 무심코 하는 짓을 자유롭게 시키는
것이 좋다.(춤, 소리, 기본 동작 등)
가르칠 때 꾸짖어서는 안되며 너무 자잘한 연희도 가르쳐는 안되고 화
려한 큰 무대에서 제일 먼저 상연하는 초 벌 能인 와키 能에도 출연시
켜서는 안 된다.
중간쯤 3번이나 4번 能의 적당한 때를 보아 어린아이가 가장 자신
있게 할 수 있는 상연 종목을 골라서 시키는 것이 좋다.





12,13세
이 나이 때부터는 차츰 소리의 가락에도 맞출 수 있게 되고 능
이라는 것이 어떤 것인지 알기에 순서에 따라 여러 종류의 능
을 가르쳐도 무방하다.
귀여운 소년이므로 무엇을 하건 우미(優美)하며 목소리도 잘
나올 때다.
아직 어린아이기에 너무 자잘한 연희를 가르쳐서는 안 된다.
(특별히 우수한 소년일 경우 예외)
이시기 나타나는 무대의 매력을 연희자로서의 생애를 결정하
는 평가기준을 삼는다.(기본자세, 걷는 기술을 정확하게 하고
소리의 발음의 정확도 , 춤의 형식을 올바르게 배워야 한다.)

17,18세

아주 중요한 시기기에 무리하면 안 된다.



변성기 등 생리현상의 변화로 연희하는데 불편할 수 있어
자칫 의욕을 잃게 된다.
사람들의 비난을 개의치 말고 꾸준히 수련에 힘써야 한다.
대체로 목소리의 높이에는 개인차이가 있지만 기본적으로
는 황종(黃鐘)에서 반섭(盤涉)정도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너무 무리하게 소리를 내서는 안 된다.

24세 25세

이 나이 때는 연희가 기초가 결정되는 최초의 시기다.



아름다운 목소리와 모습 ,젊음으로 인해 사람들의 호평을
받을 수 있지만 자만해서는 안 된다.
초심을 잃지 않고 수련을 쌓도록 해야 한다.
연희자로서 자기 재주가 어느 정도인지를 정확히 판단할
줄 알아야 자기가 타고난 예능의 매력을 잃어버리지 않는
다.

34,35세

이 나이 때는 能의 실력과 인기를 모두 갖추게 되는 전성기이다.



이 시기에 『풍자화전』의 여러 가지 가르침을 골고루 체득하여 무엇
인가를 깨닫고 숙달하게 된다면 세상의 인정을 받고 명성을 획득하게
될 것이다.
만약 이시게 인정을 받지 못하고 명성을 얻지 못하면 아무리 기예가
능란할지라도 참꽃(매력을 뜻함)을 터득하지 못한 시테(주연자)임
을 깨달아야 한다.
34,35세에 참된 꽃을 터득하지 못하면 40세 내리막길을 걷게 된다.

44,45세

이 시기는 能에 대한 많은 변화를 가져와야 한다.



가령 세상에서 인정받고 能의 진수를 깨달은 연희자라도
반드시 우수한 와키시태(脇蔿手)가 있어야 한다. 특출한
미남이 아니면 나이가 들면서 용모가 흉해지기에 탈을 안
쓴 能은 연희종목에서 빠지게 된다.
이 나이 때는 너무 꼼꼼한 연희를 하면 안 된다. 몸에 알맞
은 역을 안정된 기분으로 해야 한다.
자신의 연희종목을 젊은 연희자에게 넘겨준다.

50세 이상

이 나이 때는 대개 아무것도 안 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참
된 能의 오의(奧義)를 터득한 우수한 연희자라면 육체적인
조건으로 육체가 허락하는 한 자기가 할 수 있는 연희종목
을 할 수 있다.
연희 종류는 수도 없이 많다. 그러나 그 종류를 정성들여 익히고
어떠한 배역이든지 잘 표현해내기 위해서는 많이 관찰하고 많이 묻고
많이 연습을 해야 한다.

여인

신체구조상 여인의 역에는 젊은 연희자가 어울린다.

분장이 흉하면 볼품이 없다.


후궁이나 여관으로 분장할 경우 이들의 고귀한 기거동작을 잘 조사 후
연희해야 한다.
의복도 관례에 어긋나지 않게 사람들한테 잘 물어서 실수가 없도록 해
야 한다. (쿠세마이(曲舞)추는 여자, 시라뵤시(白拍子)추는 여자들의
소품 다루기, 하카마(주름잡힌 하의) 를 입었을 때 주의해야 할 동작들 )

노인

노인 연희는 能 중에서도 가장 어렵고 중요한 것 가운데 하나다.
왜냐하면 노인 흉내에서 예의 실력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
특히 관(官), 나오시(直衣), 에보시(鳥帽子) 카리기누(狩衣)와 같은 신
분이 높은 노인의 모습은 能을 터득한 연희자가 아니면 도저히 해
낼 수 없다.

연희에는 꽃이 없으면 재미가 없기에 노인역 이라고 해서 무릎을 구부
리나 몸을 구부리면 안 된다. 노인임을 나타내면서도 동작을 조심스럽
고 우아하게 해야 한다.



히타멘(直面, 탈을 안 쓰는 노오)
대체로 이 能 는 흉내 내는 대상이 속세간의 사람이므로 연희하기 는
쉬우나 藝가 없으면 볼품이 없다.
히타멘의 역은 사실적 요소가 강하고 더욱이 일정한 형식이 있는 것
도 아니어서 연희종목에 따라 적당히 흉내 낼 수밖에 없다.





미치광이
能중에서 미치광이 역이 재일 재미있다.
미치광이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여 이 영역에서 달인이 된 연희자는 모
든 면에 걸쳐 연희력을 지니게 된다.
미치광이의 분장은 연희종목의 내용에 알맞아야 한다.
경우에 따라 미치광이라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 화려한 분장을 하거나
꽃 가지를 들고 춤을 추거나 꽃을 머리에 꼽는 것도 좋다.

법사(法師)

법사(승려의 역은 드물어서 특별히 배울 필요는 없다.

고승의 역은 위엄을 기본을 h하고 품위있는 분위기를 내도록 해야 한
다.

수라(修羅)

능의 공연 중 중요한 흥행종목 가운데 하나이다.

수라의 연희는 별로 재미가 없으므로 너무 자주 상연해서는 안 된다.

수라能은 작품면이나 시각면에서 화려한 것이 바람직하다.

활이나 칼을 사용하는 것이 수라能의 특징이기에 그것들을 쥐는 법이나
쓰는 법을 잘 익혀야 한다.

신(神)과 귀신(鬼神)

대체로 신의 연희는 귀신 연희의 계통에 속한다. 그러나 신과 귀신은
본질적으로 전혀 다른 면이 있다.

신의 연희는 무용적인 모양이 알맞고 귀신에게는 무용적 요소가 전
혀 포함되어 있지 않다.


신은 신체에 알맞게 분장하고 의상은 아름답게 , 옷 단장은 바르게 하
여 기품 있게 그리고 위엄을 느끼게끔 연희해야 한다. 귀신은 대체로
생령(生靈)이나 사령(死靈) 따위의 원령(怨靈)이나 마귀 같은 것을 케
릭터로 잡아서 연희하기가 쉽다. 주로 머리에 쓰거나 탈을 쓰고 연희
한다.
원래 귀신은 무서운 것이 본질인데 이 무서운 케릭터를 재미있게 연희
하자면 어렵다.

이국인

이국인의 역은 能에서는 특수한 역이어서 특별히 이렇다 할 수련의 기
준은 없다.

색다른 탈을 사용한다거나 분장이나 소리 , 거동을 똑 같이 흉내내지
말고 색다른 느낌을 주면 된다.

能을 상연하는 당일, 미리 상연장 전체 상황을 보고 성공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
-관객들의 집중여부가 전반공연에 영향을 미친다. 즉 처음부터 관객의 휘어 잡을 수 있는 지
가 중요하다.
-밤의 연희는 팔팔하고 시원하게 연희하여 음침함이니 지루함을 못 느끼도록 해야 한다.

-
-
-
能에서 서(序), 파(破), 급(急)을 어떻게 규정하면 좋은가?
곡의 취향에 따라 결정해야 한다. 즉 첫 번째 와키能는 확실한 고전에 의하여 차분한
아취가 있고 복잡하지 않으며 작곡이니 연출도 산뜻하고 너글너글한 느낌을 주는 能을
연희해야 하며 무엇보다고 경사스러운 내용 이여야 한다.
두 분째, 세 번째 能는 파에 해당되기에 배우가 가장 자신이 있어 하고 작품도 가장 우
수한 것을 골라서 해야 한다.
하루의 마지막 能은 급의 단계 인만큼 템포를 빨리 해서 동작도 심하게 하고 기교를 다
하여 연희하는 것이 좋다.
1. 사루가쿠의 각 좌(座)가 함께 能를 경연하여 우열을 다툴 때 이기는 수단은 무
엇인가?
-
자신있게 상연할 수 있는 能를 가지고 상대방 能와 다른 아취를 지닌 ,색
다른 감동을 줄 수 있는 能을 상연해야 한다.
- 때문에 연희자인 동시에 작자인 사람이 경연을 하면 우승에 유리한다.
- 작품의 순위를 결정하는 근거는 우미하고 재미나는 데가 있는 것은 優秀한 能
이고, 작품 자체는 그다지 훌륭하지 않으나 전개에 의거해서 무난하게 성공한
것을 中으로 하며 能는 좋지 않지만 명확하지 않은 전거를 잘 살렸으며 下로 뽑
는다.
2. 能에는 연희자마다 제각기 가장 자신 있게 할 수 있는 분야가 있어 아주 서투른
연희자라도 어는 분야에 있어서는 능란한 상수보다도 우수한 경우가 있다. 이
때 상수라고 일컫는 연희자가 이것을 자기의 예로 받아들이지 않는 것은 그것
을 하지 못해서인가 혹은 해서는 안되기 때문인가?
- 연륜에 상관없이,上位나 下位에 상관없이 훌륭한 연희자가 되려면 서로의 장점
을 배우고 본인의 단점을 깨닫고 수련을 통해 극복해야만 향상할 수 있다.
4. 그런데 한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충분히 연공을 쌓은 명인이면서도
최근에 이름난 젊은 배우와 경연을 했을 대 젊은 배우가 더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을 때가 있습니다. 어 째서 그렇습니까 ?
-그것은 몇 가지로 말할 수 있는데 젊은 배우는 젊기 때문에 신선한 연기에
서 오는 일시적인 꽃에 지나지 않을 수 있다.
-나이든 명인이라도 늙으면 꽃을 잃어 버릴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나 보통은 젊은 배우가 아무리 꽃의 매력을 가졌다고 해도 노련한
나이든 연희자를 능가하기는 쉽지 않다.
5. 能에는 연희자마다 제각기 가장 자신 있게 할 수 있는 분야가 있어 아주
서투른 연희자라도 어는 분야에 있어서는 능란한 상수보다도 우수한 경우
가 있습니다. 이때 상수라고 일컫는 연희자가 이것을 자기의 예로 받아들이
지 않는 것은 그것을 하지 못해서입니까 ? 혹은 해서는 안되기 때문입니
까?
-아무리 서투른 연희자의 예 일지라도 그 가운데 좋은 점이 있다면 능란한
연희자는 그것을 배워 자기의 에에 보탬이 되도록 해야 한다.
능숙한 연희자는 미숙한 연희자의 본보기이고 미숙한 연희자는 능숙한
연희자의 본보기임을 명심해야 한다.
6. 能에서 예의 격조 차별을 알려면 어떻게 하면 됩니까?

아무리 타고난 재능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예의 격조는 배움의 연공을 쌓아가
는 중에 갖추어 지는 것이기 때문에 안식이 있는 사람이라면 쉽게 가릴 수 있
.


다
타고난 재능이 없더라도 수련을 쌓고 예가 세련되어지면 자연히 몸에 품격을
지나게 되는 경우도 있다.
여기서 수련은 소리. 춤. 동작, 흉내 따위의 기본형을 철저히 익히는 것을 말함.
7. 소리의 가사에 들어맞는 동작이란 어떠한 것을 말합니까?
- 能에서 여러 가지 동작과 몸의 자세, 거동 등은 모두 소리의 가사에 맞아
야 한다.(보다, 듣다, 가리키다,등의 가사에 맞는 동작을 해야 한다.)
- 몸 전체 동작-손동작-발 동작
- 소리의 문구에 맞는 움직임을 올바르게 몸에 지난다면 소리와 동작은 하
나가 될 것이다. 소리와 극적인 동작이 하나가 된다는 것은 能의 근본
을 체득한 경지이며 숙달한다는 의미다.
8. 흔히 세간의 비평에 ‘시들은 ‘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것은 무슨 뜻입
니까?
- 문자로 표현할 수 없는 것이다. 무리하게 표현한다 해도 그러한
시들은(꽃의 아름다움과 같은 감각적인)풍취는 예의 꽃(매력)
을 몸에 지님으로써 자연히 드러나는 풍취인 것이다.
-시들은 아름다움이라고 하는 것은 꽃보다 더한층 위의 경지라고
할 수 있다.
9 . 이제까지의 가르침에 따르면 能에서 ‘꽃’을 깨닫는 일이 더없이 중요한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러나 한편 이해하기 어려운 것도 이것입니다.
-이것이야 말로 能의 오의(奧義)를 터득하는 중요한 점이다.
-일시적인 꽃 즉 본래의 가지고 있는 것-젊음의 신선함, 고운 목소리, 우아
함, 고운 용모 등 외면상의 아름다움을 말한다. 그러나 이런 꽃들은 때
가 되면 시든다.
-고도의 기술과 깊은 이생 체험을 가진 연희자는 몸에 지닌 참 꽃은 어째
서 피는가, 어째서 지는가 하는 꽃의 이론을 자각하고 있으므로 오랜
세월에 걸쳐 꽃을 피울 수 있다.
-이렇게 되려면 이론보다는 몸으로 익혀 자연히 파악해야 한다. 7세부터
올바른 배움과 끈질긴 노력, 그리고 마음가짐이 중요하다.
제4편 신의(神儀)-노오의 신성한 기원
여기서는 能의 기원과 전승을 신불(神佛)의
이야기에 의거해 설명하고 있다. 즉 能의 역사
에 관한 설명으로 , 그기원을 먼저 상고대(上古
代)의 신화시대에서 칮고 있으며 신화에 나오
는 무악(舞樂)을 시초로 한 전승에 관해 말한
다. 다음에 인도 기원설, 고대의 사루가쿠 能
기원, 고카스의 전설에 대해 애기를 한다. 그
리고 마지막으로 헤이안시대 能의 재생에 대
해 이야기 하고 , 당시 활동하고 있던 대표적
인 사루카쿠 패를 계통적으로 열거한다. ‘신
의(神義)’는 일본말로 ‘신기’ 도는 ‘진기’ 라고
읽는다. 신불(神佛)혼합시대이고 신불일체(神
佛一體)로 생각해 ‘신의’ 라고 이름붙인 것으로,
사루가쿠가 받들어 본보기로 할 신제례 의식
을 말한다.
- 헤이안 경 당시, 무라카미 천황시대(946~967)에 옛날에 쇼토쿠 태자가
스신 사루가쿠 기록을 본즉, 신화시대나 인도에서 시작된 사루가쿠는
월씨국(중국한나라 시기 서역의 번영한 나라)과 중국을 거쳐 일본에 전
래되었으며 세상 사람들은 광언기어(狂言騎語)로써 부처님을 찬양하고
불교를 널리 퍼지게 악마를 물리치고 행운을 가져오게 한다는 것, 그리
고 사루가쿠를 연주하면 나라가 평화롭고 백성도 편안해지며 사람들의
수명도 길어지게 된다는 기록이 되어 있음을 알게 되었다.
- 고카쓰의 먼 자손인 하다노 우지야스라는 사람이 육십육번의 사루가쿠
를 공전에서 상연했다.
- 66번까지를 하루에 모두 상연하기는 어려웠으므로 그 후로는 그 중에서
<이나즈미노 오키나><요나쓰니노 오키나><지치노 죠> 등 세가지만 골
라서 상연하게 되었다. 현재의 <시키삼반>이 그것이다
대
표
적
인
사
루
카
쿠
패
들




야마토 국 가스가 신사의 제례에 봉사하는 사루가쿠 사죄-도비(外山),
유자키(結崎), 사키도, 엔마니(圓滿井)
오오미국 히에 신사(近江國 日吉神社)이 제례에 봉사하는 사루가쿠삼
좌-야마시나( 山階), 시모사카( 下坂), 히에。
이세국(伊勢國)의 슈시 사루가쿠 이좌
교토 훗쇼지 정월법회인 슈쇼(修正會)에 봉사하는 사라가쿠 삼좌-가와
치국(河內國)의 신좌(新座), 단파국(丹波國의 혼좌(本座), 셋쓰국(攝津
國)의 호죠지 좌( 法成寺座 ).



<풍자화전>: 선인의 예풍을 터득하여 사람의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승하는 꽃
이므로 이것을 <풍자화전>이라고 이름을 붙인다.
훌륭한 연희자는 대체로 예풍이 서로 다른 야마토 사루가쿠과 오오미 사루
가쿠의 정조적(情調的)인 면을 다 같이 몸에 지니고 있어야 한다고 한다.
능숙한 사람으로서 항상 연구하는 창조적 능력을 가진 연희자라면 보는 눈이
.
없는 사람들에게도 감동을 줄 수 있다

다양한 계층, 다양한 지방의 관객들의 수준을 맞추기 위해서는 고답적인 藝만
을 상연하기보다는 때와 장소에 알맞은 연희를 해야 한다. 그렇다고 또 세속적
인 관념에 사로잡혀 관객에 아첨하는 행동을 하거나 물욕에 사로잡히게 되면
예도(藝道)가 쇠퇴하는 가장 큰 원인이 될 것이다.




能의 대본을 창작하는 일은 能라는 예술의 생명이라 할 수 있다. 충분한 학식이
없더라도 창조적인 연구의 재능이 있다면 좋은 작품을 만들 수 있다.
와키(脇能)는 그 전거(典據)가 확실해야 하며 처음부터 관객이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을 담아야 한다. 대본에서나 연희에서 너무 자잘한 곡절을 다할 필요 없이
대체적인 구성이 솔직하게 술술 흘러 내려, 산뜻하고 환하게 관객의 기분을 북
돋울 수 있도록 써야 한다.
能의 창작에 있어서 우아하고 뜻을 곧 알 수 있는 시가의 문구를 사용하는 것
이 좋다.
좋은 能는 소재와 전거가 뚜렷하고 신기한 면이 있으면서 관객에게 호소하는
고비를 갖추고 있으며 전체의 풍취가 어딘지 모르게 우아한 멋이 있는 것을 말
한다.

또 모든 것에 균형이 잡히지 않으면 성공하지 못한다.

能를 쓸 때 유의해야 할 점은 무대상의 동작을 염두에 두고 써야 한다.



무대예술인 能는 관객을 존중하지 않으면 성립될 수 없는 藝이므로 그 시대의
습관이나 유행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된다. (우미한 예만 즐겨 감상하는 관객
앞에서는 원칙에 벗어나더라고 본래 강하게 표현해야 하는 예도 우미한 표
현적으로 이끌어 가야 한다. 부드러운 낱말 사용.)
작품에 따라서는 너무 자잘한 대본상의 문장인 극적 내용에 구애됨이 없이
대범하게 연희 해야 할 能도 있다. 이런 能는 기교를 부리지 말고 순직하게 자
연스럽게 하는 것이 좋다.
能의 상연에서 어떤 곡이 좋은가 나쁜가를 결정하는 데는 연희자의 예풍이나
실력이 중요한 요소가 됨을 알아야 한다.

能에서 꽃과 재미와 신기함, 이 세가지는 모두 같은 뜻을 가지는 말이다. 能에서는
한 가지 표현에만 안주하지 말고 항상 새로운 표현을 추구해야 한다.

관객과 장소에 따라 좋아하는 요소가 다름으로 곡, 작, 분장, 연희 등 어떠한 藝라
도 빠짐없이 습득하고 있어야 한다. 즉 모든 꽃을 지녀야 한다.

能에서는 십체(十體)를 터득하는 일이 중요하다. 십체를 터득한 배우라면 연희의
범위가 넓기 때문에 같은 곡목을 한 차례씩 연희한다 해도 일순하는데 상당한 기간
이 걸리므로 관객들은 항상 신기함을 느끼게 된다.

‘연년거래(年年去來)의 꽃’을 잊어서는 안 된다.

能를 연희할 때 만사에 반드시 마음을 써야 할 일이 있다. 유(柔)와 강(强)을 적절하
게 조화해야 함.

숨기는 꽃을 알아야 한다. “숨겨야만 꽃이니라 , 숨기지 않으면 꽃이 아니니라”라고
한다.

인과의 꽃을 깨닫는 일은 能의 수업에서 최고의 과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