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cript 동양과 아시아
동양과 아시아
• • 東洋과 Orient
‘
東洋’ – 14 세기이후부터 중국사에 나타남 . – 송대(宋代, 960∼1279) , 광저우(廣州)와 수마트 라 동부를 연결하는 선(線)의 동쪽 바다 지칭. 원 대(元代,1271∼1368)에 때 동양이라고 지칭.
– 명대(明代,1368∼1688)에서는 광둥(廣東)과 보 르네오를 연결하는 동경 113° 선의 동쪽 바다를 의미.
동양과 아시아
• ‘ Orient ’ – 어원 : 라틴어의 오리엔스(Oriens). ‘ 해돋이’ ‘해가 뜨는 방향’ ‘동방(東方) ’ 의 의미 – 이란 · 메소포타미아 · 시리아 · 팔레스타인 · 아르메니 아 · 소아시아 및 아라비아와 이집트를 포함한 지방. – 로마인은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지중해의 동쪽을 오리엔트라고 부름. – 해가 지는 서방(西方) → 옥시덴트(Occident) – 유럽과 미국에서는 지중해의 동쪽에 있는 여러 나 라의 의미로 사용.
동양과 Asia
• ‘ Asia ’ – ‘Asia’ 명칭의 기원 : B.C.11
∼ B.C.7
세기 무렵 페니 키아인이 자신들이 사는 땅으로부터 동쪽을 아수 (Asu; 해가 뜨는 지방 앗시리아어 ), 서쪽을 에레브 (Ereb; 해가 지는 지방 ) 라고 부른 것에서 시작 .
– 그리스인이 에게해 동쪽의 지역을 막연하게 동쪽 지역이란 의미로 사용 → 근대 서양인들이 이를 유 사음인 Asia 로 재생 .
– 이후 유럽인의 확대에 따라 Asia 개념이 확대
東洋 개념의 변화
• 명대(16세기이후) 서양의 선교사들이 중국으 로 와서 활동.
• 한자(漢字)로 세계지도를 설명 분 – 동서양을 구 • 북태평양의 서반(西半)을 대동양(大東洋), 그 동반 을 소동양. 인도양 서부를 소서양, 유럽의 서쪽을 대 서양이라고 함 • 동양제국 : 루손 · 몰루카 · 보르네오 등 • 소 동 양 : 타이완 · 류큐제도 · 일본 등 • 서양제국 : 안남 · 자바 · 수마트라 · 말래카 등 • 소 서 양 : 남인도 • 대 서 양 : 유럽
‘
동양’ 개념의 문제점
• • • The East : 근세이후 정치 , 문화적 개념에서 정립 . 동양인이 이를 수용 .
• The East 와 The West.
→ 유럽을 기점으로 동과 서를 구분 ← 터키 동쪽에 위치한 아시아 전역을 일괄하여 ‘동’으로 통칭 , 우랄산맥 흑해 지중해 홍해를 연결 하는 기준선으로 그 이동은 " 동 ", 이서는 " 서 " 로 대 별 .
문제점 : 기준 예 ) 극동 , 원동 , 근동 , 중동 , → 영국중심
'
동양학(東洋學)
'
의 개념과 범위 • 가
.
동양학의 개념
– → 실질적으로 동양학은 중국이 중심
• 나
.
동아시아
3
국에서의 동양학
– → 일본이 성립 , 주도 .
• 다
.
일본의 제국주의적 침략 목표
– 중국 이 됨 → → 동양학 성립과정에서 동양학은 중국 중심 한국에 영향 – ※ 용어 및 개념에 대한 문제점 ※
동아시아사의 의의
• • ‘ 동양사’의 한계 → 새로운 개념의 필요성 요청 ‘동아시아’ ‘동아시아 세계’ – 한 나라의 역사를 ‘국가’라는 틀 속에서 고립 적으로 파악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보다 넓 은 ‘문화권’이라는 틀 속에서 제 ‘지역’이 서로 교류하는 가운데 역동적으로 전개되어 왔다고 파악하려는 시점 – 서구중심의 역사관에 대한 반성과 ’80년대이 후 동아시아 지역의 경제발전으로 본격적을 논의의 대상이 됨.
‘
관계사’에서의 유의점
• 객관적 시각을 확보하기가 어려움 – 사료의 취사선택 및 사료 구성 당시 이미 주관이 개입되기 쉬움.
– 사실의 중요도, 가치, 평가 등 주관이 개입되어 야 하는 경우 이 문제는 더욱 커짐.
– 예) 미국 : 이슬람, 한국 : 일본 • 모든 관계 유형을 전부 파악할 수 없음.
– 남아 있는 자료의 한계 – 관계 유형의 복잡, 다양성 → 선택의 문제가 따른다 .
‘
관계사’에서의 유의점
• 역사는 ‘현재의 역사’. 기본적으로 인간의 삶에는 시대를 초월한 공통성이 있다.
– 그러나 과거의 ‘관계’ 양상을 현대와 같이 취 급하는 것에는 문제의 소지가 있다.
– 예) 삼국시대의 대중외교교섭과 현재의 대미 교섭
중화(중국)적 세계질서
중국인의 세계관
• ‘ 중국(中國) ’ 이란 무엇인가?
– 국가(國家)로서의 중국(中國) •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이전에 중국이라는 국가는 존재하지 않는다. • 그러나 중국이라는 말은 전통시대 문헌에 자주 등장. • 과거 사용된 ‘중국’이라는 용어와 오늘날 우리들이 「중국」이라고 하는 용어 사이에는 지리적-공간적으 로 많은 차이가 있다.
• ‘ 중국’이란 관념은 수천년에 걸쳐 사람들의 정치적, 경 제적, 사회적 상황 속에서 변동하면서 구성되고 재구성 된 사상적인 산물.
‘
중국(中國)
’
이란 무엇인가?
• 중국(中國)과 중화(中華) – 국(國) • 크기가 시대에 따라 다양. 사방 또는 夷狄과의 대비를 의식하여 사용 • 흥망하는 개개의 왕조를 초월한 시간적 연속성과 문화적 공통성 을 가진 공간적 범위 내지는 인간집단의 의미를 지님.(예) 한국이 라는 용법) • 그러나 ‘중국’은 ‘한국’과 같은 특정한 민족이나 국가를 가리키는 고유명사라기보다는 ‘세계의 중앙에 위치한 영역’이라는 막연한 의미. – 전통적으로 ‘중국’이란 ‘이적(夷狄) ’ 에 대비되는 상대적 인 관념으로 사용 중국을 높이고 이적을 멸시하는 차별의식을 내포하고 있 음. – ‘ 中華思想’이라는 용어로 표현되듯이 – 이적(夷狄) • (1) 한족(漢族)이 아니다.
• (2) 보편적인 도리를 모른다. <- 해석에의 유연성이 존재.
중국인의 천(天) 사상과 천하관(天 下觀) • 1) 천(天)과 천하(天下)
• 천(天) : 하늘. 절대자. 인 격신은 아님. 백성(民, 生 民)은 모두 천에서 유래함.
• 천은 대행자(天子)에게 천 하의 생민(生民)을 다스리 도록 함) • 하늘로 부터 명(天命)을 받 은 천자는 하늘의 뜻에 따 라 백성을 다스림.
중국인의 천(天) 사상과 천하관(天 下觀) • 2) 천자(天子)의 권위와 역할
– 천자 = 하늘의 아들 – 하늘에 제사 지낼 수 있는 유일자, 적자. • → 봉선 ( 封禪) 의식의 특권 – 천하에서 제일 권위있는자. 천하는 실질적으 로 모두 천자에게 귀속 (왕토사상) – 천자는 원칙상 한사람만이 존재해야 한다.
– 중국에서의 천자 : 王 → 皇帝
중국인의 천(天) 사상과 천하관(天下 觀) • 3) 천명(天命)과 혁명(革命)
– 천자는 천명을 받들어 백성들을 잘 다스려 야 한다.
– 만약 천자가 하늘의 뜻을 거스르거나 제대 로 수행하지 못할 경우 천은 명을 거두고 새로운 사람에게 천명을 주어 이를 대신하 게 한다. → 혁명(革命) – 맹자(孟子)의 역성혁명론(易姓革命論) – 동중서( 董仲舒) 의 재이천견론(災異天譴論, 災異論) : 혁명론의 보완.
중국인의 천(天) 사상과 천하관(天 下觀)
• 4) 천(天)의 공(公)과 가(家)의 사(私) – 백성(民)에게 천자는 자신들을 돌봐줄 의무가 있는 존재이기도 하다.
– 천자(황제) = 국가 = 조정 – 조정은 천자를 보좌하여 맡은바 임무(생민을 보살필 의무)를 하는 곳.
– 국가(國家)는 일개 왕조(=私)이므로 불변이며 절대 충성의 대상은 아니다.
– 유학자들은 이런 이유로 국가의 망(亡) 보다 도(道)의 끊김을 더욱 중요시 하게 되었다.
중국인의 대외관 - 중화사상(中華 思想)
• 1. 중화사상의 형성과 전개 – 1) 중화사상(中華思想)이란?
– 중국 문화가 최고, 중심이라는 민족(?)사상. 한족(漢族) 중심의 자민족중심사상. 화이사상(華夷思想). 중국대외 관의 기본을 이룸 – 화이(華夷)적 세계관 : 전국시대에서 진-한에 걸쳐 형성. – 중화(中華) : 중국 문화가 미치는 지역. 결국 전세계 (天下)를 의미.
– 이적(夷狄) : 중국 문화의 변경, 외부 지역. 中華(王華) 가 계속 확대되어야 할 영역.
2) 중화(中華)란 무엇인가?
• 중화란 전통적으로 이적(夷狄)과 대비되는 상대적인 개념으로 사용.
• 중화사상, 또는 화이사상이라고 하듯이 중국을 높이 고 이적을 멸시하는 차별의식을 담고 있다. • 그러나 그 차별의식을 이적(夷狄)을 배척하고자 하는 배타성과 함께 이적을 포용하고자 하는 포용성을 동 시에 내포하고 있다. • 배타성의 예) 明末淸初 大儒 王夫之 : 중국(중화)과 이적의 구분은 군주와 소인의 구분과 마찬가지로 하 늘에 의해서 정해진 것이기 때문에 문란해져서는 안 된다-만주족의 중국지배에 대해 격렬하게 저항-漢 族의 입장 • 포용성의 예) 唐代의 韓愈 : 공자가 春秋를 저술하였 을 때 제후라 해도 이적의 禮를 행하는 자는 이적이 라 하고, 이적이라도 중화의 禮를 행하는 자는 중화
3) 중화와 이적(華夷)은 어떻게 구분하 는가?
• 춘추전국시대 이후 화이관의 두가지 개념 – 1. 실체적 개념 : 한민족(漢民族, 華)과 비한민 족(非漢民族, 夷)으로 구분. 즉, 언어 · 풍습 등 (禮 등)이 한민족과 다른 민족은 이적시 되었 다.
– 2. 기능적 개념 : 문명(華)-비문명(夷)으로 구 분. 즉, 인간의 보편적 도리에 대한 인식여부 를 기준으로 화이를 구분하는 것. 이 개념에 따르면 주변국도 중화의 예를 받아들이면 중 화에 포함될 수 있다.
3) 중화와 이적(華夷)은 어떻게 구분하 는가?
• 중화와 이적의 구분은 일면적인 것이 아니라 양면 성을 띄고 있다.
• 화이의식이 갖는 양면성 : 중국이라는 거대한 존재 를 유지할 수 있는 원동력. 중국을 둘러싼 동아시 아 제국의 질서체계를 지탱하는 원동력.
• 역사적으로 실체적 개념과 기능적 개념은 중첩되 어 큰 문제시 되지 않음.
• → 주변부의 힘이 강성해지면서 양축의 균형이 깨 어짐.
• 실체적 개념을 강조(한족의 우위를 고무하는 배외 주의적인 경향)하거나 기능적 개념을 강조(주변민 족 문명성의 높음을 주장)하는 언설 등 화이이데올 로기는 역동적으로 다원화 경향을 나타내게 된다.
• 주변 제국으로의 영향 : 조선, 일본, 베트남 등에서 는 각각 자국 중심의 화이관을 전개
유가(儒家)와 중화사상
• 1) 공자(孔子) – “ 子曰, 夷狄之有君, 不如諸夏之亡也.
” : 이적에 게 군주가 있는 것은 중원제국에 군주가 없는 것보다 못하다. – “ 微管仲, 吾其被髮左襟(憲問) ” : 관중이 없었더 라면 우리는 머리를 풀어헤치고 옷깃을 왼쪽으 로 여미는 이적이 되었을 것이다.
– →이적 멸시관이 보임. 당시는 아직 중국이 통 일되기 이전이므로 제하(諸夏), 즉 중원제국의 공통적인 예의 작법을 실천하지 않는 것을 이 적시 함.
• 2) 맹자(孟子) –
“
吾聞用夏變夷者, 未聞於變夷者也. 陳良楚産也, 悅周公? 仲尼之道, 北 學中國, 北方之學者, 未能或之先也.
”
: 중국의 문화가 야만인을 감화시 키는 것은 들었어도 야만인에게 감화된다는 것은 들은 바가 없다. 진량 은 초나라 출신이지만, 주공과 공자의 도를 즐거워 하며 북방의 중국에 서 배웠는데, 북방의 학자들도 또한 아직 그를 능가하는 자가 없다) – → 주공과 공자의 도란 주(周)의 예의작법을 말하며 그 문명을 하(夏)라 고 명시하고 그것이 행해지는 지역을 중국이라고 하는 아직 통일이 안 된 환상적 공동체를 상정.
• • 3) 예(禮)와 중화-이적 – 예: 고대 중국에 결집된 관혼상제(冠婚喪祭)의 예의작법(禮意作法) – 부자(父子)관계는 효(孝)로서 이는 모든 인간관계의 기본적인 것 – 효를 행하는 것이 예가 아니라, 효를 행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어떠한 행위를 해야만 하는가라는 세세한 행위규정을 ‘예’라고 한다. – 장례식 경우의 예(禮) : 죽은 자는 북침(北枕)에서 남침(南枕)으로 옮겨 따뜻한 물로 씻기고, 자손은 큰 소리로 곡을 해야만 한다. 따라서 이러 한 예를 따르지 않는 것은 모두 이적(夷狄)이다. 예를 들면 일본에서는 장례식의 경우 죽은 자를 북침(北枕)으로 하고, 조문객 앞에서는 대성 통곡하지 않는 것이 예이다. – 예(禮)란 감정을 억누르기도 하며 감정을 불러일으키기도 하는 것으로 자신의 감정을 그대로 외부로 표출하는 것은 이적(夷狄)의 도(道)이 다.(禮記)
송대(宋代) 중화사상의 이론적
개를 보임
재편
• 송대는 이민족의 위협에 처하면서 중화사상의 새로운 전 • 주자(朱子)는 성리(性理)의 이론을 가지고 이민족을 멸시 – 예)원숭이는 형상이 인간과 비슷하여 금수 중에서는 가장 영물이 나 다만 말을 하지 못할 뿐이다. 夷狄은 인간과 금수의 중간에 위 치한다. 그래서 결국 기질을 바꾸기가 어려운 것이다.(『朱子語 類』권4, 「人物之性氣質之性」) • 예를 정점으로 형성된 중화사상은 여기에 와서 이론적으 로 재무장됨. • 이적이나 금수는 천리로 연결되는 이(理)를 가지고 있지 만, 기(氣)가 흐리기 때문에 이 기를 깨끗이 하지 않으면 본연의 이(理)를 밝힐 수 없다. – → 기질지성을 바꾸지 않으면 이적은 결코 중화가 될 수 없다. 주자의 이론형성의 근거.
– → 이적과 중화의 구분은 소인과 군자를 구분하는 근거를 마련 해 줌으로서 사회계층의 차등적 질서를 합리화 • 朱子는 예를 정비하기 위해 『儀禮經傳通解』『家禮』 를 저술(그의 제자들에 의해 편찬)
중화(중국)적 세계질서
송대(宋代) 중화사상의 이론적 재편
• 송대의 대내적 대외적 상황 • 대내적 : 과거제의 확대와 문치주의(文治主 義)로 인한 학문, 사상의 발달. 국방의 약화 도 초래.
• 대외적 : 주변의 여러 이민족(異民族)이 성장. 이에 의한 위협이 가중.
→
중화사상의 새로운 전개 • 이민족의 침략과 위협하에서 중화민족의 높 은 자긍심을 나타내기 위한 목적으로 중화사 상이 적극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사용됨.
송대(宋代) 중화사상의 이론적 재편
• 주자(朱子)는 성리(性理)의 이 론으로 이민족을 멸시 – 예) 원숭이는 형상이 인간과 비 슷하여 금수 중에서는 가장 영물 이나 다만 말을 하지 못할 뿐이다. 夷狄은 인간과 금수의 중간에 위 치한다. 그래서 결국 기질을 바꾸 기가 어려운 것이다.(朱子語類』 4, 「人物之性氣質之性」) – 예(禮)를 정점으로 형성된 중화 사상은 여기에 와서 이론적으로 재무장됨. 주자(朱子)의 상
송대(宋代) 중화사상의 이론적 재편
• 이적이나 금수는 천리로 연결되는 이(理)를 가지 고 있지만, 기(氣)가 흐리기 때문에 이 기를 깨끗 이 하지 않으면 본연의 이(理)를 밝힐 수 없다. – → 기질지성(氣質之性)을 바꾸지 않으면 이적은 결코 중화가 될 수 없다. 주자의 이론형성의 근거.
– → 이적과 중화의 구분은 다른 한편으로 소인과 군자 를 구분하는 근거를 마련해 줌으로써 사회계층의 차 등적 질서를 합리화 • 朱子는 예를 정비하기 위해 『의례경전통해(儀 禮經傳通解)』『가례(家禮)』를 저술(그의 제자 들에 의해 편찬)
화이질서(華夷秩序)의 구조변화
-화이변태(華夷變態) – 송대 이론적으로 완성된 화이질서는 명대(明代)에 실현 – 조공체제(朝貢體制) • 1) 명청(明淸) 교체 – 17세기 중엽의 대변동을 거쳐 17세기 말이후 동아시아에 서는 새로운 정치질서 형태가 자리잡음. – 명(明)을 중심으로 한 방사선상의 조공체제는 해체되고 아나키적인 상황하에서 여러 신흥세력이 실력항쟁을 전 개하였다. • → 그 최종단계가 중국의 화이변태( 華夷變態) • 이것은 화이론의 퇴조가 아닌 새로운 형태로 재발전한 것 • -화이론의 다원화현상
화이질서(華夷秩序)의 구조변화 -화이변태(華夷變態)-
• 화이관의 다원화를 촉진한 결정적 계기가 된 것은 명청교채(明淸交替) – 중국인 실체개념을 강조해 반청감정을 폭발 – 만주인 기능개념을 강조해 자신들의 지배를 정당화시킴 • 청의 강희제(康熙帝) 정권을 정당화.
·
옹정제(雍正帝)는 중국지역에서는 황제를 칭하고 북방민족 에 대해서는 칸(汗)을 칭하면서 화이(華夷) 의 양 측면을 이론적으로 통일하면서 청조
소중화(小中華) 조선(朝鮮)
• 1627년의 정묘호란과 1636년의 병자호란 – → 종주국을 명(明)에서 청(당시는 후금)으로 변 경.
– 청은 종래 조선이 오랑캐로 멸시하던 여진족의 국가 • 청이 중국 전토를 지배하자 당시 조선의 지 식인사이에서 이적(夷狄)의 지배 하에 들어 간 중국은 이미 중화(中華)가 아니며, 조선 이야말로 중화문명의 계승자로서 청조보다 문명적으로 우위에 선다고 하는 소중화(小 中華) 사상이 고양.
소중화(小中華) 조선(朝鮮)
• 효종(孝宗) : 존명배청(尊明排淸)의 풍조가 고양 → 북벌론 • 존명양이(尊名攘夷)론 : 실체적인 개념에 가깝다. – 그러나 당시 조선의 존명양이론은 기능개념적인 화이 론에 가깝다. • 송시열 :『맹자』에 순(舜)도 동이(東夷)요, 문왕 (文王)도 서이(西夷). 그들이 성인 현인이 될 수 있다면 우리 조선도 공자가 될 수 없다는 법은 없다. – 이 논리는 옹정제(雍正帝)가 청조지배를 정당화하기 위해 사용한 논리와 일맥상통하는 것.
소중화(小中華) 조선(朝鮮)
• 조선의 반청지식인(反淸知識人)의 논리와 옹정 제 논리의 차이는 무엇일까?
• → 화이를 나누는 예의의 내용.
게 이행하고 있다는 점. 즉 변발과 통 소매 옷을 입는 청조 사람들에 비해 조선은 정통 유학을 배우고 중화의 예, 중화의 풍속을 엄격하 • 중국은 배울 것이 없다는 자존의식이 내포 이러 한 → 자존의식의 협소함을 비판한 18세기 북학 파(실학계통)도 또한 기능개념적인 화이관에 입 각하고 있음. • 조선전통사회의 형태가 탄생 → 주자가례가 향 촌사회 구석구석까지 침투, 그 준수가 사회적 위 신의 기초가 됨
일본 화이관의 전개
• 일본은 중국과의 관계상 정식 책봉(冊封)을 받고 중국의 화이적 질서에 편입되었던 기간은 극히 짧으며 거의 없었다고 해도 좋을 정도.
• 1547년 감합(勘合)무역의 중단으로 밀무역은 계 속되었지만, 중국과의 공식적인 관계는 중단 .
• 도요토미 및 도쿠가와 정권의 정당성(그 이전의 정권도 마찬가지)은 제 다이묘를 누를 수 있는 군사력과 형식적으로는 천황에게 통치의 위임을 받는 국내적 요인에 존재 → 명 황제와는 관계가 없음.
일본 화이관의 전개
• 도쿠가와(德川) 정권은 중국보다는 조선과 류큐(현 오키나 와)의 사절단을 화려하게 알현하는 연출에 의해 정권의 정 당성을 과시 • • 장군의 국제적인 위광의 연출은 사람들에게 외국의 이미지 를 조성 ‘일본국대군’이라는 칭호는 외교관계의 자주적 편성을 지향 한 새로운 자율적인 국내정당성 구조의 수립선언 • 이는 해외에 실질적인 통용력을 갖고 있었던 것은 아님?도 쿠가와 정권 시 만들어진 ‘세계’는 안에서 조작된 세계상으 로서 실제 세계와의 정보를 차단하는 것이야말로 그러한 세 계상의 존속을 가능하게 한 것 • 중국을 부정 -조선과 같음? 그러나 중국에 대신해 중화문 명의 엄격한 계승자가 되고자 했던 조선의 지식인에 비해 일본은 중화의 풍속이나 주자학적 의례의 엄격한 실천과는 다른방향으로 일본을 중심으로 보는 논리가 생겨남.(일본적 천(天) 관념의 전개) • 청조와 조선과는 다른 형태의 화인관을 전개
양무운동(洋務運動)시기의 중화사상(中華思想) • 1) 중체서용(中體西用)의 논리 • 양무운동 – 1860년부터 1894년까지 약 35년간의 기간. – 아편전쟁, 애로우전쟁을 통해 서양 병기의 우수성에 촉발되어 태평 천국운동 진압 후 증국번(曾國藩), 이홍장(李鴻章) 등이 정치적 발언 권을 장악하게 되자 열강의 침략과 국내의 농민반란을 진압하기 위 해 서양 근대의 기계문명을 채용해 자강을 도모하고자한 운동 • 풍계분(馮桂芬, 林則徐의 제자) : 천지가 개벽한 이래 지금 까지 느껴보지 못한 울분과 치욕으로 피가 거꾸로 치솟고 머리가 하늘을 찌를 둣하다. 오늘 지구제일의 대국이 하찮 은 오랑캐에게 패배하였다.
– 이 울분을 풀기위해서 서양의 기술을 배워야할 것을 주장, 그러나 중 국의 예를 견지해야 한다. 왜냐하면 그들의 기술은 모두 중국에 있었 던 것이기 때문이다. • 정관응(鄭觀應) : 지금 서양의 학문을 배우는 것은 지금은 쇠퇴해 버린 중국 본래의 학문을 중국으로 환원시키는 것이 다.
양무운동(洋務運動)시기의 중화사상(中華思想) • 2) 이적관(夷狄觀)의 변화(變化) • • 그러나 근대중국의 이적관(夷狄觀)은 전통적인 화 이적(華夷的) 세계관을 이어받으면서도 그것과의 명확한 단절 위에서 성립. – 신해혁명의 「멸만흥한(滅滿興漢)」운동은 이민족배제 의 논리를 바탕으로 하고 있지만, 열강의 압박 하에서 다 양한 입장이 서로 경합하면서 형성된 새로운 「중국(中 國)」의식의 탄생 ‘세계(世界) ’ 에 대한 의식의 변화 : 중국을 중심으 로 한 일원적인 세계관에서 벗어나 중국의 세계 속 의 주권을 가진 많은 나라 중의 하나에 불과. 자국 과 타국과의 영역의 경계가 명확해 짐 - 종래의 개 방적인 ‘왕화(王化) ’ 사상과는 구별되며, 배타적인 화이사상과도 구별되는 새로운 단계.
근대 중국의 과제
• 어떻게 하면 동포라고 하는 정신을 불러일으킬 것인가?가 문 제로 대두 - 중국은 군자와 소인을 구별하는 신분제적 차별 이 있었지만, 배워서 성인에 도달할 수 있다고 하는(과거제가 그 대표적)점에서 개방적인 평등성의 양면성을 지님. – 그러나 이것은 서양에서 말하는 만인의 평등성과는 본질적으로 다른 것. 여전히 군자와 소인의 차별, 즉 상하관계를 엄격히 인정 • 근대 중국의 내셔널리즘은 중국-이적, 군자-소인이라는 개 방성과 차별성에 익숙해 진 사람들에게 어떻게 하면 「중국」 이라고 하는 형상을 심어줄 수 있을 것인가라는 정신적 국가 통합의 문제가 현대중국에서도 여전히 과제 • 중화민족(中華民族) 이데올로기 속에서 민족, 계층간의 갈등을 해소하면서 중국 을 통합 – 황제(黃帝)의 자손이라고 하는 새로운
동아시아의 기본국제질서
–
조공(朝貢)
1.
의미 : 전근대 동아시아의 국제관계에서 중국 주변에 있는 나라들이 정기적으로 중국에 사 절을 보내 예물을 바친 행위 .
2.
시초 : 주 ( 周 ) 시기 , 제후는 방물 ( 方物 ; 지역 특산 물 ) 을 휴대하고 정기적으로 천자 ( 天子 ) 를 배알 하여 군신지의 ( 君臣之義 ) 와 신례행위 ( 臣禮行 爲 ) 를 행하였고 , 천자는 이를 통하여 여러 제 후들을 통제하고 지배 .
동아시아의 기본국제질서
–
조공(朝貢)
3.
체계화 : 한대 ( 漢代 ) 이후 황제제도의 정비 . 중화사상의 형성과 함께 체계화 · 제도화 • 한(漢) 이후 중국과 주변국가 사이에 제도 화 : 조공(朝貢)과 책봉(冊封) • 정형화 : 중국에 황제지배체제가 완비(?) 된 명대(明代), 이후 청대(淸代)로 이어짐
황제제도와 조공체제
• 황제제도의 시작 : 진(秦) 시황 제(始皇帝) – 주나라의 왕(王) 보다 우위의 지 위를 나타내기 위함 • 제도적으로 중앙집권적 전제군 주체제 완성 : 한 무제(漢 武帝) – 연호(年號)의 제정. – 주변 각국 및 이민족과 책봉(冊封) 관계를 폭넓게 수립.
한 무제의 상
동아시아의 기본국제질서
–
조공(朝貢)
• 조공의 기본 구조 • 조공체제: 황제지배체제시 중국을 중심으로 한 광역질서의 기본특질. 「중화」와「이적」간의 상하관계를 기본 축으로 하는 일원적, 차등적인 질서체제 • 그 상하관계가 「책봉(冊封)」즉 중국왕조가 주 변제국의 지배자에게 왕호나 관위를 하사해 군 신관계를 명확히 위치시키는 형태로 나타나는 것도 있음. • 그러나 조공은 책봉관계가 없어도 존재
조공의 기본 구조
• 좁은 의미의 조공 : 주변제국이 미리 정해진 시 기나 루트에 따라 공물을 가진 사절을 중국에 파 견해서 황제에 배알하고 중국 측에서는 이를 접 대하고 회사(回賜)의 물품을 주어 귀국시키는 일 련의 과정 • 넓은 의미의 조공 : 상인들이 사절단과 함께 중 국에 가서 중국상인과 거래하는 것을 총칭. 또한 조공시스템은 화이관념에 기초한 차등적인 국제 질서관과 그 속에서 이루어지는 교역을 폭넓게 가리키는 것도 있음 – 예) 청대 광주에 온 유럽 선의 무역 등
동아시아의 기본국제질서 - 朝貢체제
*조공무역제도 이 확대된 것. : 조공(朝貢)과 회사(回謝)라는 형식 • 협의 : 의례에 의한 공품(貢品)과 회사품(回謝品)의 교환 • 광의 : 사절단의 사람들이나 이에 동반한 관허(官許) 의 상인들이 수도에 상품을 운반해와서 그 지역의 상인과 교역하는 것. • 이외 상인들이 사절단과 함께 중국까지 와서 항정 (巷町)이나 국경지대에서 중국상인과 거래하는 것.
조공에서의 기본적 요소 및 구조
• 중국과 주변제국의 관계 : 國 對 國의 관념이 아니다 • 조공은 중국 국내의 체제 및 제도를 범위 이상으로 확대한 것(華夷體制) • **勘合 : 符로 불리다가 당송이후 '감합'의 이름으로 국내 군사문제 등 使者의 왕래에 사용. → 명대, 이를 외국에도 적용. 감합 발행소는 예부. • 예) 1901년이전까지 중국에는 외무부가 不在. • 조공 업무는 禮部에서 처리 식 ← 국내문제라는 형식상의 인 • 淸代 華夷體制의 구조 : 중앙에서 외부로의 확장 • 條約은 國 대 國의 관계 : 화이관하에서는 불가능하다 • 청대초 러시아와의 조약 : 중국에서는 조약의 형식이 아님.
전근대 동아시아 세계의 정치-경제관계
동아시아 세계의 상호 관계
• 한 나라의 역사를 ‘국가’라는 틀 속에서 고립적으로 파악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보다 넓은 ‘문화권’이 라는 틀 속에서 제 ‘지역’이 서로 교류하는 가운데 역동적으로 전개해 왔다고 파악하고자 하는 시점이 존재 – 예) 한국사의 형성과 전개는 한반도를 둘러싼 중국을 포 함한 동아시아 제 지역의 움직임과 분리해서 이해하기 어렵다.
• 그러나 이러한 시점은 ‘국가’라는 틀을 해체하고자 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지역의 중첩 속에서 새롭게 ‘국가’를 재검토하고자 하는 것.
동아시아 세계의 문화적 지표
• 1) 한자(漢字) • 2) 유교(儒敎) 문화적 요소 • 3) 불교(佛敎) • 4) 율령제(律令制) : 제도적 요소 • 5) 책봉체제(冊封體制) : 정치적 요소 • →이러한 동아시아 세계는 19세기 유럽 자 본주의가 밀려오기까지 자기완결성을 보 유.
동아시아 책봉체제의 서막
–
한대(漢代) -
• 책봉(冊封)이 중국의 영역 밖으로 확대되 어 대외관계의 기본틀로 시작 -> 한(漢) • 한은 주변의 여러 민족과 국가들과 책봉관 계를 맺고 변경의 안정 및 적대세력에의 견제를 꾀함 – 예) 대흉노 견제를 위해 중앙아시아 지역(실크 로드 주변지역)에 사절을 파견, 이들 국가의 조공을 실현. -> 장건의 실크로드 개척.
• 책봉의 기본 성격 : 간접지배(?)
한과 동아시아 제국과의 관계
• 고조선(한반도) – 중국과의 관계는 주나라 건국시 기자(箕子)가 동쪽으 로 가서 조선(朝鮮)의 왕이 되어 주왕이 조선왕으로 책 봉했다는 것이 최초 -> 진실인가의 여부는 논란(부정 하는 견해가 우세) – 위만조선 때 한과 교섭 – 한과의 관계가 원할지 못하자 한이 무력 정복 – 한 4군의 설치 – -> 중국 문화의 집접적인 전파 • 서한(전한) 말, 한반도 및 만주의 국가들은 한과 책봉관계를 수립했을 것으로 추정 – 예) 고구려
한과 동아시아 제국과의 관계
• 한에 대한 일본(倭)의 교섭 • 漢書 지리지 : 왜국(倭國) 100여국으로 분 립. 정기적으로 낙랑군에 사절 파견. • • 後漢書 「 東夷傳 」 : 57년 왜(倭) 奴國(나노 쿠니) 국왕 사자가 광무제(光武帝)에 조공. 인수를 수여. → 금인(金印,1784년 발견. ‘ 漢委奴國王’)
동아시아 문명권의 성립 -남북조시대와 당-
• 동아시아 문화권의 특징인 한자, 유교, 불 교 그리고 율령은 중국의 남북조시대를 거 치면서 한반도와 일본 열도로 전해졌고 당 (唐)대에 이르러 각 지역에 뿌리를 내리고 각자의 모습으로 발전해 나간다.
• 당대는 이런 동아시아 세계를 하나로 묶는 동아시아 문화권이 만들어졌던 획기라고 할 수 있다.
동아시아 문명권의 성립
• 중국의 분열과 통일 – 강력한 중국 중앙의 세력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주변 제국 및 제민족이 성장하는 경우가 많다.
• 남북조시대와 한반도-만주 – 중국의 왕조들은 자신들의 안정을 위해 주변 제국, 제 민족과 비교적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 – 고구려와 북조, 백제와 남조 : 서로의 필요에 의한 관 계의 수립 – 중국의 여러 문화요소가 전파, 수입 – 중국 내부의 혼 란과 한반도에서의 경쟁은 이를 더욱 용이하고 적극 적이 되게 함.
동아시아 문명권의 성립
• 불교와 유교 – 국가 중심의 종교 설립과 국가를 통일시키기 위한 목적 – 왕(王) 중심의 국가체제를 위한 이념적 기반 • 율령 – 중국의 율령은 황제를 중심으로 한 귀족 국가 체제의 기틀 – 삼국 및 일본은 이를 왕(또는 천황) 중심의 국 가체제 설립을 위해 적극적으로 수용 -> 고대 국가의 성립.
동아시아 문화권의 성립
• 중국을 중심으로한 동아시아 문화권이 성 립(확립)된 시기 : 당(唐) • 강력한 왕조인 당의 정치적, 문화적 요소 는 주변 제국과 민족들을 당의 영향력 안 으로 끌어들임 <- 당을 규범으로 하는 정 치, 문화체제를 수용.
당대 동아시아의 책봉체재
• 당대 당을 중심으로 책봉체제가 성립 – 당은 주변제국과 책봉관계를 맺고 조공사절을 받아들임 책봉체제(시스템) 성립(?) – 당대의 책봉관계가 후대와 같은 시스템으로 작용했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의견이 분분 – 일반적으로 책봉체제는 명대에 가서 확립된다 는 것이 통론
명초(明初)의 朝貢질서
• 14세기 → 15세기 : 동란에서 안정으로 – 중국 : 원말의 혼란상황에서 주원장(명태조 홍 무제)에 의한 명 건국(1368) – 한국 : 고려말의 혼란기에서 태조 이성계에 의 한 조선왕조의 성립(1392) – 일본 : 남북조의 동란후 아시카가 요시미츠(足 利義滿, 북조)에 의한 남북조 합일(1392) – → 이러한 동란의 시기가 명을 중심으로 한 광 역적인 질서 하에 자리잡는 것이 14세기 말 ~15세기 초 :「조공(朝貢)체제」
15세기 동아시아의 광역적 질서
• 명대 전기(14세기 후반에서 15세기 중엽)는 대 체로 경제 침체기. 송대 원대의 사치적인 풍속은 명대에 들어와 검소해 짐. • 동아시아에서 명과 조선, 일본의 관계가 안정화 된 것은 3대 영락제 즉위후. – 영락제는 정권의 정당성을 어필하고자 즉위 초부터 적극적인 외교정책을 취함. – 조선의 태종이 ‘조선국왕’의 지위를 정식으로 인정받 음. – 일본에서는 아시카가 요시미쯔(足利義滿)가 ‘일본국 왕’에 정식으로 책봉됨과 함께 勘合(감합)을 얻음.
16세기 동아시아 세계질서의 변화
• 16세기 : 세계사적인 변혁의 시기 • 동아시아에서의 16세기 – 명 : 「北虜南倭」(북로남왜 : 북방의 몽고와 동남연안의 왜구) 위기가 극성.
– 일본 : 전국시대(戰國時代)의 혼란, 분열기 – 조선 – 서양세력의 출현 : 포르투갈, 스페인, 네덜란 드…. • 명 중심의 조공무역체제가 붕괴
세계자본주의와 동아시아 -동서양 문명의 충돌-
• 1.서양제국의 ‘중화제국’으로의 진출 – 서양제국은 16세기부터 중국에 진출 – 포르투갈 : 1513년, 처음으로 중국상륙.
– 1517년, 안드라데를 特使로 파견 – – – 1543년, 일본에 철포를 전래 1549년, 예수회 선교사 자비에르 일본에서 포교활동 1557년, 마카오에 무역거점 확보 – 1682년, 마테오 리치 마카오 도착.
– 16세기, 포르투갈은 독점적 무역 지위를 확보
1.서양제국의 ‘중화제국’으로의 진출
– 스 페 인 : 1571년 필리핀 마닐라에 무역거점 을 확보하고 중국과 무역 – 네델란드 : 1601년, 중국에 출현. – – 영 – 17세기초 동인도회사 설립 국 : 1625년, 영국, 대중국무역에 본격 적으로 참여. 청 중기부터 본격적으로 무역이 이루어짐
청조의 무역태도
• • • 중국 : 지대물박(地大物博) • 광둥(廣東)체제 : 공행(公行)무역(1757). 기본적으로 모든 무역은 조공(朝貢) 서양인은 이적(夷狄) = 양이(洋夷) • 방범이인장정(防範夷人章程) : 유럽인의 생활과 행동을 제약 • 기독교에 대한 입장변화 : 전례문제(典禮 問題)로 인한 기독교 금지.
영국의 대중국 무역
• 대중국 교역은 대체로 포르투갈 → (스페인) → 네 덜란드 → 영국으로 그 주도권이 이양되어 감.
• 영국 : 18세기말 중국무역을 주도.
• 교역품목 – a) 수입 : 차, 도자기, 생사, 면포 – b) 수출 : 모직물과 일부 사치품 • → 중국인이 그다지 필요로 하지 않았기 때문에 막 대한 은을 중국에 지불. • → 광둥무역체제의 장애 • → 1792년에 매카트니(macartney)사절의 파견을 시작으로 중국에 무역의 개방을 요구
영국의 3각 아편무역
• 영국은 대중국 무역 적자를 해소하기 위하 여 새로운 방법(수출품)을 채택 • 인도아편의 대중국 수출 → 삼각무역 • 1801년에 약 4천 상자 → 1823년 무렵 1 만 상자 → 10년 뒤 2만 상자 • 중국 은의 지나친 유출(은가 폭등) → 청 국가재정의 위기 • 1839년 아편무역 금지: 흠차대신 임칙서 (林則徐)의 아편단속
아편전쟁과 난징조약
• 아편전쟁(제1차 중영전쟁) : 1840~42년. 무력충돌. 중국의 일방적 패배.
• 난징조약(南京條約) – a) 최초의 불평등조약(치외법권, 협정관세) – b) 배상금지불, 홍콩의 할양 – c) 5개항 개항, 공행 폐지 – d) 새 국제질서에의 개방 – e) 중국의 반식민지화의 진행
애로우전쟁(제2차 중영전쟁)
• 영국상품의 북방 및 내지로의 진출문제 • 영불 연합군의 북경점령 • 톈진(天津)조약, 베이징(北京) 조약 • → 배상금지불, 내지여행권, 개항장 추가, 외교사절의 베이징 상주 • 이 전쟁으로 중국의 전통적 세계관이 변화 → 동아시아 화이(華夷)사상적 국제질서가 흔들림
아편전쟁의 의미
․ 불평등조약체제의 확립 과정. ․ 중화주의에 큰 타격(주변 국가에게도 같은 영향) ․ 중국의 서양의 상품시장, 원료의 공급지로 전락 → 반식민지화로의 여정의 시작 ․ 서양문화의 본격적인 유입과 이에 대한 중 국인의 대응 → 근대화 여정의 시작
4. 중국과 일본의 근대화 운동 - 성공과 실패?
• 1) 근대화의 정의? - 근대화의 척도 • ① 봉건적 토지소유관계의 일소(一掃)와 신분적 공동체 및 공동적 의식의 해소 • ② 산업에서의 기계화와 공장제 생산 • ③ 국민 의무교육의 보급 • ④ 대중매체의 광범위한 보급 • ⑤ 시민적 자유의 확립과 대중의 정치참여(사회 참여) • ⑥ 고도의 도시화 • ⑦ 각종 기능집단의 분출과 사회조직의 복잡화 • ⑧ 개인주의의 성숙 등등
2) 중국의 근대화 운동들 (일반적 관념)
양무운동 전통에 대한 인정 上 -> 下 태평천국운동 변법자강운동 (손문등의) 혁명운동 전통에 대한 부정 下 -> 上
양무운동
• 아편전쟁, 애로우전쟁이후 중국의 대외인식 변화 – 새로운 「중국」의식의 탄생 – 이무(夷務)에서 양무(洋務)로 • →추진세력은 曾國藩, 李鴻章, 左宗棠(모두 태평천 국의 진압을 통해 등장한 한인관료) • • 양무운동: 서양의 우수한 군사과학기술을 도입: 「中體西用」의 원칙 군사공업을 중심으로 한 근대산업화의 시작 • 양무운동은 내우회환에 대응하는 근대화정책을 실 시한 것. – 그러나 전통적인 중국체제질서를 개혁하지 않은 채 – →전근대적인 중앙집권국가에서 중앙집권적 근대국가에 의 편성은 실현되지 못함. 이 점은 메이지유신과의 비교 • 양무운동의 문제점은 청일전쟁(1894)에서 드러남
일본의 근대화 운동
메이지유신(明治維新) • • 전통에 대한 부정? 인정? : 上 -> 下 • 反幕府派의 武力에 의한 정부구성. • 구미국가를 모델로한 정부주도의 일방적 자본주 의 육성과 군사적 강화에 노력. • 경제 - 자본주의 성립, 정치 - 입헌정치 개시, 사 회 • 문화 - 근대화 추진. • 국제적으로는 제국주의 국가가 되어 천황제적 절 대주의를 국가구조의 전분야에서 실현. → 이후 아시아 침략의 원인
성공과 실패
–
평가의 정당성
• 청일전쟁 : 일본의 근대화 개혁 성공과 중국의 실 패라는 증거 • → 이후 일본은 제국주의, 중국은 식민지화의 길 을 걷게 됨.
• 근대화기에서의 ‘전통(=보수)
’
과 ‘근대(=개혁)
’
• → 누구의 손을 들 것인가?
• 동아시아 근대사의 문제점 : 서양세력의 외부적 작용이 역사진행에 미친 영향이 크다.
– → 우리의 역사를 우리 스스로의 시점으로 바라보는데 장애요인으로 작용.
중-일(한) 개혁운동의 결과
• 중국 : 거듭된 시행착오와 실패 ☞ 서양 열 강 및 일본에 의한 반식민지화 상태 • 일본 : 명치유신이후 군사강국으로 성장 ☞ 서양열강과 대응 ☞ 조선-중국으로의 식민지 확장 • 양국의 개혁 운동에 대한 일반적 평가 – 중국(한국) : 실패 – 일본 : 성공 • 문제점 : 성공, 실패에 대한 기준, 근거는?
역사 평가
• 역사는 승리한 자의 역사?
• ☞ 과거 역사 사적과 그 안에 포함된 평가 는 보통 승리한자에 유리하게 서술.
• 18세기이후의 동아시아와 유럽-미주 세력 의 힘의 균형 ← 서양 쪽에 기울어짐을 부 인할 수는 없다.
• 이런 이유로 서양 중심의 역사관이 정립되 어진 것도 사실
근현대사에 대한 인식 문제
• 동아시아의 근현대사는 내부, 외부적 요인 중 외부적(서양) 요인이 더 중시되어 왔고, 이에 의해 설명되어 왔다.
– 예) 한국의 근대사는 일본과 연관지어 생각하 지 않을 수 없다.
• 이런 점에 일견 타당성도 있으나, 부정적 인 면 또한 존재.
• ☞ 최근 이러한 점에 대한 양 지역 학자들 의 문제제기가 이어짐.
근현대사와 우리
• ‘ 세계화’라는 현실속에서 우리 자체만의 요 인으로 역사를 바라보는 것에는 문제가 있 다.
• 그러나 모든 원인을 외부에서 찾으려는 것 또한 문제가 된다.
• 과거에는 문제의 원인을 내부에서 찾고(예 를 들면 정체론과 같은 것), 그 해결 방법으 로 외부적인 것(예를들면 일본의 침략(진 출?))을 들었지만, 이제는 그 반대의 경향도 보인다. 즉 내부적인 요인이 아닌 무조건 외 부적인 요인으로 책임을 전가하는 것이다.
‘
우리 것’이 좋다라는 점에 포함된 문제
• 분명 이전 서양 중심적 사고 방식에서 벗 어나 우리 것을 찾고 강조하는 것이 나쁜 현상은 아니다. • 그러나 이러한 강조가 지나쳐서 무조건 우 리 것이 최고라는 인식 자체에도 문제는 내포되어 있다.
• ☞ 이러한 것을 어떻게 조율하면 될까?
• 결국은 좋고 나쁘다라는 가치 판단 문제로 귀결되는데 … .. 나 스스로는 해결할 수 없 는 문제! 각자 해결하시도록!
정당성
• 일본의 근대 vs. 중국, 한국(조선)의 근대 • → 정당성 부여는 가능한가?
• 양무운동 vs. 메이지유신 • 수구파 vs. 개화파 • 보수(우)와 진보(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