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cript Document

2. 한국 문학의 역사와 갈래
[4] 근·현대 문학(1)-일제 강점기 문학
01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작가 소개
작품 정리
학습 활동
작가소개
작품정리
학습활동
작가소개
작품정리
학습활동
1. 이상화의 생애
 1901년 4월 5일 경상북도 대구
에서 태어났다.
 4형제로, 큰형 상정은 독립 운
동가이며, 동생 이상백씨는 한국
최초의 IOC위원이자 한국 사회학
계의 선구자이다.
 1918년 서울 중앙학교 수료.
▲이상화의 4형제
작가소개
작품정리
학습활동
이상화의 생애
 1919년 3·1운동 당시 대구에서 백기만 등과 함께
거사하려다 실패하였다.
 1922년 “백조” 동인이 되어 문단에 데뷔했다.
 1933년 교남학교(지금의 대륜고) 교사로 근무했다.
중앙학교 수료 후 ▶
향리 친구들과
작가소개
작품정리
학습활동
이상화의 생애
 1943년 3월에 위암 진단을 받고 투병하다가 4
월 대구 자택에서 숨졌다.
 유고 시집으로 “상화와 고월”(1951), “상화 시
집”(1973)이 있고, 평전 “이상화 전집”(1981) 등
이 있다.
이상화 작사의▶
대륜고교 교가 시비
작가소개
작품정리
학습활동
2. 이상화의 작품 세계
 이상화의 시적 변모
• 이상화의 초기시는 ‘백조파’의 시들처럼 대단히
퇴폐적인 경향을 띠고 있었다. 흔히 그의 대표작
중의 하나로 거론되는 ’나의 침실로’ 나 ’말세의 희
탄’ 같은 작품들은 다른 ”백조” 동인들의 시와 마
찬가지로 병적이고 퇴폐적인 감상을 강하게 드러
내고 있다.
작가소개
작품정리
학습활동
이상화의 작품 세계
• 그의 시들에서 흔히 등장
하는 ‘밀실’ ‘피묻은 동굴’
같은 폐쇄적이고 병적인
공간 이미지들은 시대적
현실에 대한 환멸과 그로
인한 자기 폐쇄적인 절망
의식을 드러내준다.
▲《백조》 창간호
작가소개
작품정리
학습활동
이상화의 작품 세계
 3·1운동 이후 식민지 현실을 구체적으로 인식
• 3·1운동 이후 고양된 민중 운동과 사회 운동의
경향, 그리고 새로운 사상을 받아들이면서 이상화
는 점차 관념적이고 자기 폐쇄적인 세계에서 벗어나
식민지 현실을 구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되었다.
작가소개
작품정리
학습활동
이상화의 작품 세계
• 이러한 시적 변모의 징후는 1925년 이후 발표된
일련의 작품들, 즉 ‘가장 비통한 기욕’(1925), ‘폭
풍우를 기다리는 마음’(1925), ’가상’(1925) 같은
작품을 통해서 확인된다. 이 작품들은 참담한 식
민지 현실의 다양한 모습에 대한 인식과 그로부터
비롯된 민족적 울분을 담고 있다.
대구 달성 공원에 있는 시비▶
작가소개
작품정리
학습활동
이상화의 작품 세계
 ’나의 침실로’
• 3·1운동 직후 지식인들의 절망을 낭만주의적으
로 형상화하여, 슬픔, 그리움, 죽음의 동경 및 예
찬을 보여 주고 있다.
• 이 시에 형상화된 죽음에의 예찬은 병적인 것이
라기보다는 추악한 현실에 대한 부정의식이며, 낭
만주의적 순수성에 충실하고자 하는 간절한 염원
을 역설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작가소개
작품정리
학습활동
이상화의 작품 세계
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 1926년 “개벽(開闢)”에 발표되었다.
• 작자의 반일(反日) 민족의식을 표현한 작품으로
비탄과 허무, 저항과 애탄이 깔려 있다.
• 국토는 일시적으로 빼앗겼다 하더라도 우리에게
민족혼을 불러일으킬 봄은 빼앗길 수 없다는 몸부
림, 즉 피압박 민족의 비애와 일제에 대한 강력한
저항의식을 담고 있다.
작가소개
작품정리
학습활동
2. 한국 문학의 역사와 갈래
[4] 근·현대 문학(1)-일제 강점기 문학
01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작품 정리
작가소개
작품정리
학습활동
학습 목표
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는 국토를 빼앗
긴 현실에서 느끼는 비애와 울분이 화사한 봄
들판의 정경과 대비되고 있다. 또한 화자의 독
백적이면서 강렬한 어조를 통해 일제 강점기
의 국권 상실에 대한 울분과 그 회복에 대한
염원이 잘 나타난다. 시를 읽고 일제 강점기 문
학의 경향을 살펴보고, 일제 강점기 시인들의
현실에 대한 대응 방식을 생각해 보자.
작가소개
작품정리
학습활동
작품 연구
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저항시, 상징시, 낭만시
 성격 : 저항적, 상징적, 격정적, 현실 참여적
 제재 : 국권 상실의 현실과 봄의 들판
 주제 : 국권 상실의 울분과 회복에의 염원, 조국
상실의 비애와 광복에 대한 염원
작가소개
작품정리
학습활동
작품 연구
 특징
① ‘물음 → 확인 과정 → 답’의 순서로 내용이 전개됨.
[일종의 수미상관의 구성, 질문과 대답의 양식]
② 시각적 심상을 중심으로 향토적 소재가 많이 사용.
③ 시적 자아의 갈등이 대칭 구조로 되어 있음.
④ 1연과 마지막 연을 제외하고는 형식 면에서 각
연의 1행은 짧고, 2행은 조금 길고, 3행은 가장
길게 배열해 놓음.
작가소개
작품정리
학습활동
작품 연구
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의 구성
1연
2연
3연
4연~6연
빼앗긴 조국의 현실에 대한 인식
아름다운 봄 경치에 이끌림.
침묵하는 조국 강토에 대한 답답함
자연과의 친밀감
작가소개
작품정리
학습활동
작품 연구
7~8연
9연
10연
11연
국토에 대한 애정과 그리움
순수한 혼과 담담한 인상의 혼
자연에의 몰입과 신명
현실에 대한 재인식
작가소개
작품정리
학습활동
글쓴이 소개
이상화(李相和 1901~1943)
 초기에는 낭만적 충동을 보이는 작품 창작,
이후 민족의 슬픔과 일제에 대한 저항 의식이 담
긴 작품으로 나아감
 근대시의 형태와 운율에 대한 실험적인 모색을
보여준 시인으로 평가
 주요 작품 ‘나의 침실로’,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등
작가소개
작품정리
학습활동
핵심 강의
 이 시의 시상 전개 양상
물음 :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봄 들판에 대한 황홀감, 기쁨 만끽
조국 강토에 대한 애정
의구심
푸른 웃음
옥토에서 자신이 일할 수 없음을
각성하고 자신의 철없음 자조
‘빼앗긴 들’이라는 사회적 현실에 대
한 인식과, 국권 회복을 다짐
답 : 들을 빼앗겨 봄조차 빼앗기겠네
푸른 슬픔
안타까움
작가소개
작품정리
학습활동
핵심 강의
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의 구조적 특징
① 국권 회복의 소망과 식민지 현실 인식의 갈등 구조
② 감상적 정서와 저항적 정서와의 대립 구조
③ 낭만적 감성에서 현실 자각으로 전환되는 구조
④ 봄의 명랑함과 현실의 비극 사이의 갈등 구조
현실에 대한 비애를 느끼는 1~3연 → 자연에 대한
아름다움에 몰입한 4~8연 → 다시 현실을 인식하
고 강렬한 저항 의지를 되새김 하는 9~11연으로
이루어진 일종의 수미상관 구조
작가소개
작품정리
학습활동
핵심 강의
 사상의 대립 축
긍정 축
봄이 옴, 산과 하늘
이 맞붙은 곳을 향해
걸어감, 누군가 나를
부름, 자연과의 교감,
노동의 욕구
부정 축
봄을 빼앗김, 푸른 웃
음과 푸른 설움이 어
우러짐, 무엇을 찾고
어디로 가는지 답답함
작가소개
작품정리
학습활동
핵심 강의
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의 시어 이해
[국토에 대한 애정]
‘고맙게 잘 자란 보리밭’, ‘그 들이라 다 보고 싶다’
‘살진 젖가슴과 같은 부드러운 이 흙’, ‘발목이 시도
록 밟어도 보고, 좋은 땀조차 흘리고 싶다’
[향토적 정서의 국토]
‘가르마 같은 논길’, ‘삼단 같은 머리’, ‘맨드라미, 들
마꽃’, ‘아주까리기름 바른 이’,
작가소개
작품정리
학습활동
핵심 강의
[조국의 현실]
‘지금은 남의 땅’, ‘빼앗긴 들’, ‘입술을 다문 하늘아,
들아’, ‘답답워라. 말을 해 다오’, ‘푸른 웃음, 푸른 설
움’, ‘다리를 절며’
작가소개
작품정리
학습활동
2-[4] 근ㆍ현대 문학(1)
일제 강점기 문학
1.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를 읽고, 이 시의
구조와 의미를 파악하는 활동을 해 보자.
(1) 이 시의 화자는 어떤 상황에 처해 있는지 말해 보자.
예시 답| 화자는 ‘지금은 남의 땅’이 된 ‘빼앗긴
들’을 거닐고 있다. ‘들’을 ‘국토’로 본다면 화자
는 국토를 빼앗긴 상황이다. 화자는 식민지에 처
한 조국의 상황에 울분을 느끼고 있지만, 다시 찾
아올 해방의 날에 대한 의지를 다지고 있다.
작가소개
작품정리
학습활동
(2) 시적 화자가 현실에 대한 비애를 느끼는 연
과 자연에 대한 아름다움에 몰입한 연으로
나누어 보자.
현실에 대한 비애를 느끼는 연
예시 답| 1, 2, 3, 9, 10, 11연
국토를 빼앗긴 식민지하의 민족 현실을 ‘빼앗긴
들’로 비유하여 국토를 빼앗긴 현실에서 느끼는
비애와 울분을 드러내고 있다.
작가소개
작품정리
학습활동
자연에 대한 아름다움에 몰입한 연
예시 답| 4~8연
4연의 바람이 내 귀에 속삭인다. 종다리는 아씨
같이 웃는다고 한 표현, 5연의 보리가 삼단 같은
머리를 감았다고 한 표현, 6연의 착한 도랑이 노
래를 하고 어깨춤을 춘다고 한 표현, 7연의 나비
와 제비가 재촉한다고 한 표현, 8연의 부드러운
흙을 발목이 시도록 밟아 보고 싶다고 한 표현,
등에서 자연에 대한 아름다움에 몰입한 화자의
모습을 찾을 수 있다.
작가소개
작품정리
학습활동
(3) (2)의 활동을 바탕으로 이 시를 이렇게 두 부
분으로 나누어 대응시키는 구조로 쓴 이유가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예시 답|ㆍ현실과 이상의 대비를 통해 식민지 조
국의 비애를 부각하고 조국 광복의 의지를 다지
기 위해서이다.
• 대조적인 정서의 대립으로 시의 긴장감과 생동
감을 자아내기 위해서이다.
작가소개
작품정리
학습활동
(4) 시상의 흐름으로 보아 1연과 11연에 나타난
시적 화자의 정서가 어떻게 다른지 말해 보자.
1연 예시 답| 시적 화자는 봄이 온 들판 속에서
아름다운 국토를 빼앗긴 조국의 현실을 탄식하
고 있다.
11연 예시 답| 시적 화자는 봄 들판에서 느낀 아
름다움이 지극하기 때문에 아름다운 자연을 빼
앗긴 슬픔의 깊이가 깊다. 즉, 화자는 11연에서
빼앗긴 들에 대한 지극한 슬픔을 표현하고 있다.
작가소개
작품정리
학습활동
2.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의 시구와 주제
를 파악하는 활동을 해 보자.
(1) 이 시에 쓰인 다음 시어가 상징하는 의미를 알아
보고, 이를 바탕으로 이 시의 주제를 말해 보자.
빼앗긴 들
일제에게 빼앗긴 국토 – ‘들’은 제유
적인 표현으로 국토의 의미를 지닌다.
봄
광복 – ‘봄’은 자연의 봄과 조국 광복
의 두 뜻을 모두 품은 중의적인 표현이다.
작가소개
작품정리
학습활동
이 시의
예시 답| 조국 상실의 비애와 광복에
주제
대한 염원
(2) (1)의 활동을 바탕으로 다음 시구들에 나타
난 시적 화자의 심리 상태를 구체적으로 말
해 보자.
• 종다리는 울타리 너머 아씨같이 구름 뒤에서
반갑다 웃네. :
예시 답| 울타리 너머에서 반갑게 웃는 종다리를
보며 시적 화자는 자연과 어우러짐, 자연과의 친
화감을 느낀다.
작가소개
작품정리
학습활동
• 푸른 웃음, 푸른 설움이 어우러진 사이로, 다리
를 절며 하루를 걷는다. :
예시 답| 시적 화자의 심리는 봄이 찾아온 국토
에서 얻은 기쁨과 식민지적 상황으로부터 비롯
된 슬픔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 ‘푸른’은 자조적
설움과 절망, 봄이 찾아온 들판을 모두 표현하는
색채로, 자연이 주는 기쁨과 현실이 주는 슬픔을
시각화한 표현이다. ‘다리를 절며 하루를 걷는다.’
는 심리적 불균형으로 인한 내면의 갈등을 동작
으로 형상화 한 것이다.
작가소개
작품정리
학습활동
3. 다음 시구의 의미를 원관념과 보조 관념의
관계에 유의하면서 구체적으로 말해 보자.
시구
의미
가르마 같은 논길
예시 답| ‘좁고 길게 뻗은 논
길’을 보고 ‘가르마’를 연상
하는데, 이것은 ‘들’, 즉 국토
를 여성적 이미지로 표현한
것이다.
작가소개
작품정리
학습활동
시구
의미
삼단 같은 머리
예시 답| ‘삼단 같은 머리’의
원관념은 ‘잘 자란 보리’로,
‘국토에 대한 애정’을 여성적
이미지로 표현한 것이다.
살진 젖가슴과
같은 부드러운
이흙
예시 답| ‘국토’를 ‘풍요로운
생산성과 따뜻한 사랑을 지
닌 모성’에 비유한 것이다.
작가소개
작품정리
학습활동
4. 다음은 한용운의 ‘님의 침묵’이다. 이 시를 읽
고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와 비교 하는
활동을 해 보자.
(1) 이 시와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의 시적
화자가 처한 상황의 공통점이 무엇인지 생각
해 보자.
예시 답| 두 시의 시적 화자 모두 사랑하는 대상과
이별한 상황에 처해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즉 ‘님의
침묵’은 ‘사랑하는 임을 상실한 상황’이고,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는 ‘들을 빼앗긴 상황’인 것이다.
작가소개
작품정리
학습활동
여기서 ‘사랑하는 임’과 ‘빼앗긴 들’을 시대적 배경으
로 미루어 우리나라 ‘국토’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다
면 두 작품의 시적 화자는 모두 국토를 상실한 상황
에 처해 있다고 볼 수 있다.
작가소개
작품정리
학습활동
(2) 이 시와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의 시적
화자가 시적 상황에 대응하는 태도의 차이를
말해 보자.
예시 답|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의 화자가
현재의 상황에 대한 안타까움을 토로하는 데 머
물고 있다면, ‘님의 침묵’의 화자는 현재 상황을
극복하고자 하는 강렬한 염원을 드러내고 있다.
–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의 화자가 던지고
있는 질문의 핵심은 들을 빼앗긴 상황에서 맞이한
봄이 과연 우리가 참다운 삶을 누릴 수 있는 봄인가
작가소개
작품정리
학습활동
하는 것이다. 이에 비해 ‘님의 침묵’의 시적 화자는
‘님’이 떠난 객관적인 현실을 긍정하면서도 ‘나는 님
을 보내지 아니하였습니다’라고 하여 주관적인 의지
로서 자신이 처한 현실을 극복하고자 한다.
5. 자신이 일제 강점기를 사는 사람이라고 가정
하고, 국권의 회복을 염원하는 짧은 시를 지
어 보자.
예시 답| 생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