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티산업시장

Download Report

Transcript 뷰티산업시장

뷰티산업 현황 및 선진화 방안

목 차 Ⅰ. 국내 뷰티산업 현황 Ⅱ. 주요국 뷰티산업 현황 Ⅲ. 국내 뷰티산업의 문제점 Ⅳ. 주요국 뷰티산업 지원사례 Ⅴ. 뷰티산업의 비전 Ⅵ. 뷰티산업 선진화 방향

국내 뷰티산업 현황

국내 뷰티산업 현황

뷰티산업의 개념 및 정의 인체를 아름답고 건강하게 관리하기 위한 산업 뷰티서비스 산업 연관산업 헤어미용 피부미용 네일아트 메이크업 화장품, 스파, 관광 등 ※기타 미용업에 포함, 별도의 자격체계가 없음 1

국내 뷰티산업 현황

뷰티 서비스 자격 체계

자격 체계

미용 (종합) 미용 (일반) 미용 (피부) 고등학교, 대학, 대학교 등 졸업자 ↓ 무시험, 면허증 부여 국가 기술 자격시험 합격자 ↓ 자격증 부여 국가 기술 자격시험 합격자 ↓ 자격증 부여 ※

면허

(복지부)와

자격

(노동부)이 분리된 이중적 구조 2

국내 뷰티산업 현황

뷰티 서비스 산업 시장 규모 32% 성장 3조 4,030억원 4조 5,068억원 네일 등 기타 미용업 1,557억원 피부미용 5,772억원 헤어미용 3조 3,240억원 ‘05년 ‘08년 < 연도별 미용서비스 매출액 (통계청) > < '08년 세부업종별 매출액 (통계청) >  ‘08년 기준 매출액은 약 4조 5,068억원 규모 (최근 3년간 연평균 10% 증가)  ‘05년 3조 4천억원에 비해 최근 4년간 32% 성장 (통계청 서비스업 조사) 3

국내 뷰티산업 현황

뷰티 서비스 산업 특징 웰빙 지향, 감성소비 등 새로운 소비 트렌드와 결합, 최근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新 성장 산업

뷰티 서비스 산업

화장품∙ 관광 ∙ 의료 등 타 산업과 연계 시 높은 경제적 파급효과 기대 새로운 “문화 컨텐츠”로서의 높은 성장 잠재력 보유 해외시장도 급속히 성장, 해외 진출에도 유리한 여건 조성 4

주요국 뷰티산업 현황

주요국 뷰티산업 현황 - 미국

정의 및 현황  뷰티샵, 스파, 네일샵 및 이발소를 포함하는 산업 (PBA: Professional Beauty Association, 2008)  미국 뷰티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중이며, 스파 등 타산업과 융합해 상당한 고용창출 및 부가가치를 유발하고 있음 -‘08년 매출액: 375억$, 사업체수: 835,635개, 종사자수: 1,103,000명 -‘09년 헤어, 네일, 스킨케어 관련 종사자는 약 50만 명, 바버샵 및 뷰티살롱 종사자가 약 46만 명, 네일살롱 종사자가 약 3만 명으로 조사됨 (US Department of Labor Statistics) 고용 형태  뷰티관련 종사자들은 주로 뷰티살롱, 바버샵, 리조트, 스파, 너싱홈에 고용 한편 대부분의 타운에 바버샵 및 뷰티살롱이 있으나 주로 인구가 많은 주와 도시에 집중 -뷰티관련 종사자들의 약 44%가 자가 고용(self employed) 형태로 근무 -살롱소유자에게 부스(booth) 혹은 체어(chair)를 리스(lease)하고 소득세 및 월/주마다 리스비 지불 5

주요국 뷰티산업 현황 - 미국

연봉 및 근무 여건  뷰티관련 종사자들의 수입은 경험이 많을수록 높은 경향이 있으며, 살롱의 규모와 위치 등 많은 요인들이 총수입에 영향을 미쳐 편차가 큼 - 서비스 가격 혹은 근무시간에 기초해 급여를 받으며, 대부분의 종사자들은 그들이 판매한 제품에 대한 수수료(commission)를 받음 - 일부 살롱만이 휴가 및 의료 혜택(medical benefits)을 제공, 대부분의 자가 고용 및 파트타임 형태 종사자들이 이러한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음 [ 2010년 미국 뷰티관련 종사자의 평균 연봉 현황 ] 구 분 평 균 연 봉 주1) (단위 : 달러, ‘10년 9월 환율 기준) Hair Designer 59,000$ (한화 약 6천 9백만원) Barber Skin Care Specialist Manicurist Pedicurist shampooer 주1): 회사, 지역, 경력 등에 따라 변동 가능 출처: Simply Hired, Inc. (www.simplyhired.com) 44,000$ (한화 약 5천 2백만원) 44,000$ (한화 약 5천 2백만원) 44,000$ (한화 약 5천 2백만원) 66,000$ (한화 약 7천 8백만원) 18,000$ (한화 약 2천만원) 5

주요국 뷰티산업 현황 - 미국

제공서비스 현황  미국 뷰티관련 종사자들은 고객이 외모뿐 아니라 감정적인 측면에서도 만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직종별로 전문화된 뷰티서비스를 제공 - 고객의 헤어 컬러와 스킨케어 등의 관리요법(regimens) 기록을 보관, - 고용, 감독, 해고, 사업 및 재고 기록, 상품 주문, 광고 등 경영 측면과 관련한 의무가 있음 구 분 이용사 헤어드레서 헤어스타일리스트 미용사 매니큐어리스트 페디큐어리스트 샴푸어 피부미용사 제공서비스 남성고객의 컷(cut), 트림(trim), 샴푸(shampoo), 헤어스타일링, 부분가발(hairpiece), 면도(facial shaving), 두피트리트먼트(scalp treatment) 등 샴푸, 컷, 염색, 스타일링 등의 서비스 제공 비 고 미국 대부분의 주에서 이용사들은 염색, 블리치 (bleach), 퍼머에 대한 자격이 있으며, 스킨 케 어와 네일 트리트먼트 서비스도 제공 고객들의 헤어관리에 대한 조언/상담서비스 매 니큐어, 페디큐어, 두피와 얼굴 트리트먼트(메 이크업, 가발클리닝, 스타일링, 부분 가발) 매니큐어, 페디큐어, 폴리싱(polishing), 네일 연 장(extension) 등 네일관련 독점서비스 제공 샴푸잉, 헤어컨디셔닝에 특화된 서비스 제공 다양한 피부클리닝 서비스(facial, full-body treatments, head&neck massages, makeup) 레이저 트리트먼트 훈련을 받은 경우 왁싱 (Waxing) 서비스도 제공 5

주요국 뷰티산업 현황 - 미국

업투특성 및 근무 환경  미국 뷰티관련 종사자들은 직종 및 업무 형태에 따라 상이한 업무 환경에서 근무 -대부분의 풀타임 뷰티관련 종사자들은 주 40시간 근무, 자가고용 종사자는 초과근무가 보편적 -08년 이용사, 헤어스타일리스트, 미용사의 약 29%가 파트타임으로 근무 약 14%는 변동스케쥴(variable schedule)을 가짐.

-고객이 많은 뷰티살롱과 바버샵 경우 효율적 운영을 위한 작업예정표(Work schedule)가 있음 자가 고용 종사자의 경우 스스로 작업예정표를 작성하고 근무  뷰티관련 종사자들은 일반적으로 조명과 환기 상태가 양호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근무 -스파, 호텔, 리조트 등에서 일하는 일부룰 제외한 대다수의 종사자들은 살롱과 바버샵에서 근무 (직무 특성상 종사자들에게는 건강과 체력이 중요) -한편 헤어 및 네일과 관련된 화학물질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 염증(irritation)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위생용 비닐장갑(plastic glove)이나 앞치마(apron) 등 이를 보호할 수 있는 복장이 요구 5

주요국 뷰티산업 현황 - 미국

교육 훈련  미국의 모든 주가 미용사, 바버 등 뷰티관련 종사자에게 관련 면허 소지를 의무화 (샴푸어는 예외: formal training이 필요 없음) -서비스 질 관리를 위해 주에서 허가 받은 뷰티관련 학교 졸업자에 한해 면허 취득의 기회를 제공 (일부 주는 고등학교 졸업장 혹은 GED 점수를 요구).

-헤어 스타일링과 스킨케어 및 기타 뷰티서비스 관련 프로그램은 공립/사립 고등학교 및 고등과정 직업학교(post secondary vocational school)에서 개설될 수 있음.

-이ㆍ미용 관련 풀타임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약 9개월이 소요되나 더 장기간의 프로그램도 있음, 일부 프로그램의 경우 준학사(associate degree) 학위가 인정되기도 함.

-매니큐어리스트, 페디큐어리스트, 스킨케어 프로그램의 경우 대개 상기 프로그램보다 기간이 짦음.

-대부분의 뷰티관련 종사자들은 최신트렌드를 따르기 위해 상급강좌 및 마케팅 강좌를 수강함.

5

주요국 뷰티산업 현황 - 미국

면허와 자격  미국의 모든 주에서는 이용사, 미용사 등 뷰티관련 종사자들의 면허를 요구함 (샴푸어 제외) - 자격 요건 : 주마다 상이하나 대개 고등학교 졸업장 혹은 GED 점수가 요구 연령은 최소 16살 이상, 주에서 인증받은 이용 혹은 미용학교를 졸업해야 함.

 주가 인증한 훈련 프로그램을 이수한 이후 수강생들은 주에서 시행하는 시험을 치름 - 시험은 주로 필기시험으로 구성, 일부 주는 실기시험 혹은 구술시험도 실시  대부분의 주에서 미용학 관련 수강 프로그램은 이용사 자격증에서 인정 (상호인정 가능) 한편 대부분의 주에서 매니큐어리스트, 페디큐어리스트, 스킨케어 면허시험을 분리 운영  일반적으로 면허 응시에 시험 수수료가 필요하며, 정기적인 면허갱신이 요구될 수 있음 - 일부 주는 이용사와 미용사가 별도 formal training 없이 다른 주에서 면허가 취득 가능한 상호협약(reciprocity agreement)을 체결 5

주요국 뷰티산업 현황 - 미국

향후 전망  전반적인 뷰티관련 종사자의 고용은 모든 직종의 평균보다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 - 대부분의 살롱과 스파 오너들은 향후 뷰티산업을 낙관적으로 전망 (Professional Beauty Association, 2010) - 이러한 성장의 주요인은 뷰티서비스에 대한 수요증가를 이끄는 인구증가임, 특히 베이비부머와 젊은이들의 수요가 최근 몇 년 간 지속적으로 증가함.

- 풀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파와 네일 살롱의 지속적인 성장은 매니큐어리스트, 페디큐어리스트, 스킨케어 전문가들에게 취업의 가능성을 더욱 높이고 있음 [ 미국 뷰티관련 고용 추정 자료 ] 구 분 Barbers Hairdressers, Hairstylists, Cosmetologists Manicurists and Pedicurists Shampooers Skin care specialists '08년 고용 현황 53,500 630,700 76,000 22,900 38,800 '18년 고용 추정 59,700 757,700 90,200 26,300 53,500 증 감 6,200 127,000 14,300 3,4000 14,700 (단위 : 명, %) 증감율 12 20 19 15 38 5

주요국 뷰티산업 현황 - 중국

뷰티산업 정의  미용, 미발, 문신 및 교육 등 관련 서비스를 포함하며 화장품, 미용미발 기계, 전시회 및 마케팅 분야는 포함하지 않는 산업 (KOTRA, 2009)  자동차, 부동산, 여행, 전자통신에 이어 중국 5대 산업으로 성장 뷰티산업 규모  ‘06년 중국 미용서비스 산업은 총 2,200억위안 규모로 지난 3년간 연평균 32%의 고성장 지속 (보건산업진흥원, 2007)  헤어 시장 (‘07년 기준) * 서비스 업체 수 : 180여 만개 * 종사자 수 : 1,600만명 * 미용 교육 전문서비스 기관 : 600여개 * 매출 : 2,000억 위안 (약 34조원) * 연간성장률 : 15% * 연간 미용사 배출 수 : 25만명  네일 시장 (‘07년 기준) * 시장규모 : 700억 위안 (약 12조원, 전년대비 13% 성장) * 종사자수 : 30만명 * 중국 미용실의 2/5에 설치되어 있을 정도로 보편화 * 유명 프랜차이즈 기업 30여개, 민영기업 체인점 2만여개 6

국내 뷰티산업의 문제점

뷰티산업의 문제점

뷰티 서비스 산업 구조  영세한 자영업 위주, 낮은 노동생산성 등으로 산업 구조는 취약  산업의 영세성 : 97%이상이 4인 이하 영세기업 [ 산업 규모별 기업 분포 현황 ] 구 분 뷰티 서비스 서비스 전체 영세기업 (1-4인) 98,311 (97.5%) 1,962,477 (85.8%) 소기업 (5-9인) 2,069 (2.1%) 199,277 (8.7%) 중기업 (10-49인) 485 (0,5%) 108,357 (4.7%) (단위 : 개소) 대기업 (50인 이상) 5 (0.0%) 소 계 100,870 17,278 (0.8%) 2,287,389 *’05년 서비스업 총조사. 통계청 (‘07년)  낮은 경쟁력 : 노동생산성도 낮고 생산성 증가도 정체 < 뷰티 서비스 생산성 지수 추이 > * (노동 생산성) 종사자 1인당 매출액은 22백만원, 서비스산업 평균 134백만원의 1/6에 불과 (‘05년 통계청) * (서비스 생산지수) 뷰티서비스는 116.7, 서비스 전체 평균 125에 미달 ( ‘08년 통계청) 01년 02년 03년 04년 05년 06년 07년 08년 7

뷰티산업의 문제점

뷰티 서비스 산업 양극화

뷰티 서비스 내 양극화 심화

미용

프랜차이즈 확대

일부 기업 중심의 규모화 ∙ 대형화  반면 연매출 1억 이상 사업체의 경우 178백만원으로 서비스업 평균의 3배에 달함 (‘05년, 통계청) 8

뷰티산업의 문제점

법ㆍ제도 측면 일부 미용기기의 의료기기로의 분류 ▽ 재심사 비용ㆍ기간 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 사용시 불법 의료행위로 간주, 형벌ㆍ과태료 등 부과 위생ㆍ안전 확보 위주의 서비스 평가 ▽ 위생수준 제고에 미기여 평가준비 등을 위한 과도한 부담만 부여 교육 시스템 등 타 제도 정비가 미흡 면허 소지자 이외에 영업장 개설 불허, 1인 1사업장 원칙 ▽ 경영 악화 초래 양극화 심화 9

뷰티산업의 문제점

정책지원시스템 측면 산업의 영세화ㆍ양극화 초래 자영업 창업위주의 정책 지원 ▽ 미용업소의 50%이상이 취약한 경쟁력 등으로 창업과 폐업을 반복 대규모 창업ㆍ경쟁력 있는 해외 투자 및 창업 전ㆍ후 정책 지원도 미비 경쟁력 있는 기업은 현실에 안주하거나 더딘 성장 경쟁력 약한 기업은 “실패 ⇨ 재창업”의 악순환 지속 10

뷰티산업의 문제점

인력양성 측면

인력 과잉

매년 약 4만명의 전문인력 양성 대학 등 관련학과 개설 활성화 자격 취득 과정 글로벌 수준에 미흡 취업ㆍ재교육 등 사후관리시스템도 미비

전문성 결여 전문성 결여

전공ㆍ능력 등과 무관한 일률적 무시험 면허 부여

질적 수준 저하

인력에 대한 체계적 관리 시스템 미비 재 교육 시스템 미비 11

뷰티산업의 문제점

수출ㆍ관광 자원화 지원 및 전략 부재 측면 관광 패러다임이 전환 경치 ․ 역사적 자원 등 “하드웨어 중심” 기업의 해외 진출 기업의 해외 진출에 대한 관심도 증가 미비한 지원 체험ㆍ서비스 등 “소프트웨어 중심”  해외 진출 기업 시장 정보 부재  초기 시장 개척 어려움  글로벌 기업으로의 성장 지연 12

뷰티산업의 문제점

가격경쟁 측면  기술 측면에서는 세계적 수준이나 경영 측면에서는 영세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서비스 가격이 선진국 대비 낮게 측정되고 있음 [ 미국, 일본, 한국의 주요 샵 커트 가격 비교 ] (단위 : 원 ‘10년 8월 환율 기준) 상 호 가 격 상 호 가 격 상 호 가 격 Roy Teeluck Salon 110,370~417,795 etolie 81,678 헤어펠리스 15,000 미 국 Mark Arrison 110,370~417,795 일 본 Hair mission Glow 한 69,797 국 박준뷰티랩 15,000~28,000 Sassoon Salon 103,851~155,181 Un Hair 66,827 이가자 헤어비스 25,000~30,000 13

주요국 뷰티산업 지원사례

주요국 뷰티산업 지원사례

미 국  뷰티 서비스에 대한 세액공제 (Cosmetologists Tax Fairness and Compliance Act) - 미국 salon의 경우 tip 문화가 보편적이나 타 산업(ex: 외식 산업 등)처럼 세액공제가 되지 않아 tip 소득을 낮춰서 신고하거나 미신고하는 관행이 만연  Hair Beauty Salon Guideline 제정 (New York State Auburn City Council) - salon에서 흔히 발생할 수 있는 화상, 감염 등으로부터 고객의 안전을 확보하고 서비스 질 향상 - 레이저, 칼날 등을 이용하는 미용기기의 사용 및 관리방법, salon위생기준 등 가이드라인 제정 14

주요국 뷰티산업 지원사례

태 국  국가의 체계적이고 전폭적인 지원 (‘04년 Thiland as excellent international center for healthcare 비준) - 관광이라는 자산에 전통마사지ㆍ스파 등이 결합한 헬스케어산업을 통해 ‘07년 한 해 150만 명의 관광객을 유치  서비스 인증 제도 (MoPH(Ministry of Public Health) 2호에 공고) - 건강과 미용 서비스 표준에 대한 원칙과 방법을 제정 [ 건강스파의 품질 인증 기준 ] Standard 1 •Service Quality 서비스 품질 Standard 2 •Skill Staff 전문기술 직원 Standard 3 Standard 4 Standard 5 •Tool and Equipment 도구 및 장비 •Organization and Management Quality 조직 및 관리 품질 •Ambiance 분위기 15

뷰티산업의 비전

뷰티산업의 비전

시장규모 증대  뷰티산업시장 :‘05년 3조 4천억원⇒ ‘07년 4조 5백억원⇒‘13년 6조 8,852억원 (진흥원 내부자료)  시장규모 추계 근거 : ’05 ~ ‘07년 까지 연평균성장률 9.2% 추세 적용 (통계청) - 화장품생산규모 : ‘06년 3조 9,800억원 ⇒ ‘13년도 5.2조원 (연평균성장률 4.2% 적용; 진흥원 내부 자료) [ 뷰티산업 시장 규모 추계] 구 분 '10 년 '11 년 '12 년 (단위 : 억 원) '13 년 '14 년 시장 규모 52,863 57,730 63,047 68,852 75,193 * 뷰티산업 시장 규모 추계, 진흥원 내부자료 ( ‘ 10년) (단위 : 억 원) 16

뷰티산업의 비전

뷰티산업 일자리 창출 전망 구 신규 일자리 수 분 최 최 대 소 ’10 년 6,374 4,725 ’11 년 6,961 5,160 ’12 년 7,602 5,635 ’13 년 8,303 6,154 ’14 년  뷰티서비스 산업 시장의 규모를 추계한 후 고용유발계수와 고용계수를 이용하여 일자리 수 추계 9,067 6,721 구 고용인원 (누계, 명) 고용인원 (누계, 명) 분 고용유발계수 고 용 계 수 '10 년 75,593 56,034 '11 년 82,554 61,194 '12 년 90,156 66,829 '13 년 98,459 72,983 '14 년 107,526 79,704  뷰티서비스(개인서비스)의 고용유발계수(10억 원당) 14.3 적용, 고용계수(10억 원당) 10.6 적 용 (한국은행 2007년 산업연관표 통합중분류 고용표, 2009)  최대 일자리수 : 해당산업+연관산업, 최소일자리수 : 해당산업에서만 발생하는 일자리 수 1 7

뷰티산업의 비전

뷰티산업의 해외 진출  일부 대형 브랜드를 중심으로 해외 진출은 증가 추세  2008년 해외 진출 신규 법인수는 122개, 투자 금액은 2,539만$ 규모 (KOTRA) [ 뷰티산업 부문별 해외진출 현황 ] 구 분 헤어 미용 피부 미용 네일 아트 브 랜 드 명 이가자 헤어비스 리 치 박준 뷰티랩 블루클럽 미 랑 컬 리안헤어 이지은 레드클럽 화이트 클럽 진 출 국 가 중 국, 호 주 중 국 중 국 중 국 (9), 미 국 (15) 중 국 중 국 중 국 필리핀 점 포 수 45 개소 30 개소 15 개소 24 개소 2 개소 2 개소 45 개소 1 개소 세시네일 중 국, 미 국 11 개소 협회 자료 (‘08년), 보건산업진흥원 (‘07년) 등 자료 참고 1 8

뷰티산업의 비전

경제적 파급효과 높은 산업  타산업에 비하여 생산활동으로 인한 부가가치 창출 효과가 높음 < 생 산 유 발 계 수 > < 부 가 가 치 유 발 계 수* > * 부가가치유발계수 : 뷰티산업에 1,000억원 투자 시 우리나라 경제 전체에 부가가치가 931억 유발됨 1 9

뷰티산업 선진화 방향

뷰티산업 선진화 방향

지원분야 인프라 개선 해외진출 확대 법 · 제도 개선 추진 과제 □ 영세 뷰티업자 경영지원 □ 뷰티산업 DB 구축 □ 뷰티관광 인프라 구축 □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해외시장 분석 및 해외진출 매뉴얼 개발 □ 코리아 뷰티 브랜드 구축 □ 자격시험 선진화 및 국제표준화 기준 수립 □ 미용기기 제도 개선 20

배 경

뷰티산업 인프라 개선

영세 뷰티업자 경영지원 ► 영세업자의 경영ㆍ서비스 교육 미비 및 비효율적인 경영 모델 - 전문경영 마인드, 매장 관리시스템, 경영모델, 운영 매뉴얼 등 미비 ► 홍보 및 마케팅 역량의 한계 - 초기 홈페이지 제작, 광고비 부담, 온ㆍ오프라인 홍보의 어려움 등 ► 낮은 제품 구매 경쟁력 - 낮은 이윤율 및 질 낮은 제품 사용 추진내용 ► 공동브랜드 경영모델(프랜차이징 모형) 개발 ► 운영 교육 및 관리 ► 브랜드 홍보 ► 시범운영을 통한 시장 적응성 평가 뷰티서비스 영세사업자의 규모화, 전문화 및 경쟁력 강화 21

배 경

뷰티산업 인프라 개선

뷰티산업 DB 구축 ► 국내 뷰티산업 관련 정보의 부족 - 뷰티산업 전체 및 산업별 규모, 업체수 및 종사자 수 등 정보 파악의 어려움 - 뷰티산업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구심점 부재 ► 최신 산업정보에 대한 정부지원 필요 - 신기술정보, 특허정보, 제도 및 정책정보, 국내ㆍ외 시장정보 등 시의적절하게 제공 - 뷰티산업 조사 및 분석체계 마련 시급 추진내용 ► 전문인력 DB 구축 및 운영 - 우수인력 DB를 구축하여 산ㆍ학ㆍ연ㆍ관 및 추진 사업등과 연계 ► 뷰티산업 통계 DB 구축 - 뷰티산업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하여 통계 DB를 구축 및 운영 ► 뷰티산업 실태조사 - 산업 현황과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정보화 22

뷰티산업 인프라 개선

뷰티관광 인프라 구축 배 경 ► 새로운 관광ㆍ수출 자원으로 높은 잠재력 보유 - 체계적인 산업 개발 및 지원의 부재 ► 관광 패러다임의 변화 - 하드웨어 중심의 관광 ⇒ 종합적인 체험과 서비스 제공의 소프트웨어 중심의 관광 ► 대외적 홍보 부족 - 한류 열풍은 있으나 한국의 뷰티산업을 체계적으로 홍보하는 방안은 미흡 추진내용 ► 뷰티관광 전문가 육성 - 서비스 제공자와 해외 뷰티관광객 사이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지원 ► 한국형 뷰티 관광상품 개발 및 마케팅 지원 - 우수업소 ㆍ우수 서비스 인증 체계 구축 및 지원을 통한 우수 상품 개발 ► 뷰티 체험 투어 시행 - 주요 대상국 뷰티관련인 또는 유명인을 초청하여 한국의 뷰티서비스를 체험. 홍보대사로 활용 23

뷰티산업 인프라 개선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배 경 ► 체계적인 마케팅 교육 부족 및 매출 증대의 한계성 - 체계적인 경영 및 마케팅 교육 기회 부족 ► 세미나 및 특강의 수도권 집중화 - 지방 순회 교육프로그램 미비 및 지방 종사자의 낮은 교육 접근성 ► 뷰티산업 종사자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필요 - 시간 및 비용의 투자가 어려운 산업 추진내용 ► 4개 뷰티 분야 과정별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 ► 경영 및 마케팅 교육 ► 전국 교육을 통한 접근성 제고 ► E-Learning 시스템 구축 및 운영 뷰티산업 종사자의 질적 수준 향상 24

해외진출 확대

배 경 해외시장 분석 및 해외진출 매뉴얼 개발 ► 해외진출에 대한 관심도 증가 - 중국, 베트남 등 주요국가로 진출코자 하는 업체 증가 ► 정보의 부재 - 해외시장에 관한 법ㆍ제도, 현황, 진출방안 등에 대한 정보의 부재 ► 한국 뷰티산업의 경쟁력 강화 - 한류, 국가 이미지 상승, 우수한 솜씨 등 높은 해외 진출 가능성 추진내용 ► 해외진출 전략국 조사 ► 해외진출 전략국 현지조사 ► 설명회 개최 ► 전략국 해외진출 매뉴얼 개발 및 발간 해외진출 준비에 기여 25

해외진출 확대

배 경 코리아 뷰티 브랜드 구축 ► 국가 고유의 아이템 개발 노력 미흡 - 기술 수준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품 개발 능력 ► 국가 이미지 제고 필요 - 박람회 및 대회의 참가ㆍ개최 지원 미비 ► 외국인들의 접근성 강화 필요 - 국내ㆍ외 방문객을 위한 토탈 정보 제공 미비, 정보 탐색의 어려움 추진내용 ► Korea 뷰티 브랜드 개발 및 홍보 - BI 개발, 뷰티 맵 제작, 패키지 상품 개발, 해외 로드쇼 참여 등 ► 국제 세미나 개최 및 참가 - 국제 세미나 개최 및 박람화 등 참가 지원 ► 코리아 뷰티 포털 구축 및 운영 - 국내ㆍ외 접근성 강화를 위해 한국뷰티서비스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 제공 26

법ㆍ제도 개선

자격시험 선진화 및 국제 표준화 기준 수립 배 경 추진내용 ► 국가자격 시험의 검증 능력 한계 및 국제 표준화 작업 미흡 - 현장업무 능력 및 자질 검증이 부족한 현 면허 제도 - 해외 자격증 시험 기준에 비해 미흡한 국내 기준 ► 새로운 분야 국가기술자격 종목개발 필요 - 국가기술자격 종목개발을 통한 인력양성 및 신 직업군 형성으로 인한 고용창출 ► 국가자격시험 검증능력 보강 - 90문항 이상의 문항수 채택(미국의 경우 100문항 다선형) - 무분별한 미용사 자격증 난립 방지 및 전문화된 인력 배출 ► 국제 표준화 기준 확보 - 국제 표준에 맞춘 미용분야별 필수과목, 교육시간 및 운영방안 설정 - 전문 분야별 특화된 기준 적용 27

배 경

법ㆍ제도 개선

미용기기제도 개선 ► 미용기기 사용근거 및 시설ㆍ설비 기준 미비 - 미용기기 사용실태 및 설치기준 등 실태조사 필요 - 기초 미용기기의 비현실적인 의료기기 분류 - 국내제도 미비로 인한 국제기능올림픽 불참 및 수출 제한 추진내용 ► 미용기기 관리방안 수립 - 미용기기 정의, 범위 및 시설기준 설정 - 국내ㆍ외 미용기기 사용실태 조사 및 국내 미용기기 관리방안 수립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