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성과보고 - 2013년 학술동아리 (하천기행) 활동

Download Report

Transcript 최종성과보고 - 2013년 학술동아리 (하천기행) 활동

자연재난 피해추정 기술 개발을 위한
로드맵
최종발표회
2012. 12. 18
연 구 기 관: 단국대학교
연구책임자 : 강 부 식
2
1. 연구 개요
2. 목적 및 필요성
3. 국내외 동향 및 인프라 분석
4. 기술로드맵 제시
5. 과제 제안요구서(안)
3
1. 연구 개요
1. 연구 개요
4
1. 연구용역명 : 자연재난 피해추정 기술 개발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 개발
2. 연구 기간 : 2012. 05. 14 ~ 2013. 01. 08 (240일)
3. 추진경위
2012’ 05. 14
:
연구과제 계약 및 착수
2012’ 05. 23
:
착수보고회의
2012’ 06. 27
:
1차 공정보고 및 자문회의
2012’ 07. 27
:
2차 공정보고
2012’ 08. 31
:
내부연구진 회의
2012’ 09. 13
:
중간평가회
2012' 10. 04
:
3차 공정보고
2012' 11. 06
:
4차 공정보고
2012' 12. 18
:
최종발표회
5
2. 목적 및 필요성
2. 목적 및 필요성
6
7
3. 국내외 동향 및 인프라 분석
(1) 국내외 기술 동향
(2) 연구개발 인프라 분석
3. 국내외 동향 및 인프라 분석
(1) 국내외 기술동향
8
<외수범람으로 인한 침수>
국내에서는 유출량 산정을 위해 주로 미 공병단의 HEC-1모형 및 HEC-HMS 모형을 이용하며 외수위
변동해석을 위해 HEC-RAS 모형의 부정류 해석기법을 활용
스위스에서는 2차원 범람모의 프로그램은 FLUMEN을 개발하여 활용
방재연구소에서는 침수범람 피해저감을 위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 개발(2008)을 통해 홍수범람을 모
의하고 침수지역에 대한 피해정보를 추출하는 의사결정 지원 및 평가시스템을 개발 하였으며, 홍수범
람모의 표출 및 정보지원시스템 구축(2009)에서는 FLDWAV 모형의 결과와 GIS 지형자료를 연계한
시스템 개발
3. 국내외 동향 및 인프라 분석
(1) 국내외 기술동향
<내수 침수>
영국에서는 도시 우수관거 시스템의 신규설계 및 기존 시스템의 성능평가를 위해 도시유역 홍수유출
프로그램인 ILLUDAS 모형을 개발
국내에서는 내수 침수 모의를 위해 도시유역 내의 유출량과 오염물질에 대한 지표면 및 지표하 흐름,
배수관망 해석을 수행할 수 있는 SWMM 모형이 주로 사용됨
미국에서는 하천 범람뿐만 아니라 각종 수리구조물 및 하천의 수리해석을 위한 FLOW-3D를 개발
스위스에서는 2차원 범람해석을 위해 시간의 변화에 따른 수표면변화와 범람면적 표출이 가능한
FLUMEN 모형을 개발
9
3. 국내외 동향 및 인프라 분석
(1) 국내외 기술동향
10
<태풍 모의>
기상청에서는 태풍진로 예측을 위한 BATS (Barotropic Adaptive-grid Typhoon Simulation) 모델을
개발하여 기상청 슈퍼컴퓨터를 이용하여 현업으로 운영
TAPS (Typhoon Analysis and Prediction System) 을 이용하여 태풍을 예측
태풍예보지원반의 자체 연구로 태풍강도예측 통계모델인 STIPS (Statistical Typhoon Intensity
Prediction Scheme)개발 및 현업 활용
미국은 허리케인 예보에 GFDL hurricane-Ocean 접합 모델 뿐 아니라 SHIPS, GFS등 다양한 태풍전
용모델 결과를 활용하여 예보 정확성이 높음
대학연구기관의 중규모 모델 개발 : MM5(PSU/NCAR 공동개발), ARPS (OU/CAPS 개발),
RAMS(CSU 개발), HIRES (UNSW 개발), WRF(NCAR 개발)
3. 국내외 동향 및 인프라 분석
(1) 국내외 기술동향
11
<산사태 모의>
기존의 산사태 위험도 평가모델은 크게 물리적 모델과 통계적 모델로 나눌 수 있음
국가적으로 위험지역 선정에도 활발하게 사용되고는 있으나, 산사태에 영향을 주는 인자가 매우 다양하
고 이에 대한 예측도 쉽지가 않기 때문에 예측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는 지속되고 있는 상황
물리적 모델을 이용한 위험도 평가 방법은 경사면의 형상, 지반조건, 강우 및 지하수 조건 등 토체의 역
학적 평형을 고려하여 안정성을 해석하는 방법으로서 2차원, 3차원 해석을 통하여 위험지역의 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임. 적용하고자 하는 물리적 모델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입력물성의 취득이 필요하
고, 정확도가 높고 지점별 평가에 유리하나 광범위한 지역의 위험도 평가에는 적용하기가 힘든 실정
통계적 모델을 이용한 위험도 평가 방법은 과거 재해자료를 기반으로 다양한 인자간의 영향성을 분석하
여 개발되는 통계적 모델이며, 평가에 사용되어진 데이터베이스의 양과 질에 따라 정확도가 크게 달라짐
3. 국내외 동향 및 인프라 분석
(1) 국내외 기술동향
12
<토석류 모의>
토석류 위험도 평가모델은 산사태 위험도 평가모델에 비하여 연구된 바가 적기 때문에 아직은 국가적
으로 토석류 위험도 평가방법을 적용하기 보다는 다양한 방법론이 제안되고 제안된 결과를 검증하고
있는 단계
현재 산림청에서는 산사태 위험지도를 이용하여 산사태 위험도 평가를 시행하고 있고, 산사태 위험지
도의 위험지역이 높은 지역에서 사면붕괴가 발생한다고 가정하여 RWM(Random Walk Model)을 이
용하여 토석류의 이동경로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위험지역을 판정
미국의 산사태/토석류 관리는 미국지질조사국(USGS)를 주기관으로 미국의 일부 대학과 공동연구 과
제로 국가사면재해저감전략을 수립하여 예측기술연구, 각종 산사태 재해도 작성 및 평가, 실시간 경
보 시스템구축, 위험도 평가 시스템구축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 중
3. 국내외 동향 및 인프라 분석
(1) 국내외 기술동향
<국내-다차원법>
우리나라에서는 수자원 사업의 타당성 분석 개선방안 연구(2008)에서 홍수조절 편익을 산출하기 위
해 다차원법을 사용하고 있음
다차원 홍수피해량 산정 절차(치수대책 평가시스템 구축연구, 국토해양부, 2008)
13
3. 국내외 동향 및 인프라 분석
(1) 국내외 기술동향
<미국>
USACE(1998)는 장기간의 현장 피해조사 자료를 토대로 산정한 수위-피해함수를 활용하는 HEC-
FDA(Flood Damage Analysis)를 개발
FEMA(2009)는 홍수, 허리케인, 지진등의 피해를 물리적 모형과 재난 통계자료를 연동하여 분석하는
HAZUS-MH를 개발하여 운영중
<호주>
주거, 상업, 산업, 사회경제 활동, 토지, 비 구조물등의 피해액에 대한 수위-피해함수를 기반으로 홍수
피해액 산정
<일본>
자산조사와 홍수범람 모형을 GIS와 연계한 FDAM(Flood Damage Analysis Model)을 개발
치수경제조사메뉴얼(2000)을 발간하여 홍수피해 조사기법 제시
피해액을 산출하는 과정은 다차원법과 유사
14
3. 국내외 동향 및 인프라 분석
(1) 국내외 기술동향
<NDMS-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국가차원의 대표적인 재난관리 정보시스템(Database)으로, 재난에
의한 피해 집계 및 상황보고, 복구관리, 자원관리 등을 다룸
소방방재청 및 각 지자체의 재난관리 관련 공무원들이 활용하는 재난관리 업무기반 시스템
정부의 중앙부처, 각 지자체, 정부출연기관 등 다수의 정부기관의 관련 DB가 일정 기간마다 신속하
게 수집됨
<TCDIS-태풍재해정보시스템>
태풍위원회 회원국의 태풍 재해 피해정보 수집 및 DB 분석
웹 GIS 기반 통합 태풍재해정보 분석시스템
태풍재해분석 및 분석시스템 구축을 위한 요소(기상, 재해, 지리정보) 포함
과거 태풍정보 분석을 통한 유사태풍검색 알고리즘 적용
15
3. 국내외 동향 및 인프라 분석
(1) 국내외 기술동향
<재해상황 분석시스템>
국가지리정보체계(NGIS)기반의 시스템
과거 재해 유형분석 및 지역별 취약지구 분석
재해상황 분석, 수문기상 모니터링, 재해위험지역 분석으로 구성
GIS 기반의 방재관련 시스템 및 유관기관 연계활용
<지진재해 대응시스템>
지진 발생 시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지진정보를 활용하여 전국적인 진도분포도 계산
건축물 및 인명피해와 라이프라인 시설의 피해를 예측
예측된 결과는 국가재난관리 정보시스템(NDMS)를 통해 각 지자체에 통보
16
2. 목적 및 필요성
17
HAZUS-MH (HAZard US Multi-Hazard) : 최근에는 version으로 naming (ver2.1이 가장 최근 버전)
자연재해로 인한 재산 손실을 평가하고 인명피해를 예측하는 시스템
미국 연방위기관리청(FEMA: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에서 개발
세가지 재난에 대해 분석 : 지진, 홍수, 허리케인
홍수보험, 지진보험 등의 보험요율 산정과
국가 재난정책 수립을 위해 개발됨(1997년 ~ 현재)
자연재해가 발생했을 때 신속하게 피해규모를 산출,
피해발생 이전 재난상황 가정한 시뮬레이션도 가능
ESRI사의 ArcGIS를 기반으로 구동
3. 국내외 동향 및 인프라 분석
(1) 국내외 기술동향
18
<HAZUS-MH>
1992년 개발 착수
지진모델(Earthquake model) 개발 : 1997, 1999, 2000, 2001, 2002
허리케인(Hurricane), 홍수(Flood) 모델 개발착수 : 1998
2011년 HAZUS-MH5 공개
향후 Thunderstorm, Hail, Tornado 모델 추가개발 예정
우리나라 또한 자연재난에 의한 피해를 예측하고 정부의 방재 정책 결정에 신속하고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의 특성에 맞는 태풍・홍수・산사태로 인한 위험해석 및
피해예측이 가능한 자연재난 피해추정 기술 및 시스템이 필요
3. 국내외 동향 및 인프라 분석
<HAZUS-MH>
(1) 국내외 기술동향
19
3. 국내외 동향 및 인프라 분석
연구지역 : 충청북도 충주시
특징 : 하천 주변에 논/밭이 발달되어 있고 도시
지역이 형성되어 있음
재난유형 : 하천 범람
하천명 : 남한강 및 달천
침수위를 가정한 범람면적 표출 및 다차원법 적
용을 통한 피해액 산정
국내 자료의 한계점 및 기법의 적용 가능성 검토
(2) 연구개발 인프라 분석
20
3. 국내외 동향 및 인프라 분석
침수시나리오 작성
- 계획홍수위 이상의 홍수위를 가정하여
침수 범람 면적 산정
- 가상홍수위가 지형표고보다 높은 지역은
침수가 일어날 것이라고 가정
EL. 75m ~ EL. 100m, 5m 간격
홍수위를 토대로 침수심을 계산 후 분류
(2) 연구개발 인프라 분석
계획홍수위
EL. 69.79m(100년 빈도)
21
3. 국내외 동향 및 인프라 분석
(2) 연구개발 인프라 분석
피해액 산정 절차
1
2
건물
항목별
자산가치
산정
논, 밭
가상시나리오
침수구역도
3
건물 레이어
공간정보합성
논, 밭 레이어
단독주택 및 비거주용 건물로 분류
(각 건축 형태별 단위면적당 건축 단가를 부여)
논, 밭(채엽류), 밭(과채류)으로 분류
(각 농업 형태별 단위면적당 농작물 평가 단가 부여)
침수심에 따른 분류화
• 침수편입율 산정
: 각 레이어의 요소들의 전체 면적에 대한 침수 면적에 대한 비율을 각
요소별 부여
• 피해율 산정
침수구역도
: 각 레이어의 요소들의 위치에 대한 침수심을 통해 각 요소별 피해율을
부여
건물피해액
건축 단가 × 침수 면적 × 피해율
농작물 피해액
농작물 평가 단가 × 침수 면적 × 피해율
홍수피해액
건물피해액 + 농작물피해액
4
피해액 산정
직접피해액 = ∑(자산 가치 × 침수편입율 × 피해율)
22
3. 국내외 동향 및 인프라 분석
(2) 연구개발 인프라 분석
입력 자료
종류 : 수치지형도
축척 : 1/25,000
자료목록
분 류
자료목록
건 물
주택, 연립주택, 아파트, 공공시설, 공장 등
지 류
논, 밭, 과수원 등
지 형
주곡선, 간곡선, 조곡선 등
사용된 자료
- 건물 및 지형자료
출처 : 국가 지리정보 포털(NGIS)
<수치지형도>
23
3. 국내외 동향 및 인프라 분석
(2) 연구개발 인프라 분석
입력 자료
종류 : 토지이용도
축척 : 1/50,000
자료목록
분 류
자료목록
농 지
논, 밭
임 지
초지, 입목지, 기타
수 계
습지, 하천, 호소, 기타
사용된 자료
- 농경지 자료
출처 : 국가 지리정보 포털(NGIS)
<토지이용도>
24
3. 국내외 동향 및 인프라 분석
피해액 산정건물자산피해액(억원)
결과
시나리오
(2) 연구개발 인프라 분석
농작물피해액(억원)
총 피해액(억원)
1 : EL. 75m
1,030.6
27.2
1,057.8
2 : EL. 80m
1,793.6
39.3
1,832.9
3 : EL. 85m
2,456.4
43.7
2,500.1
4 : EL. 90m
3,035.1
48.1
3,083.2
5 : EL. 95m
3,702.6
51.4
3,754.0
6 : EL. 100m
4,353.4
54.8
4,408.2
25
3. 국내외 동향 및 인프라 분석
(2) 연구개발 인프라 분석
26
검토 결과 및 결론
최소한의 자산인벤토리를 활용하여 다차원법에 근거한 피해액 산정
 예> 주택(단독주택 및 비거주용 건물), 농작물(논과 밭) 등
건물내용물 및 산업지역 피해액 등은 미고려
인구 및 자산 관련 추가 상세인벤토리 + 가공처리 시스템 개발 = 다차원법 이상의 상세 피해규모 추정가능
 세대수 정보와 사업체별 종사자 수 정보(예 : 국토지리정보원에서 구축된 국가기본도 등의 상세 인벤토
리 필요)를 활용할 경우 더욱 상세한 피해액 추정이 가능함.
NDMS의 인벤토리를 활용한다면 상세한 피해규모 추정가능하나, GIS 프로그램상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위치정보를 기반으로한 주제도로의 가공이 필요함
 국토지리정보원 등의 국가기관에서 관련 GIS 주제도를 확보하여 직접활용 가능
27
4. 기술로드맵 제시
4. 기술로드맵 제시
 자연재난 피해예측시스템
: DIPENS (DIsaster Prediction &
Estimation for National System)
자연재난 피해추정 개념도
28
개발 단계구분
4. 기술로드맵 제시(홍수)
HAZARD모형
강우예측
기상청 동네예보/ 기상청 동네예보/
기상청 동네예보/
기상특보 활용기법 기상특보 활용기법
기상특보 활용기법
전국 확대적용 I
전국 확대적용 II
HAZARD모형
홍수유출모형
집중형
강우-유출모형
code개발 및
매개변수 자동보정
집중형
강우-유출모형
시스템탑재 및
안정화
이벤트별
홍수모의
시스템 운영 및
실증(Test Bed)
시스템의 성능
개선 및 보완
분포형 강우유출모형I
분포형 강우유출모형II
시스템 운영 및
실증(Test Bed)
시스템의 성능
개선 및 보완
수리학적 하도추적모형I
code개발 및
매개변수 자동보정
수리학적 하도추적모형II
code개발 및
매개변수 자동보정
code개발 및
매개변수 자동보정
code개발 및
매개변수 자동보정
일반화단계
고도화단계
29
분포형
강우-유출모형III
시스템탑재 및
실증
HAZARD모형
하도추적모형
주요지점별
수문곡선모의
1차원 하도추적모형 1차원 하도추적모형
code개발 및
시스템탑재 및
매개변수 자동보정
안정화
HAZARD모형
외수범람모형
이벤트별
외수범람모의
외수범람모형
code개발 및
매개변수 자동보정
외수범람모형
시스템탑재 및
안정화
시스템 운영 및
실증(Test Bed)
시스템의 성능
개선 및 보완
HAZARD모형
내수침수모형
이벤트별
내수침수모의
내수침수모형
code개발 및
매개변수 자동보정
내수침수모형
시스템탑재 및
안정화
시스템 운영 및
실증(Test Bed)
시스템의 성능
개선 및 보완
전국단위
인구통계/경제산업
데이터베이스구축
전국단위
자산단가
데이터베이스구축
다차원법
code개발
다차원법
시스템탑재
전국단위
개별건물침수피해
데이터베이스구축
전국단위
공시지가DB중첩
데이터베이스구축
데이터베이스
보완 및 안정화
NDMS plus
데이터베이스 소켓
구축 /
GIS 인터페이스
구축
단위모듈
시스템탑재 및
연동
NDMS plus
데이터베이스 소켓
확장 및 보완
단위모듈
시스템탑재 및
연동
전국단위
시스템운영
및 안정화
피해-손실산정
다차원법을
이용한
피해손실평가
DB 및 운영시스템
Hazard모의결과 및
손실평가에 대한
reporting 및
표출시스템 개발
수리학적
하도추적모형III
시스템탑재 및 실증
개발 단계구분
4. 기술로드맵 제시(태풍)
기존
(역학/물리적)
태풍평가모형
태풍DB구축
태풍유형별
(진로/강도)
과거태풍재현
HAZARD모형
태풍 예측모형
HAZARD모형
강풍피해분석모형
기상청 자료 활용
강풍피해영향분석
물리적
바람DB구축
code개발,
태풍위험반경기준으
로 바람DB구축
물리적
바람DB구축
시스템탑재 및
안정화
시스템 운영 및
실증(Test Bed)
30
시스템의 성능
개선 및 보완
물리적
물리적
물리적
태풍평가모형
태풍DB구축I
태풍DB구축II
시스템탑재 및
바람-강우code통 태풍위험지역기준
실증(Test bed), 성
합 및 안정화
바람/강우DB구축
능개선 및 안정화
유사태풍
탐색모형
code개발
유사태풍
탐색모형
시스템탑재 및
안정화
시스템 운영 및
실증(Test Bed)
물리적
태풍예측모형I
code개발
시스템의 성능
개선 및 보완
물리적
태풍예측모형II
code개발
도시풍해분석모형
code통합 및
매개변수 자동보정,
시스템탑재 및 안정
화
시스템 운영 및
실증(Test Bed),
성능개선 및 보완
근해풍해분석모형
code통합 및
매개변수 자동보정,
시스템탑재 및 안정
화
시스템 운영 및
실증(Test Bed),
성능개선 및 보완
농촌풍해분석모형
code통합 및
매개변수 자동보정,
시스템탑재 및 안정
화
시스템 운영 및
실증(Test Bed),
성능개선 및 보완
연안풍해분석모형
code통합 및
매개변수 자동보정,
시스템탑재 및 안정
화
시스템 운영 및
실증(Test Bed),
성능개선 및 보완
시스템 운영 및
실증(Test Bed),
시스템 성능
개선 및 보완
농촌홍수분석모형
시스템 운영 및
실증(Test Bed),
성능개선 및 보완
도시홍수분석모형
code통합 및
매개변수 자동보정
HAZARD모형
호우피해분석모형
일반화단계
고도화단계
호우피해영향분석
code개발 및
매개변수 자동보정
물리적
태풍예측모형
시스템탑재 및
실증
4. 기술로드맵 제시(산사태/토석류)
HAZARD모형
산사태 위험지도
기존 산사태 위험
지도 분석
시범적용지역 선정
산사태 위험지도
최적 모델선정 및
개발방향 도출
산사태 위험지도
지질 특성 및
강우조건을 고려
한 모델개발
HAZARD모형
시범 적용지역 별
토사유출량 산정 토사유출량 및 토사
유출범람
모형 및 토사유출
모의
범람모형
토사유출량 산정
모형
토석류 자료
DB구축
토사유출량 산정
모형
모델 개발 및
검증
HAZARD모형
산사태 및 토석류
위험지도
산사태 및 토석류
위험지도
관련자료
DB구축
산사태 및 토석류
위험지도
기존 모형 보완
및 적용방안 도출
피해-손실산정
산사태 및 토석류
위험지역 선정
경험적 방법을 이
용한 피해-손실
평가
재해 DB 구축
산사태, 토석류 발
생 현황 조사
재해 DB 구축
피해대상별 경제적
손실 및 복구비용 조사
개발 단계구분
산사태 위험지도
GIS를 이용한
위험지역 가시화
방법 도출
토사유출량 산정
모형
Code개발
토사유출 범람
모형
개념적 모델 개발을
위한 pilot study
산사태 및 토석류
위험지도
산사태 위험지도
와 토사유출량
산정 모델 결합
자산 DB 구축
건물 및 사회인프라
DB 구축
피해-손실 산정
Direct Economic Risk
Code 개발
31
산사태 위험지도
시스템 탑재 및 안
정화
시스템 성능 개선
및 보완
전국단위 산사태
위험지도
전국단위 DB구축
및 시스템 보완
전국단위 산사태 위험지
도
전국단위 산사태 위험지
도 개발 및 시스템 탑재
토사유출 범람
모형
Code 개발
매개변수 보정
토사유출 범람
모형
시스템 탑재 및
안정화
산사태 및 토석류
위험지도
토사유출 범람 모
형 적용 및 위험
수준 결정
산사태 및 토석류
위험지도
시스템탑재 및
실증
재해 DB 구축
산사태, 토석류
인명피해 조사
자산 DB 구축
인구통계 DB 구축
일반화단계
고도화단계
피해-손실 산정
피해-손실 산정
Societal Risk
Code 개발
시스템 운영 및 실증
피해-손실 산정
성능 개선 및 보완
32
5. 과제 제안요청서(안)
(1) 본사업 제안요청서(안)
(2) 테스트베드 시범운영과제 제안요청서(안)
5. 과제 제안요청서(안)
(1) 본사업 제안요청서(안)
제안요청서
과제명
연구기간
총 소요예산
자연재난 피해추정 기술 개발
총 5개년 (2014 ~ 2018)
15,000 백만원
1 차년도
3,000 백만원
2 차년도
3,000 백만원
3 차년도
3,000 백만원
4 차년도
3,000 백만원
5 차년도
3,000 백만원
- 재난 유형별(홍수, 태풍, 산사태) 피해 예측을 위한 요소 기술 개발
- 재난 유형별 피해 예측을 위한 전국단위 DB 구축
최종 목표
- 재난 유형별 피해-손실 원단위 개발
- 전국단위의 자연재난 피해 추정 시스템 개발
33
5. 과제 제안요청서(안)
(1) 본사업 제안요청서(안)
34
제안요청서
[홍수 분야]
[토석류 및 산사태 분야]
- [일반화 단계] 기상청 동네예보/기상특보 활용기법 전국
확대 적용 I
- [일반화 단계] 집중형 강우 유출 모형의 Code 및 매개변수
자동보정 Prototype 개발
- [일반화 단계] 1차원 하도추적 모형의 Code 및 매개변수
자동보정 Prototype 개발
- [일반화 단계] 외수범람 모형의 Code 및 매개변수 자동보정
Prototype 개발
- [일반화 단계] 내수침수 모형의 Code 및 매개변수 자동보정
1 차년도
Prototype 개발
- [일반화 단계] 산사태 위험지도 작성을 위한 최적 모델
선정 및 개발방향 도출
- [일반화 단계] 토사유출량 산정모형 구동을 위한 토석류
DB 구축
- [일반화 단계] 산사태 및 토석류 위험지도 관련 자료
수집
- [일반화 단계] 재해 DB 구축을 위한 산사태, 토석류
발생현황 조사
- [일반화 단계] 전국단위 인구/경제산업 DB구축
- [일반화 단계] 다차원법 Code 개발
[태풍 분야]
[시스템 분야]
- [일반화 단계] 유사태풍 탐색모형 Code 개발
- [일반화 단계] 물리적 바람 DB구축 모형의 Code 개발
- [일반화 단계] 도시풍해 분석모형의 Code 및 매개변수
자동 보정 모듈 개발
- [일반화 단계] 도시풍해 분석모형의 시스템 탑재 및 안정화
- [일반화 단계] 태풍피해-손실 산정기법 개발 기반 구축
- [일반화 단계] NDMS plus 데이터베이스 소켓 구축
- [일반화 단계] GIS 인터페이스 구축
5. 과제 제안요청서(안)
(1) 본사업 제안요청서(안)
제안요청서
[홍수 분야]
- [일반화 단계] 기상청 동네예보/기상특보 활용기법 전국
확대 적용 I
- [일반화 단계] 집중형 강우 유출 모형의 시스템 탑재
및 안정화
- [일반화 단계] 1차원 하도추적 모형의 시스템 탑재
및 안정화
- [일반화 단계] 외수범람 모형의 시스템 탑재 및 안정화
- [일반화 단계] 내수침수 모형의 시스템 탑재 및 안정화
2 차년도
- [일반화 단계] 전국단위 자산 단가 DB 구축
- [일반화 단계] 다차원법의 시스템 탑재
[태풍 분야]
[토석류 및 산사태 분야]
- [일반화 단계] 지질특성 및 강우조건을 고려한
산사태 위험지도 작성 모델 개발
- [일반화 단계] 토사유출량 산정모형 개발 및 검증
- [일반화 단계] 기존 산사태 및 토석류 위험지도
보완 및 적용방안 도출
- [일반화 단계] 재해 DB 구축을 위한 피해대상 별
경제적 손실 및 복구비용 조사
- [일반화 단계] 자산 DB 구축을 위한 건물 및
사회인프라 DB 구축
[시스템 분야]
- [일반화 단계] 유사태풍 탐색모혀의 시스템 탑재 및 안정화
- [일반화 단계] 물리적 바람 DB구축 모형의 시스템 탑재
및 안정화
- [일반화 단계] 농촌풍해 분석모형의 Code 및 매개변수
자동 보정 모듈 개발
- [일반화 단계] 농촌풍해 분석모형의 시스템 탑재 및
안정화
- [일반화 단계] 태풍피해-손실 산정 기법 개발
- [일반화 단계] 단위 모듈의 시스템 탑재 및 DB 연동
35
5. 과제 제안요청서(안)
(1) 본사업 제안요청서(안)
제안요청서
[홍수 분야]
[토석류 및 산사태 분야]
- [일반화 단계] GIS를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도의 위험지역
가시화 모듈 개발
- [고도화 단계] 분포형 강우 유출 모형의 Code 및
매개변수 자동보정 Prototype 개발
- [고도화 단계] 수리학적 하도추적 모형의 Code 및
매개변수 자동보정 Prototype 개발
- [고도화 단계] 전국단위 개별건물 침수피해
DB 구축
- [고도화 단계] 개념적 토사유출 범람모형 개발을 위한
Pilot Study
- [고도화 단계] 산사태 위험지도와 토사유출량 산정모델의
결합
- [일반화 단계] 산사태, 토석류 인명피해 DB 구축
- [일반화 단계] 자산 및 인구통계 DB 구축
- [고도화 단계] 피해-손실 산정을 위한 Direct Economic
Risk Code 개발
3 차년도
[태풍 분야]
[시스템 분야]
- [고도화 단계] 물리적 태풍 예측모형 Code 개발 I
- [고도화 단계] 바람-강우 통합 물리적 태풍 DB구축
모형 Code 개발
- [일반화 단계] 근해풍해 분석모형의 Code 및 매개
변수 자동보정 모듈 개발
- [고도화 단계] 도시홍수 분석모형의 Code 통합 및
매개변수 자동보정 모듈 개발
- [일반화 단계] 태풍피해-손실 산정 기법 시스템
- [고도화 단계] NDMS plus 데이터베이스 소켓 확장 및
보완
36
5. 과제 제안요청서(안)
(1) 본사업 제안요청서(안)
37
제안요청서
[홍수 분야]
- [고도화 단계] 분포형 강우 유출 모형의 Code 및
매개변수 자동보정 모듈 개발
- [고도화 단계] 수리학적 하도추적 모형의 Code 및
매개변수 자동보정 모듈 개발
- [고도화 단계] 전국단위 공시지가 DB 구축
[토석류 및 산사태 분야]
- [고도화 단계] 전국단위 산사태 위험지도 DB구축 및 보완
- [고도화 단계] 물리적 토사유출 범람모형의 Code 및
매개변수 자동보정 모듈 개발
- [고도화 단계] 토사유출 범람모형을 적용한 산사태 위험지도
구성 및 위험수준 결정
- [고도화 단계] 피해-손실 산정을 위한 Societal Risk Code 개발
4 차년도
[태풍 분야]
[시스템 분야]
- [고도화 단계] 물리적 태풍 예측모형 Code 개발 II
- [고도화 단계] 태풍위험지역의 바람-강우 통합 물리적
태풍 DB구축
- [일반화 단계] 연안풍해 분석모형의 Code 개발 및
매개변수 자동보정 모듈 개발
- [고도화 단계] 농촌홍수 분석모형의 Code 통합 및
매개변수 자동보정 모듈 개발
- [고도화 단계] 단위 모듈의 시스템 탑재 및 DB 연동
5. 과제 제안요청서(안)
(1) 본사업 제안요청서(안)
38
제안요청서
[홍수 분야]
[토석류 및 산사태 분야]
- [고도화 단계] 전국단위 산사태 위험지도의 시스템 탑재
- [고도화 단계] 분포형 강우 유출 모형의 시스템
탑재 및 실증
- [고도화 단계] 수리학적 하도추적 모형의 시스템
탑재 및 실증
- [고도화 단계] 구축된 DB의 보완 및 안정화
- [고도화 단계] 물리적 토사유출 범람모형의 시스템 탑재
및 안정화
- [고도화 단계] 토석류 및 산사태 위험지의 시스템 탑재
및 안정화
- [고도화 단계] 피해-손실 산정 기법의 시스템 탑재
및 보완
5 차년도
[태풍 분야]
[시스템 분야]
- [고도화 단계] 태풍예측모형의 시스템 탑재 및 실증
- [고도화 단계] 물리적 태풍평가모형의 시스템
탑재 및 실증
- [고도화 단계] 근해, 연안풍해 분석모형의 시스템
탑재 및 실증
- [고도화 단계] 도시, 농촌홍수 분석모형의 시스템
탑재 및 실증
- [고도화 단계] 전국단위 시스템 운영 및 안정화
5. 과제 제안요청서(안)
(2) 테스트베드 시범운영과제 제안요청서(안)
39
제안요청서
과제명
연구기간
자연재난 피해추정 기술 개발을 위한 테스트베드 운영
총 1개년 (2013 ~ 2013)
총 소요예산
300 백만원
- 기존에 활용되고 있는 재난 유형별(홍수, 태풍, 산사태)모의 모형 및 소
최종 목표
프트웨어를 이용한 테스트베드의 자연재난 피해-손실 예측
- 산정된 결과를 통해 자연재난 피해추정 기술개발 본사업의 타당성 및
개발 가능성 검토
5. 과제 제안요청서(안)
(2) 테스트베드 시범운영과제 제안요청서(안)
40
제안요청서
[홍수 분야]
- 강우 이벤트 별 강우-유출모형 구동
- 주요 지점 별 수문곡선 모의
- 이벤트 별 외수범람 모의
- 이벤트 별 내수침수 모의
- 다차원법을 이용한 피해손실 평가
[토석류 및 산사태 분야]
- 시범지역 선정 및 기존 산사태 위험지도 분석
- 시범지역의 토사유출량 및 토사유출범람 모의
- 토석류 및 산사태 위험지역 선정
- 경험적 방법을 이용한 피해-손실 평가
테스트
베드
[태풍 분야]
[시스템 분야]
- 기존 (역학/물리적) 태풍평가모형 구동
- 태풍유형별(진로/강도) 과거 태풍의 재현
- 강풍피해 영향 모의
- 호우피해 영향 모의
- 재난 모의결과 및 손실평가에 대한 Reporting 및
표출시스템 개발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