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업 발표자료_장영수(0)

Download Report

Transcript 수산업 발표자료_장영수(0)

수산업을 해양생명산업으로
장영수
국립 부경대학교 수산과학대학장
목 차
Ⅰ. 바다의 중요성
Ⅱ. 우리나라 수산업 현황
Ⅲ. 21세기 미래수산 전략
Ⅳ. 결론 및 제언
Ⅰ. 바다의 중요성
시대별 바다의 의미
▪ 미국 Ocean Blueprint 수립(2004년)
▪ EU 해양 비전 수립(2006년)
▪ 캐나다 해양 행동계획 수립(2010년)
▪ 영국 국가해양개발계획 수립(2002년)
▪ 글로벌해양컨퍼런스(Global Ocean Conference)개최(2001년)
▪ Ocean Policy Summit 개최(2005년)
▪ 트루먼 대륙붕 선언(1945년)
▪ 인류공동수산개념 도입(1962년)
▪ UN해양법 협약 채택(1982년)
▪
▪
▪
▪
▪
해양주권 및 관리의 본격화(1994년)
▪ UN해양법재판소 설립(1996년)
▪ 국제심해저기구 설립(1996년)
UN환경개발회의 설립(1992년)
지속가능(Sustainable) 개발주장 (1992년)
해양투기물 방지의 런던협약(1992년)
리우환경회의(1994년)
UN해양법 협약발효(1994년)
UN 해양법 기초마련 (1958년)
▪ 영국의 Navigation Act(1651년)
▪ 산업혁명(1760년)
▪ 수에즈운하 개통(1869년)
▪ 파나마운하 개통(1914년)
Pax Britannica (19세기)
▪ 콜럼버스 신대륙 발견(1492년)
▪ 바스코다가마의 희망봉 발견(1947년)
▪ 마젤란의 세계일주 및 태평양 명명(1522년)
콜럼버스 신대륙 발견(1492년)
자료 : 해양수산부, 미래 국가해양전략 연구, 2006./ 현재 상황을 새롭게 첨가하여 재정리
1. 바다는 생명의 근원
지구 표면적의 71% 차지, 30 여만종 해양생물 서식
• 바다는 지구표면적의 71%를 차지
• 육지생물의 7배에 달하는 30 여만종의 해양생물이 서식
지구 기후 및 온도 조절 기능
• 태양에너지의 80%를 흡수하여 급격한 기온변화 방지
• 대량의 이산화탄소 흡수로 지구 산소농도를 안정적으로 유지
(바다는 대기의 이산화탄소 함량의 60배)
2. 바다는 인류발전의 기회
문명유지 및 경제성장의 기회 제공
• 해안선 근교에서 세계인구의 절반인 27억명이 거주
전세계 50개 대도시의 2/3가 연안도시임
(세계4대 문명 발생지가 강유역/ 향후 해양문명세력 주도)
• “지중해는 과거의 바다요, 대서양은 오늘의 바다이며,
태평양은 미래의 바다이다” (미래학자)
→ 향후의 세계는 환태평양 문명권의 부상을 예고
• “ 바다는 인류의 광대한 기업이며, 세계인구가 지금의 10배로
늘어날지라도 충분히 생존을 보장해 줄 수 있는 곳이다”
(아놀드 토인비)
3. 바다는 미래의 무한한 자원의 보고
연간 22조 5,970 억 달러의 가치 창출
• 해양생태계의 연간 총가치 22조 5,970억 달러 창출
육상생태계는 10조 6,710억달러 추정[Nature誌(1997)]
• 구리, 망간, 니켈 등 광물 매장량은 육상의 100배
• 해저 석유 및 가스매장은 2020년 세계 40% 점유 예상
• 조력, 파력 등 해양 발전 에너지 자원 150억 Kw 추정
• 엄청난 오염정화능력으로 친환경유지 비용 분담
(갯벌 10㎞3의 정화능력은 10만명 도시 오염물질 정화)
4. 바다는 21세기 최대의 관광자원
스포츠, 예술, 심미적 영감의 원천
• 바다는 어업, 운송, 무역 등의 경제활동의 장일 뿐만 아니라
관광지, 휴양지로서의 수면의 입체적 이용의 증가 추세
- 해변 : 해수욕, 친수공간, 갯벌 체험, 해양박물관
- 해상 : 유어, 수상스키, 요트
- 해중 : 관광용 잠수정, 해중 전망탑, 스쿠버다이빙
- 해저 : 해저잠수테마공원
• 해양문화 및 해양생태자원을 통한 21세기 최대의 잠재적
해양관광 자원 임과 동시에, 심미적 영감의 원천임
국가해양경영의 범위
국가거시환경
국가경제규모
과학기술수준
국제화 수준
국가해양 경영인프라
국가해양행정체계
SOC
국가해양 경영 전략사업단위
산업구조
해양
자원
해양지
형조건
수산
자원
안보
국가금융
상태
정부의지
인적구성
해운
안보
국가해양
경영
문화/역사적 배경
해양외교
자연자원
보유규모
환경 안전
환경
해양의식
정치환경
항만
조선
해양과학
기술
해양안전
산업
해양
과학
기술
관광
해양지원사업
정부의 경쟁력
국민교육
수준
(인적역량)
9
바다활동의 상호 연관관계
경제활동
수산
해운/항만
조선/해양
플랜트
해양관광
해양바이오
등 신산업
해양환경
해양오염
해양수산자원
기후
Enabler/
SupPort
해양안전
해양과학기술
해양안보
10
Ⅱ. 우리나라 수산업 현황
1. 수산업의 위상
(1) 수산관련산업의 부가가치 약 9∼27조 추산
•
•
•
•
어업 생산 : 1조 7290억원 • 수산 유통업 : 2조 1119억원
수산물 가공업 : 1조 5609억원 • 수산 외식산업 : 1조 1895억원
기타(수산물 투입재 산업, 서비스 지식산업, 유어업 등) : 2조 7124억원
수산생명산업 (해양바이오산업): 14조 7492억원
• 수산업의 다원적 기능가치 : 2조 9000억원
(2) 수산물 생산 및 수출 세계 상위권
국토면적의 3.5배에 달하는 연근해 해역과
5대양을 통해 세계 수산선진국의 위상 실현
• 어업생산량 세계 13위, 양식어업 세계 8위, 원양어업 세계3위
• 수산물 수출입무역량 44억$(2008년, 세계12위)
(3) 국민 단백질 식량의 안정적 공급산업
국민 동물성 단백질의 40% 공급
• 국민 동물성 단백질의 40%를 공급하고, 식생활 문화에 기여
• 건강에 대한 국민적 관심 고조로 양질의 식품공급 역할 확대
(4) 국토(연안역) 관리 및 어업·어촌 문화 계승 발전
수산업은 어촌발전의 주역
• 1,700개 어촌계는 연안역 개발 및 관리의 핵심역할 수행
• 국민 휴양공간 제공과 어업·어촌문화의 계승 발전에 기여
(5) 수산업의 다면적 기능
본래적기능
다면적 기능
물질순환의 보완
수산물의
안정공급
생태계의 보전
생명·재산의 보전
교류의 장 제공
지역사회의 형성 및 유지
연관산업육성
2. 국내 수산업 현황 및 진단
자원환경적
측면
• 수산자원 보존 및 지속성 유지의 한계
• 해양생태계 관리에 한계
• 연근해 자원량과 어획량 감소
• 양식장 환경문제 증대와 생산량 정체
산업적
측면
사회경제적
측면
•
•
•
•
•
•
어획량 감소 속에 수산물 수입량 급증
생산중심의 저부가가치 위주의 양식업 전개
무역자유화에 따른 수산업 경영여건 악화
유통 및 가공산업의 정체(시설의 노후화, 영세성)
원양어업 규제 강화로 인한 생산 감소
수산생명자원 확보 등에 관한 산업적 기반시설 부진
• 어업인 및 어촌의 활력 저하
• 수산 기반 약화로 인한 어촌의 지역경제 및 정주여건
악화
2. 국내 수산업 현황 및 진단
수산업 진단 [SWOT 분석]
강점(S)
약점(W)
내부역량
외부환경




수산업 기반시설 완비
업계, 학교, 연구소 등 존재
해외어업에 대한 경험 풍부
해운, 해양관광 산업 등 발달





어선세력의 노후화
어업경영의 수익성 악화 증대
수산가공(창고업 포함) 단순 영세
유통시설 노후화
1차 산업 중심의 수산식품산업
기
회
(O)




중국 및 일본시장 확대 기회
개도국 등 수산업 지원 기회 확대
수산물에 대한 수요 증가
수산업 신 산업분야 확대
S  해양산업 통합정책 추진으
O
로 해외수산시장 확대 및
국제협력의 증대
전

수산업 신분야 발전
략
 시장확대 기회 및 신 산업
성장동력을 바탕으로 한
미래지향적 수산분야 개편
 수산분야 고차산업화 도모
WO
전
략
위
협
(T)




시장개방 압력 증대
국제수산규제 강화
수산식품 안전성 인식 증대
기후변화로 인한 어업생산 위협
S  시장개방 및 국제수산규제
T
대응
전  기후변화 대응 어업생산
구조 재편
략
 기후변화와 국제적 규제에
대응한 수산업 구조 재편
WT
전
략
Ⅲ. 21세기 미래수산 전략
1. 미래 수산업 발전을 위한 비전
21세기 미래 수산업 발전을 위한 비전 및 정책전략
어업제도 및 구조조정을 통한
어업구조 체질 개선
생산-가공-유통-수출 통합적 연계를 통한
수산업의 고부가가치 산업화
해양수산생명산업 육성을 통한
신 수산업의 영역 확대
국제협력 및 리더십 확대를 통한
수산업의 글로벌화 도모
세계 수산질서 선도
미래 수산업 발전
2. 미래 수산업 발전을 위한 비전 및 정책
(1) 어업구조 체질 개선 [경쟁력 있는 어업생산시스템 구축]
기후 대응 에너지 절감형 어업구조 개편 ⇒ 노후어선 대체, 유류절감 등
제도 개선을 통한 수산자원의 지속적 관리 및 어업경영의 경쟁력 강화
어장환경 관리 강화를 통한 해양생태계 지속성 유지(친환경 수산생산)
(2) 수산업의 고부가가치 산업화 [수산업의 대외 경쟁력 강화]
수산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통한 생산-가공-유통-수출 통합 추진
전통 수산시설의 현대화 및 수산식품 관련업체의 집적화 도모
수산 R&D 사업과 연계한 수산물, 수산식품의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
2. 미래 수산업 발전을 위한 비전 및 정책
(3) 글로벌 수산전략 확대 [글로벌 수산질서 선도]
개도국 수산기술이전 및 교육을 통한 수산 글로벌화 기반 구축
수산물 수출입 전략, 해외생산기지 개발 등 수산업의 글로벌화 전략 추진
국제협력 및 국제수산규범 선도를 통한 국제해양수산관리 리더십 확보
자료 : 수산전망대회 2013
세계 수산전망에서 본 공급부족 2천만 톤
1
FAO의 세계 수산전망이 주는 메세지
지금의 생산규모로는 21년 2천만 톤 부족
149,287천 톤(Avg 09-11)– 71,511천 톤(21) = 22,213천 톤
FAO의 전망대로 간다면, 중국 시장이 최대
글로벌화를 위한
한국 수산업의 최대 과제
2021년 중국 수산물 추가 수요는 800만 톤
2
한국, 지금의 생산구조로는 글로벌화
무리
FAO 전망, 지금의 구조로는 생산 감소
227만 톤(Avg 09-11)→223만 톤(21, 해조류 제
외)
글로벌 시장에서 수산업은 도태
연안지역의 수산물 소비: 황해 수
산물
공급력을
늘려라!
2021년 세계 수산물 부족 위기, 국제협력으로 넘어야
1
세계가 힘을 합쳐 극복해야 할 문제
단백질 원천인 수산물 부족은 식량 위기
세계 다수국가가 힘을 합쳐야
2
글로벌 공급부족 해결이 내수시장 안
정화
한국의 현재 생산구조로는 한계
자원 재생산 능력 한계, 천해양식 적지 한계
원양어업 여건 악화
그러나 글로벌 공급 안정화 = 내수 안정
수산선진국과 개도국 협력으로 공급력 강화
글로벌화를 위한
한국 수산업의 최대 과제
국제수산협력
강화 통한
공급력 확대
글로벌 수산 전략, 부족한 2천만 톤을 누가 생산?
1
향후, 수산분야 글로벌 경쟁의 향방
초과수요에 의한 공급부족 2천만 톤
예상 공급부족 2천만 톤: 누가 이 Share를 더 가져갈 것인가
?
FAO 전망대로라면, 그 누가? 는 개도국?
글로벌화를 위한
한국 수산업의 최대 과제
인도네시아, 인도, 러시아, 남아공, 남미국, 베트남, 필
리핀
2
현, 한국의 수산업 구조
한국의 공급력 증대, 국내에서 가능?
2천만 톤의 Share에
잡는어업의 생산량 증대는 한계
자원 재생산 능력의 한계에 도달
천해 양식 적지의 개발 한계점 도달
원양어업의 생산 여건 악화
참여 난관
간접 생산력 증대로 글로벌 공급력 확대에 기여
1
공급력 확대의 기회는 양식어업
국내: 외해양식과 육상양식
외해양식: 내파 기술과 관리 기술의 육성 통한 양식 적지 확
대
육상양식: 육상양식 가능한 어종의 개발, 빌딩양식 비용 절
감등
글로벌화를 위한
한국 수산업의 최대 과제
해외 공급력의 확대
해외양식거점: 해외수산자원 확보 위한 양식거점
활성화
2
공급력 유지를 위한 노력
연근해 어업의 생산성 증강/유통 효율 개선
자원관리 하에서의 생산성 증강 도모(어선 갱신, 신규진입
확대)
유통 과정에서의 손실율 ‘Zero’화, 위생관리 철저 등
원양어업의 유지와 확대
연안국과의 수산협력 강화
신어장 개척을 위한 시도(북극해, 브라질 어장 등)
양식어업
으로 생산량
증대 모색
수산물 수출 100억 불 달성은 증산 정책 필요
1
2021년 세계 수산물 수출 비중 6.4%
2021년(FAO) 세계 수산물 수출액: 1,553억 불
우리 목표는 100억 불 : 세계 수산물 수출 비중 6.4%
현재 우리의 위치: 17억 불(Avg 09~11), 세계 비중
1.9%
수출 증대를 위한 추가 생산량 약 200만 톤
현재 약 83만 톤(Avg 09-11)에 약 17억 불
2021년 100억 달성 위해 288만 톤 필요
2
수출 100억 불 달성 위해 별도 전략 필
요
국내 수산물 공급력 확대 정책
주요 수출 시장은 “중국”
일본: 수산물 소비 침체
미국: 한인 중심의 수산물 수출
중국: 잠재적 수산물 수요의 현실적 팽창
글로벌화를 위한
한국 수산업의 최대 과제
100억 불
수출목표
추가 공급력
200만 톤 필요
우리나라 수산글로벌화 전략
국제 사회적 책임 이수를 통한 글로벌화
책임 있는 글로벌 수산시장 진출을 위한 원칙
합법적 조업과 어획물의 조달
생태계의 자원상태 등 감안한 책임 있는 어업 실현 달성
지속적 수산업을 위한 현지 직접 투자와 과학적인 연구 추진
지속 생산 가능한 어종으로 인증된 수산물의 이용 장려
지속적인 환경 개선 노력과 합리적인 거래 관계 구축
2. 미래 수산업 발전을 위한 비전 및 정책
(4) 신 수산업의 영역 확대 [수산업의 신 성장동력화 주도]
수산생명산업(Bio산업) 육성을 통한 수산영역 확대(4조5천억 시장규모)
관상생물, 의약소재, 수산생명자원 확보 및 이용을 통한 수산업 규모 확대
수산 신기술 R&D 사업과 연계한 새로운 소재 개발 및 산업화 도모
외국의 수산과학기술 개발 전략
시사점
정책초점
산업
환경
수산
과학기술
국제
협력
Coordination
모든 국가바다전략의
핵심은 환경보호 및
수산과학기술 개발임
수산과학기술을 통한
환경보호 및 신산업
자원이용개발을 강조
국가 수산전략에서
수산과학기술 개발
비중은 높음
IV.
결론 및 제언
미래 수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전략 Agenda
수산자원의 체계적·과학적 관리
친환경 양식업 개발을 통한 양식수산물의
안정적 공급
제도 개선을 통한 어촌경제의 활성화
및 어업경영의 경쟁력 강화
글로벌화를 통한 수산업의 범위 확대
기후변화 대응 어업구조개선
수산생명산업 활성화를 통한 수산업의 영역 확대
수산물 유통 가공 산업의 고도화
수산분야 R&D 관리를 통한 수산업 신성장 기반 마련
• 개별 수산자원관리 정책들의 효과적인 연계
• 생태계 기반 수산자원 관리로 수산업 지속성 유지
• 과학적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한 관리정책 추진
• 어장환경 및 환경수용력을 고려한 양식시설 설치
• 양식수산물 품질관리 및 안전기술 개발
• 수산동물 방역체계의 효과적 구축 운용
• 허가 및 면허제도 개선을 통한 신규진입 허용
• 어업자단체 중심의 자율적 관리 강화
• 시장 중심의 관리제도 도입
• 전략적 품종개발을 통한 수산물 수출 증대
• 해외 양식어장 개발을 통한 수산물의 생산범위 확대
• 글로벌 수산기업 육성을 통한 수산물 물류 선점
• 친환경/저탄소 수산물 생산기술 개발
• 어업자원 기후대응 변동 모니터링 및 예측 강화
• 기후변화 대응 연근해어업 및 양식업 구조조정
• 수산생명자원의 확보 및 관리 강화
• 신약/바이오에너지 등 수산물 부가가치 증대
• 관상생물, 레저 등 수산물 서비스 제공
• 수산물 유통시스템 고도화, 콜드체인시스템 구축
• 산지 및 물류 거점의 수산물 가공기지 고도화
• 수산물 안정성 확보 및 검역방역시스템 구축
• 수산분야 R&D 수립 및 운용을 위한 거버넌스 구축
• 산학연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R&D 성과효율성 향상
• R&D 투자 확대를 통한 수산분야 인력 양성 확대
 수산업 발전의 잠재력 인식을 통한 효과적인 정책 수립
 사양산업이 아닌 신 성장동력산업으로의 인식 전환
 미래 수산업 정책전략 개발 및 추진
 어업제도 및 구조조정을 통한 어업구조 체질 개선
 수산업의 고부가가치 산업화 도모
 수산생명산업 육성을 통한 신 수산업 영역 확대
 국제협력 및 리더십 확대를 통한 수산업 글로벌화 도모
수산분야 신 네트워크 형성을 통한 수산정책 운용의 효율성 증대
 시너지 효과 창출을 위한 통합적 해양행정 운용계획 수립
 해양과 수산업 통합적 운용을 위한 조직적 방안 강구
 수산부문에서의 통합적 발전방안 마련(생산-가공-유통-수출)
 국제 해양수산 리더십 확보를 위한 해양통합적 국제협력 추진
 해양수산 통합적 정책추진을 바탕으로 한 연안역(어촌경제지역)
효율적 발전 도모
부산 수산업의 발전 제언
부산 수산업의 과거
• 1990년대까지는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성장 발전
•
•
•
•
•
•
•
-
어업인구 : 49천명(‘63) → 12천명(’85) → 19천명(’96)
어선척수 : 1.5천척(‘63) → 5천척(’85) → 7천척(’96)
어선톤수 : 23천톤(‘63) → 447천톤(’85) → 496천톤(’96)
어획량 : 57천톤(‘63) → 348천톤(’85) → 691천톤(’96)
양식량 : 0.4톤(‘71) → 42천톤(’85) → 56천톤(’95)
수산가공품 : 13천톤(‘70) → 222천톤(’85) → 349천톤(’96)
위판고 : 1억원(‘63) → 1,751억원(‘85) → 5,404억원(‘96)
부산 수산업의 현재
•
•
•
•
•
•
•
2000년대 이후는 구조조정기
- 어업인구 : 19천명(‘97) → 7천명(’11)
- 어선척수 : 7천척(‘97) → 4천척(’11)
- 어선톤수 : 559천톤(‘97) → 321천톤(’11)
- 수산물 생산량 : 468천톤(‘97) → 433천톤(’11)
- 수산가공품 : 188천톤(‘97) → 525천톤(’11)
- 위판고 : 4,483억원(‘97) → 9,994억원(‘11)
부산 수산업의 현재 과제
• 우리나라 수산업의 대표 도시로서 한국 수
산업 성장 견인
• 글로벌 수산환경 변화-기후변화, 시장개
방
• 부산 수산업의 내부적 위기-어선의 노후화
, 어업경영 성과 약화(고유가 등),고등어
중심의 위판, 고부가가치 가공 부재, 단순
보관 중심의 냉동냉장창고업, 유통시설조
건의 안정성 확보 미흡
부산 수산업의 미래 모습
• 수산업의 미래 성장 동력화 융복합 산업화
가. 수산해양생명 식품산업 기반 고도화
나. 고부가가치 식품산업 전략육성
다. 저탄소 녹색수산업 기반조성
라. 글로벌 수산 Hub City 도약
-
4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