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관리 담당자에 대한 생각
Download
Report
Transcript 안전관리 담당자에 대한 생각
실험실 안전관리 개선안
2013.07.03
포스텍 대학원 총학생회
1. 문제인식
지속적으로 안전점검에 대한 학생들의 불만 및 개선의지를 수용하여, ‘안전관리 담당자 지정’ 을
2013학년도 대학원총학생회 활동 목표로 삼고 대학원 업무팀과의 협의를 지속함.
총무안전팀과 협의 결과,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 시행령7조에서 일상 점검자를 연구활동
종사자로 규정하고 있음에 따라 전임 안전관리 담당자 지정에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음.
학생 안전관리 인식에 대한 실태 설문조사를 통하여 학생들의 안전의식을 진단하고, 문제를 해결하
기 위한 적절한 가이드라인을 만들기로 함.
2. 설문조사
2013.4.24~2013.4.30일 까지 일주일간 300여명의 대학원생이 설문조사에 응답함.
[설문내용]
1_현재 실험실 안전관리의 가장 큰 문제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객관식)
2_현재 이루어 지고 있는 안전관리에 대한 불편한 점 또는 어려운 점은 무엇입니까?(객관식)
3_안전관리에 대한 생각을 자유롭게 적어주세요(주관식)
3.설문결과
Q. 현재 실험실 안전관리의
가장 큰 문제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Q.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안전관리에 대한
불편한 점 또는 어려운 점은 무엇입니까?
기준에
부합되는
기타(26명)
7%
시설을 갖추는
큰 문제
미흡한
없다(92명)
24%
사후조치(53명)
14%
기타(16명)
6%
학생이
감당하기
어려운
금액마련이
지적된 사항에힘들다(30명)
11%
대한 실제적
관리항목이
많다(67명)
24%
조치가 오래
걸린다(26명)
소홀한
9%
점검(36명)
9%
점검 실시
형식적으로
주기(14명)
4%
이루어질 뿐,
실질적 관리가
안전의식
되지
결여(167명)
42%
않는다(138명)
50%
4. 결과분석
대학원생이 느끼는 안전관리 현실
_안전관리 문제에 있어 대학원생 스스로가 학생들 스스로의 안전의식 결여를 가장 큰 문제라고 파악
_형식에만 얽매여 있음
_안전점검을 올 때마다 개선된 부분에 대해 또 바꾸라고 하는 등 정해진 포맷이 없어 대응이 힘듦
_별도로 시간을 내어 안전관리에 시간 투자가 어려움
_안전점검 후 개선 시 대학원생 혼자서 해결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음
_연구실 특성에 맞지 않는 점검 항목이 많아 너무 형식적임
_서류관리인지 안전관리인지 모를 정도로 형식적으로만 이루어짐
안전관리 담당자에 대한 생각
_연구실마다 그 특성이 다르기에 그에 맞게 융통성 있는 관리가 이루어져야 함.
_학교 차원에서 안전점검에서 지적 받은 사항에 대해 처리할 수 있는 정책이 있어야 함.
_폐기물 처리의 경우, 폐기물을 처리하라고만 명시할 뿐 어느 장소에 폐기하라는 이야기가 없음.
학교 차원에서 “폐기물 분류 및 처리 정책"을 대학원생이 쉽게 알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함.
_매년 새로운 구성원이 들어오고 숙련된 구성원이 나가는 대학 연구실의 특성상 학교
차원에서 체계적인 관리를 할 수 있는 담당자가 필요함.
5. 제안사항
학기에 한번 연구실 전체 구성원과 함께 안전관리담당자가 연구실 안전관리 실태 파악
연구실 내 안전관리 담당자만이 아니라 모든 연구실 구성원이 안전관리 의식을 배양할 수 있고, 실
질적으로 본인의 연구실에서의 위험요소가 무엇이며 어떤 식으로 대처를 해야 하는지에 대해 실질
적인 교육이 가능함.
EX) 케미컬 후드 덕트 설치, 초고속 원심분리기와 같은 위험기기 설치
연구실 내 새로운 설비 및 기구 설치 시 반드시 안전관리담당자가 참석하여 안전관리상 문제 여부를
확인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함.
설비 설치 단계에서부터 안전관리가 이루어지고, 그 과정에서 관리상의 안전관리 의식 배양도 가능
각 학과별/연구실 별 특성화 안전점검 리스트 제작
일률적인 안전점검 리스트로 인하여 해당사항이 없는 연구실의 경우 안전관리 리스트 체크를 단순
한 서류작업으로 여기는 경우가 많으므로 연구실/학과별 특성을 반영하여 개별적인 안전점검 리스
트 제작이 필요. 안전관리 담당자와 연구실 전체 인원이 함께 리스트 제작하면 효과적
학교 차원의 안전관리 가이드 라인 필요
폐기물, 폐 시약병 처리 등과 같은 부분 가이드 라인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