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S502강의안 전반부-필기포함

Download Report

Transcript SCS502강의안 전반부-필기포함

Lectures on History & Philosophy of Science
Lectures on History & Philosophy of Science
“오직 사랑 안에서 참된 것을 하
여 범사에 그에게까지 자랄찌라
그는 머리니 곧 그리스도라”(엡
4:15)
천문학
• 점성술이나 종교의 축제일을 결정
화학
• 종교적 색채가 짙은 연금술 행위
의학
• 질병치료를 위한 주술적 행위
숫자 ·문자의 기원 • 종교적 행위를 위해 고안
영(零)
• 인도인의 무(無)사상과 관련
역사적으로
지난 몇 세기 동안
과학과 종교의 차
이
과학철학은
• 과학과 기독교는 불구대천의 원수
• 과학과 기독교는 더 할 나위 없는 반려자(신학의 시녀로서의 과학)
• 과학적 활동은 종교적 행위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분리 되어야 한다는 주
장
• 과학적 활동은 객관적, 합리적 실증적
• 종교적 활동은 주관적, 비합리적인 감정적 기초
• 과학과 종교의 엄격한 영역 구분에 대해 반론 제기
• 과학적 활동에도 종교적이고 형이상학적 요소가 개입
• 종교적 활동도 무조건 주관적, 비합리적이지 않음
목표 - 과학에 대한 바른 이해와 과학과
기독교의 바른 관계 정립
1. 일반적인 과학철학의 논의를 소개
2. 과학과 종교의 관계를 중심으로 과학
의 가치중립성에 대한 논의를 살펴봄
3. 과학과 기독교의 상호작용을 역사적
으로 살펴봄
Lectures on History & Philosophy of Science
"구체적인 것들 가운
데 보편적인 것을 보
고, 변화무쌍한 것들
가운데 영원한 것을
알아내는 것이 곧 과
학적 사고의 목적

“자연과학과 종교라는 두 가지 지각 영역 사이의 중재는
아마 우리 시대의 가장 큰 정신적 모험일 것이다. 그 모험
에서 중요한 점은 자연과학에 의해 탐사되고 있는 거대한
신대륙을 정신적으로 개간하고, 그 신대륙을 우리 인간이
살 수 있는 곳으로 만들기 위해 현대 세계에서 그 전체적
통일성의 의미를 감지하는 쪽으로 방향을 정하는 것이다.”
 바버(Ian
Barbour, 1923-),
<과학과 종교에서의 이
슈>(Issues in Science and
Religion)는 “오늘날 과학과
종교라는 현대의 연구 분야
를 문자적으로 만든 책이라
고 할 수 있다.”("has been
credited with literally
creating the contemporary
field of science and
religion.") - PBS
Lectures on History & Philosophy of Science








영국에서 감리교 목사의 아들로 출생
미국이주 펜실베니아대 의대( UPenn
School of Medicine) 졸업
뉴욕대(New York U.) 화학, 식물학, 의
학 교수
동 대학 총장 역임, 뉴욕대 의대 창설
화학과 천문학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
<History of the Conflict between
Religion and Science>(1874) - 종교와
과학은 본질적으로 갈등관계.
로마 가톨릭의 교황무오설 교리와 가톨
릭 전통에서의 반지성주의 비판
“과학의 역사는 단순히 독립된 발견들
의 기록이 아니다; 이것은 경쟁하는 두
세력들의 갈등의 내러티브인데, 한쪽에
는 팽창하려는 인간 지성의 힘이 있고
다른 한편에는 전통적 종교와 인간의 이
익으로부터 생겨나는 압력이 있다.”





코넬대학의 창설자, 초대 총
장
성공회 신자
1869년 “과학의 전장”(The
Battle-Fields of Science):
종교가 과학의 진보에 간섭하
려는 어떤 시도도 부정적인
결과
<A History of the Warfare
of Science with Theology in
Christendom>(1896) 출간
“초대교회 대부분의 교부들,
특히 락탄티우스 같은 사람은
그것[과학]을 이사야, 다윗,
바울이 했다는 말(word) 아
래 밟아 넣으려고 했다.”
Carl Edward Sagan(1934–
1996)
 미국 천문학자, 과학해설
가. 코넬대학(Cornell U)
천문학 교수
 행성연구실험실
(Laboratory for Planetary
Studies)을 운영
 600편 이상의 논문, 기사
를 발표, 20권 이상의 책
저술
 외계생물학 분야를 제창
 외계생명체 탐사 프로젝트
(Search for ExtraTerrestrial Intelligence,
SETI) 참여








미국 곤충학자, 사회생물학자, 환경
주의자. 하버드대학 진화생물학 교수
“인문학은 물론 사회학 및 다른 사회
과학이 진화이론에 포함되어야 할 생
물학의 마지막 부문이라고 해도 과언
이 아니다.”
정신은 “뇌라는 신경기계의 부수적인
현상”
과학적 인본주의(Scientific
Humanism)라는 말을 처음 사용.
과학적 인본주의만이 “실재 세계에
대한 점증하는 과학적 지식 및 자연
의 법칙들과 양립할 수 있는 유일한
세계관”
과학적 인본주의만이 인간의 상황을
개선하기에 가장 적합
2003년 그는 인본주의자 선언
(Humanist Manifesto)에 서명자
 Steven
Weinberg,
 Daniel Dennet,
 Richard Dawkins,
 Francis Crick,
 Peter Atkins
 그물코가
7cm 이상인
그물을 사용해서 심해
생물을 채집, 연구하는
학자가 심해에는 7cm
이하의 물고기는 존재
하지 않는다고 결론 내
리는 것
도덕적 혼란과 급격한 문화
적 변동의 시대에 확신을 추구하다 보
니 성서문자주의가 힘을 얻게 되었다.
-> “창조과학은 종교적 자유와 과학적
연구의 자유 모두를 위협한다.”
 Barbour:
Hovind(1953-)와 Dinosaur Adventure Land]
 P.
Johnson(1940-), M. Behe(1952-), W.
Dembski(1960-)]
Lectures on History & Philosophy of Science
 [Karl
Barth(1886-1968), Emil Brunner(18991966)]
Lectures on History & Philosophy of Science
 요한
바오로 2세: “과학은 종교로부터 그릇된 생각
과 미신을 추방하여 종교를 정화시킬 수 있으며, 종
교는 과학으로부터 맹목적 심취와 그릇된 절대화의
위험을 제거하여 과학을 정화시킬 수 있다. 과학과
종교는 서로 상대방으로부터 장점을 취함으로써 한
층 넓은 세계, 곧 과학과 종교가 함께 번영할 수 있
는 세계로 나아갈 수 있다.”
Lectures on History & Philosophy of Science
과학과 종교는 실체에 대한 다른 측면이라고 보고 과학과
종교 사이의 좀 더 체계적이고 폭넓은 동반자 관계를 수립
할 수 있다고 본다.
 갈릴레오, 등

Lectures on History & Philosophy of Science
 호트(John
Haught)
 피터스(Ted Peters)
 드리스(Willem Drees)
 휘스텐(Wentzel van Hyussteen)
Lectures on History & Philosophy of Science
정의
기능
• 과학이란 무엇인가?
• 과학은 무엇을 하는가?
과학철학은?
한계
인식론
• 과학의 한계는 무엇인가?
• 과학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 과학은

이원론적 해석
문화명령(창1:28;2:15) vs. 전도명령(마28:18-20, 행1:8)
 과학은



본질적으로 비기독교적이다?
과학의 결정론과 균일성  초월적인 요소를 수용할 여지
가 없음
자연의 내재적 결정성과 균일성은 하나님의 존재와 섭리
를 보여줌
 과학은

전도보다 열등하다?
여가 선용일 뿐이다?
숨겨진 것을 발견하는 것은 왕을 기쁘게 하는 것(잠25:2)
피조세계에 대한 청지기적 사명임

피조세계를 관리하라는 청지기적 책임
(창2:15)

땅을 다스리고 정복하라는 책임 (창1:28)

자연, 하나님의 작품 (창1:31, 빌4:8)

이웃 사랑의 방법
 뵐러F. Woehler, 요소를 처음으로 합성
 리비히J. von Liebig, 질소 비료 개발
 옥수수 박사 김순권 교수, 옥수수
품종 개량
F. Woehler , http://en.wikipedia.org/wiki/File:Friedrich_woehler.jpg (accessed 2011.01.13).
J. von Liebig, http://en.wikipedia.org/wiki/File:Justus_von_Liebig_um_1850_001.jpg (accessed 2011.01.13).
김순권 교수, http://www.nocutnews.co.kr/show.asp?idx=464264 (accessed 2011.01.13).
F. Woehler
J. von Liebig
김순권 박사
 과학의


무기경쟁, 자원고갈, 지구온난화, 환경오염
인간의 타락한 본성이 과학을 통해 드러나지 않도록 하는
파수꾼의 역할
 온전한


부정적인 능력에 대한 파수꾼의 역할
순종
다양한 영역(정치, 경제, 사회, 교육, 예술, 학문)에서 선한
청지기로서의 역할
악한 구조가 만들어지는 것을 방조하는 것은 개별적으로
이웃에게 위해를 끼치는 것보다 훨씬 더 영향과 범위가 큼
 자연을



그리스인 : 모든 물질적인 세계는 연구대상이 아님
동양사상 : 자연은 신성을 띄고 있음
자연은 엄격한 필연성에 의해 운행되므로 연구가 불필요
 자연에


대한 기독교인의 시각
독립적인 실재
자연의 균일성


연구의 대상으로 보지 않는 시각
질서 있는 하나님의 피조물이기에 통일성, 질서, 규칙성을 기대
자연의 가해성(可解性)



자연은 하나님의 창조물(Nature as Creation)
자연의 유한함(Finiteness of nature)
하나님의 성품
 자연에
대한 경외

하나님이 만드시고, 하나님의 소유

경외와 사용의 균형(환경주의↔자연파괴)
 연구의

정직, 진실성(integrity), 연구 결과에 대한 겸손, 연구 결
과의 공유, 자제심, 인내심
 바른


덕목
조망
기독교는 과학의 특성, 과학의 방법, 과학의 가정 등에 대
한 근거를 제공
과학에 대한 바른 조망을 제공
Lectures on History & Philosophy of Science
 모든


학문
과학적 방법이 동원되는 모든 학문들(인문과학, 사회과학)
학문(scholarship & Learning)과 유사하게 사용
 자연과학


응용과학의 기초가 되나 응용에 대한 관심이 2차적인 학문
(물리학, 화학, 생물학, 천문학, 지질학 등)
실재에 대한 지식 그 자체를 목표로 삼음
 과학과


기술
순수과학, 응용과학, 기술의 영역 구분이 어려움
기술은 과학을 기초, 과학은 기술의 진보와 더불어 발전

긍정적인 측면

하나의 사회


풍요로운 사회


농업혁명-식량문제 해결, 유전공학,기술발달-물질적 부요함
건강과 장수


빠른 이동수단의 발전(KTX, 고속도로), 초고속 인터넷의 보급
의학의 발달-질병의 치료 혹은 예방, 평균수명의 증가
부정적인 측면

인간의 자유 위협


개성, 공동체, 다양성 말살


GPS를 통한 위치 추적, 메일·전화의 감청 위협, 개인정보 노출
표준화=>생산성=>메커니즘 중심 사회는 획일성과 통일성을 요구
불안과 불행


현대인들의 불안과 절망 심화
예) 정보화 시대에서 컴맹들이 겪는 압력과 불안
 과학이

과학에 대한 기독교적 접근은 근원적으로 봉쇄


Why?
 기독교적(Christian)이라는 말이 가치를 내포
과학이 죄의 영향을 받지 않음을 의미



과학은 자율적
스스로 하나의 왕국이며, 자존함
하나님의 나라와는 별개로 존재
 과학이

가치중립적이라면?
가치중립적이 아니라면?
과학은 내재된 가치를 가져야 함



과학은 신앙에 의해 결정됨
기독교적 접근은 유용하며
기독교적 접근을 하지 않는다면 다른 가치에 의해 지배됨
 목적과


플라톤Platon, “과학은 자연에 대한 경외와 호기심에서 출
발한다.”
베이컨Francis Bacon, “아는 것이 힘이다.”


봉사하는 힘으로서의 지식(베이컨)근대에 와서 지배하는 힘
타락한 인간은 하나님으로부터 독립하기 위해 안전과 힘을 추구
 타락한

과학의 동기가 가져온 결과
과학의 세속화


동기와 결과를 보면 알 수 있음
자신의 안전을 보장하고 다른 사람을 지배하기 위한 힘을 비축하
기 위함
과학의 무신론화


기계화된 과학, 자연은 스스로 움직이는 자율적인 기계
인간의 부품화, 무력화, 인간의 소외(alienation) 현상
 고대인들에게




있어서의 과학
과학활동은 성직자들에 의해 수행(일종의 신비적 행위)
과학적 지식은 자연에 대한 신화들과 혼합
과학은 백성들에 대한 권력을 유지에 중요한 요소
결국, 과학은 중립적인 이유가 아니라 다른 가치를 반영하
기 위한 수단이었음대학의 의미
 그리스인들에게




있어서 과학
선험적인 절대 진리에 대한 존재에 대한 확신
자연에 대한 연구를 신화로부터 독립
모든 신념과 신앙에 무관한 자연에 대한 가치중립적인 지
식에 대한 확신
But, 그리스인들의 불변하는 절대적 진리를 찾으려고 한
것은 불안하고 찰나적 인간이 불확실한 세상에서 안전감
을 갖기 위함(지적, 심리적, 육체적 안전에 대한 추구)
 중세과학에서



기독교가 지배, but 이성의 중립성에 대한 강한 신념
“자율적이고 중립적인 과학 연구를 통해 인간의 독립성을
추구”
아퀴나스Thomas Aquinas


자연과 초자연의 분리
자연적인 영역과 신앙이 지배하는 초자연적인 영역으로 분리
스콜라 철학Scholaticism


죄와 은혜는 자연과 무관하다고 주장
자연을 연구하는 활동의 중립성을 주장


스콜라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여유'라는 뜻을 가진 스콜레
(σχολη)를 라틴어로 (schola) 소리 나는 대로 적은 낱말로서 오
늘날 '학파'라는 뜻으로 이해되고 있으며, 특히 9세기에서 15세
기에 걸쳐서 유럽의 정신세계를 지배하였던 신학에 바탕을 둔
철학적 사상을 일컫는 데 쓰이고 있다. 때문에 철학사에서는
이 시기의 철학을 통틀어서 흔히 스콜라 철학이라 부르고 있다.
스콜라 철학은 기독교의 신학에 바탕을 두기 때문에 일반 철학
이 추구하는 진리 탐구와 인식의 문제를 신앙과 결부시켜 생각
하였으며, 인간이 지닌 이성 역시 신의 계시 혹은 전능 아래에
서 이해하였다. 가령 스콜라 철학에서는 신의 존재 문제를 애
써 다루었는데, 여기서 스콜라의 철학자들은 이 문제를 단순히
물질적 혹은 추상적인 방법론으로 관찰 또는 연구하지 않고 언
제나 기독교의 신앙에 따라 해결하고자 노력하였다. 이와 같은
노력의 산물 혹은 수단으로서 스콜라의 철학자들은 아리스토
텔레스의 전통 아래 광범위하게 논리학을 발전시킨 것으로 평
가되고 있다.
 근대과학과

르네상스




과학의 중립성
과학의 휴머니즘적 요소는 더욱 강화
과학은 세속적 안전감과 힘을 만드는 방법으로 더욱 장려
실험이 사변을 대체, 수리적 방법 도입, 뉴턴의 역학체계
16세기 종교개혁자들

아퀴나스, 스콜라 철학자들의 주장을 반박
 자연의 자율성 가정을 비판
 우주에는 죄가 없고 하나님의 은혜가 필요치 않는 것은 없음
 하나님께서 자신들을 피조세계를 관리하기 위해서 과학과 기
술의 분야로 부르셨다고 믿음

과학혁명(1543-1687)





18세기 산업혁명, 계몽사상



N. Copernicus
인간의 이성에 대한 신뢰를 극대화
과학의 영역에서 하나님을 점점 더 배제
자유주의와 고등비평


1543,코페르니쿠스의 <천구의 회전의 관하여> 발표
1687, 뉴턴의 <프린키피아> 발표
우주는 하나님의 피조물이며 하나의 거대한 기계
God as watchmaker  이신론(Deism)의 확산
신학에서 하나님을 몰아냄
19세기 진화론

과학에서 하나님을 “생략”하는 결정적인 계기
Sir Isaac Newton
과학은 겉으로는 가치중립을 표방하면서 실제로는 기독교적 가치를
세속주의나 무신론, 유물론 따위의 새로운 가치로 대치함
Nicolaus Copernicus, http://en.wikipedia.org/wiki/File:Nikolaus_Kopernikus.jpg (accessed 2011.01.13)
Sir Isaac Newton, http://en.wikipedia.org/wiki/File:GodfreyKneller-IsaacNewton-1689.jpg (accessed 2011.01.13)
Principia, http://commons.wikimedia.org/wiki/File:Newton_-_Principia_(1687),_title,_p._5,_color.jpg (accessed 2011.01.13)
 과학의

칼빈주의자들




실용성과 중립성
가치중립적 과학 지식이라는 신화에 대한 도전
과학적 지식의 도구적, 실용적 측면 강조
과학은 하나님의 피조세계를 관리하는
청지기의 도구, 이웃을 사랑하기 위한 도구
개혁자들의 사상의 세속화




Auguste Comte
꽁트Auguste Comte, 1798-1857
 “아는 것은 예측하기 위해, 예측하는 것은 지배하기 위해서”(S
avoir pour prevoir, prevoir pour gouverner)“
가치중립성과학의 무한한 진보에 대한 신념으로 확장
무신론, 유물론, 인본주의가 과학의 중립성 이름으로 선포
인간을 스스로를 구원할 수 있다는 인본주의 신념
Auguste Comte, http://en.wikipedia.org/wiki/File:Auguste_Comte.jpg (accessed 2011.01.13)
 실증주의자들의



과학은 독립적이고 가치중립적
과학적 방법은 지식을 얻고 세계를 지배하기 위한 유일한
방법
과학적 중립성은 진보에 대한 증명할 수 없는 신념에 근거



다윈Charles Darwin의 진화론
스펜서Herbert Spencer의 주장
마르크스Karl H. Marx의 사적 유물론과 과학적 사회주의
 실증주의에




주장
대한 비판
상대주의
데이터 선택, 해석의 문제
인간의 자율성과 실증주의
이데올로기로서의 진보주의
 비합리주의의


대두
과학의 절대적 가치를 파괴
실증주의는…
삶의 세속화, 무신론

과학의 폐위
(dethronement)
과학의 중립성 개념


인간과 과학의 소외
인간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가정하는 인본주의와 양립할 수 없음
과학의 자율성은 인간에게 자율성을 주지 못함
 과학의


어떤 관점, 신념, 신앙도 배격
가치 내재적 존재인 인간이 과학에서 모든 가정을 배격하
는 것이 가능한가?


역사는 이것이 불가능함을 보여줌(니체, 히틀러, 스탈린)
배격의 이면에는 새로운 가치가 있음
 절대자



하나님과 절대진리의 부정
허무주의 또는 비관주의만 남게 됨
유일한 진리의 기준은 현세적 유용성뿐임
제임스William James


중립성 가정
하나님의 존재는 인간이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달렸음
슐라이어마허Friedrich Schleiermacher

“하나님이 인간을 만든 것이 아니라 인간이 하나님을 만들었다.”

과학이 가치중립적이라는 의미는…




과학을 통한 인간의 독립추구



과학적 활동과 그것의 결과가 객관적임
과학적 지식은 인간의 정서, 이해관계, 신념, 신앙과 무관함
과학적 지식은 절대적으로 진리임
아담과 하와가 타락한 모티브이며 하나님에 대한 인간의 의도적인
반역의 모티브
하나님을 떠나려는 인간의 독립 추구는 더 이상 가치중립이 아니며
하나님을 거역하는 일
과학을 통한 실재에 대한 지식 추구의 모티브


이면에 주관적 신념과 신앙이 내재
과학의 연구 결과뿐 아니라 그것의 가정, 연구방향 등에도 가치가 반
영됨
그리스도인들은 항상 자신은 물론 다른 과학자들은 어떤 믿음에
의해 연구를 하는가를 살펴보고 하나님의 법도 내에서 이루어지는
지를 살펴봐야 한다.
Lectures on History & Philosophy of Science

청지기 동인
과학연구는 하나님이 창조하신 이 세계를 잘 관리하고 다스리는
것임
 청지기적 역할(과학연구)을 잘 감당할 수 있도록 인간을 자신의
형상을 따라 만드심
 과학혁명기에 실험과학자들 중에 개신교인이 많음(멀튼Robert
Merton, 호이카스R. Hooykaas의 연구)

“하나님이 그들에게 복을 주시며 그들에게 이르시되 생육
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라, 땅을 정복하라, 바다의 고기
와 공중의 새와 땅에 움직이는 모든 생물을 다스리라 하시
니라”(창1:28)
“여호와 하나님이 그 사람을 이끌어 에덴동산에 두사 그것
을 다스리며 지키게 하시고”(창2:15)
 세속적

동인
과학을 통하여 종교로부터의 독립을 추구하려는 동인

과학적 지식의 증가에 따라 종교의 굴레로부터 벗어날 수 있음
(꽁트A. Comte, 볼테르Voltaire와 같은 계몽주의자)
“가인이 여호와의 앞을 떠나 나가 에덴 동편 놋 땅에 거하였더니
아내와 동침하니 그가 잉태하여 에녹을 낳은지라 가인이 성을 쌓
고 그 아들의 이름으로 성을 이름하여 에녹이라 하였더라…”
(창4:16-17)
“아다는 야발을 낳았으니 그는 장막에 거하여 육축 치는 자의 조
상이 되었고 그 아우의 이름은 유발이니 그는 수금과 퉁소를 잡는
모든 자의 조상이 되었으며 씰라는 두발가인을 낳았으니 그는 동
철로 각양 날카로운 기계를 만드는 자요 두발가인의 누이는 나아
마이었더라”(창4:20-22)

하나님을 떠나 불안과 공포, 소외에 떨던 인간은 과학
의 힘을 하나님 대용으로 선택
과학의 가치중립성과 무한한 가능성에 근거하여 그리스도
가 없는 구속에 대한 꿈을 갖게 됨
 과학은 인간의 과도한 기대에 힘입어 우상으로 기능
 우상은 우상을 섬기는 자를 종으로 만듦


현대 인본주의자들의 진짜 우상은 인간 자신
틸리히Paul Tillich
 “인본주의에서는 신적인 것이 인간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인간의 궁극적인 관심은 바로 인간 자신이다.”
 현대의 위기는 과학의 위기인본주의의 위기

 전문화

근대 과학의 가장 큰 특징

과학적 지식의 폭발적 증가 파편화(fragmentation)야기

아마추어 과학자의 시대전문 과학자 시대 도래

전반적인 조망은 사라지고 좁은 한 영역만을 연구

박사(博士)가 아닌 협사(狹士)
과학의 중립성에 대한 신념  과학적 지식의 객관성에 대한 신념
인간의 신앙과
객관적인 과학
자유로부터
책임질 사람이
자율적이고
없는 과학
제국주의적인 과학
자유로운 과학

과학적 지식은 과연 객관적인가?

독일의 후설Edmund Husserl


일생동안 과학적 지식의 객관성과 가치중립성을 증명하기 위해 노력했
으나 실패
영국의 화이트헤드Alfred N. Whitehead

자신의 과학이 철학으로부터 자유롭다고 생각하는 과학자는 이미 우연
철학(chance philosophy)에 사로잡힌 사람이라고 지적
 과학적


처음에는 인간이 과학을 발전(과학은 인간의 조절 능력 내)
현대에 와서 과학의 힘은 인간에게 대항, 과학자들의 조
절한계를 넘어섬
데소르Dessaur




지식과 힘은 인간에게 대항함
인간이 발전시킨 기술의 비인격화
인간으로부터 독립적 자충족적인 힘이 됨
때로는 인간의 이익에 반하는 역할을 하게 됨
가톨릭 신학자 과르디니Romano Guardini

중세 이후로 인간은 다양한 연구영역을 자율적으로 만들어 실재
에 대한 지식을 얻고자 했으나 이로 인해 인간은 과학의 영역에
서 하나님을 추방함

기술의 힘


물질적 부요


기술문명의 위력은 때로 하나님의 능력이나 기도의 능력과 경쟁
기도하지 않게 되고, 하나님을 섬기지 않고 삶의 부분들이 세속
화됨
기독교에 대한 회의
병든 문명, 인본주의의 위기 속에서 기독교가 직면하고 있는 문
제들에 대한 답을 줄 수 있는가?
 삶의 모든 부분들을 하나님께 연관시키지 못하면 부지불식간에
과학의 가장된 자율성이 우상으로 기능하게 됨


세 가지 저항 세력
세속적 인본주의자들의 저항
 과학의 중립성의 압력에 굴복한 그리스도인의 저항
 우리 자신 내부의 저항(이원론적 사고)

엄마가 아이를 데리고 심리학자에게 간다고 하자. 그러면 어떤
면에서는 아동심리학자가 아이에 대하여 더 많은 정보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지만 과연 그런가?
신학자의 지식이 경건한 그리스도인의 지식보다 더 우월하다
고 할 수 있는가?
기술자와 노동자의 지식을 비교해 보라. 노동자는 자신이 일하
는 과정에서 기술자가 간과한 것들을 볼 수 없을까?
카시오페아 자리에 나타난 티코 신성을 아무런 천문학에 대한
선입견이 없었던 농부가 쉽게 발견할 수 있을까?
과학적 지식이나 방법론은 진리에 이르는
하나의 방법이지 유일한 방법이 아니다

과학적 지식은 실용성을 초월
허블천체망원경(Hubble Space Telescope)이나 입자가속기 등
은 실용성과는 거리가 멀지만 엄청난 예산을 투입해서 연구
 실용성을 초월했다고 해서 객관성을 보증하는 것은 아님


과학적 지식은 실재에 대한 조화로운(coherent) 전체를
추상화
과학적 지식은 존재의 양상의 하나를 얻기 위하여 그 존재의 다
른 양상들과 연결된 실재의 복잡성, 상호연관성을 포기
 과학은 도예베르트Herman Dooyeweerd가 주장한 15개 양상 중 하
위 양상들과 관련


과학은 실재를 지배하는 법칙들에 대한 지식에 집중

즉각적인 경험의 세계를 다루기보다 일반화된 법칙의 수준을 다
룸

과학은 모든 존재 양상의 하위 양상들만을 다룸


과학적인 방법으로 다룰 수 없는 실재에 대한 다른 양상들(생명,
정서, 아름다움, 정의, 윤리, 신앙 등)이 있음
과학은 실재의 개별성에 의해 제한됨
과학은 데카르트Rene Descartes의 분석적 능력에 대한 신뢰에 근거
개별 지식의 총화를 전체에 대한 지식과 동일시
 But, 개별의 총화가 전체가 되지 않을 때가 자주 있음(사람)


과학적 지식은 실재를 지배하는 법칙에 관한 것이지 실재
그 자체를 반영하는 것은 아님

베르그송Henri Bergson, 제임스William James


과학적 지식은 실재의 특성과 분명히 다르기 때문에 진리를 제공할
수 없다고 주장
인간의 자유와 책임은 과학으로 결정될 수 없음

자유와 책임은 과학의 설명·한계를 넘어선 것. 선험적으로 가정
 신앙과



과학과 성경
과학은 그 자체가 신앙이 아니며 신앙의 대상도 아님
하나님과의 관계는 과학적 분석의 대상이 아님
과학은 항상 “신앙에 의해 인도되고 영감을 받는다.”
 과학에서




신앙의 역할
신앙의 눈을 통해 지식의 전체적 직조구조를 파악할 수 있
음
과학적 지식의 보편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할 수가 있음
결과가 신앙을 동기유발 하는 것이 아니라 신앙이 사람으
로 하여금 결과를 향해 가게 함
기독교 신앙은 과학의 동기, 목적, 한계, 결과 등에 대한
분명한 차이를 보여줄 수 있음
Lectures on History & Philosophy of Science
귀납
연역
관찰과 실험에서
과학적 법칙과 이
얻어진 사실
론
미지의 사건과 현
상에 대한 예측과
설명
“많은 수의 A가 다양한 조건하에서 관찰되었고 관찰된 A가 모두 B가 가
진 성질을 갖고 있다면 모든 A는 B라고 일반화 할 수 있다.”

이러한 일반화가 정당화 되려면…



일반화의 기초가 되는 관찰이 수적으로 많아야 함
관찰은 다양한 조건하에서도 반복될 수 있어야 함(reproducibility)
관찰은 이미 도출된 보편법칙과 모순되면 안 됨
 귀납주의는…




관찰, 경험 및 귀납추리 과정이 합리적, 중립적, 탈가치적
이라는 사실에 근거하여 과학이 객관적이라 판단
믿을 만한 지식을 얻을 수 있는 가장 우수한 방법이며, 과
학적 지식은 가장 믿을만하다는 결론
과학은 관찰자나 실험자의 취향, 의견, 희망, 기대 등 개인
적이고 주관적인 것에 의지하지 않는다고 생각함
지난 400여 년 동안의 눈부신 과학의 발달이 귀납적 방법
의 우월함을 증명하는 가장 큰 증거임
 But…

과학의 신뢰성은 관찰과 귀납의 객관성에 대한 귀납주의
자들의 주장에 근거함
 사물의

균형 잡힌 이해 결여
과학적 방법의 객관성과 과학적 지식의 우월성에 대한 과
도한 신뢰이데올로기화


과학주의, 기술주의, 진보주의, 물질주의
경직된 이데올로기사물을 균형 있게 이해하는데 방해
 방법론적

과학주의


환원주의
과학적 방법론과 지식을 절대화시켜 모든 학문은 과학적 방법으
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
지적 독단주의


과학적이지 못한 지식은 믿을 만 하지 못하다고 주장
-> 과학적 방법은 생물의 물질적 측면이나 무생명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탁월하나 사람, 사회, 단체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
에서는 제한된 지식만을 제공한다.

개연성 도입

귀납적 추리를 정당화시키는데 필요한 관찰 사례의 수는?




반증이론(포퍼Karl R. Popper)



귀납적 진리에 대한 개연성 도입
“만일 다양한 조건의 변화 속에서 많은 A가 관찰되었고 관찰된 A가
모두 B가 가진 성질을 가진다면 A는 B일 가능성이 높다.”
절대적으로 참임을 증명할 수는 없지만 개연적인 참은 될 수 있다.
귀납적 진리의 개연성조차 부정. 과학의 진보는 이론의 검증
(Verification)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대담한 가설과 이
가설에 대한 반증(Falsification) 시도를 통하여 이루어짐
잘 증명된 이론이라기보다 반증시도에 대해 잘 견디어 내는 이론이
훌륭한 이론임
관찰과 경험의 비객관성

한슨Norwood R. Hanson, <과학적 발견의 패턴>

관찰은 관찰자가 가진 기존의 이론에 의존하여 이루어진다는 소위
“이론 의존적 관찰”(Theory-laden Observation)을 주장
비엔나 태생 유대인
고전적 귀납주의 비판
반증주의 제안
비엔나 학파 중심인물
트럼펫 연주자(카네기홀 연주)
전투기 조종사(2000시간)
과학철학자
과학사/과학철학 구분 반대
인디애나대학 과학사 및 과학철학과 창설
 헝가리


귀납주의, 반증주의는 개별 이론과 관찰에 집중하여 실제
과학활동을 설명하기에 너무나 단편적이라고 비판
과학 이론은 구조적 전체로서 파악할 것을 제안


태생의 유대인 라카토스Imre Lakatos, 1922-1974
과학이론과 진보과정을 구조로서 파악해야만
복잡한 이론이 발생, 성장하는 것을 잘 설명할
수 있음
과학적 연구 프로그램(Research Program)

새로운 사실을 계속 발견해 내는가의 여부는
연구프로그램이 전진적(progressive)인가,
퇴행적(degenerating)인가에 의존
Imre Lakatos
Imre Lakatos, http://en.wikipedia.org/wiki/File:Lakatos_2.jpg (accessed 2011.01.13)
헝가리 태생의 유대인
과학및 수학철학자
어머니 할머니는 아우슈비츠에서 죽음
전과학

새로운
새로운
정상과학
위기
혁명
…
과학이 형성되기 이전의 조직화되지 못한 다양한 활
동들
그 시대의 과학자 공동체가 보편적으로 받아들이는
가정들, 법칙들, 이들을 적용하는 기술들로 구성된
패러다임(paradigm) 내에서 이루어지는 과학활동들
위기 Crisis


새로운
혁명
정상과학 Normal Science


위기
전과학 Pre-science


정상과학
그 패러다임 내에서 해결할 수 없거나 명백한 반증에
직면하는 많은 이상현상(anomaly)이 쌓임
혁명 Revolution

Thosmas S. Kuhn, 1922-1996
(attributed to HILOBROW)
낡은 패러다임을 버리고 새로운 패러다임을 받아들
이는 과정(불연속적인 과정)
Thomas S. Kuhn, http://hilobrow.com/2009/07/18/hilo-hero-thomas-kuhn/ (accessed 2011.01.13)

비엔나 태생의 파이어아벤트Paul Feyerabend, 1924-1994


<방법에의 도전>(Against Method, 1976)
고정적이고 보편적인 규칙을 따라 진행한다는 생각을 정면으로 반
박






주변 환경에 대해서 지나치게 단순한 견해를 가짐으로 현실적이지 못함
그러한 규칙을 강화하는 것은 오히려 인간성 상실만을 가져올 위험이 있
음
과학을 더욱 융통성 없고 독단적인 것으로 만든다고 지적
모든 방법론은 나름대로의 한계를 갖고 있음
항상 보편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유일한 “규칙”은
“어떻게 해도 좋다”(Anything goes!)
인식론적 무정부주의
(Epistemological Anarchism)
Paul Feyerabend
(attributed to Grazia Borrini-Feyerabend)
http://en.wikipedia.org/wiki/File:PKF_2.jpg
(accessed 2011.01.13)

자율적이지 않은 이성-<종교의 한계 내에서의 이성>



귀납주의적 논리 자체에 대한 반발
귀납적 추리의 합리성에 기초한 귀납원리는 합리적, 객관적인
이성의 존재를 가정하지 않고는 생각할 수 없음
중립적이지 않은 과학
과학이 결코 가치중립이 아님이 실제적인 경우에서 입증
동기가치(Motive Value), 과정가치(Process Value), 응용가치
(Application Value) 등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음
 연구에 직접, 간접으로 참여하는 사람들의 개인적 특성, 종교적
신념, 시대적 요청, 지역적 상황 등이 연구에 중요한 영향을 미
침



자연주의적 해석의 한계
과학은 자연에 대한 무신론적인 해석을 낳음
극단적 자연주의는 자연에 대한 올바른 해석을 제시하지 못함
 자연의 각종 현상들에 대한 자연주의적 해석의 한계
 카프라Fritjof Capra의 신과학 운동


오스트리아 태생의 미국 물리학자
비엔나 대학에서 이론 물리학으로 박사
UC Berkeley 교수
물리학의 도, 문명의 전환 다수 베스트셀로 발표
신과학 운동 창시
Lectures on History & Philosophy of Science
메사추세츠 박사

종교적 믿음은 비과학적이다?
경험에 대한 신뢰성은 인간의 존재에 대한 가정 위에 세워져 있
음
 “내가 존재한다는 믿음”은 과학적으로 증명될 수 있는 것이 아
님


종교적 믿음은 증명할 수 없다?

과학적 신념이나 일상생활에서 자명한 듯이 보이는 많은 사실들
도 엄격히 따지고 보면 증명할 수 없는 믿음 위에 세워져 있음



우주의 균일성(均一性) 가정
자연적 질서에 대한 인간의 지적 공명
종교적 믿음은 증거가 없다?


“증거가 없는 신념은 없다.”(No belief without evidence.)
과학적 증거만을 믿을만하다고 주장하는 것은 “증거에 대한 논
쟁이 아니라 배경신념에 대한 논쟁”임
 종교적

믿음은 피상적이다?
귀납적 주장


세계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이해하지 못했던 과거의 영역들(간격
들)은 자연주의적인 설명으로 메워져 왔기 때문에 결국에는 남아
있는 모든 영역들도 비슷하게 메워질 것이다.
반론
 실체에 대한 과학적이고 자연주의적 설명의 불완전성
(incompleteness)은 불가피함
 우주나 인간의 기원과 같은 문제들은 원천적으로 자연주의적
설명이 불가능한 영역임
 쿤Thomas Kuhn의 주장에 따르면 현재의 자연주의적 설명이 미래
에도 맞을 것이라고 장담할 수 없음
 과학자들은 한 과학적 이론이 부적당하다고 생각해도 이를 대
치할 수 있는 다른 자연주의적 이론이 없으면 부적절한 이론을
포기하지 않음. Cf. 자연주의 진화론?

원리적 주장


자연주의적 설명들이 다른 모든 설명들을 압도할 것이며 다른 설
명들을 피상적이 되게 만들 것이다.
반론



실체에 대한 설명을 할 때 왜 자연주의적 설명과 비자연주의적
설명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강요받아야 하는가?
하나님이 자신의 목적을 위해 자연법칙을 제정하셨다면 왜 하
나님과 그 분이 만드신 법칙들 사이에 경쟁이 필요한가?
왜 하나님과 그가 만든 자연법칙을 경쟁자인 것처럼 생각해야
하는가?
Lectures on History & Philosophy of Science

16, 17세기 과학혁명의 주축 인물들의 공통된 신념
신플라톤주의(Neo-Platonism)




자연을 살펴보면 의도적으로 계획되고(planned), 지시되고
(directed), 설계되었다는(designed) 증거가 분명함
어떤 사물의 역사와 구조와 기능을 올바르게 이해하려면 논리
(reasons), 아이디어(ideas), 계획(plans), 사상(thoughts), 패턴
(patterns), 설계(design)를 고려해야 함
18, 19세기 초 자연신학(Natural Theology) 운동

과학이란 다만 자연에 존재하는 의도적인 설계의 흔적을 찾는
작업임

자연 현상에 대한 과학적인 설명을 위해서는 초자연적인 설계자
의 개념을 가정해야 함
자연신학 사상은 세월이 지나며 도전 받게 됨

비히Michael Behe,
<다윈의 블랙 박스>(Darwin’s Black
Box)
 우리는 설계의 개념을 도입하지 않고는
자연의 어떤 부분에 대한 완전한 이해를
할 수 없다.

도킨스Richard Dawkins,
<눈먼 시계공>(The Blind Watchmaker)
Michael Behe
진화의 증거는 설계가 필요 없는 우주를
드러낸다.
 자연을 적절하게 설명하기 위해서는 설
계의 개념이 필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정확하게 자연을 이해하게 되면 자연에
의도적인 설계가 없음을 알 수 있다.

Michael Behe, http://www.worldmag.com/articles/13143/ (accessed 2011.01.13)
Darwin’s Black Box cover, http://en.wikipedia.org/wiki/File:Darwinsblackbox.jpg
Richard Dawkins, http://en.wikipedia.org/wiki/File:Richard_dawkins_lecture.jpg
The Blind Watchmaker cover, http://en.wikipedia.org/wiki/File:Blind_Watchmaker.jpg
Richard Dawkins
(attributed to Matthias Asgeirsso)




인조물(Artifacts)
 순수한 자연만으로 만들 수 없으며 반드시 어떤 분명한 요인을 가
정해야 하는 것
 자연의 정상적인 흐름(flow)을 인공적으로 거슬러 가는 역류
(counterflow)로 만들어진 물건이나 일어나는 사건
설계(Design)
 설계는 반드시 의도적으로 만들어진 패턴
 우리는 설계된 인공구조물을 쉽게 알 수 있음
설계자의 활동(Agent Activity)
 직접적-설계자가 손으로 직접 어떤 물품을 만드는 것을 의미
 간접적-설계자가 만든 도구나 기계가 다른 인공구조물을 만드는 것
자연물과 인조물 사이의 간격(Gaps)
 자연적인 정상류(normal casual flow)와 인공적인 역류
(counterflow) 사이에는 항상 간격이 있음

유한한 존재에 의한 설계
인조성(artificiality), 역류(counterflow)의 흔적(marks)
 이러한 흔적은 우리가 항상 발견할 수 있는 것은 아님


무한한 존재에 의한 설계
무한한 존재에게 있어서는 자연물과 “신조물”이 동일
 무한한 존재에 의한 설계는 더더욱 감지하기 어려움


설계와 과학

유한한 존재에 의한 설계와 과학



초자연적인 설계의 개념을 반대하는 사람들도 유한한 존재에 의한
설계의 개념은 반대하지 않음
사람이나 외계인 혹은 무엇이든지 유한한 존재라는 것 자체가 자연
적이라고 생각하기 때문
무한한 존재에 의한 설계와 과학

유한한 존재에 의한 설계가 과학적이라고 받아들여진다면 왜 무한
한 존재에 의한 설계가 과학적이라고 받아들이지 못하는가?

무한한 존재에 의한 설계 개념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이유
방법론적인 자연주의 때문임
 철학적 자연주의가 선험적 진리인 것으로 받아들임


방법론적 자연주의가 널리 받아들여지는 이유(라취Ratzsch)

과학의 정의



과학의 본질적인 정의 자체가 과학은 방법론적 자연주의를 요구한
다는 확신을 갖고 있음
But, 과학 그 자체에는 다양한 형이상학적 확신이 내포되어 있음이
밝혀지고 있음
경험적 근거가 없다?


초자연적 존재에 관한 이론들은 안정되고 경험적으로 실험할 수 있
는 내용을 가질 수 없다는 확신
But, 자연의 균일성 원리(均一性原理) 등은 전혀 경험적으로 증명되
지 않았지만 모두에게 받아들여지고 있음

역사적 근거가 없다?



역사적으로 초자연적 존재와 결부된 과학 이론들은 모두 실패했
다는 확신을 갖고 있음
But, 과학의 역사에 대한 잘못된 시각으로 인해 생긴 것임
 데이비스Paul Davis, “과학은 신학의 결과이며, 무신론자이든 유
신론자이든 모든 과학자들은 ... 본질적으로 신학적인 세계관
을 받아들인다.”
간격의 하나님?


초자연적 존재를 가정하는 이론들은 모두 “간격의 하나
님”(God-of-the-Gaps) 개념에 근거한 것인데 이들은 과학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는 확신을 갖고 있음
But, 설계 이론은 간격의 하나님 이론과 동일하지 않음
1)
2)
3)
4)

설계 이론은 간격을 포함하지 않음
역사적으로 등장했던 설계이론들도 간격을 포함하지 않음
(자연신학)
간격이 설계와 연관되는 경우가 있다는 것 자체가 논리적으
로 문제가 되지는 않음
간격을 포함하는 설계 주장이 반드시 무지함 때문이 아니라
자연이나 인간의 본질적 능력의 한계를 직시했기 때문일 수
있음
과학적 나태함


초자연적 존재에 의한 설계 이론을 허용하게 되면 잘 모르는 것
은 무조건 초자연적인 요인으로 돌리기 쉬움
But, 하나님이 천지를 만드시고 그 가운데 모든 질서와 규칙들을
만드셨고,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만들어진 존재이기 때문
에 인간이 하나님이 제정한 질서와 규칙들을 찾아낼 수 있다고
믿는 것이 바른 견해임

1990년대 초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지적설계(ID) 운동
18-19세기 영국의 자연신학 운동에 뿌리
 여러 가지 면에서 자연신학의 약점들을 보완


다양한 참여자들
ID운동을 시작한 법학자 존슨Phillip Johnson, ID 운동의 지도자중
한 사람인 뎀스키William Dembski(수학, 철학 Ph.D, 기독교인), 생
화학자 비히Michael Behe(가톨릭 신자), 덴톤Michael Denton(무신론
자), 웰스Jonathan Wells(통일교 신자), 넬슨
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의 느슨한 연합체
 교조적이지 않은 주장


자연주의의 거부와 설계에 대한 확신
이들의 공통적인 신념은 방법론적 자연주의는 잘못된 것임
 자연에는 많은 간격이 있으며 이러한 간격은 자연적 진화에 의
해서는 메워질 수 없음을 지적함

Lectures on History & Philosophy of Science
 근대과학의
발흥이라고 할 수 있는 16,7세기 과학혁
명이 왜 서구에서 일어났을까?
 당시에
중국이나 인도, 아랍에도 유럽에 못지않은 과
학이 있었는데 왜 이들 지역에서는 근대과학이 출현
하지 않고 유독 유럽에서 근대과학이 발생하였는가?
 과연

기독교와 과학의 관계는 어떤 관계에 있는가?
갈등 관계인가, 동맹 관계인가? 적도, 원수도 아닌 복합적
인 관계인가?

드레이퍼John William Draper, 1811-1882

Biography




영국 출신 감리교 목사의 아들
1832, 미국으로 이민, 의대졸업 후 뉴욕대에서
화학, 생리학 교수
아버지의 신앙을 버리고 합리적 유신론자가 됨
John William Draper
<종교와 과학의 갈등사> (1874) 발표
교황무오설과 “revealed doctrine”이 “human sciences”보다 위에
있다는 발표에 분노하여 대부분의 지면을 가톨릭을 공격하는 데 할
애
 4세기 이후 교회가 과학자들을 핍박한 예들을 열거
 이슬람 과학자들은 여러 과학들의 기초를 놓음
 희랍정교는 대체로 과학을 환영
 개신교는 이따금씩의 오해에도 ‘우호적인 연합’(cordial union)유
지
 개신교 종교개혁을 근대 과학의 쌍둥이 자매라고 평가
John William Draper, http://en.wikipedia.org/wiki/File:John_William_Draper.jpg (accessed 2011.01.14)


화이트Andrew Dickson White, 1832-1918

Biography




성공회 출신 역사학자
미시간 대학 교수, 뉴욕주 상원의원을 역임
초대 Cornell 대학의 총장 역임
Andrew Dickson White
<기독교계에서 과학과 신학의 투쟁사>(1896)



기독교와 과학의 관계를 마음이 좁고 교조적인 신학자들과 진리를 추구
하는 과학자들 사이의 일련의 “전쟁”(battles)이라고 표현
“과학의 자유를 위한 위대한 성전(聖戰) - 몇 세기 동안이나 계속되어 온,
그리고 아직까지도 계속되고 있는 투쟁 - 의 윤곽을 이제부터 묘사하려
고 한다. 그것은 격렬한 항쟁이었다. 시저나 나폴레옹이나 몰트케 등이
치른 비교적 단기의 전쟁에 비하여, 더욱 장기적인 더욱 맹렬한 전투와
더욱 끈덕진 포위와, 빈틈없는 전략에 의한 싸움이었다.” – 서문中
1869-1896년까지의 강의에서는 기독교와 과학의 관계를 “전면전”(allout war)이라고 표현
 러셀Bertrand Russell, 1872-1970


일생을 교회를 적대시하며 합리주의자로,
그리고 인본주의자로 자처
<종교와 과학>(Religion and Science, 1935)




Bertrand Russell
“종교와 과학 사이에는 오랜 투쟁이 있었는데 최근 몇 년 전까지
도 과학은 변함없이 승리를 과시했다”고 주장
과학은 인간의 고통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한 반면 기독교 신학은
인간의 “야만상태”를 조장했다고 비난
신학과 과학의 싸움은 권위와 관찰 사이의 싸움이라고 주장
But, 진실한 기독교인들 중에 탁월한 과학자들이 많은 것을 설명
하지 못함
Bertrand Russell, http://en.wikipedia.org/wiki/File:Honourable_Bertrand_Russell (accessed 2011.01.14)

멀턴Robert K. Merton, 1910-2003
 미국의 종교사회학자
 중세학자들은 자연을 경멸하거나 무익한 것으로
간주한 데 비해 종교개혁자들은 과학적 활동을
Robert K. Merton
가치 있는 것으로 인정하였음을 지적
ⓒ Columbia University Press
 청교도 정신과 과학정신을 조목조목 비교(point-to-point
correlation)





청교도들에게 과학연구는 예배의 한 부분
공리주의적 활동을 통해 물질적 부요함을 증진시키는 것은 하나님을 영
화롭게 하는 것임
성실함은 청교도의 두드러진 표시
이성(rationalism)을 예찬하면서도 그것을 관찰에 예속시켜(empiricism)
실험과학의 기초를 놓았음
17세기 영국에서 근대과학이 발흥된 것과 런던왕립협회(Royal
Society of London) 멤버들 중 청교도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
던 점을 제시
Robert K. Merton, http://en.wikipedia.org/wiki/File:Robert_K_Merton.jpg (accessed 2011.01.14)

호이카스Reijer Hooykaas, 1906-1994



Reijer Hooykaas
© Vrije Universiteit Amsterdam
야키Stanley L. Jaki, 1924-2009



네덜란드의 개신교 과학사가
직접적인 경험을 중시하는 신앙적 특징과 실험을
중시하는 과학의 정신의 일맥상통함을 지적
기독교가 현대과학을 발생시켰다는 주장
기독교 유럽에서 근대 과학이 발생한 것 자체가 기독
교와 과학의 긍정적인 관계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평가
가톨릭은 과학에 적대적?

UC-Berkeley 역사학자 하일브론John Heilbron

Stanley L. Jaki
(attributed to Antonio G. Colombo)
“로마 가톨릭 교회는 중세 후기 고대 학문의 회복으로부터 계몽시대에
이르기까지 6세기 이상 동안 다른 어떤 교회들보다도, 아마 다른 어떤
기관들보다도 천문학 연구에 더 많은 경제적, 사회적 지원을 하였다.”
Reijer Hooykaas, http://www.few.vu.nl/nl/onderzoek/algemene-vorming/geschiedenis/index.asp (accessed 2011.01.14)
Stanley L. Jaki, http://en.wikipedia.org/wiki/File:Father_Jaki_June_2007.jpg (accessed 2011.01.14)

영국 랑카스터대학의 과학사학자인 부룩John H. Brooke



과학과 기독교는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그들의
관계에 대한 단순한 일반화는 불가능함
과학과 종교를 서로 완전히 다른 두 실체로 이원화 시키기 보다 필
요에 따라 두 영역의 경계를 적당히 이동시킴으로써 두 영역이 상
호 상당히 많은 부분에서 중첩된다는 점을 제시
1950년대 이후 과학사가들


종교와 과학의 관계는 “충돌”도, “조화”도
아닌 복합적 관계임을 주장
<God & Nature> &
<When Science & Christianity Meet>
(David C. Lindberg & Ronald L. Numbers)
God & Nature, http://www.betterworldbooks.co.uk/god-and-nature-id-0520056922.aspx (accessed 2011.01.14)
When Science & Christianity Meet, http://www.betterworldbooks.co.uk/when-science-christianity-meet-id-0226482162.aspx (accessed 2011.01.14)
“과학과 기독교의 관계는 “단순한 ‘갈등’이나 ‘조화’로
환원시킬 수 없는 복잡하고 다양한 상호작용이었다. 비
록 논쟁의 예를 찾는 것이 어렵진 않을지라도 과학자들
과 신학자들-줄여서 말한다면 과학과 기독교-은 오랫동
안 전쟁을 했다고는 말 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수 없이
많이 상호 협력한 경우가 있지만 기독교와 과학이 영원한 동지였다고
말하는 것은 농담(travesty)일 뿐이다. 몇몇 기독교적인 신념이나 관행
은 과학연구를 장려했지만 다른 경우에는 방해했다; 상호작용은 시간
과 장소, 사람에 따라 달랐다.” 때로는 어느 한 편이 승자가 되기도 했
고 다른 한편이 패자가 되기도 했지만 더 많은 경우 기독교와 과학은
“workable peace”를 유지하였다.” - <God & Nature> 서문中

<종의 기원>


대체로 18세기에는 지질학과 기독교 사이에 화해(detente)가
유지되었으나 1859년 다윈의 <종의 기원>이 출판되면서 과학
과 개신교 사이에는 큰 갈등이 빚어지게 됨
다양한 해석들

채드윅Owen Chadwick


무어James R. Moore


개개인들의 마음속에 있는 생각들의 전쟁
터너Frank Turner


여기저기서 발생하는 여러 작은 마찰들을 갈등의 본질로 생각
전문가 그룹들 간의 갈등
길리스피Neal C. Gillespie

19세기 과학과 종교의 갈등은 두 개의 경쟁적 과학의 인식
(episteme) 체계 간의 갈등 - <찰스 다윈과 창조의 문제>(1979) 中
 대중들의

19세기의 과학과 신학의 논쟁은 실제로는 성경에 대한 보
수적 진영과 진보적 진영 사이의 갈등, “역사적 연구와 성
경에 대한 수용된 견해” 사이의 갈등이었으나 대중들은 단
순하게 성경과 과학의 갈등이라고 오해
 권위와

위엄의 이동
터너Frank M. Turner


오해
빅토리아 시대의 과학과 종교의 갈등은 권위와 위엄(authority
and prestige)의 이동의 결과
제이콥Margaret C. Jacob

17세기 자유주의 개신교는 뉴턴 철학을 환영했는데 이것은 뉴턴
의 기계론적 철학이 “자연에 대한 그럴듯한 설명”을 제공하기 때
문이 아니라 당시 지배 계급의 사회-정치적 목적에 부합했기 때
문

성경과 실험과학의 탄생


이론적 사유보다 경험적이고 실천적인 면을 강조하는 성경의 정
신은 근대 실험과학의 탄생과 무관하지 않음
피조물로서의 자연과 관리자로서의 인간
성경은 자연계를 피조물로서, 인간을 그 관리자로 선언
 성경은 자연을 자존적인 존재나 숭배의 대상으로 보지 않고 관
리의 대상으로 봄


근대학문 이상
근대학문 이상과 기독교의 이상은 일치
 근대과학의 지식의 공개념은 기독교적 뿌리를 갖고 있음


두 권의 책
갈릴레오가 말한 “두 권의 책” 개념은 오랜 기독교의 전통
 자연은 하나님의 작품이므로 자연을 연구하는 것은 하나님을 아
는 지식을 구하는 것임

Lectures on History & Philosophy of Science
 헬레니즘




알렉산더 대제의 이집트 정복으로 지중해 연안을 중심으
로 헬레니즘 문화가 형성
그리스는 물론 근동의 이집트, 페니키아, 바벨론, 페르시
아 등의 문화가 헬레니즘 문화 속에서 융합
남북왕조의 멸망 이후 유대인들은 지중해 연안으로 퍼짐
자연스럽게 유대인들은 BC 3세기 초부터 헬레니즘 문화와
대화를 시작한 것으로 보임
 그리스

문화에 대한 유대인들의 반응
수용적 자세를 가진 진보주의자들


문화
그리스 문화가 청년들의 교육에 중요하다고 생각
비판적 자세를 가진 보수주의자들

율법의 독특한 가치가 그리스 문화에 의해 훼손되지 않을까 염려
 언어와



정신
운율을 맞추는 히브리인들
알파벳 순서의 시(Acrostic) : 예레미야애가, 시119
단조 노래
 히브리어와
헬라어
히브리어
 매우 단순하고 문법이 정교하지
않음
헬라어
 동사나 명사의 어미, 시제, 격의
 종교적 메시지를 전하기 위한 문
변화가 복잡하고 기계적
자
 학문적 지식을 전달하려는 문자
 운율을 중시하고 중심적인 메시
지를 전달하는데 목적

구약
그리스 문화의 영향은 받지 않은 것으로 보임
 구약 성경 곳곳에는 과학적 언급들이 많이 존재







밤낮의 자동적 변화 (창1:5)
동식물이 정상적인 생식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연속적으로 생성됨
(창1:11f; 21f; 24f)
일월성신의 궤도가 법칙에 따라 자동으로 운행됨(욥38:33; 시
19:4ff)
밀물과 썰물(욥38:8-11; 시104:9; 잠8:29; 렘5:22)
비, 바람, 천둥, 번개 등의 기상 현상(욥28:25f; 38:24f; 시148:8)
간약기의 유대교
희랍 자연철학의 영향으로 유대인들은 자연의 자율성을 훨씬 더
많이 인정
 벤 시락Jesus ben Sirach, BC 2C



자연의 질서에 있어서 플라톤적인 수리적 규칙성을 강조
인간은 불순종했으나 자연은 하나님께 순종
Lectures on History & Philosophy of Science
 초대교회는

과학과 기독교의 적대적 관계 주장한 드레이퍼Draper와 화
이트White



초대교회 교부들은 자연 그 자체를 위한 과학적 연구를 경멸
교부들은 끈기 있는 관찰과 유추를 통해서는 미숙한 지식을 얻을
뿐임
그들의 무지와 미신이 전횡적으로 과학을 파괴하였음
 과연

그런가?
고대와 현대는 과학에 대한 정의가 같지 않았음을 간과



과학을 어떻게 보았을까?
고대에는 학문이 미분화
고대와 현대는 과학을 연구하는 방법도 달랐음
세속철학도 기독교처럼 관용이 부족함

다양한 견해들
 터툴리안Tertullian




그리스 철학에 대해 가장 적대적인 초대 교부
“예루살렘과 아테네가 무슨 관계가 있는가?”
“그리스도 예수를 안 후에는 어떤 호기심도 필요하지 않게 되었으며 복
음을 안 후에는 어떤 연구도 필요하지 않게 되었다”
But, 터툴리안은 초대교회 교부들의 의견들의 넓은 스펙트럼 중에
서도 극단적인 한쪽 끝의 의견을 대변할 뿐임

많은 초대교회 교부들은 고대 그리스의 지식이 중심이 된 고전전통을 제
한적으로나마 수용함
 아테나고라스Athenagoras


클레멘트Clement


플라톤과 아스리토텔레스, 스토아 철학자들을 단일신론을 지지하는 사람
들로 제시
최초의 그리스 철학자들이 무신론자들이었음을 비판했지만 그도 역시 어떤
철학자들과 시인들은 진리를 증거하며 철학 전통에도 “불을 일으키는 희
미한 불꽃, 지혜의 흔적, 하나님으로부터 온 본능이 있다”고 함
오리겐Origen
Tertullian, http://en.wikipedia.org/wiki/File:Tertullian.jpg (accessed 2011.01.15)

솔로몬의 송시

42편의 짧은 서정적 찬송시로 된 위경


아르노비우스Arnobius of Sicca

북아프리카 시카(Sicca)의 변증가



“그는 창조하시고 그것을 깨우신 후 그의 일을 쉬셨다. 그리고 피조
물들은 자기들의 궤도를 따라 운행되며 자신들의 일들을 한다. 그들
은 쉬거나 게으를 수 없다. 만상은 그의 말씀에 순종한다”
자연적 사건들은 “태초부터 세워진 법칙들에 따른다”고 하면서 자
연을 가리켜 기계라고 부름
기독교는 최고의 이방철학과 잘 일치한다고 주장 -<Adversus
Nationes>中
유세비우스Eusebius of Caesarea, c.260-c.340

가이사랴의 주교이자 교회사의 아버지



자연법칙의 충분성을 강조
그리스어로 자연에 해당하는 푸시스(phusis)란 말을 처음 사용
안정된 궁창, 허공 중에 걸린 지구, 일월성신의 궤도, 계절의 변화
등은 태초에 하나님이 제정하신 것이라고 봄

유사 클레멘트 문헌
로마의 성 클레멘트St. Clement of Rome의 이름으로 초대교회에 널
리 유포되던 문헌들
 전 10권으로 이루어진 <아나그노세이스>(Recognitions, 211231 사이의 문헌으로 추정)








후에 우주 기계론자들이 사용한 “세계 기계” 등의 용어를 사용
별들의 궤도는 “고정된 법칙과 주기들” 에 의해 지배되며 하나님의
창조를 증거함
세계의 질서는 자연 그 자체의 질서라기보다는 하나님이 제정하신
것
인과율은 하나님의 창조 규례
씨앗이 발아하는 것이나 식물이 성장하는 것은 창조 시 하나님이 물
속에 심은 “영의 힘” 때문
자연의 질서들은 신비로운 역사를 이해한 성실한 사람들의 이성적
탐구 대상임
자연의 여러 현상들은 사실과 예에 의해 증명됨

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Gregory of Nazianzus, 329-389
Gregory of Nazianzus
갑바도기아(현 터키) 교부의 한 사람
 세속학문을 경계, 세속학문을 믿음 안에 굴복시켜야 할 필요성을 역설




“모든 생각을 사로잡아 그리스도께 복종”하게 해야 함
세속문학으로부터 탐구와 유추의 원리를 발견하면서 동시에 그들의 우상숭
배, 공포, 파괴의 수렁은 배격해야 함
가이사랴의 바실Basil of Caesarea, c.330-379
370, 가이사랴(Caesarea in Cappadocia)의 주교로 임명
 창조론자 전통(Creationist Tradition)의 첫 학자





창1장 11절에서 처음에는 풀과 채소가, 나중에는 과목을 나게 한 것은 질서
를 보여줌
임페투스(impetus) 혹은 운동량(momentum)으로 알려진 개념을 도입
회전하는 팽이는 지상의 물체지만 천체들처럼 회전운동을 하므로 천상계와
지상계는 하나임
구르는 공 개념을 창1:24에서 하나님의 명령에 대한 반응으로 땅으로
부터 생명이 자연발생한 것을 설명하는데 사용
Gregory of Nazianzus, http://en.wikipedia.org/wiki/File:Gregor-Chora.jpg (accessed 2011.01.15)
 어거스틴Augustine of Hippo, 354-430

초대교회 최대의 교부


386년 회심, 395년에 북아프리카
히포(Hippo)의 주교가 됨
이방 학문에 대한 중세 그리스도인들의
태도를 결정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침



Augustine of Hippo
이방 학문에 대해 매우 조심스러운 혹은 부정적인 자세를 취함
자신이 인문학(논리학, 기하학, 대수학을 포함하는)에 많은 시간
을 투입하여 공부한 것을 후회하면서 그러한 공부들은 “내게 유
용하게 사용되지 못하고, 나를 멸망시키는 데 사용되었다”고 말
함-<고백록>中
But, 하나님의 초월성을 강조함으로 자연의 자율성을 특별히 강
조
 스토아철학(Stoicism)과 신플라톤주의(Neo-Platonism)의 “신
적인 세계 정신”(divine world soul)에 연관됨
 17세기 이후에는 서구에서 만개한 자연의 자율성의 효시
Augustine of Hippo, http://en.wikipedia.org/wiki/File:Saint_Augustine_by_Philippe_de_Champaigne.jpg (accessed 2011.01.15)



기독교와 신플라톤주의를 수용
이성이 신앙을 대치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으나 인간의
이성에 대한 강한 신념을 가짐
철학과 철학적 삶은 대체되어서도, 거부되어서도 안 되고,
기독교화 되어야 함


“믿음을 일깨워 오성(悟性)을 사랑하게 하라. 진실한 이성은 마
음을 움직여 오성에 이르게 하고 믿음은 오성을 위해 준비한다.”
이성적 추론은 신앙을 변증하기 위해서도 필요불가결 함
을앎

“그대가 믿지 않으면 이해할 수 없다.”(Unless you believe, you
will not understand.)


BC7-3세기까지 활발하게 꽃피웠던 창의적 희랍과학은
BC2-AD2세기에 쇠잔


창의적 사고보다 기존 업적들에 대한 주석과 관주에 집중
과학에 종사하는 사람의 숫자도 감소

시기적 알리바이가 성립?
이렇게 된 것이 기독교 신앙의 탓일까?


기독교는 4세기 초(313)까지 극심하게 박해받는 소수파 종교였음
기독교의 타계성도 설득력이 없음

기독교에 영향을 미친 그리스 철학 사상들
 피타고라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스토아 철학



물질계를 “신성의 최종적 현현” 이라고 생각, 물질계에 관심이 많음
영지주의1세기 성경기자들에 의해 정죄됨
신플라톤 철학


세계를 이원론적으로 바라봄
 본질적인 것 : 초월적이고 영원한 이데아의 세계
 물질계 : 본질적인 것의 불완전한 그림자 혹은 모조품
초대 및 중세 기독교에 상당한 영향을 미침

로마제국의 특성




철학적 사색보다는 실용적인 것과 통치에 필요한 법 등을 중시
넓은 식민지로부터 엄청난 부와 인력이 로마로 쏟아져 들어왔을
때 로마인들은 힘든 공부보다는 쾌락과 유희에 집중
자연에 대한 연구조차도 노예 학자들의 노동력에 의존
기독교는 로마 제국에서 과학의 퇴조와 별 관계가 없고 오
히려 로마의 정치적, 군사적, 경제적 이유와 관련된 것임

기독교와 과학의 관계를 한마디로 잘라서 말하기는 어려
움





이 분야의 연구가 너무 논쟁적이고 변증적인 목적을 위해 수행되었
기 때문
초대 교회 내에서도 이방 철학이나 자연과학에 대한 태도
는 사람마다 매우 다양함
기독교 교리와 그리스 자연철학은 상호작용을 하면서 서
로를 변화시킴
기독교 신학과 과학이 만남으로 하늘의 신성은 제거됨
그리스도인들은 그리스어로 성경을 읽게 되었으며 특별
히 플라톤적 시각으로 성경을 읽게 됨
 긍정적인

BC 3 세기 후반- BC 2 세기 중엽, 유대인 변증학자들



이집트인은 과학과 기술을 모세에게 배움
유폴레무스Eupolemus


이방인들로 하여금 유대교에 대한 존경심을 갖게 하기 위함
그리스 문화에 대해서 호감을 가진 유대인들에게는 유대 전통도
우수함을 재확인시키기 위함
아르타파누스Artapanus


평가
천문학(점성술)은 에녹(Enoch)이 발명, 아브라함이 페니키아인
들과 이집트인들에게 가르치고, 그리스인들은 이들에게서 배움
아리스토불러스Aristobulus of Paneas


피타고라스나 플라톤의 철학적 아이디어를 비롯하여 그리스 철
학이 모세에게서 가져온 것임
그리스 과학(자연철학)을 인정했으며 모든 지식의 통일성(unity)
에 대한 신념을 가지고 있었음
 부정적인

에녹서(Books of Enoch)


약(물)학, 야금술, 바벨론 천문학(점성술)은 천사들의 타락과 천
사들의 인간과의 불륜의 관계로 생겨난 것
바룩서(Book of Baruch)


평가
이방 문명에는 어떤 지혜도 없으며, 젊은이들이 모세의 법으로부
터 떠나는 것을 비난
집회서(Ecclesiasticus)의 저자 벤 시락Jesus ben Sirach



모든 철학적 유추를 비난
그리스 의약품의 사용을 금지
But, 벤 시락은 유대화 할 수 있는 한 헬레니즘 사상에 대해서 개
방적이었음

시기



2-3세기 박해 중에 본격적인 상호작용
이미 “모든 진리는 하나님의 진리"라는 모토 아래
그리스 과학도 그리스도인 학자들이 사용
긍정적인 평가

저스틴 마터Justin Martyr


스토아 학자들의 “씨앗 말씀”(seminal Word, logos spermatikos)
개념을 도입
 구약의 선지자들은 물론 희랍철학자들에도 영감으로 주어짐
 “무엇이든지 사람들 사이에서 바르게 말해진 것이라면 그것은 바
로 우리 그리스도인들의 재산이다”
 그리스 여러 학파들은 서로 모순되며 그들은 단지 로고스(Logos)
의 일부만을 알 뿐, 그리스도 안에 구현된 하나님 말씀의 온전함
을 알지 못함
 히브리 예언자들은 하나님의 성령에 감동을 받아 진리를 보고 모
든 사람들에게 진리를 선포함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Clement
마의 클레멘트Clement of Rome 등
of Alexandria,
오리겐Origen, 로
Justin Martyr, http://en.wikipedia.org/wiki/File:Justin_Martyr.jpg (accessed 2011.01.15)

부정적인 평가

초대교회 지도자들 중의 일부





이레니우스Irenaeus


영지주의자들과 같은 이단들이 그리스 철학으로부터 유래하고 있었
기 때문에 비판
탈레스Thales, 아낙시만드로스Anximandros, 아낙시메네스Anaximenes, 피타
고라스Pythagoras, 엠페도클레스Empedocles 등 그리스 자연철학자들을
정죄
그리스도인들은 성경과 신앙고백서(the apostolic rule of faith, 사
도신경의 초기 형태)만 공부해야 함
자연의 경이에 대하여 계속 연구를 하면 희랍철학자들과 같이 모순
에 빠지게 되고 하나님이 허락하신 교회의 하나 됨을 해칠 수 있음
자신의 영지주의 경험에 비추어 그리스 철학을 비난
터툴리안Tertullian

교회의 하나됨과 교리의 순수성 보존에 매진하면서 초대교회의 반
지성주의(anti-intellectualism)을 대변
 기독교
공인 이후 6세기까지 제도종교 명분으로 그리
스 과학과 기독교는 상호작용을 함
 가이사랴의 바실Basil of Caesarea
 <헥사메론>(Hexaemeron, Work of Six Days)저술




17세기 현대과학의 출현까지 지속된 아리스토텔레스 비판서
원소들이 가진 특성은 하나님이 제정하신 법칙
하늘은 지구와 마찬가지로 썩어지는 것이며 지상에서와 같은 물
리 법칙이 적용됨
창조, 운행되는 자연은 에너지의 중단이나 쇠함 없이 주어진 법
칙에 따라 운행됨
 창조론자

전통
헥사메론 전통(Hexaemeral Tradition)



18, 19세기, 순수 자연주의로 넘어가기 전 근대 과학과 기술의
출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침
“기독교의 창조론자 전통”(the creationist tradition of
Christianity)을 만듦
 현대적 의미의 창조론이나 창조과학과는 다름
 모든 우주는 태초에 주어진 단일 법칙에 따라 운행된다고 봄
 창조 엿새 동안 진행된 방법과 창조 후에 진행된 방법을 구분
창조론자 전통의 특징
 세계의 이해가능성(Comprehensibility of the world)
 천지의 통일성(Unity of heaven and earth)
 자연의 상대적 자율성(Relative autonomy of nature)
 치료와 회복의 사역(Ministry of healing and restoration)
 세계의

이해가능성
기독교의 오랜 전통은 인간의 이성은 하나님의 형상



Clement of Rome, Origen, Pseudo-Silvanus, Tertullian,
Lactantius, Athanasius, two Gregories, Basil 등이 구체적으로
언급
인간이 하나님이 만드신 이 세계를 이해할 수 있다는 의미
많은 일들은 인간의 이해와 경험을 넘어선 것이라는 반대 주장과
공존
 유한함과


무한함
인간이 세계를 이해할 수 있다는 생각은 하나님이 세계를
만드셨고 그 세계는 크기와 수명이 유한함을 의미
초기 기독교 지도자들은 하나님만이 만물의 근원이시고
다른 모든 물질세계는 공간적으로나 시간적으로 제한된
존재라고 믿음
 천지의

통일성
많은 그리스 학자들은 천지의 통일성에 반대




아리스토텔레스 주의자들
 하늘은 제5의 원소로 되어있으며 신성을 띠고 있음
 행성과 항성들은 살아있고 영혼을 갖고 있기 때문에 움직임
피타고라스 주의, 플라톤 주의자들
 별들은 그들의 운동이 규칙적인 것으로 보아 신성을 갖고 있음
에피쿠로스 주의자들
 신성 그 자체는 인정하면서도 별들의 운동은 규칙적이 아니기
때문에 신성이 없다고 함
스토아 학파
 천지에는 신적인 세계혼이 깃들어 있다고 함으로 하나님을
cosmos와 동일시

창조론자 전통은 그리스 학자들의 생각을 거부






바실Basil of Caesarea
 천체들의 신성이나 천체들의 지성을 부정
 성경은 처음부터 천지의 통일을 말함
Tatian & Athenagoras(2C)
 Aristoteles를 비판, “하나님의 영원한 섭리는 만물에 있어서 동일하다.”
오리겐Origen
 일월성신은 생명과 지성을 부여받았다고 생각
 성경이 천체는 하나님의 명령을 받아서 빛나며 이들은 지상의 것들과 같
이 변화한다고 가르침
 But, 그의 주장은 제2차 콘스탄티노플 종교회의에서 정죄됨
Tertullian & Lactantius
 하나님의 성령은 만물 속에 깃들어 있다는 스토아 학자들의 견해는 받아
들임
 하나님과 세계가 같다는 스토아 학자들의 견해는 배격
Athanasius(4C)
 하나님의 말씀이 만물을 붙들고 있음(히1:3; 골1:17)
John Philoponos(6C)
 Aristoteles에 반대하고 천상계와 지상계의 unity를 강조
Lectures on History & Philosophy of Science
신학의 시녀”(Handmaiden to Theology,
philosophia ancilla theologiae)
 수도원 전통의 시작
 “철학은



Augustine의 생전에 시작
중세 서구 기독교의 가장 중요한 특징
수도자들은 성결(Holiness)과 영성(Spirituality)을 추구하
기 위하여 시골에서 자급자족하는 분리된 공동체를 형성





노동, 묵상, 예배에 전념
도미니칸 수도회에서는 청빈(poverty), 순결(chastity), 순종
(obedience)을 서약
독자적 수도원 학교 설립
서적원 : 도서관 겸 출판사
유럽에서 지적인 전통을 후대에 전하는 귀중한 역할을 함
 11-12세기의

부흥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부흥








중앙집권적인 정부 등장
국가들 사이에 분명한 국경도 생겨남
국가들마다 내부적인 갈등도 많이 해소됨
인구도 급속히 증가하고, 다시 도시화가 이루어짐
경제적으로도 급속한 발전
교육의 기회도 늘어나고 교육의 중심이 시골의 수도원에서 도시
교회(cathedral)로 옮겨지게 됨. 교회학교의 시작
학생들의 숫자나 학교의 크기도 급격히 증가
“시녀인 한 ”수도원 학교에 비해 학문의 폭이 넓어짐

그리스 문헌 번역
중세 초기의 학자들은 서로마 제국이 남긴 빈약한 라틴어 문헌
에 의존하여 공부를 해야만 했음
 12세기, 유럽 기독교는 대규모 번역 작업을 통해 그리스 원본,
아랍어로 번역된 그리스 문헌, 아랍에서 “발효된” 그리스 문헌
등을 접할 수 있게 됨


대학의 시작
중세 유럽의 가장 특징적인 문화적 유산의 하나. 고구려 태학?
 배우기를 원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열려 있었음







1158, 학생길드로 시작된 볼로냐대학(University of Bologna)
1200, 교수길드로 시작된 파리대학
1220, 옥스퍼드대학
인문학부(Faculty of Arts)에서 논리학, 인문학, 자연과학
인문학부를 마친 후 대학원에서 법률, 의학, 신학 등을 공부
새로 시작된 대학들을 통해 번역된 고전 문헌 확산
 베이컨Roger Bacon, 1214/1220-1292


옥스퍼드대학과 파리대학에서 수학
1240, 파리대학 교수


최초로 아리스토텔레스의 과학 문헌 가르침
프란치스코 수도회에 가입
 베이컨의

모험
Roger Bacon
(attributed to Michael Reeve)
교황의 요청으로 세편의 보고서(Treatise)를 작성


새로 번역된 고전전통을 포함하는 자연과학의 지식들에 근거하
여 기독교의 학문을 개혁하려는 야심적인 계획을 담고 있었음
교회의 지도자들이 이 새로운 지식들의 위험성으로 인해 이 귀중
한 보화들을 내칠까봐 두려워하면서 조심스럽게 일을 함-어거스
틴의 “헛된 호기심”(vain curiosity) 비난
Roger Bacon, http://en.wikipedia.org/wiki/File:Roger-bacon-statue.jpg (accessed 2011.01.15)
 고전전통과
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장들과 신학적 갈등




교회의 갈등
“우주는 시작도, 끝도 없이 영원하다.”
 이는 창조나 심판 교리와 정면으로 부딪침
“우주는 물체 본성에 내재된 엄격한 인과율의 사슬에 의해 지배
되는 결정론적 존재이다.”
 이는 섭리 교리와 정면으로 부딪침
“하나님은 우주를 운행하는 데 결코 관여하지 않는다.”
 이는 이신론적 신관임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이 중세 기독교에 가장 큰 위협을
준 것은 합리주의적 사고


파리대학에서는 1210, 1215년에 자연과학에 대한 아리스토텔레
스의 저작들을 가르치지 못하게 함
1270, 1277년에 파리대주교가 공식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와 다
른 고전전통의 저작물들로부터 이끌어낸 많은 명제들을 파리대
학에서 가르치지 못하도록 하는 Condemnation을 발표
 고전전통에

학자들을 중심으로 고전전통이 인간의 지식의 제 영역에
서 고전전통의 지식들이 갖는 놀라운 설명력으로 인해 환
영


대한 교회의 환영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과학, 톨레미의 천문학, 유클리드의 기하
학, 해부학이나 생리학 등을 포함한 의학 등
베이컨의 <Opus Maius>(Larger Work)



완전하고 모든 것을 포함하는 지혜의 궁극적인 원천은 성경
성경과 무관한 것도 성경을 대적하는 것이라고 주장
 “[성경에] 연관되지 않는 것은 무엇이든지 성경을 대적하는 것
이고 그리스도인들은 그것을 금해야 한다.”
동시에 사실은 그렇지 않다고 증명되지만 않는다면 고전전통의
대부분의 것들을 “handmaiden status”에 합당한 것으로 받아들
임
 모든 철학적인 진리들은 자동적으로 기독교적인 진리이며 모
든 학문의 세계는 진리를 획득하는 한 합법적인 활동
 철학에 대해서도 전체적으로 “가치가 있고 거룩한 진리에 속
한다”라고 함
 베이컨의

업적
자연과학의 기독교적 유용성에 대한 관심을 가짐


어거스틴
 자연과학 그 자체를 목적으로 받아들이지는 않음
 고전전통의 작은 일부만이 기독교에 유용하다고 생각함
베이컨
 기독교와 연관성을 발견하는 한 그 자체를 목적으로, 귀중한
것으로 받아들임
 고전전통의 거의 대부분의 내용들이 기독교에 유용할 수 있다
고함
 중세에서
기독교와 과학의 상호관계는 복합적이어서
간단하게 표현할 수 없음
 대학 교수들과 대학에서 교육을 받은 유럽인들


기독교 전통과 고전전통 모두가 귀중하다고 봄
중세가 끝날 때쯤…



고전과학은 기독교 교리와 기독교 문화 속으로 수용
기독교 신학은 학문의 방법과 그것의 내용의 일부를 고전전통으
로부터 취함
고전과학은 유럽문화의 주류로 자리를 잡게 되었고 지금까지도
그것은 변함이 없음
세계의 가해성(Comprehensibility of the world)
천지의 통일성(Unity of heaven and earth)
1.
2.

유한한 세계(Finite world,)
3.

비록 다른 무한한 세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인정했지만 현재의 이 세계
는 유한하다.
생명 없는 하늘들(Inanimate heavens)
4.

5.
Basil 이래로 널리 받아들여짐
Origen 등은 일월성신이 생명과 지성을 부여받았음을 인정했으나
이것은 553년, 제2차 콘스탄티노플 종교회의에서 정죄됨
자연의 상대적인 자율성(Relative autonomy of nature)

보에티우스Boethius

중세 유럽의 표준 교과과정을 만드는 데 큰 기여



3학(trivium, 문법, 수사학, 변증학) 형식 만듦
4학(quadrivium, 대수, 기하, 음악, 천문) 형식 만듦
4학의 교과서 저술
사서: 논어 (論語), 맹자 (孟子), 대학 (大學), 중용 (中庸)
오경: 시경 (詩經), 서경 (書經), 역경 (易經), 춘추 (春秋), 예기 (禮記)



Euclid, Nichomachus, Ptolemy 예비서 제작
Platon, Aristoteles의 저술을 번역
카시오도러스Cassiodorus


중세 초기 학문의 기초를 놓는데 기여
칼라브리아(Calabria)에 세운 수도원의 도서관을 통해 수도승들
에게 arts & sciences를 가르침

수도원에 해시계(맑은 날), 물시계(흐리거나 밤)를 도입하여 그리스
도의 정병들은 항상 깨어 있어야 함을 강조

보니파스Boniface



마우루스Rabanus Maurus, d 856


Anglo-Saxon Benedictine 교육을 받음
독일에서 60개 이상의 수도원을 건립, 프랑스 교회 개혁
마인쯔의 대주교 이자 “독일 최고의 선생” Alcuin of York(d
804)의 학생이자 Venerable Bede(c 672-735)의 학생으로서 창
조론자 전통을 이어감
제르베르 도딜락Gerbert d'Aurillac, ca 955-1003
스페인에 가서 아랍 과학 공부
Rheims의 성당학교에서 천문학을 가르침
지도적인 유럽 수학자, 후에 교황 Sylvester II가 됨
Silvester II
 아랍 모델에 근거하여 천문관측기구 제작
 복잡한 로마 숫자보다 Hindu-Arabic numerals를 사용한 최초
의 서구 그리스도인
 Greco-Arabic 학문이 서구에 유입되도록 길을 닦음



Silvester II, http://en.wikipedia.org/wiki/File:Silvester_II.JPG (accessed 2011.01.15)

영원한 하나님과 영원한 물질




진리는 하나라는 의심할 나위 없는 주장이 헬레니즘의 등장과 더불
어 도전받기 시작
신학자들은 기독교 신학의 변증의 필요를 느낌
헬라 철학의 물질은 영원한 것이라고 생각은 창조론자 전통과 충돌
계시의 개념


기독교 신학이 아리스토텔레스 과학을 대적하기 위해 채택한 두 영
역은 계시와 하나님 개념
과학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것은 계시 개념


4,5세기에 어거스틴은 순수 이성과 계시는 하나님의 조명이라고 봄
교회 내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과학적 인식론 수용을 위한 길을 열음
 개념의 추상화, 감각 데이터의 원리에 집중
 결국 어거스틴의 계시에 기초한 인식론과 대조됨

13세기의 종합
13세기에 이르러 두 종류의 지식-감각지각의 추상화, 하나님의 계시의 대립이 분명해짐
 어느 지식이 다른 지식에 비해 우월한지에 대한 일치된 해답은 없었음



Siger of Brabant
 종(種)은 영원하며 인간의 마음의 통일성을 주장하며 과학과 신학을 조화
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
 보나벤투라Bonaventure, 아퀴나스Thomas Aquinas 등의 반대, 후에 파리 대주교 땅
삐에Etienne Tempier에 의해 1270, 1277년에 정죄됨
Albert the Great(d 1280)
 이성과 계시, 철학과 신학을 날카롭게 구분


그의 제자이자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였던 아퀴나스Thomas Aquinas의 반대
보나벤투라Bonaventure, d 1274
 신앙과 이성의 철저한 통합을 시도


세계의 창조와 같은 신학적 진리는 순수한 이성만으로도 증명 가능하지만 이성
과 신앙, 둘 다가 있어야 진리에 대한 완전한 이해가 가능하다고 주장
후에 갈릴레오 등에 의해 “두 권의 책” 접근법으로 발전
 철학과
신학의 스콜라주의적 통합이 가져온 결과
는 무엇인가?

신학 교과과정의 순서를 결정



계시적 신학을 취급하는데 있어서 엄격한 연역 혹은 추
론을 사용 격려
신학을 몇 개의 영역으로 구분


일반계시(자연신학)에서 특별계시(계시신학)로 진행
(예) Peter Lombard(d c 1160) <Book of Sentences>
① God, ② creatures, ③ the Work of Christ,
④ the sacraments and last things
르네상스와 종교개혁기 신학자들은 아퀴나스를 정점으
로 하는 스콜라적 통합에 반발함
 신학의

“신학의 시녀로서의 과학”개념은 초대교회 때부터 내려오
던 전통


시녀로서의 과학
Philo Judaeus (1C), 클레멘트Clement of Alexandria, 어거스틴 등
이 전통은 중세에도 이어짐



다미안Peter Damian(1007-1072), Hugh of Saint-Victor(d.1141),
보나벤투라Bonaventure 등
과학은 그 자체만을 위해 추구되어서는 안 되며 성경 해석을 제
공할 수 있는 도구로서만 사용되어야 한다고 주장
다미안, 가시적인 물질계에 대한 연구는 두 가지 목적
(1) 물질계의 비가시적, 영적 특성을 제공하여 하나님을 더 사랑
하고 경배하기 위함
(2) 시편8:6-9에 있는 바와 같이 피조세계에 대한 통치권
(dominion)을 얻기 위함
 도전하는

“시녀”
11,12세기 이후, 학문적, 교회적 차원에서 자연의 자율성
에 대한 확신은 점점 커져감(교회 내적인 필요)





아리스토텔레스 변증법(논리학)은 성경해석과 신학연구에 도움
공식적으로 교회 내로 들어오게 됨
이러한 사상의 유입은 곧 신학연구의 자유로도 이어짐
자연의 자율성에서 출발하여 학문의 자율성, 영적, 성례전적, 도
덕적 영역에서 자율성으로 이어짐
이성의 영역은 점점 더 넓어지게 됨
 “시녀”의

번역작업과 십자군 전쟁 등을 통해 고대 그리스 저작들은
본격적으로 유럽으로 유입


그 자체만을 위한 자연 연구의 가치를 주장
Honorius of Autun(fl. 1122)


12세기쯤에는 과학은 우주와 그것을 창조하신 하나님에 대한 해
석에 있어서 신학에 도전하기 시작
다미안Peter Damian


반란
하나님의 모든 피조세계는 그것을 바라보는 사람들에게 기쁨을
줌
William of Conches(ca.1080-ca.1154)


물리적인 법칙이 교회의 권위보다 우선한다는 주장
자연과 그것의 규칙적인 원인들, 사건들을 가르치는 것은 성경보
다 철학의 의무

신학과 과학의 긴장은 1260년대와 1270년대를 지나면서
“열전”으로 변함




신학과 과학의 조화로운 관계는 완전히 깨어짐
전통적 신학자들은 노골적으로 그리스 철학의 중요한 부분은 기
독교에 위험하다고 생각(Siger of Brabant, Boethius of Dacia)
급진적인 arts masters와 자유주의 신학자들은 하나님과 피조세
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신학 뿐 아니라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
이 필요 불가결하다고 생각
아퀴나스Thomas Aquinas의 등장




계시에 대한 신뢰성 때문에 신학이 최고의 과학이라고 주장
계시가 없는 형이상학의 진리는 불완전
철학은 신학이나 신앙과 모순될 수 없음
But, 아리스토텔레스와 그의 철학을 열렬히 수용, 계시가 없이
도달한 인간 사상의 최고봉이라고 봄
 정죄(Condemnations)

교황 요한 21세는 파리의 주교 땅삐에Etienne Tempier에게 분
쟁을 조사하도록 지시




1270년 13개 명제에 대한 정죄
1277년 219개 명제에 대한 정죄
누구든지 이들 명제들 중 하나라도 받아들이게 되면 파문하겠다
고 발표
219개 명제



순서도 맞지 않고 반복되기도 하고 자체적 모순이 되는 것도 있
음
정통 교리, 이단 교리가 분별되지 않고 섞여있었음
아퀴나스에 반대하는 조항들을 제외한 대부분의 조항은 14세기
까지 유효

219개 금지 명제

결정론적이었고 자유로운 하나님의 절대적 능력을 의심하였기 때
문에 유죄가 된 것
① 21조 아무 것도 <우연(chance)>에 의해 일어나지 않고 모든 것들이 필연
(necessity)에 의해 일어난다. 그렇게 될 미래의 모든 것들은 필연적으로
그렇게 될 것이고 그렇게 되지 않았을 것은 그렇게 되는 것이 불가능하다.
② 34조 <첫 번째 원인(the first cause)>(즉, 神)도 여러 개의 세계를 만들
수는 없었다.
③ 35조 사람에게는 아버지가 있듯이 적절한 作因이 없이는 사람은 신 혼자
에 의해서는 만들어질 수 없다.
④ 48조 신도 새로운 행동(또는 사물)의 원인이 될 수 없고 또한 새로운 것을
생성시킬 수 없다.
⑤ 49조 신도 하늘을(즉, 세계를) 직선으로 움직이게 할 수 없다. 그리고 그
이유는 진공이 생기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⑥ 141조 신도 우연적 속성이 실체가 없이 존재하도록 할 수 없고 또한 삼차
원이 넘는 차원(dimension)을 동시에 존재하게 할 수 없다.
⑦ 147조 절대적으로 <불가능>한 것은 신이나 다른 작인에 의해 행해질 수
없다 - <불가능>이란 말을 자연에 따라 이해하면 이것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은 오류가 된다.

철학자들에 대한 신학자들의 분노와 적대감을 나타내는
것
① 152조 신학적인 논의는 寓話에 바탕한 것이다.
② 153조 신학을 앎으로써 더 잘 알게 되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
③ 154조 이 세상에서 지혜로운 사람들은 철학자들뿐이다.

이중진리론
① 90조 자연철학자는 자연적 원인과 자연적 이성에 의존하기 때
문에 세계의 새로움(즉, 창조)을 단호히 부정해야 한다. 그러나
신자는 초자연적 원인들에 의존하기 때문에 세계의 영원성을 부
정할 수 있다.

하나님과 세계
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주의는 기독교 신학에 대하여 여러 가지 도전을 제
기




시간 내적 인과율의 영원성
우주의 최외각 구에 있는 하나님은 주기동자(Prime Mover) 혹은 제1원인(First
Cause)
제2원인인 이 세상에서 하나님의 절대적인 능력의 문제
제1기동자이자 시계 제조자로서의 하나님
13C후반-14C초반, 서유럽인들은 우주를 시계로 보기 시작
 하나님 – 시계 제조자(혹은 sphere-mover)로 보는 신관




Nicole Oresme(d 1382)
 하나님은 피조물인 천구를 (시계처럼) 움직이게 함
 그리고, 인간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계심
Henry of Langenstein(d 1397)
 과학과 신학을 통합. Oresme처럼 clockmaker로서 하나님의 이미지를 제시.
Nicholas of Cusa
 우주를 기계로 본 중세학자들의 견해를 반대한 르네상스 학자
 우주에는 중심도, 원주도 없고 모든 피조물들은 모두 하나님으로부터 등거리
에 있으며 하나님만이 진실한 중심이며 원주
 천지가 하나라는 초대교회의 창조론자의 전통을 회복

기계론적 우주관 발달의 단계

구약, 우주는 신이 제정한 법칙에 따르는 대상

간약기-초기 기독교, 자연의 상대적 자율성의 개념이 시작

어거스틴, 하나님의 초월성에 대한 강조와 자연 운행의 결정론



11C후반-12C초반, 하나님의 정상적인 역사(potentia ordinata)와
초자연적 역사(potentian absoluta) 사이의 구별
13C 아리스토텔레스 우주론의 영향, 하나님의 정상적 역사의 공간
적 구분의 시도
14C, 추시계(weight-driven clock)의 등장과 함께 시계 아이디어
가 우주론과 신관에 등장.
 자연과학에



새로 발견된 그리스 문헌들을 연구
이들을 기독교 세계관 내에서 동화되게 함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


그 외에 다른 텍스트가 없었음
과학의 개념과 방법에 영향을 미침
 수학이나 정량적 연구에 가치를 부여
 관찰과 실험을 중시
신학과 관련하여 과학에 상대적인 자율성을 부여
 움직이는

대한 중세신학의 영향
하늘과 지구
다른 우주의 창조(존재) 가능성을 언급

Henry of Ghent (d 1293), Richard of Middleton (fl. c 1294),
William of Ockham (d c 1293), John Buridan (d c 1360),
Nicole Oresme (d 1382), Henry of Langenstein (d 1397),
Nicholas of Cusa(d 1464) 등
 유명론(唯名論,


Nominalism)
11,12C, Roscellinus와 후에 Abelard 등이 발전시킴
보편적 개념에 대한 실체를 부정하는 지식 이론



생물의 “종”이나 “속”과 같은 보편적인 것들은 그런 속성을 가
진 개별적인 것들이 존재하는 것과는 별도로 존재
옥캄William of Ockham, 모든 본질(substance)은 개별적인 것이기 때
문에 보편적인 것은 실체로는 존재하지 않고 다만 인간의 마음에
만 존재
신학적으로는 아무도 이성으로는 존재하는 만물의 제 1 원인이
한 분 하나님이심을 증명하지 못한다고 함
 모든 믿음의 데이터를 이성의 영역으로부터 거두어들임
 스콜라주의의 붕괴를 가져오게 함
 옥캄William of Ockham,



근대과학의 탄생의 인식론적 뿌리를 제공
급진적 경험주의(radical empiricism)
“옥캄의 면도날”(Ockham's Razor)


William of Ockham
(attributed to Moscarkop)
“만일 하나 이상의 설명으로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면 가장 간단
한 설명이 선택되어야 한다”
과학혁명의 주역들에게 인식론적 근거를 제공
 오렘Nicole Oresme,

ca.1285-1349
ca.1320-1382
중세 후기의 유명론자, 신학자, 철학자

경험과 인간 이성은 자연적 진리를 결정하는데 적합하지 않고 오
로지 신앙만이 확실한 진리를 제공할 수 있음
William of Ockham, http://en.wikipedia.org/wiki/File:William_of_Ockham.png (accessed 2011.01.15)
 스콜라


유명론자들은 13세기 스콜라 철학자들에 비해 인간 이성
에 대한 자신감을 상실
창조론자 전통에 서 있었던 코페르니쿠스Copernicus, 케플러
Kepler, 갈릴레오Galileo, 데카르트Descartes, 뉴턴Newton 등 과학
혁명기의 주역들은 자신들의 주의를 자연 그 자체에 돌림
 중세


철학의 퇴조
신학과 과학
중세교회는 대체로 과학과 신학 간의 조용한 관계를 유지
1277년의 정죄는 교회가 지적인 추구를 원천적으로 봉쇄
한 것처럼 보임


실제로는, 파리대학의 교수들(arts master)은 아리스토텔레스의
과학적 결론과 원리들을 주장하는 데 큰 문제가 없었음
“자연적으로 말하자면” 따위의 말을 앞에 붙임으로써 금지명제
를 논의하는 데 큰 제재를 받지 않음
 요약과


분석
중세는 과학과 신학의 활발한 상호작용이 일어난 시기
중세 통합의 결과는 신관의 변화로 이어짐


하나님 아버지의 이미지는 우주적 입법자(Cosmic Legislator)로
바뀜
창조론자 하나님의 개념은 하루에 하늘을 한번 돌리는 수정된 섭
리자 하나님의 이미지로 바뀜
 르네상스(Renaissance)

중세와 근세 사이(14-16C)에 서유럽 문명사에 나타난 역
사 시기와 그 시대에 일어난 문화운동




학문 또는 예술의 재생, 부활이라는 의미
프랑스어의 renaissance, 이탈리아어의 rina scenza,
rinascimento
고대의 그리스·로마 문화를 이상으로 하여 이들을 부흥시킴으로
써 새 문화를 창출해내려는 운동
사상, 문학, 미술, 건축 등 다방면에 걸친 것
 르네상스의

페트라르카Francesco Petrarca, 1304-1374




배경
고대 : 문화의 절정기
중세 : 인간의 창조성이 철저히 무시된 ‘암흑시대’
문명의 재흥과 사회의 개선은 고전학문의 부흥을 통하여 가능
14C후반-15C, 이탈리아에서 시작북유럽 지역에 전파

프랑스 역사가 미슐레Jules Michelet, 1798-1874


처음으로 르네상스라는 용어를 사용
스위스의 문화사가 부르크하르트Jacob
Burckhardt, 1818-1897


르네상스를 인간성의 해방과 인간의 재발견, 그리
고 합리적인 사유(思惟)와 생활태도의 길을 열어
준 근대문화의 선구라고 봄
<이탈리아의 르네상스 문화>(1860)
 르네상스와 중세를 완전히 대립된 것으로 파악
 근세의 시작은 중세로부터가 아닌 고대로부터
라는 주장
 중세를 지극히 정체된 암흑시대라고 혹평
Jacob Burckhardt(1892)
Jacob Burckhardt, http://en.wikipedia.org/wiki/File:Jacburc2.gif (accessed 2011.01.15)
The Civilization of the Renaissance in Italy, http://en.wikipedia.org/wiki/File:Die_Kultur_der_Renaissance_in_Italien_.jpg (accessed 2011.01.15)


그 이후의 연구들은 이에 이의를 제기

르네상스의 싹을 고대에서 구할 것이 아니라 중세에서 찾아야 함

르네상스를 근대적으로 생각하는 것은 잘못이라는 주장
르네상스의 조류

형이상학(Metaphysics)

인본주의(Humanism)

기계론과 유물론(Mechanism and Materialism)

물활론(Animism)

신비주의(Hermetic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