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een-Triangle 최종수정본

Download Report

Transcript Green-Triangle 최종수정본

환경에 있어서의 국제 관계 등에 대한 외교적 활동
환경에 대한 국제연합회의나 지구환경에 대한 정상회담 등의 외교적 활동
국제사회에서 이루어지는 환경논의의 주된 쟁점을 파악하고 국제협상의
기구와 절차를 익히는 시기
1980년대 후반 이전까지 한국정부의 환경외교는 국제사회의 환경문제
논의에 참여는 하되, 주요 쟁점과 논의추세를 지켜보고 그 의미와 영향 파
악에 우선적으로 노력을 집중했던 시기
정책이나 성과 면에서 크게 내세울 것이 없는 시기
국제사회가 제기하는 문제나 협상의 쟁점에 대해 수동적으로만 대응하던
시기
의제나 협상결과가 한국의 국익이나 국내산업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고 협
상과정에서 악영향을 최소화 내지 방지하는 데에 전력을 다하는 대응적 시
기
1992년 “기후변화협약”의 체결, “몬트리올의정서”를 개정하는 과정,
“생물다양성협약”(1992)의 경우
선제적 제안이나 주도적 리더십 발휘까지는 아니지만 나름대로 꽤 적극성
을 갖고 협상과정에 개입, 사안에 따라서는 향후 협상진전에 대비하여 국
내적으로 준비를 추진했던 시기
OECD의 정식 회원국이 되었다는 요인이 크게 계기
“유해폐기물의 이동을 금지한 바젤협약”가입,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관련 결의안의 제출 및 채택에 참여,
“바이오안정성 의정서”가입, 람사르(Ramsar) 습지보호협약 가입,
“차세대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추진
의제설정에서부터 대응방식에 이르기까지 주도적으로 리더십을 발휘
한국의 국력신장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 물질적 풍요를 넘어 이젠
업그레이드된 삶의 질을 갈구하는 국민의식의 변화도 크게 영향
“동아시아 기후파트너십(EACP)”의 창설 제창, “동아시아 기후포럼”
을 개최, 2008년 10월 습지보호를 위한 제10차 람사르협약 당사국총회
를 창원에서 개최
대응적 자세에서 완전히 탈피
GCF란?
“Green Climate Fund”의 준말로서 녹색기후기금을 뜻함.
국제사회는 기후변화에 대한 시급성을 깊이 인식하고 2020년까지 연간
1000억불(120조원)의 재원을 모아 개도국의 기후변화 적응을 지원하
기로 합의 하였으며, 이 재원을 조정하고 사용하기 위해 “GCF”설립.
실무지원
신청
지원
GCF
외국인 관광객
소비
3%
지역민, 전체
고용
4%
국제회의 개최
효과
9%
GCF 주재원
소비지출
17%
국내생산유발
67%
⦁ 배출권 거래제 아시아 최초 법제자
⦁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가교 역할
⦁ 세계 유일 녹색경제 자(自)전환
⦁ RCF(아시아지역 환경축제) 개최
⦁ 제12차 UNEP특별집행이사회 참석
⦁ 자연플러스 TED 개최
⦁ 아시아가 기후변화 대응의 중심
⦁ 배출전망치(BAU)대비
30% 감축 목표 자(自)설정
⦁ 제2차 글로벌 녹색성장 포럼 참석
⦁ 송도 포스코 사옥
GCF 송도 기원 음악회 개최
⦁ Ubiquitous Smart city
All in one System
녹지율 32%, 글로벌 캠퍼스
⦁ CLEAN-UP DAY행사
임직원 50여명 환경정화활동
⦁ GCF유치기원 인천송도 마라톤 대회
⦁ 친환경 굿마켓 다문화가정과
행복한 다문화 마켓 부스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