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강해부학-완성본

Download Report

Transcript 구강해부학-완성본

김윤광, 김경희, 김은지, 문수정, 신은정
목차
1.
2.
3.
4.
5.
6.
7.
치아와 치열
치아의 해부학적 구조
지지 구조물
상악궁의 구조물
하악궁의 구조물
연습문제
출처
1. 치아와 치열
 인간의 치아는 어린이~성인까지 2벌이 맹출
- 첫째 치열 : ‘유치열’이라 하며 상 · 하악 각 10개씩
→ 생후 6 - 7개월부터 20 - 30개월까지
- 둘째 치열 : ‘영구치열’이라 하며 상 · 하악 각 16개씩
→ 유치 탈락 후 만 6세 – 21세까지
치아의 기능
저작 : 음식물 섭취시 타액과 골고루 섞이게 하여 소화작용을 원활하게
하며 치아의 종류에 따라 저작시 각각의 기능이 다르다
발음 : 혀, 입술, 치아 등이 조화를 이루어 정확한 발음이 나오도록 한다
심미 : 치아, 혀, 악골, 안면근 등이 조화를 이루어 얼굴의 모양을 형성
하는데 중요한 역할
치주조직 보호 : 백악질, 치근막, 치조골, 치은 등의 발달을 도와 치아가
식립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능
성인 기준 각 턱에는 4개의 절치, 2개의 견치,
4개의 소구치, 6개의 대구치
 절치 (8개) – 위턱과 아래턱의 앞쪽에 있는 납작한 이로 심미, 발음
등에 중요하며 음식을 벨 때 사용
 견치 (4개) – 앞니와 작은어금니 사이에 있는 뾰족한 이로 치아 중
치근이 가장 길며 음식을 뜯는데 사용
 소구치 (8개) – 견치와 큰어금니 사이에 있는 이로 음식을 찢거나,
갈 때 사용
 대구치 (12개) – 위턱과 아래턱의 뒤쪽에 있는 이로 치아머리가
납작하여 음식을 잘게 갈 때 사용
(이들 가운데 마지막에 자리 잡고 있는 활 모양으로 굽어진 어금니로 보통
‘사랑니’라고 하며 사람에 따라 나지 않는 경우도 있다.)
2. 치아의 해부학적 구조
외형적 형태 : 치관과 치근
 치관 : 법랑질에 의해 둘러싸여 있음
 치근 : 백악질로 덮여 있으며 둘의 경계를 치경선
(치경선을 기준으로 치관과 치근을 구분)
 법낭질 (Enamel)
 인체에서 가장 단단한 물질
 92%정도의 무기질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치아에 가해지
는 기능적인 힘을 견디어 낼 수 있게 하지만 상대적으로 내부에 상
아질이 취약하면 깨지기 쉬운 특징
 X선이 가장 많이 흡수되어 방사선 영상에서 치관부의 가장 바깥쪽
에 뚜렷한 방사선불투과성의 흰 층으로 나타남
 상아질 (Dentin)
 치아 내부의 대부분을 차지하여 치아 구성의 주체를 이룸
 치관에서는 법랑질에 의해, 치근에서는 백악질에 의해 덮여있음
 약 65%가 무기질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음
 방사선 불투과성이지만 법랑질에 비해 단단하거나 치밀하지 못하
고 방사선영상에서 균일한 흑화도를 나타냄
 백악질 (Cementum)
 치근을 덮고 있는 경조직으로 내면은 상아질에 단단하게 접착되어 있
으며 외면은 치주인대에 연결되어 치아를 고정
 치수 (Pulp)
 치수강을 차지하고 있으며 상아질에 의해 둘러싸여 있음
 치수의 중심부에는 큰 혈관과 신경관이 있으며 치수의 외곽에는 상아질
을 생성하는 특수한 부위가 있음
 X선 조사시 어둡게 나타남
 치수강 (Pulp cavity)
 치수로 채워져 있는 치아 중심부의 공간으로 일반적으로 치아의 외형과
비슷
 치조골 (Alveolar bone)
 구강 내 치아가 식립되는 상악골과 하악골
 치아를 지지하고 보호하는 역할
 소구치부 대구치부 촬영영상의 해부학적 구조
1.
2.
3.
4.
5.
법랑질 (사기질, enamel)
6. 치조정 (arveolar crest)
상아질 (dentin)
7. 치주인대강
치수 (치아속질, pulp)
(치아뿌리망각,periodontal ligament space)
치조백선 (lamina dura)
해면질골 (갯솜뼈, cancellous bone)
3. 지지 구조물
1. 상악골 (Maxilla)
2. 하악골 (Mandible)
3. 치조백선 (Lamina dura)
4. 해면질골 (갯솜뼈,Cancellous bone)
5. 치조정 (Alveolar crest)
6. 치주인대강 (치아뿌리막강, Periodontal ligament space)
치아를 지지하고 있는 구조물은 크게 상악골과 하악골로 나뉨
1. 상악골 (Maxilla)
 네 면의 피라미드 모양의 상악체
 두 개의 상악골이 위턱의 대부분과 경구개의
주된 부분을 형성하고, 비강의 측면과 바닥을
형성하는데 도움
2. 하악골 (Mandible)
 얼굴의 가장 아래에 위치하며, 아래턱을 이룸
 좌우 16개의 하악치아를 지지
3. 치조백선 (Lamina dura)
 방사선 투과성의 치주인대강을 둘러싼 방사선불투과성의 얇은 피질골
로 이루어져 있으며 모든 방사선영상에서 관찰되는 것은 아님
4. 해면질골 (갯솜뼈, Cancellous bone)
 골소주와 골소주로 둘러싸인 골수강으로 되어있으며 사람마다, 부위마
다 다르게 나타남
5. 치조정 (Alveolar crest)
 치조골의 끝 부위로 방사선 불투과성의 선으로 나타남
 연령이 증가하거나 치주질환이 있는 경우 치조골의 현저한 흡수상을
관찰가능
6. 치주인대강 (치아뿌리막강, Periodontal ligament space)
 치아가 치조골에 부착되게 하는 인대가 있는 부위
 세포, 혈관, 신경, 섬유와 기질로 이루어진 결체조직
 치근과 치조백선 사이에 얇은 방사선투과성 선으로 나타남
4. 상악궁의 구조물-전치부
1. 절치공 (앞니구멍, Incisive foramen)
2. 정중구개봉합 (정중입천장봉합, Median palatine suture)
3. 전비극 (앞코가시, Anterior nasal spine)
4. 비와 (콧구멍, Nasal fossa)
5. 비중격 (코중격, Nasal septum)
1. 절치공 (앞니구멍, Incisive foramen)
 Nasopalatine canal의 구강
쪽 개구부
 양 중절치의 치근사이 또는
치근단부위에서 주로 관찰
2. 정중구개봉합
(정중입천장봉합, Median palatine suture)
 상악골의 중심부
 좌,우측 상악골의 연결을
나타냄
 위 정중선은 구개의 후방
으로 연장
3. 전비극 (앞코가시, Anterior nasal spine)
 상악 중절치의 치조정 상방
1.5~2cm지점에 위치
 V자 형태의 방사선불투과
성으로 관찰
4. 비와 (콧구멍, Nasal fossa)
 비와의 하연은 전비극으로
부터 양쪽으로 선형태로
관찰
 비중격이 전비극으로 부터
상방으로 정중부위에서
관찰
5. 비중격 (코중격, Nasal septum)
 전비극으로 부터 상방으로
정중부위에서 관찰
 때때로 정중선으로부터 약간
변위되어 관찰
4. 상악궁의 구조물-견치부
1. 상악동 (위턱굴, maxillary sinus)
2. 역Y자 (inverted Y)
3. 비루관 (코눈물뼈관, nasolacrimal canal)
1. 상악동 (위턱굴, Maxillary sinus)
 견치부위 촬영시 관찰
 크기 매우 다양, 부비동 중
가장 큼
2. 역Y자 (Inverted Y)
 견치부 치근단 촬영에서 상악동의
전내벽이 비와의 측벽과 교차하여
만들어지는 형태
3. 비루관 (코누물뼈관, Nasolacrimal canal)
비골과 상악골에 의해 형성
상악 교합촬영영상에서
구치부쪽에서 관찰
4. 상악궁의 구조물-소구치부
1. 비순구 (코입술선, Nasolabial fold)
 소구치부 치근단 촬영에서
주로 관찰
 흑화도의 차이를 보이는 사선
 연령이 증가되며 더 뚜렷히
관찰
4. 상악궁의 구조물-대구치부
1. 권골돌기 (협골돌기, Zygomatic process)
2. 상악결절 (위턱뼈융기, Maxillary tuberosity),
구상돌기 (갈고리돌기, Hamular process)
3. 근돌기 (근육돌기, Coronoid process)
4. 익상판 (날개판, Pterygoid plates)
1. 권골돌기 (협골돌기, Zygomatic process)
 제1,2 대구치 치근단 상부
에서 관찰
 치근단 촬영영상에서 개방된
U자형의 선으로 관찰
 대구치의 치근단과 중첩되어
관찰됨
2. 상악결절 (위턱뼈융기, Maxillary tuberosity),
구상돌기 (갈고리돌기, Hamular process)
 상후방에서 수직, 수평각을
주었을때 관찰
3. 근돌기 (근육돌기, Coronoid process)
상악 구치부 치근단촬영시
입을 크게 벌리고 촬영하면
종종 관찰가능
4. 익상판 (날개판, Pterygoid plates)
 상악결절 직후방에 위치하며
크기와 모양이 매우 다양
 구내촬영상에서는 주로 관찰
안됨
 내익상판 하방에서 구상돌기
가 관찰되는데 중심선에 따라
방사선 영상 다양
5. 하악궁의 구조물-전치부
1. 하악결합 (아래턱뼈결합, Symphysis)
2. 설공 (혀구명, Lingual foramen),
이극 (턱끝가시, Mental spine)
3. 이융선 (턱끝굴곡, Mental ridge)
4. 이와 (턱끝오목, Mental fossa)
1. 하악결합 (아래턱뼈결합, Symphysis)


유아의 유중절치 사이에서 하악골의 중심선을 지나는 방사선
투과성의 선으로 나타남
생후 1년경 융합되어 영상에 나타나지 않음
2. 설공(혀구멍, Lingual foramen),
이극(턱끝가시, Mantal spine)





설공은 중절치의 치근단 하부에 방사선 투과성의 작은 점으로
나타남
4개의 이극에 둘러싸여 있다
이극은 내측면의 정중부 밑 위,아래 두 쌍 작은 돌기
이극의 위쪽은 이설근이 아래쪽은 이설골근이 부착
이 두 구조는 설측에 위치하고 하악의 하연 가까이에서 나타남
3. 이융선(턱끝굴곡, Mental ridge)
 하악 전치부 치근단 하방에 위치하는 골능선 또는 비후부위
 하악의 순측에 위치
 양측선이며 방사선불투과성의 띠로 보임
 치밀골로 구성
 하악 정중선으로부터 소구치 후방부위까지 나타남
4. 이와(턱끝오목, Mantal fossa)
하악골 순측의 함몰부
악골의 두께가 얇아 이융선 상방에서 미만성의 방사
선투과상으로 보임
5. 하악궁의 구조물-견치부
 정중선을 중심으로 세번째에 위치한 치아로 상∙하악의
좌∙우측에 하나씩 모두 4개가 존재
 견치부 치근단 촬영시 특징적인 해부학적 구조물은 많지
않다
 센서의 위치에 따라 이공(턱끝구멍, Mantal foramen)이
나타날 수 있다
5. 하악궁의 구조물-소구치부
1. 이공(턱끝구멍, Mantal foramen)



제2소구치의 치근단부나 제1,2소구치 중간부위에서 관찰되는
방사선투과성의 구조물
골표면에 상후방으로 비스듬히 개구
이신경, 이동맥이 피하로 나오는 곳
5. 하악궁의 구조물-대구치부
1. 외사선 (External oblique ridge)
2. 내사선 (Internal oblique ridge)
3. 악설골융선 (턱목뿔굴곡, Mylohyoid ridge)
4. 하악관 (턱뼈관, Mandibular canal)
5. 영양관 (Nutrient canal)
6. 근돌기 (근육돌기, Coronoid process)
1. 외사선 (External oblique ridge)
 하악지의 전방 경계의 연장
 치조돌기 측방에서 전하방으로 주행
 근육 부착
2. 내사선 (Internal oblique ridge)
 하악지 내면에서 전하방으로 주행
 방사선 영상에서는 외사선과
중첩되어 관찰하기 어렵다
3. 악설골융선 (턱목뿔굴곡, Mylohyoid ridge)
 하악체 설면의 골이 불규칙하게 능을 형성하는 부위
 외사선 전하방에 악설골근이 시작되는 부위
 하악 제3대구치부에서부터 소구치부까지 하전방 방향으로 턱 하연
까지 연장되어 나타남
 방사선불투과성으로 다양한 폭의 흰 선으로 나타남
 전후방경계는 점차 불명확해지면서 주위골로 미만성으로 이행
4. 하악관 (턱뼈관, Mandibular canal)
 하악공과 이공 사이로 주행
 일반적으로 하악관의 폭은 하악 제 3대구치 전방부까지 일정
 하치조신경 및 혈관존재
5. 영양관 (Nutrient canal)
 개구부는 하악공
 하악관으로부터 치근단부로 수직으로 주행하고, 하악 전치부에
서는 치간 사이로 주행
 피질골로 둘러싸인 공간이기 때문에 때때로 방사선 영상에서
과골성(hyperostotic) 선으로만 나타나기도 함
6. 근돌기 (근육돌기, Coronoid process)
 하악지의 2돌기 중 앞쪽돌기로서 측두근이 부착
 상악 구치부의 치근단 촬영영상에서 나타남
 첨부가 상전방을 향하고 상악 제3대구치부와 중첩되어 나타남
 삼각형의 방사선불투과성
연습문제
1. 다음 구내촬영 영상에서 화살표가 가리키는 해부학적
구조물은 무엇인가?
‘치주인대강을 둘러싸고 있는 방사선 불투과성의 얇은 피질골 층’
치조백선 (Lumina dura)
2. 다음이 설명하는 해부학적 구조물의 명칭은
무엇인가?
방사선 불투과성의 선으로 나타남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치근단 쪽으로 내려감
치주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현저한 흡수상을 보임
인접치아의 백악법랑경계를 연결한 선과 평행하게
나타남
치조정 (Alveolar crest)
3. 방사선영상에서 관찰할 수 있는 치조골의 두 가지 양상을
설명하시오.
치조백선을 관찰할 수 있다.
농도가 불균일하다.
4. 다음 구내촬영 영상에서 화살표가 가리키는 해부학적 구
조물은 무엇인가?
‘치근과 치조백선 사이에서 방사선 투과성의 선으로 치조정으로
시작하여 치근부위로 이행하여 치아의 반대편 치조정까지 연결’
치주인대강 (치아뿌리막강, Periodontal ligamnet space)
5. 다음 구내촬영 영상에서 화살표가 가리키는 해부학적 구
조물은 무엇인가?
‘상악 중절치 사이의 치조정으로부터 전비극쪽으로 연장된 얇은
방사선 투과성의 선’
정중구개봉합 (정중입천장봉합,
Median palatine suture)
6. 다음이 설명하는 해부학적 구조물의 명칭은 무엇인가?
상악 중철치 사이의 치조정 상방 1.5~2cm 부위
방사선 불투과상
비와의 하연과 비중격 하단이 만나는 지점 직하방
부위에 위치
인접치아의 백악법랑경계를 연결한 선과 평행하게
나타남
전비극 (앞코가시, Anterior nasal spine)
7. 다음 파노라마 영상에서 화살표가 가리키는 해부학적
구조물은 무엇인가?
비와 (콧구멍, Nasal fossa)
8. 다음 영상 a,b에서 화살표가 가리키는 해부학적 구조물은
무엇인가?
절치공 (앞니구멍, Incisive foramen)
9. 다음 ( )에 들어갈 해부학적 구조물의 명칭을 쓰시오.
견치 구내방사선영상에서 ( 상악동의 전내벽 )과
( 비와의 측벽 )이 서로 교차되어 ‘inverted Y
view’를 나타낸다.
10. 다음 구내촬영 영상에서 화살표가 가리키는
해부학적 구조물은 무엇인가?
권골돌기 (협곡돌기, Zygomatic process)
11. 다음 구내촬영 영상에서 화살표가 가리키는
해부학적 구조물은 무엇인가?
이극
(턱끝가시, Mental spine)
12. 다음이 설명하는 하악절치부의 해부학적 구조물의
명칭은 무엇인가?
절치 치근 하방의 중심부에서 직경 3~4mm
방사선 불투과상
이극의 중앙부위에 위치
설공 (혀구멍, Lingual foramen)
13. 다음 파노라마 영상에서 화살표가 가리키는
해부학적 구조물은 무엇인가?
이공 (턱끝구멍, Mental foramen)
14. 다음은 하악관에 대한 설명이다. ( )안에 들어갈
해부학적 구조물의 명칭을 쓰시오.
‘하악관의 상연과 하연은 부분적으로 보이거나 전혀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하악관의 주행은 대부분
( 하악공 )과 ( 이공 )사이에서 뚜렷이 나타나며 하
악관과 하악 치근과의 관계는 다양하다.’
15. 다음 CT 3D영상에서 화살표가 가리키는 해부학적
구조물은 무엇인가?
근육돌기
(Coroniod process)
Q&A
출처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92741&c
id=4125&categoryId=4125
 김광수 외 7명, 치아형태학, pp3-23, 고문사, 2006
 http://drgstoothpix.com/2012/06/06/anatomy-onradiographs-intraoral-radiographs-part-i/
 임창선 외 17명, 치과 영상학, pp55-96, 대학서림, 2013
Thank 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