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4 제15장 종결과 평가 (723Kbyte)

Download Report

Transcript Part4 제15장 종결과 평가 (723Kbyte)

사회복지실천론
1
종결
2
평가
1.
• 종결은 일종의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분리
경험으로, 종결단계에서 사회복지사가 원조관계와 과정을
어떻게 마무리하는가는 대단히 중요하다.
* 성공적 종결을 위한 과업
•
•
•
•
종결 시기를 결정하는 것
분리과정 중에 경험하는 정서적 반응을 서로 해결하는 것
목표성취의 정도에 대하여 서비스 평가를 제공하는 것
성취된 목표를 유지하고, 계속하여 성장하도록 계획을
세우는 것
1.
1) 종결의 유형
(1)
클라이언트에 의한 일방적이고 미숙한 종결
(2)
시간적 구속요인에 의한 계획된 종결
(3)
시간제한적 개입모델에 의한 계획된 종결
(4)
시간제한이 없는 개입모델에서의 계획된 종결
(5)
사회복지사의 개인적 사정으로 말미암은 종결
1.
2) 종결단계에서의 사회복지사 역할
(1)
종결 계획하기
(2)
부정적 정서적 반응의 해결
(3)
목표달성의 평가
(4)
변화의 안정화
(5)
미래의 상황에서 클라이언트가 원조를 요청할 수
있도록 격려하기
(6)
의뢰하기
1.
3) 사후지도
• 사후지도는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의 공식적
관계가 종료되고, 일정 기간이 지나서 클라이언트가
원조과정에서 획득한 변화를 유지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 사후지도는 클라이언트가 종결 후에도 잘 기능하고
있는지, 만약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필요한 도움을
제공하기 위해서 수행됨
2.
• 사회복지실천에서 평가란 사회복지실천에서
사용되는 중재 혹은 개입의 결과를 사정하기 위한
기술이다(Zastrow). 넓은 의미에서 평가과정은 개입이
효과적이고 효율적이었는가를 사정한다.
• 평가는 관리보호와 서비스의 할당에 의한 이슈가
제기되기 때문에 의료, 정신건강, 그리고 약물남용
현장에서 실천하는 사회복지사의 특별한 관심사가
된다.
2.
1) 사회복지사의 책임성
• 사회복지사의 책임성은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많이 강조되고 있다.
• 사회복지실천은 사회복지사가 사회에 대한
책임을 지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뜻한다.
2.
2) 평가에 포함되는 사항
• 사회복지사가 개입계획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클라이언트와
함께 사정하는 것
•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의도대로 서비스 계획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결정하는 것
• 기관이 제공하는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동료 사회복지사와
함께 사정하는 것
• 효과적인 접근 방법을 선택하는 데 있어서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에게 도움이 될 이전의 프로그램 평가로 산출된
지식을 이용하는 것
• 의도하지 않은 결과에 대해 주의하고, 개입의 역효과를
방지하기 위해 합리적인 조처를 하는 것
• 서비스 계획을 평가하는 데 사용할 기록 자료를 보관하는 것
2.
3) 평가의 유형과 방법
• 평가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계획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평가방법과 평가기준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이해하는 것은
많은 도움이 된다.
① 특수한 사례와 기관 내의 프로그램과 기관 자체에 관한 평가
② 양적 평가와 질적 평가
③ 임상평가와 관리평가
④ 강경노선평가와 온건노선평가
평가는 그 상황의 요구에 맞는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함
2.
3) 평가의 유형과 방법
(1) 과정평가와 총괄평가
• 평가의 모든 접근은 이 두 가지 범주에 해당한다.
① 과정평가
ⓐ 운영과정평가
ⓑ 클라이언트시간분석
② 총괄평가
2.
3) 평가의 유형과 방법
(2) 실천평가와 프로그램평가
① 실천평가
② 프로그램평가
* 허드슨과 그린넬(Hudson & Grinnell): 프로그램평가의 다섯 가지 범주
• 욕구 사정
• 평가가능성 사정
• 과정분석(형성평가라고도 부름)
• 결과분석(총괄평가라고도 부름)
• 프로그램 모니터
* 프로그램평가는 세 가지 차원에 초점을 둔다.
• 프로그램 노력(effort)
• 프로그램 효과성(effectiveness)
• 프로그램 효율성(efficiency)
2.
3) 평가의 유형과 방법
(2) 실천평가와 프로그램평가
② 프로그램평가
* 프로그램평가를 유용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되는 지침
• 평가자료와 보고서의 사용자(행정가, 실천가, 프로그램 기획가
등)를 명확히 함
• 평가가 가능한지 결정함
•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를 진술함
• 평가될 프로그램의 개입을 서술함
• 변화에 대한 측정 가능한 지표를 선정함
• 적절하고 사용 가능한 자료수집과 측정의 도구를 선정함
• 자료를 어떻게 수집하여 도표화하고 분석할지 계획함
• 평가결과를 해석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