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식품의 소비 트랜드
Download
Report
Transcript 국내 식품의 소비 트랜드
국내외 식품산업의 트랜드 변화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원민정
목차
1.식품을 둘러싼 국 · 내외 여러 변화
-세계 식품시장 주요 트랜드
-Life Style의 변화
-식품산업 패러다임의 변화
-식품의 지역화와 세계화
2.식품 트랜드의 변화
-현재 식품의 트랜드
-국내 식품의 소비 트랜드
-국외 식품의 소비 트랜드
-식품산업의 경쟁력
세계 식품시장 10대 트렌드
가치 트렌드
식품 소비 패턴
편리성 추구
소비자의 조리 시간 절약, 간편한 식품 선호
건강(안전) 중시
식품 선택의 기준이 건강, 친환경식품, 유기식품 선호
연령 초월 현상
젊은 층의 식품 구매 증대, 브랜드 인지도, 충성도 증대
성 초월 현상
남자도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 증대
생활 패턴 복잡화
단독 가구 증가, 노령 가구 증가, 소량 구매
명품 대중화
사치품 민주화 현상, 프리미엄 브랜드 선호
개성화
자신만의 취향과 구미에 맞는 브랜드 선호
이색상품 선호
새로운 식품을 적극적으로 경험, 이국풍의 농산물 선호
편암함 추구
대형 소매점 선호
공동체 중시
공동체 가치를 공유한 식품 선호, 지산지소 증대
Life Style의 변화
편리성 추구, 생활 패턴의 복잡화, 편안함 추구
한국의 6대 블루슈머 6”
※blue ocean + consumer
- 외식산업의 성장, 조리 · 섭취가 용이한 가공식품, 편의성,
대형할인점, 인터넷 구매 선호
외식 산업의 성장
1985년 도시 가구 식품비중 외식비율은 10% 미만
2007년 도시 가구 식품비중 외식비율은 45% 미만
외식 산업은 식품제조업과 외식산업에 식재료를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
외식산업에 식재료 납품하는 형태 성장 가능성 높다.
RTE 및 RTC 편의식품의 성장
RTE
Ready – to - Eat
RTC
Ready – to - Cook
씻어나온 쌀, 과일, 작게 썰어나온 야채, 삼각김밥
예전에 집에서 직접 하던 밥 → 무균 포장 밥
김치 → 포장 김치
앞으로 편의형 가공식품도 더욱 고급화
세계 식품산업 패러다임의 양극성
Global
New and Improved
Ready-to-Eat
Fast Food
All Year
Large-Scale
Low Price
Local
Traditional
Nature/Unprocessed
Slow Food
Seasonal
Craft-Scale
Premium Price
식품 공급 및 문화 변화의 방향
구분
식품 공급(집중)
사회 · 문화적 변화
이슈
변화의 방향
농민
하락
가공업체
상승
소매(슈퍼마켓)
상승
외식(패스트푸드)
상승
원거리 식품
상승
계절 의존성
하락
수입 – 수출 무역
상승
자본 집약
상승
식료품의 범위
상승(도시)
소득에 비례한 상대적 가격
하락
포장 및 외관
상승
신체적 활동
하락
식품 불평등
상승
농식품 분야의 세계화(Globalization) 및 지역화(Localization)
Globalization
WTO, FTA 등
세계무역 자유화
Localization
자국 및 지역의
보존 및 발전 강화
다국적 식품 기업의 발전
클러스터화 발전 전략
수출을 위한 세계화 전략
세계화를 위한 지역화 전략
원주의 로컬푸드 운동 개념도
지역사회 지원농업·농민시장 참여
시민사회
농민
신선하고 안전만 먹을거리 제공
지역사회 지원농업·
농민시장·도시 농업
등에 참여
참여
건강한 로컬푸드
가공품 제공
참여
지속가능한 농업
마을공동체 형성
참여
농업
정책
제시
지역 식량 계획 수립
지역 식량 계획 수립
지역 식량 체계 구축/
로컬푸드 홍보 · 교육
로컬푸드 인증센터 운영
참여
공공구매 납품
기업
로컬푸드 인센티브 제공
공공구매
납품
지자체 · 공공기관
로컬푸드 관련
정책 수립과 조례 지정
공공구매 조달
잉여 농산물
제공
인근 지자체
제휴 푸드 생산
현재 식품의 트랜드
지금의 식품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되고 있다.
과거의 기본적인 삶의 욕구에서 벗어나 맛과 건강을 추구하는 웰빙(Well-being)식품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트렌드는 패스트푸드 업계의 웰빙 바람, 음료시장의 웰빙 마케팅,
인스턴트식품의 웰빙화, 유기농식품 매장의 등장과 확대,
장수식품에 대한 연구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국내 식품 드렌드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유통 부문 : PB화, 미니화, 소용량화
생산 부문 : 브랜드화, 레시피 매뉴얼화
소비자 부문 : 퓨전 선호, 안전 추구, 소용량 구매 선호
국내 식품의 소비 트랜드
국민의 생활패턴 변화에 따른 식품 소비 트렌드의 급속한 변화를 확인 할 수 있다.
특히 2005년 이후 가정식이 감소하고 외식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식품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면 오늘날 한국인의 식품 소비 10대 트렌드를 살펴본다.
외식 비중 확대(식료품비 절반)
건강 중시 경향 확대
맛 지향(고급화, 기호식품)
간편화 추구(세척, 절단, 테이크아웃)
다양성 확대(채소, 과일, 가공식품 중심)
전문성 지향(외식 고급화, 품목별 전문화)
동물성 식품 및 지방 섭취 증가
계층별 영양 섭취 격차
불규칙한 식생활
주부 정보활용도 증가
국외 식품의 소비 트랜드
2008년 기준 세계 식품시장 규모는 약 4조 달러로 향후 인구 증가 및 소득 증대와
더불어 지속적인 성장이 전망된다. 특히 기능성식품과 유기농식품 등의 시장 규모가
급속하게 증가될 것으로 보인다.
국외 식품의 소비 트렌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에스닉 트렌드
패스트 캐주얼
그린식품
푸드 마을(로컬 브랜드)
식품산업의 경쟁력
농림수산식품부에서는 2008년 11월 식품산업발전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여기서 제시한 7대 정책 과제는 다음과 같다.
식품 R&D 투자 확대
규제 혁신 인센티브 제공
농수산식품 수출 확대
전통 발효식품의 과학화, 세계화
식재료산업 활성화
농 · 어업 식품산업 연계 강화
안전한 농수산식품 생산 공급
한국 식품의 미래는 정부에서 발표한 7대 정책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판단되며,
식품산업의 진흥을 위해서는 푸드시스템적 접근, 한식의 재정립을 통한 세계화,
식품의 부가가치 창출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