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혈구 응집과 어혈 스코어와의 관계를

Download Report

Transcript 적혈구 응집과 어혈 스코어와의 관계를

한방의학의 병리개념인 어혈과
驅瘀血劑 · 계지복령환의 효과
테라사와 카츠토시


어혈이라는 용어는
『
』에 잘 나타나있습니다.
어혈은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라고





그렇다면 어혈병태는 정말로 혈류의 정체일까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가 최초로 시행한 임상연구는
무엇을 가지고 「어혈」을 진단하면 좋을지, 그 객관적인
진단기준의 작성이었습니다.
이 임상연구는 저를 포함한 3명의 한방의학 숙련자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환자를 진료한 후 중증 어혈, 중등 어혈, 경증
어혈, 어혈이 아님으로 구분하여 3, 2, 1, 0의 4단계 평가로
진행했습니다. 이것을 Overall Scale로서 이전에 어혈과
관련되어 있다고 기재된 자각증상, 타각소견 약 30항목에 대해
그 증상이나 증후가 어느 정도 나타나는지를 0, 1, 2, 3의 4단계로
평가하여 중회귀분석, 판별분석 등의 다변량 해석을
실시했습니다.
그 결과 자각증상은 전부 탈락하고, 표에 나타나 있는 증후가
기여율이 높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기여율이 가장 높았던
증후에는 10점, 낮았던 증후에는 2점, 그 중간 증후에는 5점을
부여했죠.
총계 20점을 커트라인으로 하여 21~31점을 경증의 어혈병태,
40점 이상을 중증의 어혈병태로 진단했습니다.
구체적으로
를 알려드리죠.

안면의 색소 침착

입술의 어두운 적자색(暗紫赤)

혀의 어두운 적자색(暗紫赤)

뺨의 모세혈관 확장(細絡)
입니다.

胸脇苦満(흉협고만)

臍旁圧痛(左,右,正中)(제방압통)

回盲部圧痛(회맹부압통)

S状結腸의圧痛(S장 결장의 압통)



최근 MRI 가 보급되어 쉽게 뇌내 병변을
진단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환자는 임상적으로 운동마비나 지각장애
등은 볼 수 없지만, MRI 소견에서는
이 다발했습니다.
이러한 병태는 혈류가 끊어진 것이므로
입니다.


이러한 MRI 소견으로 다발성뇌경색 소견을
보이는 「
」 환자
59증례와 대조군 18례 사이의
를
비교한 슬라이드입니다.
다발성뇌경색 환자는 대조군에 비해 점수가
높죠.





그런데 이 진단 기준을 작성한 후에 혈류의 실태를
관찰하고 싶어졌고, 오사카의 국립순환기병 센터의
츠시마선생님이
을 관찰하고
있음을 알게 됐습니다.
여러분, 우리 인간의 미소순환을 메스 필요 없이
관찰할 수 있는 곳은 어디일까요? 바로 유일하게,
입니다.
이 시스템은 안과에서 이용하고 있는 슬릿램프
현미경을 개량한 것으로 특별히 주문하여 만들었죠.
먼저 환자는 턱대에 턱을 놓고, 이마를 확실하게 이마
고정판에 댑니다. 그리고 작고 붉은 램프에서
나타나는 한 점을 응시합니다.
안구에 비추는 빛은 무열광이 아니면 혈관이
확대됩니다. 할로겐램프를 이용하여 얻은 영상을
VTR로 녹화하여, 타이머나 화면상의 거리를 측정하는
장치로 혈관의 직경이나 유속 등을 계산합니다




이 슬라이드는 Post-capillary
Venule(후모세관정맥)와 Pre-capillary
Arterole (전모세관세동맥)을 보여주고
있는데, 특별히
해주십시오.
직경 100 미크론(micron)의 세정맥 혈관 내에
적혈구가 응집해서 흐르고 있습니다. 오른쪽
밑의 화상은 대부분 혈류를 관찰할 수 없는
상태의 혈관입니다.
실제 혈관을 동영상으로 보여드리겠습니다.
동영상 후반에는 驅瘀血劑인 계지복령환의
투여 전 후의 모습도 볼 수 있습니다. 잘
봐주세요. (동영상 : 약3분)



이 슬라이드에서는 혈관 내의
를 보여줍니다.
이 현상은 어혈병태와 매우 높은 상관관계
를 가지고 있음을 밝혀주고 있습니다.
천년 전의 사람들이 주장했던 「혈류의 정체
(停滞)」라는 경험적인 지혜를 이렇게 구체
적으로 눈으로 보는 것이 가능한 시대가 됐
습니다. 대단하죠.



이 적혈구의 혈관 내 응집은 극히 느슨한
결합이어서 세정맥의 직경이 커지는데 따라
뿔뿔이 흩어지게 됩니다.
그러나 결합이 강한 경우에는 비교적 굵은
세정맥이라도 뿔뿔이 흩어지지 않습니다.
혈관 내에서 적혈구 응집이 흩어지지 않고
모여있는 최대의 혈관경을 관찰합니다.
이것을
라고 부르며,
이죠.
을 보여줍니다.



그런데 「
」을 생각하는 경우에는
세가지 키워드가 있습니다.
지금까지 보셨듯 어혈병태는 혈관 내의
적혈구 응집을 수반하는 유속의 저하와
상관이 있습니다.
좀더 상세하게 이 세가지 사항에 대해 검토해
보겠습니다.

우선
다.
에 대한 연구결과입니


혈액의 점도(Viscosity)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몇 가지가 있지만,
우리는
이용했습니다.


를
원추를 회전시켰을 때에 생기는
토크(torque)를 계측하기 위해서이죠.
평판의 컵과 원추판 사이에 EDTA로 채혈한
혈액 1ml를 넣습니다.



혈액점도는 적혈구 용적률치에 의해서 크게
영향 받기 때문에, 표준직선에 따라 적혈구
용적률치 45%로 보정해서 비교했습니다.
접선응력(단면 법선에 수직인 응력)을
19.2sec-1(Inverse second)과 384.0sec-1로
보면, 접선응력이 강한 경우가 어혈병태와
매우 상관 관계가 있습니다.
또 혈구성분을 제외한 Plasma Viscosity도
어혈병태에서는 유의하게 상승하고 있음을
밝혀냈습니다.



전혈점도 상승에는 두 가지 요소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즉
입니다.
과
변형능이라고 하는 것은 적혈구 자체의 부드
러움이라고 할 수 있겠군요.



여러분도 잘 아시다시피, 적혈구막 표면은
시알산에 의해서 음성으로 전기부하가 걸려
있습니다.
그러므로 적혈구끼리는 서로 반발하고 결합
하기 어려운 성질을 가지고 있죠. 그러나 어
혈병태에 있어서는 혈관 내에서 적혈구가
응집하고 있습니다.
이 원인은
생각하고 있습니다.



프로테옴(Proteome) 해석이 가능해짐에 따라,
어혈병태에서는 다수의 이상 단백질이 결정 중에
출현한다는 사실이 비교적 최근에 밝혀졌습니다.
이 슬라이드의 맨 위에는 정상인 혈장을 컨트롤해서
보여주는데, 분자량 2500-6000에서는 단백질의
시그널은 대부분 검출되지 않았습니다. 중간 부분에는
고요산혈증 환자로 계지복령환을 복용하는 환자의
치료 전후의 시그널을 나타냈습니다. 하단에는
베체트병에서 계지복령환이 유효하였던 환자의 투여
전후의 시그널을 보여줍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부분은
입니다.
이러한 단백분자가 적혈구 응집의 가교분자인지 아닌
지는 향후의 연구과제이지만, 2010년 현 시점에서는
여기까지 밝혀냈습니다. 대단한 성과죠.




이러한 점은 일단 제외하고 생체 내의 미소순환에서
관찰된 적혈구 응집의 항진이 Extra vivo에서 어떻게
되어 있을지를 검토한 것이 이 슬라이드입니다.
적색으로 보이는 실린더 안에 환자의 팔꿈치
정맥으로부터 EDTA 채혈한 혈액을 1ml 넣어서 안의
통을 모터로 회전시킵니다. 이 외통과 내통 틈새의
혈액에 레이저 광을 비춰서 되돌아오는 산란광을
계측합니다.
우측에 보이듯이 내통의 회전을 정지시키면
적혈구는 응집을 개시합니다. 그 응집속도가 빠르면
빠를수록 거기에 응해서 산랑광은 감퇴하기 때문에
모터 정지 후 10초간의 감퇴곡선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S10의 면적은 커지게 됩니다.
이 S10을 이용해서 어혈환자와 비어혈환자의 관계를
본 것이 다음 슬라이드 입니다.

여기에 보이듯이 중증 응집환자의 적혈구응
집이 유의하게 높아진 것이 Extra vivo에서 분
명하게 밝혀졌죠.


다음으로
을 검토해보겠습니다.
방법은 현미경의 커버글래스에 해당하는
부분에 그림과 같은 좁은 틈새를 가진
chamber를 만듭니다. 그리고 생리식염수로
세정한 적혈구를 몇 개씩 흘려 넣고
접선응력(Shear stress)을 점차 크게 했을 때의
변형을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기록하고,
나중에 이들 하나하나에 대해서 계산합니다.


이 슬라이드에는 접선응력을 가하지 않은
경우와 접선응력을 가해 적혈구가 최대로
변형한 모양을 나타냈습니다.
최대 진전률은 여기에 있는 수식에 따라
구했습니다.

이 슬라이드는 적혈구의 진전율과 어혈 스코
어와의 관계를 나타내는데, 어혈이 중증에 비
례하여 환자의 적혈구는 딱딱해짐을 알 수 있
었습니다.





어혈에서는
이러한 이상은 어떻게 일어나는 것일까요?
이 슬라이드에는 적혈구막을 보강하는 단백
질의 구조를 나타냅니다.
적혈구막과 그 지지단백질은 정확히 박쥐우
산(가는 쇠로 살을 만들고 헝겊으로 씌운 우
산)처럼 천을 지지하는 뼈의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이 단백질의 구조를 유지하는 ATP가
필수적이라는 점이 중요합니다.

환자의 적혈구 중의 ATP 필수농도와 어혈
스코어와의 관계를 검토했습니다.
니다.

됩
이것은 어혈환자의 적혈구가 딱딱하게 변형
하기 힘든 것과 관련 있는 것이 아닐까 하고
생각합니다.



오늘 강의를 정리하고자 합니다.
驅瘀血劑의 대표적 방제인 계지복령환을 실제
환자에게 투여하고,
그 효과를 미소순환의 각종 패러미터로 보고
싶군요.


사용한 계지복령환의 생약입니다.
『
』 에 따라 각 생약 분말을 꿀을 이
용하여 환제로 만들어 사용했습니다.



환 한개의 생약 중량입니다.
총량 1g이지만 같은 양의 꿀 1g이 더해져서
1환은 2g이 됩니다.
하루에 3환을 공복 시에 따뜻한 물로 마시죠
.


계지복령환의 3D-HPLC 차트입니다.
이 그림의 세로축은 자외선보다도 짧은
파장으로 스캔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며,
가로축은 시간축으로 단위는 min(分)입니다.



도인(桃仁)에서 유래하는
작약에서 유래하는
계피에서 유래하는
등 다수의 화합물이 혼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죠.


Extra vivo의 패러미터인 S10과 in vivo의
패러미터인 DEA를 이용해 적혈구의 응집을
평가하여, 4주간의 투여로 높아진 적혈구
응집이 정상화 되어 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오른쪽 아래는 적혈구의 변형능을 나타내는데
딱딱해져 변형하기 어려웠던 혈구가 부드러운
상태로 되어 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이 슬라이드는 계지복령환의 2주간 투여로
을 보여줍니다.




해 보았습니다.
이것은 지금까지 관찰해 온 Post-capillary
venule의 문제라기보다는 세동맥 기능에 따라
크게 관련 있다고 생각할 수 있는 문제입니다.
혈관은 혈관 내피세포와 평활근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죠.
그리고 내피세포에 주어진 여러 가지 정보가
평활근에 전달되어 이완반응이 일어납니다.
이 슬라이드는 계지복령환을 구성하는 생약
하나하나가 평활근의 이완반응에 어떻게
관여하는가를 in vivo의 실험장치인
오르간·버스법으로 관찰한 결과입니다.
계지복령환은 전체적으로 강한 혈관 평활근
이완작용을 나타내는데, 이 약리작용은 계지와
작약이 주가 된다는 사실을 알게됐습니다.



마지막으로 최근 우리가 다루고 있는
프로테옴 해석을 이용한 계지복령환의
작용입니다.
연구의 대상은 관절 류마티스 환자로
어혈병태를 나타내면 계지복령환을
투여하였습니다.
해석에는 비어혈환자의 혈장 샘플을
이용했습니다.



이 슬라이드의 오른쪽에 보이듯이 환자의 혈장
속에는 여러 가지 이상단백이 관찰됩니다. 이
시그널이 계지복령환의 투여에 따라 감소하거나,
증가하거나, 변함 없거나 하죠. 그 변동을 표준화하여
클러스터링 해석한 것이 이 슬라이드입니다.
관절 류마티즘 환자에서 계지복령환이 유효한
사람을 「
」 띠로 상단에 표시했습니다.
중증의 어혈환자와 비어혈환자에서는 시그널 변동에
큰 차이가 있습니다. 중증의 어혈환자는 특징적인 한
무리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연구의 성과를 어떻게 발전시켜 나갈지는
앞으로의 과제입니다. 오늘 결론적으로 말씀드리고
싶은 점은 『
』을 시초로 한 고전에
기재되어있는 어혈이라는
, 그리고
입니다.
경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