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 위의 인문학 – 부산남구도서관 “부산의 길, 부산을 만나다” 부제

Download Report

Transcript 길 위의 인문학 – 부산남구도서관 “부산의 길, 부산을 만나다” 부제

길 위의 인문학 – 부산남구도서관 “부산의 길, 부산을 만나다” 부제 부산의 길, 해양수도의길, 세계를 만나다 참여 후기

이재경

부산 사람에게 바다란 어떤 의미일까? 직장생활로 인해 서울에서 보낸지 오래. 그 중 일 년에 두서너 번 명절과 휴가 차 내려왔을 때 부산역에서 바로 느껴지는 바다의 짠내. 나에게 바다는 그런 고향의 냄새였다. 남편의 직장으로 서울생활을 접고 다시 부산에 온지 1년... 그새 나는 그 바다의 짠내를 더 이상 맡을 수 없을 정도로 금방 동화되었고 바다를 그리워할 필요가 없을 정 도로 가까운 곳에 바다가 있었다. 나는 바다를 사랑한다고 당당하게 말한다. 한강의 넘실대는 기운과 많은 문화적 자극이 있는 그곳보다 변화무쌍한 바다가 나는 더 좋다. 옛 직장동료들이 부산에 너무 가고 싶다거나 많은 블러거들이 부산의 바다로 여행후기를 올라오는 것을 보면 어 깨가 으쓱해진다. 특히 인터넷 이곳저곳에 올라오는 부산바다는 오히려 다녀가는 외지인들이 더 많은 정보를 담아낸 것을 보고 깜짝 놀랄 때가 있다. 그럴 땐 질투심도 난다. 내가 모르는 바 다를 더 잘 알다니... 어느 날, 구청에서 발행된 신문을 뒤적이다 한 쪽 귀퉁이에 소개된 내용에 심장이 뛴다. 남구 도 서관 길 위의 인문학. 부산의길, 부산을 만나다!! 그것도 부산바다 이야기다. 내가 잘 모르는 이 야기, 사랑하기에 더 알고 싶은 욕구가 막 생긴다. 강좌를 기다리며 내가 아는 상식에서 머릿속 으로 부산의 해안선을 따라 상상해본다. 강좌 첫날과 둘째날. 각각 두 시간의 수업이 너무 빨리 간다. 강의자이신 구모룡 한국해양대 교수님의 차분한 강의에 출렁이는 작은 포구에서 컨테이 너가 가득한 항구가 그려진다. 바다... Sea, Ocean, Maritime. 바다를 표현하는 여러 단어 중 바다와 함께 생활하는 사람의 삶 이 포함되어 있는 단어 Maritime. 무척 아름다운 단어를 배웠다. 바다로부터 들어오는 왜구의 침략에 바다를 더 닫아버린 옛이야기부터 냉전시대 해양 밖에 길이 없어 수출입으로 클 수 밖 에 없었던 부산항의 필연적 발전사와 중국과의 교역으로 인천의 발전에 비해 주춤한 부산항. 이 젠 개발만이 능사가 아닌 해안선을 어떻게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을지에 대한 보존에 대한 방 법을 모색해야 한다는 내용에, 배가 들어오는 항구벤치에서 석양을 바라보며 여유를 즐기는 상 상의 나래도 펼쳐본다. ▶ 오랜 기간 수없이 같은 곳을 방문하며 정성스럽게 쓰 여진 책이라는 것이 잘 느껴지는 마리타임 부산과 해양품 경.

세쨋날. 도서관에서 마련한 버스를 타고 부산의 가장 동쪽 위 첫 번째 포구 임랑을 향해간다. 바다와 이어지는 낙동강의 작은 포구까지 60여 개의 항구와 포구 중 우리는 임랑을 그 시작으 로 하여 광안대교 , 부산항대교, 남항대교를 지나 암남포구로 해안도로를 돌아본다. 북쪽으로 보이는 임랑 해안선 끝은 고리원자력발전소와 거대한 철탑들은 마치 더 이상 나아가지 말라는 듯 거대하게 자리잡고 있고, 그런 것에도 아랑곳 하지 않고 그곳의 갈매기와 오래된 소나무는 여전히 평화로운 자태 그대로이다. 소설 갯마을의 배경이 되었고 광해군 때 유배되었던 윤선도 의 시비가 있는 이천을 들린다. 아름다운 풍광을 바라보며 학리로 온다.

바닷가를 등지고 멀리 달음산 정상의 바윗돌이 나 달음산이다 하고 절로 말하는 듯하다. 사유지 통제로 인해 해안선을 가까이 두고 다음 포구로 가지는 못했지만, 그러나 그 덕분에 개발이 안 되어 바닷가가 오히려 다행이라 여겨진다. ▲ 학리포구의 맨 오른 쪽 끝. 그 너머에는 오 랫동안 사유지로 인한 출입통제로 오히려 아 름다운 해안선을 지킬 수 있었다.

◀ 소설 갯마을 문학비 기장군청을 지나 죽성리에 도착한다. 오래 전 제주도 해녀가 와서 터를 잡아 지금도 해녀들 이 물질을 하는 그곳을 기념하는 해녀동상 옆 가파른 길을 올라 윤선도가 시를 남겼다는 황 학대에서 시원한 바닷바람을 맞는다. 그 길을 내려와 마을 뒷산을 오르니 밖에서는 보이지 않았던 평탄한 구릉에 2~300년된 다섯 그루의 해송이 한 몸인 듯 서로를 의지하며 근엄하 게 위치하고 있다. 많은 풍랑과 세월을 견뎠을 그 나무의 웅장함에 존경마저 든다. 이 시간 이 아니었다면 나는 죽성리는 그냥 드라이브 하기 좋은 해안마을 정도라 생각했을 것이다.

▲ 기장 죽성리 두호마을 뒷산의 해송 ▲ 두호마을 뒤산의 해송 아래에서 바라보는 죽성리의 바다 ▲ 죽성리의 포구에서. 흰색등대는 배의 나가 는 길을 안내한다. ▲ 저 멀리 드라마 때문에 지어진 작은 성당 이 죽성리를 찾게하는 가장 큰 매력이 되었다.

▲ 대변 포구에서 말려지고 있는 오징어. 동 해와 남해의 경계선에 있는 부산항의 특징.

▲ 죽도 앞 방파제에서 바라본 대변항.

죽성리에서 대변으로 넘어가기엔 우리가 탄 버스가 너무커서 아쉬움을 뒤로 하고 다시 큰길로 돌아간다. 대변항. 국가지정어항이다. 미역과 다시마, 멸치젓갈로 유명한 포구다. 지금까지 지나 온 포구에 비해 배의 크기도 크다. 오후 늦게 오징어 잡이 배가 출항준비를 하기 위해 분주히 움직 이고 있다. 늦은 점심을 하고 대변항의 끝 죽도로 넘어가본다. 죽도에서 바라본 대변항은 가장 Maritime 이라는 단어와 잘 어울리게 생동감이 넘쳐난다. 중단된 동해남부선 철길을 동지삼아 미포항을 끼고 우리는 부산항 물류를 위해 동서를 가르는 거대한 다리 광안대교-부산항대교-남항대교 를 거쳐 암남을 향해간다.

▲ 화려한 마린시티와 요트장을 배경으로 우동 포구는 고요하게 자리잡고 있다.

▲ 최근에 잘 정비된 우리나라 최초의 해수욕장 인 송도를 바라보며 깨끗한 암남포구 세 개의 다리를 거치며 다리 아래 쪽으로 화려한 건물과 아파트들 사이의 도시공간에 유 심히 보지 않으면 마치 그냥 자연스러운 배경처럼 우동포구, 민락포구, 남천포구, 용호포구 등 이 여전히 강한 어촌의 생명력을 보여준다. 특히나 부산항대교를 건널 때면 넓디넓은 북항개발로 새롭게 만들어 갈 해안선의 웅장함이 더 크게 비상할 부산을 기대하게 한다. 암남포구에서 저 멀리 바다 위 수많은 화물선과 컨테이너 선을 보며 결국 부산은 바다만이 희망일 수 밖에 없음을 더 깨닫는다. 암남포구를 마지막으로 우리의 수업을 마무리 되었다. 이번 강의를 통해서 나는 부산의 바다와 함께 살아가고 있는 삶 Maritime의 의미를 다시 한번 깨닫고 오랫동안 그 자리를 묵묵히 지켜오고 있는 자연과 사람들을 다시한번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사실 나는 부산으로 내려온 이후 직장을 찾기 위해 여전히 고분분투 중이다. 내가 부산을 떠나올 때와 지금을 비교한다면 상황은 더 나빠져있었다. 부산의 젊은이들이 고향을 등지 고 타지고 유출되고 있다는 뉴스를 볼 때 나는 그들의 심정을 충분히 이해하면서도 그들을 떠나 보내는 부산이 너무나도 답답했다. 서울에서 역시나 고분분투 중인 나의 친구들도 늘 부산으로의 귀향을 꿈꾸지만 현실은 녹녹치 않았다.

그들이 금의환향 할 그날은 언제쯤 일까. 그런 면에서 수백 년간 여전히 같은 자리를 지키고 있는 포구와 그 포구에서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의 강한 생활력에 존경심 마저 든다. 작은 포구들의 강 한 생존력과 큰 항구의 활력이 다시 사람들을 불러모으게 될 그날을 기대한다. 오래 전 작가 오영 수는 이런 마음에서 소설 갯마을을 썼을까… 다시 한번 나의 위시리스트에 새롭게 추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