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cript 고전시가 기초
고전시가 기초
• 1. 읽은 때 분철(分綴)해 봐라
•
예)잠 못 드러(들어) 하노라
•
믜리(믤이)도 괴리(괼이)도 업시 마자서(맞아서) 우니노라
.
• 2.아래아(.)는 주로
• 첫 음절은 ‘아’로
• 둘째 음절은 ‘으’로 읽는다.
•
예)가을. 마음.말씀이
• 3.어두자음군-어두(語頭)자음(子音)군(群)-(ㅅㄱ, ㅅㄷ)은 뒷자
음을 된소리로 읽는다
•
예)도화야 ㅅ더나지 마로렴.
• 4.구개음화 안됨.두음법칙안됨.
•
예)됴타(좋다) 눈물 디다.(지다)
시조의 주제
• 고려 중엽 시작,말부터 성행
• 선비
충,효,예
유교
학문,인격수양
선비
자연친화
안빈낙도
님
양반
부인
(허난설헌)
서민,기생
-서경덕,조식-
• 왕: 해,달,북두칠성
• 남편
• 이성
예
• 명월(明月)이 천산 만락에 아니비친 데없
다.(관동)
• 서산(西山)에 해지다 하니 눈물겨워 하노
라(조식)
• 시시로 머리 들어 북신(北辰)을 바라보며
상시 노루(老淚)를 천일(千一)방(方)에 디이
나다.(선상탄)
시조의 자연과 세속관
• 자연:긍정적 지향 세속: 부정적 지향
• 1.자연
세속(대조):윤선도-”어부사시
사”,”만흥”
•
예)인간을 도라보니 머도록 더욱 됴타.
• 2.세속에 미련을 둠; 이현보-”어부가”
•
예)어주(魚舟)에 누어신들 있은 스치 있으랴
• 3.자연과 세속을 모두 긍정:
• 맹사성-”강호사시가” :강호가도(江湖歌道)
• ex) 이 몸이 한가함도 역군은(亦君恩) 이샷다
4.니다,녜다,녀다,예다=가다(go)
물
• 흐르다
새
• 날다
님
• 지내다.살다
• 예)울어 밤길 예놋다.
• 예)하룻밤 서리김에 기러기 우러녈 제(사미)
• 예)니믈 뫼셔 녀곤 오늘날 가배샷다.
5.여의다( part (from) )
부모
• 사별(死別)하다
님
• 이별(離別)
딸
• 시집 보내다
#삼기다: 만들다.
#무심(無心)한: 욕심없는
예)무심한 백구야 오라하며 말라하랴(누항사)
#무상(無狀)한: 볼품없는. 형상,용모
예) 무상한 이몸에 무슨 지취 이스리마난
#하다: 많다(a lot of, lots of, many)
하ㅏ다 : 하다(do)
#좋다,죻다: 깨끗하다(clean)
둏다:good
예)청강에 좋이 시슨 몸을 더러일까 하노라.
선비는 흰색을 좋아해
(흰색:순수,무욕,청렴)
• 예)무심한 백구(白鷗)야 오라하며 말라하랴
(누항사)
• 백구야 날지마라 내가 네 벗인줄 어찌 아니.
• 가마귀 싸호는 골에 백로(白鷺)야 가지마
라.(정몽주모)
• 백설(白雪)이 자자진 골에 구루미 머흐레라
(이존오)
• 외다.-그르다,옳지 않다.
• 예)옳다하나 외다하나
•
•
•
•
•
어리다-어리석다
조차-따라서슬허하노라-슬퍼하노라
겨워-이기지 못하여
도곤-보다 (~라와, ~에)
헤어든-헤아려 보거든
• 믜다:미워하다
• 괴다:사랑하다.
• 예) 믜리(믤이)도 괴리(괼이)도 업시 마자서
(맞아서) 우니노라.
• 예) 괴시란데 우러곰 좃니노이다.(서경)
• 밋하여라:걸러라
• 예)며나리 닛디 말고 송국주를 밋하여라(농가)
• 병탕(餠湯):떡국
• 서절구투(鼠竊狗偸)를 저그나 저흘소냐:조
금이나마 두려워 할소냐.(선상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