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 - 한국고전의세계

Download Report

Transcript 시조 - 한국고전의세계

시조의 이해와
‘강호사시가’의 교육적 적용
-시조의 이해
-<강호사시가>의 분석
-<강호사시가>의 교육적 적용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1306494 이지민
1307102 이명애
I. 시조의 이해
1. 시조의 개념
중국의 절구나 율시, 일본의 하이쿠,
서구의 소네트에 비견
 한국의 대표적 정형시
 우리 시가 가운데서도 가장 오랜 전통과
역사를 지닌 장르
 고려 중기에 발생
 조선 시대를 거쳐 현대까지 창작되고 부
르는 우리 문학의 대표적인 문학 양식

2. 시조의 ‘구’에 대한 잘못된 이
해
-- ‘3장 6구 45자 내외 형식 -〔초장〕태산이 높다 하되 하늘 아래 뫼이로다
①
②
 〔중장〕오르고 또 오르면 못 오를 리 없건마는
③
④
 〔종장〕사람이 제 아니 오르고 뫼만 높다 하더라
⑤
⑥

2. 시조의 ‘구’에 대한 잘못된 이
해
-- 3장 6구 45자 내외 –
〔초장〕태산이 높다 하되 하늘 아래 뫼이로다





①
②
③
④
〔중장〕오르고 또 오르면 못 오를 리 없건마는
⑤
⑥
⑦
⑧
〔종장〕사람이 제 아니 오르고 뫼만 높다 하더라
⑨
⑩
⑪
⑫
3. 시조의 명칭









노래 - 가(歌), 가곡(歌曲), 영언(永言)
짧은 형식의 노래 - 장가(長歌)에 대비되는 단가(短歌), 단집(短什)
한시에 대비되는 노래 - 시여(詩餘). 언가(諺歌)
새로 만든 노래 - 신번(新飜), 신성(新聲)
이를 통칭할 수 있는 장르 명칭 - ‘시조’
1920년대 민족 운동의 일환으로 전개한 시조 부흥 운동 이후부터
장르 명칭으로 통용 됨
이때 시조 부흥론자들이 없던 이름을 새로 만든 것이 아니라 이
전부터 써 온 이름을 가져와서 사용하였는데, 바로 영조(英祖)때
가객(歌客)인 이세춘(李世春)이‘시절가조(時節歌調)’라는 곡조를
만든 후부터 ‘시조(時調)’라 부르게 됨
‘시절가조’란 ‘요사이 노랫조’, ‘당대의 유행 가조’라는 뜻으로 고유
명사화하여 장르의 명칭이 됨
시조의 명칭이 이처럼 ‘노래’와 연관이 깊은 것은 시조가 본디 노
래로 향유되었던 사실과 관계가 깊다.
4. 시조의 한국 문학적 위상
① 시조는 한국 시 가운데서도 가장 정
제된 정형시에 해당한다.
② 시조는 한국 시 가운데서도 가장 오
랜 전통과 역사를 지닌 장르이다.
③ 시조는 한국 문학의 전통 장르 가운
데서도 현재까지도 살아 있는 유일한
장르이다.
5. 시조의 형식과 구조
5.1. 시조의 운율적 형식
초장〕묏버들- 갈 것거 ∥ 보내노라 님의손
4
4
4
4
 〔중장〕자시 - 창-밧긔 ∥ 심거두고 보쇼셔∨
4
4
4
4


〔종장〕밤비예- {새닙곳 + 나거든} ∥ 날인가도 너기쇼셔
4 (3)
(3)
(3)
4
4 (홍랑)
5.2. 시조의 반복과 전환의 구
조
--‘반복과 전환’의 구조
 시조의 운율적 짜임 - 유기적 긴장의 구조덩어리
 초∙ 중장에 걸쳐 동일한 4음4보격 형태가 반복
 종장에 이르러 변형4보격으로 전환
-- ‘제시-환기’의 구조
 초∙중장에서 의미를 제시하고 종장에서 이를 환기해
시적 의미로서의‘제시-환기’의 구조
-- 기승-전결의 구조
 시상(詩想)이 종장으로의 완결을 향하여 치닫는 기승전결의 구조와도 일치한다.
 초장이 기에, 중장이 승에, 종장의 첫 구가 전에 해당하
고 나머지 구가 결에 해당한다.
6. 문학적 분류와 하위 장르
6.1. 시조의 분류와 엇시조의 문제
점





시조의 문학적 분류- 평시조, 엇시조
실제적인 분류에서는 논리적인 문제를 지님
일반적으로 엇시조는 종장의 첫 구(음보)를 제외한
나머지 초∙ 중∙ 종장의 어느 한 구가 기준보다 늘어
난 형식으로 정의됨
이는 형식적으로 평시조와 사설시조의 중간형에
해당한다.
그러나 엇시조를 이처럼 하위 장르로 설정하게 되
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제기된다.
6.1. 시조의 분류와 엇시조의 문제
점
중간 형식으로서 엇시조를 설정하게 되면, 평시조의 운율적 역동
성을 잃어버리게 손실을 입게 됨 평시조의 운율적 규칙은 모든
시의 운율이 그러하듯 무조건 따라야 할 규칙이 아니라 오히려
규칙을 어김으로써, 더 생동감 있는 리듬을 조성해 낼 수 있다. 그
것이 바로 시의 중요한 표현 장치 중 하나인 파격(破格) 효과이다.
그러나 엇시조의 설정은 이런 파격적 미학을 사전에 봉쇄해 버린
다. 평시조의 파격 현상으로 풀어 내야 할 형식 영역에 엇시조가
대신 들어앉음으로써, 평시조는 파격의 효과마저 창출하지 못하
는 팍팍한 형식으로 전락해 버리고 마는 것이다.
2.
재기할 문제점도 이와 직결되어 엇시조는 형식적 측면에서 독자
성을 지닌다고 하기 어렵다. 조금만 짧아지면 평시조의 영역으로,
조금만 길어지면 사설시조의 영역으로 편입되고 마는 어중간한
형식이기 때문이다. 장르론의 측면에서도 평시조의 미학에 기대
어서야 그 미적 특질들이 드러날 수 있다. 따라서 엇시조는 평시
조의 영역으로 편입해야 할 장르 설정인 것이다.
 결과적으로 시조는 평시조와 사설 시조 두 종류만 장르론적 독자
성을 가졌다고 할 수 있다.
1.
6.2. 평시조(단형시조)







평시조는 길이가 짧다- 단형시조
시조 문학의 본령이자 기본적 장르
평시조는 초장· 중장· 종장의 3장으로 구성, 4개
의 음보가 한 장을 이루고, 45자 내외의 절제된
미의식으로 담백하고 우아한 멋
평시조 - 단시조와 연시조로 나눔
단시조- 단형의 평시조가 1수인 작품
연시조- 평시조 여러 수가 합쳐서 한 편의 작품을
이루는 유형
양적으로 보면 연시조는 단시조에 비할 수 없을
만큼 적으며 향유층 또한 사대부 시인 쪽에 편향
되는 현상을 보이나 질적으로 보면 연시조에 우
수한 작품들이 더 많다.
6.2. 사설시조 (장형시조)
사설 시조는 전체 3장 구조를 취하면서도 종
장의 첫 세 글자를 제외하고 각 장이 길어지는
것이 특징
작자 미상의 작품이 많으며 조선 후기 근대로
의 이행기에 유행하여 왕성하게 쓰임
사대부 시조의 관념성과 대립되는 사실적인
현실 인식의 시로 가벼움, 유희, 희화화 의 미
적 특징
격조를 지향하는 평시조의 진정성을 뒤틀고
규범을 벗어나는 데서 시적 호소력을 획득하
는 ‘일탈성’의 미학 이라 할 수 있다.

7. 계층적 분류와 향유층

사대부 시조
가객 시조
기녀 시조
7.1. 사대부 시조
사대부 지식인들은 고려 후기부터 500여 년의 조선 왕조 역사 내내 정치,
사회, 문화를 좌우해 온 지배 세력이다. 그런 만큼 양적으로 월등히 많다.
 18세기에 들어 가객 시조가 부상하면서 그 주도적 지위까지 이들에게 내
어 준 듯한 인상을 주기도 하지만 이 시기 가객들이 주도적 지위로 부상
한 것은 시조 문학보다 오히려 시조 음악에서라고 할 수 있다. 또 가객들
의 활동 무대도 서울을 비롯한 도시 지역이 중심이었다면 사대부들의 활
동 무대는 도시와 향촌에 두루 걸쳐 있었다.
 사대부 시조의 대표적 유형으로는 강호 시조(江湖時調)와 교훈 시조(敎
訓時調)를 들 수 있다. 강호 시조는 조화로운 자연에 들어가 자연과 자아
가 합일하는 즐거움을 추구하는 자연시라 할 수 있고, 교훈 시조는 조화
롭지 못한 사회 안에서 바람직한 사회의 재건에 필요한 인간 윤리의 고
양을 강조하는 사회시라 할 수 있다. 사대부들의 궁극적 이상은 조화로운
세계의 구현에 있었으며, 그러한 세계 구현의 주체가 바로 자신들이라는
우월적 선민의식(選民意識)을 강하게 지니고 있었다. 자아의 완성에서
출발하여 사회의 완성으로 나아가 세계의 완성에 도달하기를 꿈꾸는, 이
른바 ‘수기치인’(修己治人)적 삶의 태도가 이상적 삶이었다. 그런 의미에
서 강호 시조는 자아의 완성을 희구하는 수기(修己)의 노래이고, 교훈 시
조는 사회의 완성을 희구하는 치인(治人)의 노래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
다.
 이밖에 사대부 시조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유형은 연군시조(戀君時調), 우
국시조(憂國時調), 세태시조(世態時調), 취락시조(醉樂時調), 기행시조
(紀行時調) 등을 꼽을 수 있다.

7.2. 가객시조

숙종대인 18세기를 전후하여 역관, 별감, 서리, 군교 등 주로 국가의 행정실무를
맡아 온 중간층





부의 축적과 사회적 위상을 확보함에 따라 문화적 욕구를 채우기 위한 표현 영역
의 확보에 힘쓰게 되 어 종래 사대부들이 주로 즐기던 한시와 시조를 자기 표현의
매체로 끌어들이게 됨
가객 시조는 중간층 지식인 중에서 특히 시조를 전문적으로 즐기며 창작한 가객
들의 작품을 말함
가객 집단- 직업적 예술인으로서의‘가객 명창’,창조적 예술인으로서의 ‘가객 시인’
가객 명창- 사대부나 부호가의 대소 연회에 초청되어 시조를 연창하며 생계를 유
지, 새로운 악곡이나 창법의 개발에도 힘을 쏟아 당시 시조 음악의 발전을 주도해
나간 장본인들이다. 18세기 전반 가곡창의 소용곡을 창안하여 대중화한 박후웅
(朴厚雄)과, 18세기 중반 최고의 가곡 명창으로 이름을 날리며 시조창의 개발과
보급에 중요한 구실을 한 이세춘 등이 있다. 이들은 경우에 따라 금객(琴客)·기생
등과 소그룹을 이루어 활동하기도 하였다.
가객 시인들- 18세기 전·중반에 활동한 김천택· 김수장과 19세기 중·후반에 활동
한 안민영 등이 대표 이들은 시조 유산 보존에도 남다른 관심을 지녀 역대의 광범
위한 시조 작품들을 수집· 정리한 가집의 편찬자로서도 유명하다. 김천택의 『청
구영언』, 박효관·안민영의『가곡원류』등 으로 가객 시인들은 순수한 열정을 가
지고 작품의 창작과 보존에 힘을 쏟은 점에서 직업적 성향의 가객 명창들과는 차
이를 보이며 오히려 동호인적 성격이 더 짙다.
7.2. 가객시조



가객 시조의 작품 세계는 전반적으로 사대부 시조와 크게 다르지
않아 사대부 시조의 유가적 이념과 감성, 풍류의 세계가 가객 시
조에서도 주류적 영역을 차지하고 있었다.
문화 의식은 독자적 문화 구축보다 사대부 문화의 자기화에 더 기
울어져 있었으며 이는 신분적 차이를 보상하려는 강한 문화적 상
승 욕망이 결국 사대부 문화의 모방 쪽을 선택하고 말았다는 한계
를 부인할 수 없다.
신분적 제한을 받는 가객 시인의 작품 세계가 사대부 시조와 완전
히 같을 수는 없는 만큼, 사대부 시조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교
훈 시조와 우국 시조가 가객 시조에서는 거의 창작되지 않았다.
이는 경국제세의 뜻을 세울 수 없는 중간층 지식인의 신분적 한계
에서 비롯된 현상으로 백성을 교화하거나 국가의 안위를 걱정하
는 것은 선민의식을 특권적으로 누릴 수 있는 사대부의 몫이지 그
들의 몫일 수는 없었기 때문이다. 대신 가객 시인들이 교훈적 어
조는 대부분 타인보다 오히려 자신을 향하는 내성적 자기 다짐의
형태로 나타나며, 안분지족(安分知足)의 형태를 띠고 있다.
7.3. 기녀시조








기녀는 시조의 작가층으로 참여한 유일한 여성층
기녀층의 시조 창작은 상당히 이른 시기부터 시작, 사대부 시조에 버금
할 만큼 오랜 역사를 지님
오랜 역사와 달리, 현재 남아있는 기녀 시인이나 작품의 수 적음
기녀 시인은 30여 명, 작품 수는 60여 편에 불과
현재 전하는 기녀시조가 이처럼 적은 것은 사대부 시조나 가객 시조에
비해 작품이 전승되고 기록될 여건이 나빴기 때문으로 짐작
주종을 이루는 작품 유형은 애정 시조로 전체 작품의 7,8할로 압도적
그조차 부재하는 임을 그리워하며 애타게 임과의 화합을 갈구하는 상사
의 노래가 대부분이다. 예속된 존재인 기녀들의 비극적 운명이 작품 세
계에도 그대로 투영되어, 화합될 수 없는 사랑의 슬픔과 안타까움이 절
절히 노래되고 있는 것이다.
기녀 시조는 남성들이 이루어 낼 수 없는 주목할 만한 시적 성취를 이루
어 내었는데, 남성 작가들이 스스로 억압하던 금기의 영역을 비집고 들
어가 성적 담론을 당당하게 공론화하는 등 시적 감성의 자유로움과 서
정시로서의 시적 성취를 획득하는데 성공하였다.
8.시조의 역사적 흐름
8.1. 초창기의 시조


14~15세기 시조는 서로 대조되는 두 경향의 작품 세계가 주류를 이룸
현실 정치의 좌절을 노래한 시조와 현실 정치의 꿈을 노래한 시조
< 대표적 작가 >

우탁(禹倬), 이조년 (李兆年)-- 고려 말 이존오(李存吾)--최영(崔營), 정몽
주(鄭夢周), 성여완(成如完) -- 조선 건국 초기의 이색(李穡), 원천석(元天
錫), 길재(吉再), 서견(徐甄), 이방원(李方遠), 조준(趙浚), 정도전(鄭道傳)
<현실 정치의 좌절을 노래한 시조>
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건국되는 왕조 교체 전후의 격변기의 현실을 반영한 노래들로, 정치 현실에 맞
서다 실패한 양심적 지식인의 고뇌에 찬 목소리를 담고 있다. 그들은 철석같이 믿었던 유가적 의리론
(義理論)에 따라 죽음으로써 항거하는 절의의 신념을 노래하기도 하고, 역사적 흐름 앞에서 어쩌지도
못하는 개인의 회한을 노래하기도 하며, 혼란스러운 정치 현실의 비리를 풍자적으로 노래하기도 함
<현실 정치의 꿈을 노래한 시조>

조선 초기 관인층 사대부들의 시조에서 많이 발견된다. 유교를 통치 이념으로 한 새 왕조가 건국된 만
큼, 집권층의 위치로 상승한 초기 사대부들의, 현실 정치에서 펼칠 의욕과 자신감 또한 클 수밖에 없었
다. 따라서 이들의 작품에는 즐거움, 충족감, 자신감의 정서가 주조를 이룬다. 맹사성의 「강호사시가」
는 15세기 관인층 사대부들의 이러한 의식 세계를 보여 주는 전형적 작품이라 할 수 있다.
8.2. 조선 중기 - 발전의 시조




16〜17세기의 시조는 시조문학이 가장 원숙한 경지에 이르는 발전기
우리가 알고 있는 대표적 작가와 작품들의 대다수가 이 시대에 집중적
으로 몰려 있다.
이 시대의 시조는 자아와 세계, 수기와 치인의 어느 한쪽이 다른 쪽을 일
방적으로 압도하지 않는다. 시조가 이처럼 전대와 다른 양상을 보이며
정점에 오른 데는 사림파의 성장과 관련이 깊다.
사림파는 정통의 성리학을 공부한 중소 지주층들로서, 15세기 후반 성
종대부터 중앙 정계에 부상하기 시작하였다. 16세기로 접어들면서 기득
권 세력인 관인층 출신의 훈구파에게 무오사화(1498), 기묘사화(1515)
등을 당하며 혹독한 시련을 겪기도 하지만, 이러한 시련이 오히려 사림
들의 의식을 더욱 공고히 하여 16세기 후반의 선조 대에 이르면 조선의
지배 세력으로 급성장하기에 이른다. 이렇게 새롭게 성장한 사림파가
중기 시조의 중심 향유층이었다. 사대부 시조의 작품 세계에 큰 영향을
준 수기치인의 이상 또한 사림파가 내세운 이상이었다.
8.3. 조선 후기 - 전환기의 시조
가객의 등장과 향유층의 재편
사설 시조의 성행과 시조의 탈이념화
1)가객의 등장과 향유층의 재편
후기로 넘어가면서 일어난 가장 큰 변화시조 향유층의 재편 현상
 조선 중기까지의 시조 향유층- 사대부들
 후기에는 중간층이 새로운 향유층으로
 가객층이 등장- 전문적인 가객 명창의 출연
 사대부들은 전대와 달리 수동적인 감상층
으로 내려앉게 됨
 왕성한 작품 창작에도 불구하고 전승과 보
급에는 다소 소극적이었던 사대부들
 중산층은 가집 편찬 작업을 주도
 김천택『청구영언』 김수장의『해동가요』
등 편찬- 역사적 의의 지님.

2)사설시조의 성행과 시조의 탈이념화
조선 후기에 나타난 변화 - 사설 시조의 성행과 시조의 탈이
념화 현상
 17세기까지만 해도 널리 성행하던 연시조의 창작이 줄어든
대신, 사설 시조의 창작과 연행이 크게 성행하였고 교훈 시조
는 거의 창작되지 않는 특징을 보인다. 강호 시조 역시 상당
한 변화를 겪게 되어 자연에 대한 시인의 관심은 여전하였으
나 자연을 바라보는 태도에서 변화가 두드러지게 된다. 자연
이 조화로운 세계의 상징체로서 지닌 육중한 형이상학적 무
게를 털어버리고, 일상의 찌든 마음을 정화할 수 있는 정서적
교감의 대상으로 자리하게 된 것임
 이에 따라 작품 양식도 강호 시조에서 자연을 정서적·풍류적
상관물로서 노래하는 취락 시조나 경물 시조 내지 기행시조
쪽으로 옮겨 가는 경향을 보이게 됨
 그러나 도시 소비문화를 기반으로 한 가객들의 작품 세계와
는 달리, 지방의 전통 사회를 기반으로 한 향촌 사족들의 작
품 세계는 여전히 연시조를 중심으로 한 강호 시조와 교훈
시조가 많이 창작 되는 성향을 보임

9. 주요 시조집
이름
편자
연대
작품 수
특징
청구영언
김천택
영조 4년(1728)
998수
곡조별 분류
해동가요
김수장
영조 39년(1763)
883수
작가별 분류
313수
내용별 분류
고금가곡
병와가곡집
가곡원류
동가선
송계연월옹(추 영조 40년 또는
정)
이형상(추정)
순조 24년
정조(추정)
박효관, 안민영 고종 13년(1876)
미상
영·정조(추정)
1109수
839수
235수
곡조별 분류(작
가 명단 수록)
곡조별 분류
작가, 곡조, 내
용별 분류
II. 맹사성의
<강호사시가> 분석
1. 원문 및 현대어 풀이
<춘사(春詞)>
강호(江湖)에 봄이 드니 미친 흥(興)이 절로 난다.
탁료계변(濁醪溪邊)에 금린어(錦鱗魚)ㅣ 안주로다.
이 몸이 한가(閑暇)해옴도 역군은(亦君恩)이샸다.
<하사(夏詞)>
강호(江湖)에 녀름이 드니 초당(草堂)에 일이 업다.
유신(有信)한 강파(江波)난 보내나니 바람이다.
이 몸이 서날해옴도 역군은(亦君恩)이샸다.
<추사(秋詞)>
강호(江湖)에 가알이 드니 고기마다 살져 잇다.
소정(小艇)에 그물 시러 흘리 띄여 더뎌 두고,
이 몸이 소일(消日)해옴도 역군은(亦君恩)이샸다.
<동사(冬詞)>
강호(江湖)에 겨월이 드니 눈 기픠 자히 남다.
삿갓 빗기 쓰고 누역으로 오슬 삼아,
이 몸이 칩지 아니해옴도 역군은(亦君恩)이샸다.
<현대어 풀이>
강 호 (자 연 )에 봄 이 찾아오니 주 체 할 수 없는 흥이 저절로
일어난다.
막걸리를 마시며 노는 시냇가에 싱싱한 물고기가 안주로구나.
이 몸이 이렇게 한가하게 지내는 것도 임금님의 은혜이시도다.
강호에 여름이 찾아오니 초가집에 있는 이 몸은 할 일이 없다.
신의(信義) 있는 강 물결이 보내는 것은 시원한 바람이로구나.
이 몸이 이렇게 시원하게 지내는 것도 임금님의 은혜이시도다.
강호에 가을이 찾아오니 물고기마다 살이 올라있다.
작은 배에 그물을 실어, 물결을 따라 흘러가게 배를 띄워 두고,
이 몸이 이렇게 소일하며 지내는 것도 임금님의 은혜이시도다.
강호에 겨울이 찾아오니 쌓인 눈의 깊이가 한 자를 넘는구나.
삿갓을 비스듬히 쓰고 도롱이를 둘러 덧옷을 삼으니,
이 몸이 이렇게 춥지 않게 지내는 것도 임금님의 은혜이시도다
2. 핵심 정리
작자
맹사성
연대
세종 때
갈래
평시조, 연시조(전 4수)
성격
강호 한정가, 강호 연군가, 풍류적, 낭만적
표현
대유법, 의인법, 열거법, 반복법
제재
사시(四時)의 강호 생활
주제
강호에서 안빈낙도하며 임금을 생각함
출전
《청구영언》
강호: 강과 호수를 아울러 이르는 말. 여기서는 시골, 자연을 뜻함
미친 흥: 깊은 감흥
탁료계변: 막걸리를 마시며 노는 시냈가
시구 풀이
금린어: 쏘가리, 싱싱한 물고기
초당: 집의 원채에서 떨어진 곳에 억새나 짚으로 지붕을 이어 만든 작은 집.
은사들이 즐겨 지내던 별채.
소일: 별로 하는 일 없이 세월을 보냄
누역: 띠풀 등을 엮어 만든 비옷. 도롱이
3. 의의
① 최초의 연시조(聯詩調)로써 이황의 <도산십이
곡>과 이이의 <고산구곡가>에 영향을 준 작품이
다.
② 강호가도(江湖歌道)를 노래한 작품의 효시가
됨.
③‘역군은(亦君恩)이샷다’는 그 뒤 상진의 <감군
은>, 송순의 <면앙정가>, 신흠의 <공명 이 긔 무
엇고> 등의 시조에도 그대로 쓰일 정도의 유명한
구절이다.
4. 이해와 감상
춘·하·추·동의 다채로운 계절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의연하게 존재하는 조화로움은 구성상의 특징에서
기인한다.
강호(江湖)에 (㉠)이 드니 (㉡)
(㉢)
이 몸이 (㉣)도 亦君恩이샷다.
 전체적인 골격은 ㉠에는 봄·녀름·가알·겨울 등 계절
의 바뀜이 나타나고. ㉡에는 그에 맞는 계절의 풍취
가 표현되었으며. ㉢에는 ㉣의 구체적인 내용. 즉 '한
가(閒暇)해옴'. 서늘해옴. 소일(消日)해옴. 칩지 아니해
옴' 등의 구체적인 생활 모습이 드러나 있다.
 모든 연은 ‘강호(江湖)'로 시작하여 ‘역군은(亦君恩)
이샷다’로 끝나는데 안분지족하는 은사(隱士)의 유유
자적(悠悠自適)한 생활과 비록 강호에서 자연을 즐
기면서도 임금의 은혜에 감사하는 마음을 잊지 않는
유학자의 모습을 볼 수 있다.

5. 다른 작품과의 비교
강호사시가
형식상 공통점
표현상 공통점
공통점
내용상 공통점
둘 다 연시조(강호: 전4수/어부: 전 40수)
두 시조 모두 성리학적 관념어, 한문투를 사용한 것이 아니라 순수 생활어, 일상
어를 사용
①강호에서의 생활과 자연을 예찬하는 강호 한정가
②봄-여름-가을-겨울의 순차적 계절의 변화에 따른 감정 표현
자연을 몰입, 탈속의 대상이 아니라 단순히
자연을 대하는 태도
생활공간으로서 보고 있으며, 자연 질서와의
조화 추구
정치적 성향의 유무
차이점
어부사시가
정치적 성향이 짙음. 이러한 성향이‘역군은
(亦君恩)이샷다’로 집약
자연에 완전히 몰입해 있으며 자연
은 탈속의 공간. 자연에서의 삶의
기쁨과 충족감이 '흥'으로 집약됨.
물아일체의 삶
정치적 성향이 약함(거의 없음)
윤선도는 치열한 당쟁으로 일생을
작가의 일생과 작품의 관
계
맹사성이 만년에 벼슬을 내려놓고 강호에 묻 거의 유배지에서 보낸 작가로 현실
혀 한가한 생활을 보낼 때 지은 작품으로 안 정치의 혼탁함에서 벗어나 자연의
분지족과 유교적 현실관이 드러남
아름다움과 여유로운 삶을 누리고
자 하는 현실관이 반영됨
III. 「강호사시가」
의 교육적 적용
1. 단원 구성 및 지도 계획
대단원명
한국 고전문학 운문
적용모형
시조 - 강호사시가
·시조의 형식과 표현의 특징을 알아 작품을 해석할 수 있다.
교과
교수·학습목표
소단원명
·다양한 관점으로 작품을 평가하고 시조를 재창조할 수 있다.
창의
·창의적 사고기법을 통하여 창의성을 발휘한 작품을 기술할 수 있다
인성
·문제해결 학습 과정에서 협력과 서로의 생각을 존중하는 태도를 가질 수 있다.
문제 해결 학습, 토의·토론 학습, 직접 교수법, 창의성 계발 학습,지식 탐구학습
평 가
학습자 특성
수업 전
체크리스트법을 통한 진단평가
수업 중·후
단답·괄호형,논술형의 형성·총괄평가
학습자료 준비도 및 학습과제물 충실도
고등학교 2학년 34명(남17 여17), 조별(남녀4~5명씩 8조)
구 분
차시
교수·학습내용 및 활동
☆강호사시가의 작가 고불 맹사성 및 일화 알아보기
강
시
☆강호사시가의 작품 해석하기 및 비교
☆강호사시가의 형식상 표현상 특징 이해하기
호
사
☆어휘풀이와 시조의 전개과정 알아보기
활동1
본
활동2
가
시
☆‘서정의 강조냐 임금의 은혜 강조냐’에 대한 생각나누기
☆ 서정의 강조 면과 임금의 은혜 강조 면에서 다른 작품 더 알아보기
☆부모님,스승님,형제자매,친구,학과목,학교 생활 등을 주제로 하여 제목을 정해 사시가 지어
활동3
보기
☆쓴 글을 전달하는 낭송하기와 듣기로 감상한 내용을 간략하게 피드백하기
2. 본시 적용 교수 방법
2.1. 문제 해결 학습 모형
 학습자
주도의 문제 해결 과정을 강조하는 학습자 중
심의 학습 모형으로 타 교과에서도 많이 활용됨
 국어교과에서의 문제 해결 학습은 엄격한 가설검증
과 일반화를 통한 결과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그 결과
에 도달하기까지의 과정에 초점을 둔다.
 교사나 친구들과 함께 해결해야 할 문제를 확인- 문
제 해결 방법을 찾아 문제를 해결- 이를 일반화하는
활동을 강조하는 것이다.
 최대한 학습자 스스로 문제 해결 방법을 찾아 문제를
해결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자발적인 학습 참여를 유
도하고 학습자의 탐구력을 신장시키는 데 유리하다.
학습자는 문제 해결 과정에서 지식이나 개념을 단순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나름대로 재구성할 수 있는 기
회를 가지고, 학습에 대한 책임감도 갖게 된다.
<문제 해결 학습의 절차와 본시 적
용>
과정
문제 확인하기
주 요 활 동
♧문제 진단 및 확인
♧문제 요인 분석
서정의 강조 면과 임금의 은혜 강조
면에서 다른 작품에는 어떤 것이 있을
까?
이현보‘어부가’월산대군‘추강에 밤이 드
해결 방법 찾기
♧문제 해결에 동원되는 지식(전략)
니’,정몽주‘단심가’,왕방연‘천만리 머나
♧문제 해결을 위한 학습 절차 확인
먼 길에’성삼문 ‘수양산 바라보며’, 원
호 ‘간밤에 울던 여울’등 정보 찾기
문제 해결하기
♧언어적 문제 해결 활동
♧원리 터득/전략 습득 여부 확인
서정의 강조 면과 임금의 은혜 강조
면에서 내용적으로 가까운 작품을 골
라 작품 감상하기
내용적으로 본 두 가지 입장 중 자신
일반화하기
♧문제 해결의 과정 되돌아보기
의 생각과 가까운 작품을 통한 느낌과
♧적용상의 문제점 추출 및 대안 제시
감상을 사시가로 창작해 봄으로써 작
중 화자의 입장 이해하기
2.2. 토의 토의·토론 학습
교사와 학생, 혹은 학생들끼리 일정한 규칙과 단계에 따
라 대화를 나눔으로써 학습 문제를 해결하거나 학습 목표
에 도달하고자 하는 공동 학습 모형의 한 형태이다.
 토의란 공동의 관심사가 되는 특정 문제에 대하여 바람직
한 해결 방안을 찾기 위해 구성원들이 협력적으로 의견을
교환하는 대화 형태이다.
 토론이란 찬반의 입장이 분명한 특정 문제에 대하여 각각
의 입장을 대변하는 사람들이 쟁점에 대하여 논쟁하는 대
화 형태이다. 학습 상황에 따라 토의와 토론 학습모형으
로 나눌 수도 있다. 학습자의 자발적 참여 유도와 학습 내
용을 폭넓고 깊이 있게 이해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 ‘서정의 강조냐 임금의 은혜 강조냐’에 대한 생각나누기
에서 토의·토론 학습을 적용하고자 한다. 정해진 주제에
따라 관련 자료 수집 및 정리된 내용으로 수업 방법 및 절
차에 따라 개인의 의견을 제시하고 반대 또는 찬성 의견
을 제시한다. 그 다음 결과를 정리 및 발표하고 반성 평가
한다.

2.3. 창의성 계발 학습
창의적 국어사용 능력을 계발하는 데 초점을 두
는 모형
 언어 수행 과정에서 사고의 유창성, 독창성, 융통
성, 다양성을 강조
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정답을 해결하
기 위하여 정답을 요구하기보다는 학습자의 독
창적이고 다양한 아이디어나 문제 해결 방법을
중시
 아이디어를 풍부하게 이끌어 내고, 생각이 편협
되지 않고 융통성 있으며 제시된 아이디어를 새
롭게 해석하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
 다양한 아이디어나 문제 해결 방법을 중시하기
에 학습자의 독창성을 드러내게 함
 시조 창작 절차: 문제 상황 분석하기-아이디어
생성하기-아이디어를 평가해 일반화하기-아이
디어 적용하기‘의 절차를 거친다.

2.3. 창의성 계발 학습
창의적 국어사용 능력을 계발하는 데 초점을 두
는 모형
 언어 수행 과정에서 사고의 유창성, 독창성, 융통
성, 다양성을 강조
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정답을 해결하
기 위하여 정답을 요구하기보다는 학습자의 독
창적이고 다양한 아이디어나 문제 해결 방법을
중시
 아이디어를 풍부하게 이끌어 내고, 생각이 편협
되지 않고 융통성 있으며 제시된 아이디어를 새
롭게 해석하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
 다양한 아이디어나 문제 해결 방법을 중시하기
에 학습자의 독창성을 드러내게 함
 시조 창작 절차: 문제 상황 분석하기-아이디어
생성하기-아이디어를 평가해 일반화하기-아이
디어 적용하기‘의 절차를 거친다.

2.4. 직접 교수법
수행에 필요한 학습내용이나 방법을 학생
들에게 직접 명시해 준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
 ‘사시가’의 시조 창작을 할 때, 학생들이
상당히 어려워 할 수도 있으므로 직접 교
사가 제시해 주면 학생들이 상당한 활력
을 띠며 참여할 수 있을 것이다. 간단히 설
명하고 아래처럼 시범을 보여 주며 질문
후 시조 창작에 임한다.
< 절차>
 설명하기-시범 보이기-질문하기-활동하기

2.4. 직접 교수법
예시1)
엄마의 거미줄
중3-7 최지윤
달빛의 밝음으로 우리엄마 얼굴보니
빛고운 얼굴에 거미줄이 쳐졌구나.
거미줄 만든 장본이 나인줄로 아노라.
예시2)
성적표
중3-4 박은혜
내 성적 얼마나 하니 그렇고 그럼이라.
전교 석차까지 있으니 귀 더욱 슬프고야.
두어라,이 성적표에 합계 석차 무엇하리
영어발음 좋다하나 콩글리쉬 자로 한다.
영어 공부 한다하나 그칠 적이 하노매라.
좋고도 하기 싫기는 영어분인가 하노라.
수학은 무슨 일로 쓸데없이 배우는고
고등학교 진학하면 머리 터지듯 해야하니
아마도 가장 골칫거리는 수학인가 하노라.
더우면 잠시 쉬고 추우면 안 하거늘
체육아 너는 어찌 눈서리를 모르는다.
내 몸이 힘들 때는 체육시간인줄 아노라.
복어도 아닌 것이 고등어도 아닌 것이
어렵기는 뉘 시기며 점수는 어이 아니 나왔는다.
저렇고 우리말이 어려워지니 국어가 애석하노라.
작은 책에 내용 많아 외울 것을 잔뜩 주니
외우고 외워야함이 너만한 이 또 있느냐
보고도 기억 아니나니 사회인가 하노라.
2.5. 지식 탐구 학습
교수·학습에서 다루어야 할 기본적이며 핵심적 지
식을 추출. 발견하기 위한 기초 단계로서 학습 문제
를 확인하고 언어 맥락이나 자료를 분석한다.
학습 적용은 강호사시가의 작가 이해, 어휘 풀이,
작품 해석, 시조의 전개과정, 형식상 표현상 특징 이
해하기 등을 다룬다.
3.본시 교수 ·학습 과정안
대단원명
교수·학습 주제
교수·학습 목 표
적용모형
한국 고전문학 운문
소단원명
시조 - 강호사시가
학생활동 중심의 문제 해결 학습을 통한 한국 시조의 감상과 창작능력 향상
·시조의 형식과 표현의 특징을 알아 작품을 해석할 수 있다.
·다양한 관점으로 작품을 평가하고 시조를 재창조할 수 있다.
문제 해결 학습, 토의·토론 학습, 직접 교수법, 창의성 계발 학습,
지식 탐구학습
수업 전
체크리스트법을 통한 진단평가
수업 후
단답·괄호형, 논술형의 형성·총괄평가
평 가
학습자 특성
고등학교 2학년 34명(남17 여17), 조별(남녀4~5명씩 8조)
학 습 차 시
4/8
학습자료 준비도
학습과제물 충실도
교사
교과서, 지도안, PPT자료, 동영상자료, 학습지, 컴퓨터, 원고지
학생
교과서, 학습 노트, 학습지, 형성평가지, 학습지, 연습장,과제물
수 업 매 체
교수·학습
과정
단계
학습
과제
학
정 리
습
전
내
체
용
학
정
습
리
교수·학습 활동
교 사
·시조 창작활동 결과
를 확인한다.
·시조를 써 본 느낌
을 나누어 본 후 격려
와 칭찬을 한다.
시 자료 및
학 생
간
·전체
가 소감 3
을 말해 분
본다.
유의점
4. 평가 계획
내 용
평가 종류
방 법
강호사시가의 작가 고불 맹사성
1~2조
수업 전 수행평가
진단
와서 발표한다.
평가
어휘풀이와 시 조 의 전 개 과 정 을
l
3~4조
체 크
리 스
5~6조
트법
7~8조
수업 중 형성평가
수업 후 총괄평가
및 일화와 관련된 정보를 탐색해
조사해서 발표한다.
교과서 읽기
와 정보 찾기
를 모둠별로
미리 해와 의
강호사시가의 작품 해석하기 및 논해서 발표
어부사시사와 비교해 발표한다.
강호사시가의 형식상 표현상 특
한 것으로 평
가한다.
징을 조사해 와서 발표하기
강호에서 안빈낙도하여 서정성이 짙다고 보거나 임금의 은혜를 강
논술형으로
조하는 면에서 자신의 생각을 논술문으로 정리하여 써 본다.
평가한다.
보충 심화
작품에 대한 내용과 형식을 이해 중간·기말고
하였는지 평가함
사에서 선택
타 작품과 비교가 가능하고 재창 형 단답형 쓰
기
조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함
교과 창의 인성 영역 평가
·시조의 형식과 표현의 특징을 알아 작품을 해석하였는지 평가
교 과
한다.
·다양한 관점으로 작품을 평가하고 시조를 재창조 하였는지 평
가한다.
창 의
인 성
·창의적 사고기법을 통하여 창의성을 발휘한 작품을 기술하였는
지 평가한다.
·문제해결 학습 과정에서 협력과 서로의 생각을 존중하는 태도
를 보였는지 평가한다.
수고하셨습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