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cript 시조.

1. 시조의 뜻과 등장배경
2. 시조의 갈래
3. 시조의 역사
4. 시조의 3대 가집
5. 시조와 가사의 차이점
6. 고시조와 현대시조의 차이점
1. 시조의 뜻과 등장배경

시조의 뜻
우리 민족이 만든 독특한 정형시의 하
나. 원래 노래의 가사로서 문학인 동시
에 음악인 셈이다.
0시조의 등장배경
고려 후기에 이르러 신흥사대부들이 역사적
전환기를 맞아 경기체가만으로 감당할 수 없
는 유교적 관념과 주관적 정서를 표현하기 위
해 창안된 양식(경기체가는 객관적 사실을 그
리기에만 적합하였을 뿐 내면적 정서를 표현
하기에는 부적절하였다)

시조의 기본 형식
평시조를 기준으로 할 때, 3・4조의 음수율을 가지고
3장6구, 45자 안팎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4음보격이
다. 자수는 시조마다 1, 2자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종장 첫째 구만은 3음절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
초장 3 4 3 4 -기(起)
전구 후구
중장 3 4 3 4 -승(承)
전구 후구
종장 3 5 4 3
전구 후구
│ │
전(轉) 결(結)
2. 시조의 갈래
형태상 갈래
① 평시조 ; 기본 형식의
단형 시조(短型時調)
 ② 사설시조 ; 2장 이상
이 평시조에 비해 긴 장
형 시조(長型時調). 특히
중장이 거의 무제한으
로 길어진다.
 ③ 연시조 ; 2수 이상의
평시조가 한 편을 이룬
시조

시대상 갈래
① 고시조 ; 시조가 발생
한 때로부터 갑오경장
(1894년) 이전까지 지어
진 시조
 ② 현대 시조 ; 갑오경장
이후부터 지어진 시조

3. 시조의 역사

- 시조의 발생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학설이 있으나
대체로 고려 중기에 형성되어 고려 말에서 조선 초기
에 완성되었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시조는 발생
초기부터 평시조와 사설 시조가 함께 나타났으나 평
시조는 조선 전시기를 통하여, 사설 시조는 조선 후
기에 활발히 지어졌다. 개화기 이후 나타난 자유시에
밀려 점차 쇠퇴하였고, 이를 안타깝게 여긴 최남선
등에 의해 시조 부흥 운동이 일어나게 되었다 1920
년대에 들어 계급주의 문학에 대항한 국민문학파의
활동과 함께 본격화되기 시작하여 최남선, 이광수,
정인보, 이은상, 이병기 등에 의해 본격적인 현대 시
조가 창작되기 시작했다. 이후 김상옥, 이호우, 정훈
등의 현대 작가에 이르기까지 계승되어 오고 있다.
時調라는 명칭은 조선 영조 때의 가객 이세춘이 당시
1896년에 박효관(,
안민영에 의하여 편
찬된 가집 이 가집의
편찬자인 수록된 작
품 수는 이본에 따라
다르나 약 800여 수
를 곡조에 따라 분류
하였고, 후부(後部)
에 여창유취(女唱類
聚)라 하여 170여 수
를 덧붙이고 있다. 작
가의 신분 차이나 연
대 등은 전혀 고려하
지 않았고, 곡조에 따
라 뒤섞여 있는데 이
름이 알려진 작자의
작품에 대해서는 작
자의 약력과 작품에
대한 설명을 덧붙인
것도 있다.
조선 영조 때의 가인
(歌人) 남파(南坡) 김천
택(金天澤)이 고려 말
엽부터 편찬 당시까지
의 여러 사람의 시조를
모아 1728년(영조 4)
에 엮은 고시조집. 1권
1책. 현재까지 전해지
는 가집(歌集) 중에서
편찬 연대가 가장 오래
되었으며 방대한 것으
로 《해동가요(海東歌
謠)》 《가곡원류(歌曲
源流)》와 아울러 3대
가집으로 꼽히는 책이
다. 이 책의 제1차 초고
가 완성된 때는 1727
년(영조 3), 제1차 수보
(修補) 완료는 1728년,
제2차 수보를 마친 때
가 1732년으로서, 이
때에는 상당한 시조가
증보된 듯하므로 실제
필사본. 2권 1책. 경정산
가단(敬亭山歌壇)의 한
사람으로 이름을 떨친
가객(歌客) 김수장(金壽
長)이 편찬한 조선 3대
가집의 하나이다. 1746
년(영조 22)에 편찬을
시작하여 1755년까지
제1단계 편찬을 마쳤고,
63년에 제2단계 편찬이
완성되어 책명을 《해
동가요》라 하고 세상
에 내놓았다. 그가 80세
되던 69년(영조 45)까지
개수(改修) ·편찬작업은
계속되었다. 이 책은 주
시경(周時經)의 전사본
인 최남선(崔南善) 소장
의 ‘육당본(六堂本)’과
이희승(李熙昇) 소장의
‘고사본(古寫本)’ 등 두
가지가 전하나 그 체재
와 내용에 약간의 차이
가 있다.
시조
가사
장르적성
격
안으로 심성의 세계를 객관적 관념론자들인
노래하기 위해 창안한 성리학자들의 관념의
서정장르
세계를 표현하기 위
해 만들어진 교술장
르
공통점
고려말 주로 신흥 사대부에 의해 창작되어 조
선시대에 크게 발달
․4음보의 율격
․종장은 3,5,4,3의 율격(가사는 정격가사인
경우)
․귀족문학이며 기록문학
차이점
형식상 : 3장 6구의 단
형체
연속체
고 시 조
내
용
현 대 시 조
1. 귀족적 高雅性(전기)
→ 평민적 해학성⋅풍자성(후기)
1. 탐미적⋅지성적 내용이 많다.
2. 풍류적⋅관념적 성격을 지닌다.
2. 승화된 시정신이 돋보인다.
3. 인륜⋅도덕⋅충의와 자연 친화적
3. 개성적⋅암시적인 주제가 많다.
주제가 주를 이룬다.
4. 내적 감정과 심리 묘사가 있다.
4. 주제가 명료하게 제시된다.
형
식
1. 제목이 없고 고사의 인용이 많
다.
2. 장별로 배행한 3행 시조이다.
3. 음수율이 고정되고 상투어가 많
다.
4. 평시조가 많다. - 단형의 간결성
중시
5. 음악성이 중시된다.
1. 제목이 있고 현대시적인 기교
가 발달하였다.
2. 구별 배행 시조나 자유시와 비
슷한 시형을 시도하였다.
3. 개성적인 시어가 많이 사용되
었다.
4. 연시조 형식이 많다. 장형의
복잡성 중시
5. 이미지가 중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