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면역학 (한의학의 면역이론)

Download Report

Transcript 한방면역학 (한의학의 면역이론)

한방면역학
한의학의 면역이론
I.
한의학에서의 면역학 발달사
II.
면역의 한의학적 접근
III.
한의학의 면역이론
1.
위기와 면역
2.
폐비신과 면역
3.
경락기혈과 면역
4.
부정거사와 면역
한의학에서의 면역학 발달사
•
한의학에서 면역학의 개념은 ‘黃帝內經’에서 유래
– 精氣存內 邪不可干
• 한의학이 추구하는 正氣 위주의 건강관
– 邪氣所注 其氣必虛
• 한의학에서 생각하는 질병 발생의 원인
– 질병은 인체의 正氣와 病邪가 서로 다투는 과정
1
한의학에서의 면역학 발달사
•
유전과 면역
– 선천적 요인은 질병을 일으키는 인자의 적응력, 저항력, 이감성을 결정
– 諸病源候論
•
환경적요인과 면역
– 정신과 음식, 생활환경, 운동 등은 면역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 呂氏春秋
•
종양과 면역
– 李中梓의 ‘醫宗必讀’
•
인공적인 능동면역
– 葛洪의 ‘肘後備急方’
– 種痘新書
2
한의학에서의 면역학 발달사
•
한방면역학의 발전
– 서양의 종두법이 들어온 후 한의학에서의 면역학은 실용성을 잃음
– 최근 중국에서 한의학과 서양의학을 접목시켜 한방면역학을 새롭게 정립
해 나가고 있음
– 한의학에서의 면역학 이론과 경험을 토대로 이를 현대 과학적인 방법 (약
리실험, 임상실험)을 통해 검증하여 체계적인 발전을 꾀함
•
현대면역학의 한계와 한방면역학의 필요성
•
한약사의 역할
3
면역의 한의학적 접근
•
한의학의 면역에 대한 인식
– 한의학에서 면역은 18세기에 저술된 ‘免疫類方’ 중에서 처음 발견됨
⇒ 疫病의 위해 작용을 제지 (현대의학의 면역 개념과 일치)
– ‘內經’에 따르면 면역은 단지 疫病의 제거 뿐만 아니라 일반질환도 포함됨
⇒ 예방 위주의 사상을 주로 하여 일체의 질환을 지칭
– 질병의 예방에 결정적인 작용을 하는 것은 내인 (正氣 ↔ 邪氣)
⇒ 신체의 正氣가 충실하면 外邪, 內邪를 막론하고 모두 예방 가능하고
투쟁에서 승리하면 질병을 면할 수 있음
4
면역의 한의학적 접근
•
현대 면역과의 비교
–
현대 면역의 개념 – self, nonself
⇒ 한의학의 正氣 – 邪氣를 제거하며 陰陽을 조절하고 신체를 보호
–
현대 의학에서 면역계통의 기능
•
방어 – 각종 미생물의 감염에 저항
⇒ 正氣가 外邪의 작용을 방어
•
자기 안정 – 자기신체의 항원을 제거
⇒ 內邪를 없애고 陰陽 평형을 유지
•
면역 감시 – 종양 발생 억제
⇒ 正氣는 臟腑, 經絡, 氣血과 협조하여 痰積血瘀를 막고 積聚의 발
생을 면하게 함
–
면역반응은 正邪相爭
5
한의학의 면역 이론
•
衛氣와 면역
–
正氣 가운데 外邪의 침입을 방어하는 正氣 – 衛氣
–
‘靈樞’ 本藏篇 – 衛氣가 피부점막을 보호
–
‘素問’ 生氣通天論 – 邪氣가 盛하여도 衛氣가 충실하면 질병은 발생하지
않음
–
‘素問’ 瘧論 – 外邪가 피부에 침입하면 衛氣가 즉각 外邪를 포위하여 섬멸
–
‘靈樞’ 癰疽篇 – 衛氣가 虛하면 邪氣가 들어와 체내에 남아서 만성병이 됨
–
한의학에서의 衛氣의 작용이 면역계통의 방어 기능을 갖음
–
衛氣는 질병에 저항하는 생체 내 물질을 광범위하게 지칭
⇒ 外邪를 제거 (phagocytosis)
6
한의학의 면역 이론
•
肺脾腎과 면역
–
正氣 = 眞氣 (淸氣 [肺], 後天의 氣 [脾], 先天의 氣 [腎])
正氣와 肺脾腎은
밀접한 관계
正氣는 면역계통과
깊은 관련이 있음
肺脾腎과 면역관계는
긴밀하다
7
한의학의 면역 이론
•
肺脾腎과 면역 – (1) 腎과 면역
–
肺脾腎은 모두 면역과 관련이 있으니 腎이 가장 근본이 됨
–
腎은 元氣를 발생하고 각 조직 및 기관의 생리 활동을 촉진하며 인체의 생
장과 발육 그리고 생명을 유지하게 함
⇒ 元氣가 쇠약해지면 正氣는 반드시 약해지고 결과적으로 질병에 대한
저항력이 떨어지게됨
–
元氣는 元陰과 元陽 (腎陰과 腎陽)으로 나누어지며 전신의 陰陽을 돕고 조
절
–
–
陰陽이 평형을 잃으면 면역 계통의 안정이 깨지고 병변이 나타남
•
陽虛 – 陰寒이 內盛하고 수액대사가 안되어 면역기능 장애
•
陰虛 – 虛熱內生하여 면역기능 저하
腎生骨髓
8
한의학의 면역 이론
•
肺脾腎과 면역 – (2) 脾肺와 면역
–
생체 각 기관 계통의 정상 생리 활동은 氣機昇降 및 끊이지 않는 出入作用
에 의해서 그 평형이 유지됨
–
肺의 宣發과 肅降, 脾의 昇淸과 胃의 降濁은 모두 氣機의 昇降出入의 구체
적인 표현
–
정상 생리 기능은 면역 계통 기능의 안정을 포함
–
脾肺의 虛實변화는 면역계통 기능의 평형안정에 영향을 줌
–
脾는 氣血營衛의 공급자이며 後天의 근본
•
脾虛 환자에게 健脾益氣湯을 투여한 후 脾虛 개선과 더불어 T세포비
율, 임파세포 전화율 등이 상승됨
–
肺는 皮毛를 주관하여 衛氣의 강약을 조절
•
肺虛 환자의 면역세포 감소에 補肺益氣를 통해 肺虛증상의 개선
뿐만 아니라 면역세포가 증가됨을 관찰
9
한의학의 면역 이론
•
肺脾腎과 면역 – (3) 肺脾腎의 상대적인 비교
–
正氣와 肺脾腎의 관계는 밀접하며 肺脾腎의 强弱이 正氣의 盛衰를 결정
–
면역에 있어서 각 장기의 중요도
腎
脾
肺
–
腎 – 특이성, 비특이성 면역에 모두 관련
–
脾肺 – 비특이성 면역과 관련
10
한의학의 면역 이론
•
肺脾腎과 면역 – (3) 肺脾腎의 상대적인 비교
–
T세포 비율 (%)
60
50
40
30
20
10
0
Control
肺虛
脾虛
腎虛
11
한의학의 면역 이론
肺脾腎과 면역 – (3) 肺脾腎의 상대적인 비교
–
혈청 IgA & IgG
1800
140
1600
120
1400
100
혈청 IgG (mg)
혈청 IgA (mg)
•
80
60
40
1200
1000
800
600
400
20
200
0
0
Control
肺虛
脾虛
腎虛
Control
肺虛
脾虛
腎虛
12
한의학의 면역 이론
•
經絡氣血과 면역
–
經絡은 氣血을 운행하고 체내 각 부분의 통로를 조절
–
면역 기능 조절시에 肺脾腎에 의한 正氣의 생산 뿐만 아니라 經絡을 통한
正氣의 운행 또한 중요
–
일련의 실험 결과들은 침구요법을 통해 T세포 비율과 임파세포 전화율을
높여서 침구가 인체의 세포 면역 기능을 높이는 것을 보여줌
13
한의학의 면역 이론
•
扶正祛邪와 면역
–
한의학의 질병치료는 扶正, 祛邪로 귀결
–
扶正 – 유기체의 항병력을 조절하고 면역 효능을 높이는 것
–
祛邪 – 면역 효능을 떨어뜨리는 요소를 배제시키는 것
–
임상에서는 辨證論治를 통해 扶正과 祛邪를 적절하게 사용
•
正虛者 -> 扶正
•
邪實者 -> 祛邪
•
正虛邪實者 - > 扶正祛邪 병용
정사 양면의 대비 정황에
근거하여 치료
–
대부분의 경우 扶正은 면역을 촉진하고 祛邪는 면역반응을 억제
–
扶正祛邪의 치료를 통해 생체 면역 기능을 조절 가능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