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 교육의 목표

Download Report

Transcript 문법 교육의 목표

문법 교육의 목표
영어교육과
영어교육과
영어교육과
영어교육과
영어교육과
20070000
20071221
20070000
20070000
20070000
박성수
김승미
정보령
이유경
손민지
문법교육-정의
학교 문법을 교수 학습의 대상으로 삼는 분야
문법 지도를 핵심으로 하는 일련의 교육적인 과정
개정 7차 교육과정에서의 문법교육의 목표
가.국어의 원리와 규칙을 이해한다.
나.실제 국어 생활에 대한 탐구를 바탕으로 문법 능력을 기른
다.
다.국어를 사랑하고 국어 문화를 창의적으로 발전시킨다.
교육과정에서의 ‘문법’
교수요목기
1차 교육과정
교육내용 O
독립된 국어과의
하위영역은X
2차 교육과정
5차 교육과정
‘표현·이해’
↓
‘말·듣·읽·쓰’
6차 교육과정
6차▶고등학교
심화 선택 과목 ‘문
법’
언어→국어 지식
3차 교육과정
7차 교육과정
11,12학년 심화
선택과목으로 ‘문법’
4차 교육과정
• 언어 영역으로 독립
• 하위 과목으로
‘문법’ 등장
개정
7차 교육과정
언어→국어
문법 교육의 목표에 대한 관점
 국어과 교육에서 언어 지식의 가치는,
국어사용 기능의 신장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데 있다.
▼
문법 교육의 목표와 방향은 이러한 가치를
효과적으로 실현 시킬 수 있는 쪽으로 잡아야 함
 언어 지식에 대한 이해가 국어사용 기능 신장의 바탕이 된다는
사실과는 별개로, 이 분야의 지식은 그 지식 체계 자체만으로도
교육적 가치가 충분하다.
문법 교육의 새로운 관점
1. 우리말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을 이해함으로써
교양인으로서의 소양을 갖추게 한다.
2. 국어 생활을 바르고 효과적으로 영위하는 데 필요한
바탕 지식을 갖추게 한다.
3. 국어 문화를 계승하고 창조하며 국어를 발전시키는 데 필
요한
자질과 태도를 갖추게 한다.
4. 우리말의 구조를 탐구하는 과정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사고력을 기르게 한다.
문법 교육의 목표에 관한 학자들의 견
해
박영순
•
•
•
•
•
전반적인 언어 능력의 향상
고등 정신 능력의 함양
논리적 사고력의 고양
사회적 규범과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와 실천
학문적 탐구심 배양
윤국한
문법 학습→ ‘언어를 운용하는 데 필요한 여러 가지 원리’의
탐구 학습
그 목표→ 인간 언어 능력의 이해에 있어야 한다
▼
즉, 한국어를 자료로 하여 언어가 무엇인지, 인간의
언어 능력은 무엇인지를 이해하려는 이론 문법의 목표를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문법 교육의 목표에 관한 학자들의 견
해
이도영
기존의 문법 교육 목표의 문제점과 타당성을 살펴보고,
이를 중심으로 문법 교육의 목표를
‘ 언어의 이해를 바탕으로 한 문법 능력의 향상’ 으로 설정
이춘근
‘인간의 어휘 능력(질적 능력) 및 문장 능력을 발달시키고
언어 현상을 이해시키는 것이다’
7차 , 개정 7차 교육과정에서의 목표
언어활동과 언어와 문학의 본질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언어활동의 맥락과 목적과 대상
과 내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국어를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며, 국어 문화를 바
르게 이해하고, 국어의 발전과 민족의 언어 문화 창달에 이바지 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기른다.
가. 언어활동과 언어와 문학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익혀, 이를 다양한 국어사용 상황
에 활용하는 능력을 기른다.
나. 정확하고 효과적인 국어사용의 원리와 작용 양상을 익혀, 다양한 유형의 국어 자료
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사상과 정서를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을 기른다.
다. 국어 세계에 흥미를 가지고 언어 현상을 계속적으로 탐구하여, 국어의 발전과 국어
문화 창조에 이바지하려는 태도를 기른다.
국어 활동과 국어와 문학의 본질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국어 활동의 맥락을 고려하면
서 국어를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며, 국어 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국어의 발전과
민족의 국어 문화 창조에 이바지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기른다.
가. 국어 활동과 국어와 문학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익혀, 이를 다양한 국어사용 상황
에 활용하면서 자신의 언어를 창조적으로 사용한다.
나. 담화와 글을 수용하고 생산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기능을 익혀, 다양한 유형의 담화
와 글을 비판적이고 창의적으로 수용하고 생산한다.
다. 국어 세계에 흥미를 가지고 언어 현상을 계속적으로 탐구하여, 국어의 발전과 미래
지향의 국어 문화를 창조한다.
문법 수업 목표 조직
① 단원의 수업 시수를 결정한다.
② 선행 조직자가 되는 개념이나 원리를 먼저 제시한다.
③ 다른 개념이나 원리의 학습 없이도 학습 될 수 있는 개념이나 원리를 먼저 제
시한다.
④ 특수한 예와 결부시켜 설명할 수 있는 개념이나 원리는 먼저 제시한다.
⑤ 그 예가 다른 개념이나 원리의 예보다 더 특수한 개념이나 원리를 먼저 제
시한다.
⑥ <기억> 목표는 <적용> 목표보다 먼저 제시한다.
⑦ 선행조직자로 요약한다.
교과서 내용 분석
구 분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국어의
본질
음운
① 한글 자모
의 이름과 소
리 찾기
낱말
② 소리와 표
기가 다를
수
있음을
알기
원
리
문장
③ 문장성분
의 이름과 쓰
임 알기
① 표기와 소
리가 다른 낱
말 정확하게
표기하기
5학년
6학년
① 언어가 창
조적으로 쓰
임을 알기
① 언어에 규
칙성이 있음
알기
② 언어가
기 호 임 을
알기
① 용언의 기
본형 알기
① 우리말 어
순 알기
② 우리말
높임법 알기
③ 이어주는
말 기능 알기
② 문장의 종
류를 알기
② 우리말의
어간 표현 알
기
③
문 장
성 분 의
개념과 기능
알기
교과서 내용 분석
③ 어휘의 개
념 알기
어휘
의미
담화
태도
② 낱말과 낱
말 사이의 의
미 관계 이해
하기
④ 표준어와
방언의 개념
알기
⑤ 공식적인
상황에서
표준어
사용하기
③ 고유어, 한
자어, 외래어,
외국어의 개
념 알기
④ 낱말 사이
유의 관계, 반
의 관계, 하의
관계 알기
④ 문장 사이
의 연결 관계
알기
⑤ 표준
발음법에
맞게
발음하기
③ 소리를 혼
동하지 않고
낱말을 정확
하게 발음하
기
④ 바른 말을
사용하려는
태도
⑤ 문화유산
인 우리말과
우리글을 소
중히 여기는
태도
⑥ 상황에 맞
게 방언과 표
준어를 구별
하여 사용하
는 태도
⑥ 상황에 따
라 표준 발음
으로 말하려
는 태도
※ 참고 문헌
이관규(2008), 학교 문법 교육론
김광해(2008), 문법 현상과 교육
임지룡, 이은규, 김종록 외(2008),
학교 문법과 문법교육.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7), 2007 개정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이관규(2007), 2007년 국어과 문법 교육과정의 개정 특징과 문법 교육의 방향,
청람어문교육학회.
이창근(2007), 초등학교 문법 교육의 접근 원리, 국어교육연구 제41집 국어교육학회.
주세형(2006), 문법 교육론과 국어학적 지식의 지평 확장, 역락
박덕유(2006), 학교 문법론의 이해
박영순(2005), 국어 문법 교육론
한국어교육학회 편찬위원회(2005), 국어교육론 2
윤국한(2003), 문법의 목표와 국어 지식 교육, 청람어문교육학회.
최재희(2001), 국어 교육 문법론
이춘근(2000), 문법 교육의 목적, 우리말 연구 제 10집.
이도영(1996), 문법 교육의 목표 정립을 위한 제언, 한국어교육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