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모듈화와 노동자

Download Report

Transcript 자동차 모듈화와 노동자

자동차 모듈화와 노동자
모듈화 대응 방향
변화에 직면한 자동차 산업
 자동차 시장 환경 변화
 자동차산업 환경 변화
자동차 시장환경 변화
 기존 자동차 시장의 한계
유럽, 북미, 일본의 저성장 국면
 자동차에 대한 인식 변화
신분의 상징에서 생활의 필수 보조수단으로
 자동차 소비 패턴 변화
기능과 품질에 대한 소비자 요구 강화
자동차 산업 환경 변화
 과잉생산에 의한 이윤 압박
기술혁신과 품질 향상
 과학기술의 발전
생산기술과 생산시스템의 변화 가능
지구온난화와 환경 문제 부각
신개념 자동차 생산 필요
모듈화란 무엇인가?
 전체를 이루던 기존의 종합 방식을 몇 개의
주요한 덩어리를 구분하는 방식과 시스템
- (조립)공정의 통합과 분할(협의)
- 복수 부품의 일체화, 시스템화(광의)
조립 시스템의 모듈화
 설계의
 생산의
 조직의
 정보의
모듈화
모듈화
모듈화
모듈화
부품의 일체화, 시스템화
 복수 부품의 일체화
 복수부품의 기능적 통합
 기능 통합을 위한 시스템 구축
 시스템에 의한 모듈 혁신
자본의 모듈화 개념도
모듈화 단계별 특성
자본의 모듈화 도입 이유





비용절감
품질개선개발기간 단축
세계화 강화
유연성 증대
현지화 강화
자본의 모듈화 추진 형태






신차종투입, 모델 변경 시 모듈화 시도
현대모비스를 통한 모듈 공급 체제 구축
외주화(아웃소싱)
자동화 도입 등 작업장 합리화/재편
물류시스템 혁신
혼류생산
현 시기 모듈화의 문제점
(부품)

무노조 비정규직 공장 설립
=> 모듈 생산을 위한 합작과 제휴(별도 공장 설립)
=> 아웃소싱(외주화) 및 도급 확대

부품사에 대한 지속적 단가 인하 요구
=> 부품사 노동자들의 조건과 처지 하락

부품사의 하청계열 상태 악화
=> 모듈러의 등장으로 벤더 단계 하락
현 시기 모듈화의 문제점
(완성/조립)

외주화
=>부품(서열) 및 서브 작업 외주화로 인해 조립반
(팀)으로 인원 집중
=> 고령 노동자 및 상해 노동자의 ‘공간’ 소멸

자동화 및 생력화(省力化)
=> 공정 수 및 필요인원 축소

공장(라인) 합리화
=> UPH 상승 및 노동강도(밀도) 강화

현장 주도력의 이양
노동자의 눈으로 본 모듈화
(긍정적 측면)

모듈화는 조립 공장의 현 체제를 바꿀 수 있
는 절호의 기회
=> 작업장 환경 개선과 노동자의 노동과정 개입/통
제의 새로운 발판 형성 가능성

모듈화는 자동차 노동자의 연대와 단결을 위
한 결정적 기회
 완성조립
대공장 중심의 노조 체제를 산별체제로
전환할 수 있는 객관적 기회 제공
 산별체제로 전환할 수 있는 객관적 기회 제공
노동자의 눈으로 본 모듈화
(부정적 측면)


외주화, 자동화로 인한 고용불안 상존
노동자 내부 경쟁 확대 가능성
=> 완성대공장/부품대기업/부품중소기업 노동자
의 이해 관계 차이
=> 물량 확보를 위한 노동자간 양보경쟁 부추김

노동조합의 약화 요인
=> 신설 법인의 무노조 비정규직 공장
=> 노조로의 집중력 약화
노동자 상태로 본 모듈화
(주체적 측면)

협의와 합의 장치 마련
=> 단체협약에 기초한 노사협의 진행

미래전략 부재
현원 유지에 초점을 맞춘 노동자 대응
 협상을 통한 변화의 수용


현장전략 부재


주체간 의사소통 부실과 ‘집합적’ 목표 부재
연대전략 부재

내부 갈등 요소를 극복하지 못한 ‘공장’별 대응
모듈화 대응
미래를 꿈꾸자!

관점의 정립
모듈화 그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
 모듈화를 추진하는 자본의 방식이 문제다


태도의 정립
수세적 방어에서 공세적 쟁취로
 고립적 대응에서 연대의 실천으로
 집행부 대의원 중심에서 현장 조합원 중심으로

모듈화,
무엇을 문제 삼을 것인가?
모듈화 도입에 따른 이득을 전유(專有)하려는
자본의 태도와 방식이 문제다!




외주화, 하청화를 통한 완성차 노동자의 노동조건
저하 및 노동상태 악화
숙련 향상과 삶의 질 개선에 대한 투자 전무(全無)
비정규직 무노조 공장을 통한 기존 노조 무력화
노동자 내부의 분할과 경쟁 촉발
모듈화 대응,
무엇을 목표할 것인가?
모듈화 도입 – 기계의 발달과 기술의 발
전이 노동자를 이롭게 하도록 하자!!




더 쉽게 – 노동강도의 완화, 작업의 간소화
더 적게 – 작업시간 단축, 여유시간 확대
더 편하게 – 작업방식의 편이성 증대, 자율작업
더 좋게 – 직무 유지, 숙련 향상
모듈화 대응
모듈 대응의 구체적 지점1

외주화 대응
부품서열 및 서브 작업의 외주화 대응
 라인 조립 작업의 외주화 대응


라인 합리화 대응
자동화 및 로봇 도입 대응
 작업 환경 개선 대응
 라인 시스템 및 작업 방식 개선 대응

모듈화 대응
모듈 대응의 구체적 지점2

작업 표준 및 공정 편성 대응
공정의 분류와 시간 산정 대응
 작업 표준서 대응


라인 속도 및 노동강도 대응
공장가동율 및 편성 효율 대응
 UPH 및 생산성 대응

모듈화 대응
모듈 대응의 구체적 지점3

부품 공급 업체 대응
모듈 공급 생산 공장의 비정규직 투입 대응
 모듈 공급 공장의 무노조 상태 대응


모듈 공급 방식 대응
단가 인하 요구에 대한 대응
 무창고 직투입에 대한 대응

구체적으로 어떻게?
사내 모듈 및 서브장 설치를
요구하자!!

모듈 조립 및 생산은 완성차 공장 내부에서
기존 라인 작업을 별도화하는 것은 문제가 아니다
=> 정규직이 하던 일을 비정규직의 일로 만들고
=> 특정 모듈의 공정을 외주화하는 것이 문제
구체적으로 어떻게?
사내모듈, 발상의 문제다!
유럽 모듈 공장 사례
1) MCC(벤츠 자회사)의 Hambach 공장
7개의 모듈공급업체가 십자형 조립공정의 주변에 배치되어 모듈부품
을 조립, 설치
2) VW의 Mosel 공장(구 동독지역)
완성차조립공장 반경 20-30km 떨어진 지역에 모듈 공급업체 배치
3) Audi Ingorstadt 공장
조립공장 옆에 부품물류센터를 설치하고 거기에서 부품을 모듈로 조
립하여 조립라인에 공급
구체적으로 어떻게?
직무안정과 숙련향상은 포기할
수 없다!
직무안정이란?
노동가 하던 작업(직무)의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다.
직무는 사라지지 않는다
모듈화 = 직무의 통합과 재배치
자동화 = 직무의 자동화, 직무 수행 방식의 변화
직무안정은 어떻게?
직무 단위에 기초한 인력 운영 방안 마련
동일 직무를 단위로 한 전환배치
구체적으로 어떻게?
직무안정과 숙련향상은 포기할
수 없다!
숙련향상이란?
노동자의 직무 수행 능력이 높아지는 것이다.
숙련향상 = 생산성의 질적 증대
생산성의 양적 개념을 탈피해야 한다
예) 단위 시간당 생산대수, 노동자 1인당 생산대수 등
기술적, 기계적 발전에 조응할 수 있는 노동자 숙련 향상
=> 생산대수의 증대 뿐만 아니라 품질 및 성능 향상 달성
숙련향상 어떻게?
자동화/모듈화에 의한 생력화 ×
지속적인 직무 수행에 따른 숙련 향상 ○
모듈화 대응
인간을 위한 공장을 만들자!


높이 조절용 작업대 도입
회전용 작업대 도입
=> 하체 작업 목 젖힘 현상 방지


병렬식 조립 방식 채택
공수 산정 방식의 개선과 여유율 확대
모듈화 대응
인간을 위한 공장을 만들자!


중량물 작업 공정에 (반)자동화 요구
유해물질 취급 작업의 분리
=> 관련 작업자의 작업 시간 단축



채광 및 소음, 기온의 기준치 강화
작업 공간 및 물류 이동 공간 확보
휴게 공간 및 시설 개선, 확대
모듈화 대응
무노조 비정규직 공장을
철폐하자!

서브 작업자의 정규직화
=> 최소한 직접 고용 형태로 전환

무노조 공장의 노조 설립 보장
=> 외주화, 모듈공급 공장의 노조 설립 명문화

라인 작업자의 정규직화
=> 라인 작업의 불법파견 및 도급 근절
모듈화 대응
무노조 비정규직 공장을
철폐하자!

현대모비스를 폭로하자!
=> 사회적 연대 운동으로

지역별 조직가를 양성하자!
=> 지역 지부를 통한 조직가 배출

단체협약을 강화하자!
=> 합작 및 별도 공장 설립 시 노조 설립 명문화
노동의 혁신이 필요하다
기존의 대응 방식으로는 안된다
투쟁과 교섭의 취사선택이 아니라 목표를 향한
전술적 운영 능력 배양
 집행부와 대의원 위주에서 현장의 참여와 단결에
기초한 대응 구조 형성
 단사별 고립적 대응에서 지역과 업종의 연대에
의한 대응 시스템 체계화

노동의 혁신이 필요하다
개입의 제도화, 통제의 주체화가 요구된다

개입의 확대는 질적 도약의 필요조건
 단사별 단체 협약을 통한 개입의 확장은 지속되어야
 업종 단위 중앙 및 지역 차원의 개입 여건 확보 필요

노동의 주체적 통제를 실현할 수 있느냐가 관건
 개입이 ‘제도화’ 및 ‘개량화’에 머물지 않게 하기 위해서
는 노동자의 주체적 통제가 필수 요건
 자본의 수용 가능성에 제한되지 않는 노동의 필요에 의
한 통제를 실행하는 것이 관건
노동의 혁신이 필요하다
사회적 차원의 대응이 절실하다

단사별 대응의 한계는 이미 절감했다
 모듈화는 자동차 산업의 미래 전략. 단사별 대응은 일시적일
수밖에 없다.
 모듈화 문제 자체를 사회적 산업적 이슈로 부각해야 한다

조직 노동자 중심의 대응도 극복해야 한다
 노조를 회피하려는 자본의 전략이 구사되고 있음에 주목
 노동자 일반의 요구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마땅